최근 수정 시각 : 2024-10-27 15:34:21

정철

송강 정철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정철(동명이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조선 정승
중종 ~ 광해군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좌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65대

김수동
제66대

박원종
제67대

류순정
제68대

성희안
제69대

송질
제70대

정광필
제71대

김응기
제72대

신용개
제73대

안당
제74대

남곤
제75대

이유청
제76대

정광필
제77대

심정
제78대

이행
제79대

장순손
제80대

한효원
제81대

김근사
제82대

김안로
제83대

윤은보
제84대

류부
제85대

홍언필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85대

홍언필
제86대

윤인경
제87대

류관
}}}
제88대

성세창
제89대

이기
제90대

홍언필
제91대

윤인경
제92대

황헌
제93대

심연원
제94대

상진
제95대

윤개
제96대

안현
제97대

이준경
제98대

심통원
제99대

이명
제100대

권철
제101대

홍섬
제102대

박순
제103대

이탁
제104대

박순
제105대

홍섬
제106대

노수신
제107대

김귀영
제108대

정유길
제109대

노수신
제110대

정유길
제111대

류전
제112대

이산해
제113대

정철
제114대

류성룡
제115대

최흥원
제116대

윤두수
제117대

유홍
제118대

김응남
제119대

윤두수
제120대

이원익
제121대

이덕형
제122대

이항복
제123대

정탁
제124대

이원익
제125대

이항복
제126대

이헌국
제127대

김명원
제128대

윤승훈
제129대

류영경
제130대

기자헌
제131대

심희수
제132대

허욱
제133대

기자헌
제134대

이항복
제135대

이덕형
제136대

이항복
제137대

정인홍
제138대

한효순
제139대

박승종
제140대

박홍구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우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78대

박원종
제79대

류순정
제80대

성희안
제81대

송질
제82대

정광필
제83대

김응기
제84대

신용개
제85대

안당
제86대

김전
제87대

이유청
제88대

권균
제89대

심정
제90대

이행
제91대

장순손
제92대

한효원
제93대

김근사
제94대

김안로
제95대

윤은보
제96대

류부
제97대

홍언필
제98대

김극성
제99대

윤인경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99대

윤인경
제100대

류관
제101대

성세창
}}}
제102대

이기
제103대

정순붕
제104대

황헌
제105대

심연원
제106대

상진
제107대

윤개
제108대

윤원형
제109대

안현
제110대

이준경
제111대

심통원
제112대

이명
제113대

권철
제114대

민기
제115대

홍섬
제116대

이탁
제117대

박순
제118대

노수신
제119대

강사상
제120대

정유길
제121대

김귀영
제122대

정지연
제123대

정유길
제124대

노수신
제125대

정유길
제126대

류전
제127대

이산해
제128대

정언신
제129대

정철
제130대

심수경
제131대

류성룡
제132대

이양원
제133대

윤두수
제134대

유홍
제135대

김응남
제136대

정탁
제137대

이원익
제138대

이덕형
제139대

이항복
제140대

이헌국
제141대

이항복
제142대

이헌국
제143대

김명원
제144대

윤승훈
제145대

류영경
제146대

기자헌
제147대

심희수
제148대

허욱
제149대

한응인
제150대

심희수
제151대

이항복
제152·153대

정인홍
제154대

정창연
제155대

정인홍
제156대

한효순
제157대

민몽룡
제158대

박승종
제159대

박홍구
제160대

조정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정철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정철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인물 관련 문서
평가
창작 작품
관동별곡 사미인곡 속미인곡 성산별곡 훈민가
}}}}}}}}} ||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광국공신
{{{#!wiki style="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590년 8월 1일 선조에 의해 책록
수충공성익모수기광국공신 (1등)
유홍 윤근수 황정욱 }}}
{{{#!wiki style="margin: -32px -1px -11px"
수충공성익모광국공신 (2등)
윤두수 윤섬 윤형 이후백
한응인 홍성민 홍순언
수충공성광국공신 (3등)
기대승 김주 류성룡 윤탁연
이산해 이양원 정철 최황
황림 }}}}}}}}}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평난공신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590년 8월 1일 선조에 의해 책록
추충분의병기협책평난공신 (1등)
박충간 이축 한응인
추충분의협책평난공신 (2등)
김귀영1 남절 류전 민인백
유홍 이산해 이수 이준
정철2 조구 한준 홍성민
추충분의평남공신 (3등)
강신 김명원 이정립 이증
이항복 이헌국 최황
1 1593년 임해군, 순화군을 보호하지 못한 혐의로 인한 제명, 1664년 현종 때 복권
2 1594년 탄핵으로 인한 제명, 1624년 인조 때 복권, 1691년 정무서 등의 상소로 인한 제명, 1694년 숙종 때 복권
}}}}}}}}}

사림파
士林派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신진사대부(온건파)
고려말
( ~ 1392)
길재 김진양 김충한 민안부 신덕린
우현보 원천석 이색 이숭인 정몽주
성종 - 중종
(1469 ~ 1544)
기준 김굉필 김식 김일손 김정
김종직 정여창 조광조 권경유 안당
인종 - 명종
(1544 ~ 1567)
신광한 서경덕 이언적 이황 조식
성세창 성수침 류희춘 이언침 김인후
대윤 소윤
유관 윤임 권벌 류인숙 정순붕
선조
(1544 ~ 1575)
기대승 노수신 성혼 이이 백인걸
온건파 강경파
박순 심의겸 김성일 김효원 류성룡
윤두수 정철 이산해 정인홍 허엽
서인 동인
조선의 붕당
( 관학파 · 훈구파 · 사림파 · 동인 · 서인 · 남인 · 북인 · 소론 · 노론 · 개화당 · 수구파 · 정동파 · 위정척사파 · 급진개화파 · 온건개화파)
}}}}}}}}} ||
서인
西人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사림파 [[틀:훈구파|{{{#000,#ddd ▲ 훈구파}}}]]
선조
(1575 ~ 1608)
박순 윤두수 고경명 성혼 심의겸
이이 정철 황윤길 조헌 송상현
광해군 - 인조
(1608 ~ 1649)
오윤겸 신흠 심지원 이경석 정태화
청서 공서
노서 소서
김장생 김상헌 김류 신경진 이귀
김집 이식 김자점 이시백 최명길
효종 - 현종
(1649 ~ 1674)
청서 소서 노서
산당 한당 낙당 원당
송준길 송시열 김육 김자점 원두표
숙종
(1674 ~ 1720)
강경파 온건파
송시열 민유중 김수항 윤증 남구만
김만기 김석주 김만중 박세채 최석정
노론 소론
조선의 붕당
( 관학파 · 훈구파 · 사림파 · 동인 · 서인 · 남인 · 북인 · 소론 · 노론 · 개화당 · 수구파 · 정동파 · 위정척사파 · 급진개화파 · 온건개화파)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파일:문화부 심볼.svg 이달의 문화인물
(1990-1997)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90년
7월
김정희
8월
장영실
9월
김소월
10월
세종대왕
11월
김홍도
12월
신재효
1991년
1월
나운규
2월
정철
3월
한용운
4월
김정호
5월
방정환
6월
정약용
7월
문익점
8월
안익태
9월
허준
10월
주시경
11월
윤선도
12월
이해랑
1992년
1월
이황
2월
정선
3월
박지원
4월
우장춘
5월
신사임당
6월
류성룡
7월
일연
8월
홍난파
9월
고유섭
10월
이윤재
11월
안창호
12월
윤동주
1993년
1월
이이
2월
이인문
3월
장보고
4월
이천
5월
윤극영
6월
원효
7월
지석영
8월
안중근
9월
박연
10월
최현배
11월
장지연
12월
윤백남
1994년
1월
우륵
2월
황희
3월
김유정
4월
홍대용
5월
강소천
6월
이상백
7월
안견
8월
박은식
9월
박승희
10월
이희승
11월
정도전
12월
신채호
1995년
1월
강세황
2월
조식
3월
월터 정
4월
최무선
5월
이원수
6월
김병로
7월
이육사
8월
김구
9월
채동선
10월
김윤경
11월
이수광
12월
곽재우
1996년
1월
김만중
2월
최치원
3월
이순지
4월
서재필
5월
김명국
6월
유일한
7월
도선
8월
심훈
9월
왕산악
10월
정인승
11월
전형필
12월
이제마
1997년
1월
송석하
2월
성현
3월
최윤덕
4월
이중환
5월
초의 (의순)
6월
한호
7월
이세보
8월
박제가
9월
박진
10월
장지영
11월
왕인
12월
송진우
※ 선정 당시 기관명은 문화부(1990~1993) → 문화체육부(1993~1998) → 문화관광부(1998~2005)였다.
이달의 문화인물(1998-2005) }}}}}}}}}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조선 정승
인성부원군(寅城府院君) 문청공(文淸公)
정철
鄭澈
<nopad>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C%A0%95%EC%B2%A0.jpg 정철의 초상화를 찍은 사진[1]
출생 1537년 1월 27일[2]
(음력 1536년, 중종 31년 윤12월 6일)
한성부 북부 순화방 장의동[3]
(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운동)
사망 1594년 2월 7일 (향년 57세)
(음력 1593년, 선조 26년 12월 18일)
경기도 강화도호부 송정촌
(現 인천광역시 강화군 송해면 숭뢰리)
봉호 인성부원군(寅城府院君)[4]
시호 문청(文淸)
본관 연일 정씨[5]
계함(季涵)
송강(松江), 칩암거사(蟄菴居士)
부모 부친 - 정유침(鄭惟沉)
모친 - 안팽수(安彭壽)의 딸 죽산 안씨[6]
형제자매 4남 3녀 중 막내
[ 펼치기 · 접기 ]
형 - 정자(鄭滋, 1515 ~ 1547)
형 - 정소(鄭沼, 1518 ~ 1572)
누나 - 귀인 정씨(1520 ~ 1566)
누나 - 최홍도(崔弘渡)의 처(1523 ~ ?)
누나 - 정수정(鄭守貞, 1525 ~ ?)[7]
형 - 정황(鄭滉, 1528 ~ ?)
부인 류강항(柳強項)의 딸 문화 류씨
측실 노비 논개(論介) #, 노비 애복(愛福) #
자녀 5남 4녀
[ 펼치기 · 접기 ]
(출처_선원록 #)
장녀 - 정함장(鄭含章, 1555 ~ ?)
장남 - 정기명(鄭起溟, 1558 ~ 1589)
차녀 - 정함진(鄭含眞, 1560 ~ ?)
3녀 - 정함영(鄭含英, 1563 ~ ?)
차남 - 정종명(鄭宗溟, 1565 ~ 1626)
3남 - 정진명(鄭振溟, 1567 ~ 1614)
4남 - 정홍명(鄭弘溟, 1582 ~ 1650)[8]
서장남 - 정지명(鄭之溟, 1580 ~ ?) 논개 소생
서장녀 - 정계정(鄭桂精, 1586 ~ ?) 애복 소생
파일:정철한글편지.png
정철이 쓴 한글 편지[9]

1. 개요2. 생애
2.1. 초기 생애2.2. 정여립의 난과 기축옥사2.3. 건저의 사건으로 몰락과 최후
3. 평가4. 기타5. 주요 작품6. 대중매체

[clearfix]

파일:松江_鄭澈.jpg

1. 개요

조선 중기의 정치인이자 시인이다.

문학사에 남긴 업적과는 별개로,[10] 정치적 활동 면에서는 그다지 좋지 않은 족적을 남긴지라 복잡한 평가를 받는 인물들 중 하나이다.

2. 생애

2.1. 초기 생애

정철은 1536년 음력 윤12월 6일 권력의 중심부에 있던 집안의 자녀로 한성부에서 아버지 정유침(鄭惟沉)과 어머니 사이의 4남 3녀 중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누나는 인종 후궁 귀인 정씨였을 정도로 권력과 친밀한 집안이었다. 어린 시절 명종과 정철은 궁궐에서 함께 뛰어다니며 크기까지 했다. 그러나 아버지 대부터 가문이 기울었다. 을사사화로 계림군이 사망했는데, 정철의 가문이 계림군과도 연관되어 있던지라 정철의 친형은 곤장을 맞다가 죽었다.

그러다가 윤원형이 실각한 이후인 1566년에 사간원 헌납을 시작으로 벼슬살이를 시작하게 된다. 그리고 선조 즉위 이후 1568년 이조좌랑, 1570년 이조정랑에 오르면서 중요 인물로 성장하는 듯 하였다. 하지만 이즈음에 결국 동서분당이 시작되고, 정철 특유의 강경한 발언이 빌미가 되어서 결국 삭탈관직 되고 5년간 벼슬을 못하게 된다. 그러다 1578년 복귀하는 데 이 때부터 정철은 철저하면서도 강경하게 서인의 입장에 서 있게 된다.

하지만 얼마 못있어 강원 감사, 함경 감사 등 외직을 떠돌게 된다. 그러나 이 시기는 정철이 오늘날까지 유명해지는 가사문학을 많이 남긴 시기이기도 하기 때문에, 여러모로 중요한 시기라 볼 수 있겠다. 그리고 1583년 이조판서에 있던 친구 이이의 추천으로 예조참판으로 중앙에 복귀하고 곧바로 예조판서가 된다. 그리고 대사헌에 우찬성까지 올랐으나 친구 이이가 죽은 이후 동인이 득세하게 되면서 결국 벼슬을 버리고 낙향한다. 이 시기 역시 그의 유명한 작품들이 나오는 시기가 된다.

그런 와중에 정여립의 난(1589년)에서 선조의 부탁으로 위관이라는 수사 책임자로 활약했는데 이것이 피해를 입은 동인에게 악독한 인간으로 비난받는 데 영향이 컸다.

2.2. 정여립의 난과 기축옥사

" 정여립이 모반을 일으키려 한다"는 상소가 있은 후 정철이 위관 자격으로 정여립의 모반 사건을 조사하게 되었다. 사건의 수사와 국문을 맡은 정철은 선조가 자신의 권력을 위협한 권신과 국정을 망치면서 나라를 어지럽게 할 간신으로 생각한 정언신, 김우옹, 이발, 백유양, 정개청, 최영경을 제거했다. 그러나 삼정승을 지낸 정언신을 제외하고 이발, 백유양, 정개청, 최영경은 선조가 직접 관직을 주거나 의정부에서 고위 관직에 해당한 삼정승, 찬성, 참찬이라는 벼슬을 추천하지 않았기 때문에 예비 권간(權奸)이 맞는지는 논란이 생겼고, 정철은 옥사가 지나치게 확대되자 이를 막아보려 했지만 이참에 조정을 주름잡던 신하들을 모조리 쳐내고 왕권을 강화할 마음을 단단히 먹은 선조의 의지로 소용이 없었다.[11]

동인 출신이면서 정철과 정적 관계였던 이발은 선조에 의해 자신의 권력을 위협하거나 국정을 농단해서 나라를 망치는 권간으로 누명을 쓰고 붙잡혀 죽게 된다. 전라남도 함평 광산 이씨 이발의 후손들은 제사를 지낼 때 고기를 다지면서 "정철, 정철!" 이라 외칠 정도라서 지금도 기일에 이 주문을 들어볼 수 있다.[12] 하지만 기축옥사 전에 이발은 동인의 강경파로 서인인 심의겸, 박순, 송익필, 이항복 등을 탄핵하며 자신 스스로가 권신이 될 생각을 하고 있었기에 왕권 강화를 위한 선조의 경계를 잔뜩 끌었다.[13]

한편 호남의 최고 명문가 중 하나였던 이발 형제들은 곤장을 맞다 참혹하게 최후를 맞았고 그의 어린 아들과 80살이 넘은 노모 윤씨도 곤장을 맞다 숨졌다. 이발과 친분이 두텁던 경상도 진주의 선비 최영경도 정여립의 체포 당시에 사망한 길삼봉이라는 것과 역시 선조에 의한 예비 권간이라는 누명을 씌우고 희생당했다. 정작 선조는 최영경에게 관직을 주거나 조정에서 출사하도록 하지 않았다. 정승까지 하고 있던 정언신은 사건 직후 "이게 다 이이의 제자들 때문이다!"라고 하다가 역시 선조의 정언신에 대한 경계와 왕의 권력을 위협하거나 나라를 망쳐 혼란스럽게 만드는 권간으로 기정사실화되자 더이상 자신의 주장을 관철하지 않고 조용히 찌그러져 있을 수 밖에 없었다

그리고 정여립과 편지를 19장이나 주고받은 사실이 들켰는데[14] 이응표가 다 없앴다는 말을 믿은 정언신은 부인했다. 그나마 선조가 사사를 명하나 정철이 재상을 죽인 전례가 없다며 반대하여 유배로 감형됐다. 여담으로, 을사사화(1545년)로 집안이 풍비박산 났던 청년 정철은 할아버지 산소가 있는 전라도 창평현[15]에 내려오게 되는데, 이때 김윤제[16]의 도움으로 공부도 하고 그의 외손녀와 혼인도 하면서, 출생은 서울 태생이지만 사실상 호남 출신이나 다름없었다.[17]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철은 정여립의 난을 다루면서 자신의 사적인 원한으로 정개청을 역모에 묶기도 했는데, 명분은 정여립의 집터를 봐줬다는 것이지만 실제로는 정철이 젊었을 적에 훈계한 것에 대한 앙갚음이 크게 작용했다고 전해진다. 그 내용은 "정철처럼 술 마시고 노는 걸 어린애들이 보고 배운다"라고 말한 것에 앙심을 품었기 때문이라는 내용이다. 하지만 이건 정개청의 제자들의 주장이고, 사실 그보다는 정개청도 정여립같은 철새였기 때문이다. 원래 정개청은 서인의 영수인 박순이 거두어서 가르치고 키운 인물인데 박순이 실각한 이후에 그를 배신하고 동인들과 어울렸고, 박순과 친했던 정철은 그를 예비 권간으로 여겨 가혹하게 고문하여 죽게 만든다.[반론]

한편 관계된 정언신, 김우옹, 이발, 백유양, 정개청, 최영경은 과연 선조가 지목했던 권간이라 할 수 있는지 애매했지만 처벌했다. 동향이라 아는 사람이 많았기에 엮기는 쉬웠고[19] 심지어 전라도 유생 정암수를 사주해 이산해마저 엮으려 했으나 실패한다.[20]

사실 임진왜란 이전까지 이순신은 당파는커녕 중앙 정쟁과는 관계없는 무관에 기축옥사 당시는 임란대비를 위해 초고속 승진을 하던 시기라 숙청되었을 가능성은 낮다. 게다가 애초에 무장은 정치와 별 연관은 없다. 적어도 정여립과 접촉한 사실이 드러나야지 숙청감인데 그것도 아니다. 그리고 휴정, 유정 같은 인물들까지 줄줄이 엮여 숙청될 뻔했다. 만약 그것이 현실로 일어났다면 조선의 앞날은 어두울 것이라는 것을 생각하면 정철의 숙청은 너무나도 심했다. 이를 두고 학계에서는 정철이 권력을 잡기 위해 체제비판적 성향인 호남의 유력인사 정여립이 모반을 꾸몄다고 조작하여 사건을 일으킨 게 아닌지 생각하고 있는데 이는 실제로 조선조 동인들의 시각이기도 했다.

당시 정철이 전라도로 사람을 보내 "정여립이 모반을 일으킨다"는 소문을 냈다는 식의 명백한 기록 또한 남아있다. 그러나 후술하듯이 정철이 이 모든 일에 주도적으로 나섰지만 결국 최종적 지휘자는 선조였다. 정여립의 난이 과연 정말로 모반 사건이었는지 아니면 주체가 누구던 간에 조작된 정치적 사건인지 논란이 있으나, 왕권 강화를 위한 선조에 의해 권신이나 간신으로 누명을 써서 연루되어 죽은 수많은 사람들의 면모를 볼 때 조작된 사건 쪽에 좀 더 무게가 실린다. 그러나 기축옥사의 공초가 임진왜란을 거치며 불 타 없어져 버렸고, 그 때문에 더 자세한 연구가 어렵다는 점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그리고 기존의 서인 주도론은 별로 설득력이 없는 것이, "노인과 아이를 법에 따라 고문할 수 없다"는 서인 세력의 반대에도 불구하고[21] 이발 가문을 세도정치를 일으킬 가문으로 생각해서 개박살내고[22] 아이와 노인까지 고문해서 죽인 장본인이 선조다.

그리고 최영경도 조정에서 출사하지 않거나 벼슬을 내어주지 않았음에도 그를 권간으로 지목해 정철이 풀어주자고 한 것을 선조가 거부했다.[23] 정언신의 경우, 그래도 삼정승까지 지냈기 때문에 선조가 지목한 권간을 될 생각까지 모르나 선조는 처형시키려 했으며, 정철이 "재상을 함부로 죽여선 안 된다"고 말려서 유배로 감형한다. 후일 선조가 정철을 버린 과정을 볼 때, 서인 강경파 정철을 희생양으로 삼고 조정의 절대 다수였던 동인의 세력을 축소하기 위해 선조가 술수를 부린 것이라 보는 것이 타당하겠다.

2.3. 건저의 사건으로 몰락과 최후

권력의 중심에 다시 오른 정철은 세자 책봉 문제에서 결정적인 판단 미스를 하고 만다. 후사 논의를 조심스러워하는 선조의 의중을 모르고 서둘러 광해군으로 세자 책봉을 해야 마땅하다는 읍소를 올린 것.(송강연보의 기록) 이를 정철의 건저의사건(建儲議事件)이라고 한다. 선조의 정비 의인왕후 박씨는 자녀를 낳지 못했다. 그래서 당시 선조는 총애하는 후궁 인빈 김씨에게서 낳은 아들인 신성군을 세자로 마음에 두고 있었다. 신료들의 입장에서는 빨리 후사를 명확히 해 두지 않으면, 불상사가 일어날 소지가 있었다. 이에 동인의 대표인 이산해와 서인의 대표인 정철이 나서게 되었던 것이다.

하지만 정철과 원한이 있었던 동인 측이 도중에 빠지는 바람에, 정철만 혼자 나서는 모양새가 되어 정치 생명에서 가장 큰 위기에 직면한다. 이산해는 아예 나서지 않았고 류성룡은 나섰어도 입을 다물어 버렸는데, 정철만 홀로 후계 책봉의 정당성을 열을 내며 주장했던 것이다. 엉뚱하게도 선조는 "내 나이 젊거늘 경은 내가 빨리 죽길 바라는 게요?" 라는 식으로 얘기했다는 말이 있는데, 진짜 선조가 이런 말을 했다면 왕 자격이 정말 없다 봐야 옳다. 우선 세자는 왕이 젊은지 늙은지와는 연관없이 책봉된다. 대게 원자의 나이 8살이면 성균관 입학례와 세자 책봉례를 치러 세자가 된다. 즉 나이랑 책봉은 관계없는데, 억지 쓴 것. 당장 세종대왕만 해도 26세에 세자를 책봉했다.

물론 대군이 아닌 군을 책봉하는 첫 사례인 만큼 조심스레 할 필요도 있었지만, 40대에 접어든 선조가 할 말은 아니었다. 이 과정이 이산해의 계산이라는 설도 있다. 건저의 문제에 대해 선조의 의중을 완전히 파악하지 못한 상태에서 정철의 성격이 급한 반면 류성룡의 성격은 침착해서 절대 입을 먼저 열지 않을 것이므로 이산해마저 입을 다물어 버리면 성격이 급한 정철이 먼저 입을 여는, 즉 총대를 메는 상황이 올 것이라고 여겼다는 것이다. 정여립 모반 사건 당시 큰 피해를 입었던 동인은 정철에게 카운터로 ' 신성군 목숨이 오락가락' 드립을 날린다. 물론 이전의 정여립 모반 사건 때와 마찬가지로 사실 그 자체에 주안점을 두기보다 정계의 밉상인 정철을 탄핵시키려는 의도였다고 볼 수 있겠다.

물론 선조는 이 절호의 찬스를 적극 활용, 세자책봉 논의 자체를 막는 한편 정여립 모반사건 이후 지나치게 입지가 커진 서인 세력을 손보기 위해 모르는 척 받아들인다. 이것 역시 정여립 모반 사건 때와 완전히 동일한 수순이다. 정철을 밟아 버리기로 결심을 굳힌 선조는 정여립의 난에서 정여립의 체포 당시에 죽었던 길삼봉이라는 것과 선조에 의해 예비 권간으로 지목당해서 누명을 쓰고 죽은 남명 조식의 제자 최영경의 죽음을 애도하며 정철을 비난했다. 선조는 이 구실로 정철을 지근지근 밟아 버렸는데, 실록에는 조회에서 정철을 가리켜 "간철(간사한 정철), 흉철(흉악한 정철), 독철(독한 정철)"이라고 대놓고 비난했을 정도였다.[24]

건저의 사건으로 정철, 성혼, 윤두수, 윤근수, 이해수, 홍성민, 이산보,[25] 박점, 황정욱, 백유함,[26] 유공진, 장운익 등 서인들은 죄다 유배형에 처해졌으며 동인이었던 이성중과 동인 영수 허엽의 사위인 우성전도 건저의 사건에 연루되어 유배형에 처해졌다.[27] 양천경, 양천회 등 최영경 등을 무고한 자들도 국문을 받다가 죽었다. 웃긴 것은 양천회, 양천경 등의 무고를 보고 선조는 처음엔 "이런 상소를 이렇게 늦게 올리다니!" 라고 한탄할 정도로 띄워 줬다는 것이다. 선조도 최후의 양심인진 몰라도, 역모 조작자로 몰릴 수도 있는 정철에게 추가적인 죄를 내리진 않았다. 어쩌면 또 기축옥사 같은 일이 생기면 써먹으려고 남겨놨을 가능성도 있다. 실제로 선조는 대신이라 해도 가차없이 쳐버렸지만 각 세력의 핵심 인물들은 뭐가 되든지 간에 보호했다. 어느 정도냐 하면 기축옥사 때 심문받던 이들에게서 류성룡의 이름이 나오자 류성룡이 피혐을 했는데, 선조가 "금옥같은 선비" 라 부르면서 옹호했다.

이는 결국 정여립의 난의 참혹한 옥사의 배후에는 선조가 있었음을 스스로 인정한 것이라 볼 수 있다. 지나치게 세력이 커진 동인을 정철을 내세워서 제거한 다음, 그 죄는 모두 정철에게 뒤집어 씌운 것이었다. 후일 기축옥사의 고변자들이었던 양천회 형제를 비롯한 여러 인물들이 정철이 건저 사건으로 몰락한 이후에 잡혀와서 정철의 사주를 받아 그랬다고 자복하곤 곤장을 맞다 죽었는데, 정작 정철에겐 죄가 더해지지 않았다. 정철은 그냥 희생양에 불과했다는 반증이다. 당시 동인이 정철의 처리를 놓고 갈등하던 것은 이산해의 강경파이자 광해군의 지지 기반인 북인, 류성룡의 온건파인 남인으로 갈라지는 한 계기가 되었다.

북인의 인맥은 조식의 근거지였던 지리산 일대(호남+영남 서부)였고 남인의 인맥은 그보다 동쪽인 경상도 일대였는데 정철이 주도한 기축옥사가 호남 동인 인사들의 씨를 말렸던 만큼 크게 피해를 보았고 심하게 당한 북인이 정철을 더 괘씸하게 여겼음은 어쩌면 당연하다. 이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귀양을 간 사람들도 풀어주어 활용하기 위한 결정들에 의해 복직되었지만, 임진왜란 중 몽진 중이었던 선조를 보필하는 과정에서도 니나노 근성을 버리지 못하고 술처먹고 긴급작전회의에 불참하는 등 막장짓을 많이 저지르는 바람에 또 미움을 샀다.

그나마 선조의 신뢰가 워낙 컸기 때문에 일련의 헛짓에도 불구하고 자리는 어렵게나마 지켰다 1593년 5월에 명나라에 사은사로 갔는데, 정철이 명나라 정부에 일본군이 모두 철군했다는 거짓 문서를 올렸다는 초특급 사고를 터뜨렸다는 보고를 권율이 받게 된다.
도원수 권율(權慄)이 치계하기를,"지난번 유 총병(劉總兵)이 신에게 ‘송 경략이 왜적이 모두 바다를 건너간 것으로 속여서 조정에 신보(申報)했으니 당신이 이런 뜻으로 국왕에게 전달(轉達)하여 천조(天朝)에 주문(奏聞)하게 해야 한다.’ 했습니다. 그런데 어제 저녁에는 또 접반사(接伴使) 김찬(金瓚)에게 통보(通報)한 것을 내보였는데, 그 내용에 ‘성지(聖旨)를 받들건대 「어제 조선 국왕이 진사(陳謝)한 표문(表文)을 보고 관군(官軍)이 적을 물리치고 성공한 것을 알고서 짐(朕)의 마음이 기뻤다. 다만 나라가 새로 진정되었으니 후환을 막아야 한다. 」 했고, 병부(兵部)의 제본(題本)에는 또 「진주(晉州)의 포위가 풀렸고 부산(釜山)의 왜적이 물러갔다는 것에 대해 들은 사람들이 오히려 믿지 않는 경우가 많았고 신(臣)도 오히려 근심과 의아가 간절했습니다. 지금 해국(該國)에서 진사하러 들어온 사신이 본부(本部)에 도착하여 대면하여 한 말에 의거하건대, 해국의 지경 안에 남아 있는 왜적이 하나도 없고 강토를 모두 수복하였으며 사로잡혔던 왕자(王子)와 배신(陪臣)도 도로 돌아오고 무너진 종묘(宗廟)와 시직도 도로 세웠다 하니 이는 모두 황제의 은덕이 크게 펴지고 천심(天心)이 협조함을 힘입은 것입니다. 그러므로 제장(諸將)들이 공을 세우게 된 것입니다. ……」 했습니다.’ 신은 어떻게 회보(回報)해야 할지를 모르겠습니다. 유 총병의 뜻을 헤아려 보건대, 처음에는 송 경략이 속여서 신보한 것으로 여겼었으나 이제야 우리 나라에서 터무니없이 속인 것임을 안 것 같으니 미안함을 견딜 수 없습니다."

이것 때문에 조선 정부와 명나라 파견군에서 난리가 났으나 류성룡의 조사로 알고보니 정철은 일본군이 퇴각했다는 거짓문서를 올린적이 없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송응창은 정철이 삼도를 수복했다는 문서만 올리게 하였고, 조선이 아직 위급하다는 문서를 올리는 것을 저지하여 들여보내지 않으면서 일본군이 조선에 없다며 거짓을 꾸며냈다. 그러나 명나라 정부에 일본군이 퇴각하지 않았다는 사실이 들통나자 송응창은 자신의 허물을 정철에게 돌렸다. 정철 본인도 거짓문서건에 대하여 선조에게 해명을 하였다. 서인 시각이기는 하지만 수정실록에서도 모함이라고 언급되었다.
"척 총병의 문서에 ‘행인(行人)이 나온다.’고 한 것은 정철(鄭澈)의 장계(狀啓) 중에 행인이라고 말하지 않았지만 평양까지 왔다가 돌아갈 것이라고 한 그 사람을 가리키는 듯싶습니다. 그런데 칙서(勅書)를 가지고와 선유(宣諭)한다면 서울까지 올 듯합니다. 신(臣)이 지금 홍인상을 통하여 중국에서는 왜적이 모두 물러간 것으로 여긴다는 말을 듣고, 비로소 전후의 문서를 가져다가 보니, 정철이 가지고 간 문서에 ‘삼도(三都)를 수복(收復)했고 강역을 재건했다.’고 한 말이 있었고, 황제도 ‘해국(該國)의 주문(奏文)을 보고 짐(朕)의 마음이 기뻤다.’는 말이 있으니, 지금 이렇게 군사를 유치시켜 놓은 것은 왜적이 재차 올까 싶어서인 것입니다. 이제 송 경략의 말대로 사은(謝恩)만 하소서. 다만 위급을 고하는 주문을 경략이 저지하고 들여보내지 않으면서 왜적이 없다고 중국 조정에 꾸며대다가 마침내는 허물을 우리에게 돌릴 것입니다."하니, 상이 이르기를, "지금 경략의 말대로 사은만 했다가 만에 하나라도 뒤에 다시 다른 말을 하면 어찌할 것인가? 경략과 상지(相持)하는 사이에 국사가 이미 기울어질 것이니, 이는 옛사람의 이른바 ‘너희들의 의논이 결정되는 동안에 나는 이미 황하(黃河)를 건넜다.’고 한 것과 같은 일이다. 중국에서 경략을 체직시킨다면 말할 것도 없거니와 그렇지 않다면 국사가 잘못될 것이다." - 45권, 선조 26년 윤11월 18일 무술 6번째기사 1593년
인성 부원군(寅城府院君) 정철(鄭澈)이 상소하였다. 그 대략에, "생각하옵건대, 상서(尙書)의 제본(題本)에 이른바 남은 왜가 없다는 것을 신들의 입에서 나온 것처럼 의심하니, 신은 멍하니 두렵고 의혹되어 그 까닭을 잘 모르겠습니다. 신이 그때 계비(界碑)의 일로 말을 다하여 깊이 변명하였는데, 신이 병부(兵部)에 바친 글 중의 한두 가지를 시험삼아 들어서 말하면 ‘내려간 적이 동래(東萊)와 부산(釜山) 사이에 모였다.’ 한 것이 있고, 또 ‘적이 이미 부산과 동래 일대를 제 땅으로 삼고 또 전라도 등지를 침탈하려 한다.’ 하였으며, 그 허다한 말이 모두 흉적(兇賊)이 둔거(屯據)하고 횡탈(橫奪)하며 멋대로 노략하는 형상을 말한 것이었는데, 적이 물러갔다는 말이 어느 겨를에 입에서 나왔겠습니까. 바야흐로 대병(大兵)을 철수하는 것을 답답하게 여기는 판국에 가볍게 적이 물러갔다는 말을 내어 사기(事機)를 그르친다는 것은 더욱 인정에 근사하지도 않은 것입니다. 그러므로 신의 어리석은 생각으로는, 석 상서(石尙書)가 경략(經略)의 신보(申報)한 바를 신들에게 말하고 복청(覆請)할 즈음에 그대로 사연으로 한 것으로 여겨집니다. 어찌 신들이 말하지도 않은 것을 가지고 면대하여 알아보았다고 핑계할 수 있단 말입니까. 또 이 제본을 가장 늦게 얻어보고 처음에는 매우 놀라서 극력 변명하려고도 하였으나, 상서가 이미 경략의 신보에 의거하여 적이 물러갔다고 하였으니, 신이 만리 밖에 있으면서 어떻게 적이 아직 물러가지 않은 것을 알고 감히 그 말을 확실하지 않다고 하겠습니까. 길에서 허진(許晉)을 만났을 때에 비로소 진주(晉州)가 이미 함락되었고 적이 아직 바다에 웅거하여 있다는 사실을 들었는데, 천정(天庭)에서 머리를 부수고 피눈물을 흘리려 하여도 이미 미칠 수 없었습니다. 고명(誥命)과 면복(冕服)을 경망하게 미리 청한 것으로 말하면 그 경거망동으로 큰 일을 그르친 죄는 만번 죽어도 갚기 어렵습니다. 신이 잘 봉명(奉命)치 못하여 이런 가지가지 죄과가 있으니, 삼가 천견(天譴)을 기다립니다. 지극히 불안하고 위구스럽기 그지없습니다."- 선조실록 45권, 선조 26년 윤11월 13일 계사 4번째기사 1593년
과거에 정철이 부사(副使) 유근(柳根)과 함께 사은사(謝恩使)로 경사에 갔다가 돌아왔다. 이때 동로군문(東路軍門)이 화의(和議)를 주장하여 ‘왜적이 이미 군사를 철수하여 바다를 건너갔다.’고 속여 말했으므로, 본국의 주문(奏文)과 차이가 날 수밖에 없었다. 정철(鄭澈) 등이 돌아온 뒤에 병부(兵部)가 주문(奏文)하기를, "전에 온 사신에게 물었더니 역시 ‘왜적이 이미 철수해 돌아갔다.’고 말하였습니다." 하였다. 상이 이 소식을 듣고 크게 놀랐는데, 유근이 상소하여 스스로 변명하기를, "이것은 실로 병부에서 속임수로 꾸며낸 말입니다. 사신 일행이 어찌 그런 말을 했겠습니까."하였다. 이때에 조정의 의논이 이미 변하여 먼저 정철을 제거하려고 하여 대간(臺諫)이 이를 인해 정철을 탄핵하였다. 그러나 상은 다만 체직시키고 추고하도록 명하였는데, 유근 및 서장관(書狀官) 이민각(李民覺)과 역관(譯官) 등은 모두 연루되지 않았다. - 선조수정실록 27권, 선조 26년 12월 1일 경술 4번째기사 1593년
그러나 어찌 되었든 명나라쪽에서 일본군이 조선에서 모두 철수했다고 잘못 알고 있는데도 정철이 제대로 변명을 못하였다는 이유로 동인들에게 탄핵을 받아 체직하였고 강화도로 낙향했다가 몇 달 만에 58세로 술병으로 생을 마감했다, 사후 1594년에 기축옥사 때 최영경 옥사건으로 책임공방을 두고 서인과 북인이 다투었는데 선조가 북인들의 편을 들면서 정철의 관작이 추탈 당했다 1624년(인조 2년)에 관작이 복구되었다.
위급을 고하는 주문을 경략이 저지하고 들여보내지 않으면서 왜적이 없다고 중국 조정에 꾸며대다가 마침내는 허물을 우리에게 돌릴 것입니다." 어지럽고 어려운 일을 푸는 것이 전대(專對)에 달려 있는데, 지난번 사은(謝恩)의 사행(使行)은 병부(兵部)가 경략(經略)의 신보에 따라 적이 죄다 바다를 건너 갔다는 설(說)을 물었으면, 사신으로서는 삼경(三京)은 회복되었으나 흉악한 적이 아직도 변경을 점거하고 있어서 사나운 수리가 날개를 움츠리고 있는 형세라는 것을 힘껏 말했어야 할 것인데, 위급한 정상을 호소하지 않았습니다. 또한 상서(尙書)의 제본을 보게 되어서는 ‘사신을 면대하여 물으니 남은 왜적이 없다고 하였다.’는 말이 있는데도 그렇지 않다고 통렬히 변명하지 않았으니, 기회에 따라 잘 대처하지 못한 실책이 뚜렷합니다. 사은사(謝恩使) 정철(鄭澈), 부사(副使) 유근(柳根), 서장관(書狀官) 이민각(李民覺)을 모두 추고(推考)하도록 명하소서. " - 45권, 선조실록 44권, 선조 26년 11월 28일 무인 3번째기사 1593년
대사헌 이헌국(李憲國), 집의 이수광(李睟光), 장령 이덕렬(李德悅), 지평 박승종(朴承宗)이 아뢰기를, "사은사 정철 등은 전대(專對)의 임무를 받고 남은 왜적이 없다는 설(說)을 힘껏 변명하지 못하였는데도, 신들은 모두 변변치 못한 사람으로 언지(言地)에 있으면서 곧 논핵(論劾)하지 않았으니, 그 죄가 이미 큽니다. 이제 뻔뻔스레 직에 있으면서 남을 조처할 수 없으니, 신들의 벼슬을 파면하여 주소서." - 선조실록 45권, 선조 26년 윤11월 19일 기해 4번째기사 1593년
사헌부가 아뢰었다. "사은사 정철, 부사(副使) 유근(柳根)은 남은 왜적이 없다는 설이 자기 입에서 나오지 않았다 하더라도, 제본(題本)에 면대하여 심의하였다는 말이 있는 것을 보았으면 자기가 말하지 않은 연유를 변명했어야 할 것인데, 잠자코 한 마디 말도 하지 않아 왜적이 없다는 것을 미덥게 하였으니, 파직하도록 명하소서." - 선조실록 45권, 선조 26년 윤11월 19일 기해 7번째기사 1593년

선조를 예찬한 작품들은 임진왜란 전에 쓰여졌고, 선조도 임진왜란 전에는 그렇게까지 문제가 두드러지지 않은 인물이었다. 원래 유교권 국가에서 왕을 예찬하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임진왜란이 터지고 선조가 각종 추태를 보이자 정철도 선조의 추태를 말리다 못해 (상대가 왕인만큼 돌려말하기는 했지만)핀잔주는 행동가 많아진다. 정철만 아니라 신료 전체가 그랬다.

관료로서의 무능함과 인성과는 별도로 유배지에서 굶어 죽어가며 구걸을 할 정도로 궁핍했다는 것은 그가 조선의 다른 권신들과는 달리 별로 치부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 때문에 정철을 무능한 인물로 평가하면서도 '간신'으로 보지는 않는 경우가 많다. 실록을 보면 이런저런 잘못으로 여러 번 비난받고 탄핵당했지만, 딱히 부정축재 문제로 비난을 받은 적은 없다.[28]

정철의 묘는 원래 고양군(현 경기도 고양시) 원당면[29]에 있던 것을 조선 현종 6년(1665)에 송시열이 묫자리를 정하고 후손 정양이 이장해 현재는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봉죽리에 자리하고 있다.

3. 평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정철/평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기타

  • 정치인으로서의 악명은 민담에서도 예외가 아니어서 강원도 지역에 전해 내려오는 정철 관련 설화들에서는 성질이 고약하고 사소한 것에 트집을 잘 잡는 쪼잔한 인간으로 나온다. 예를 들면 어느 마을에 갔더니 주민들이 바위를 섬기니까 바위를 쪼개버렸다는 등의 이야기가 있는데 왠지 강원도 관찰사 시절 강원도 백성들한테 이미지가 좋지는 않았던 모양이다. '정철 같은 놈'은 한동안 탐관오리를 상징하는 말이었다고 한다. 웃기는 건 본인은 < 관동별곡>에서 '급장유와 같은 좋은 정치를 하겠다'라고 큰 소리친 전력이 있다는 것. '선정에 대한 포부'라고 배운 그 부분 맞다. 그래도 이전의 관찰사들은 강원도 전역을 다 돌아다니지는 않았는데 정철은 강원도의 모든 시/군을 전부 방문하는 나름 기록도 남겼다.
  • 좋은 평가도 있기는 한데 < 징비록>과 이를 인용한 것으로 추정되는 < 선조수정실록>에는 선조가 왜란 발발 후 5월 1일에 개성에서 몽진을 갈 때 길가의 백성이 "정철 정승을 불러 쓰소서." 해서 정철을 복직시켰다는 얘기가 있다. 이는 실은 개성의 유생들이 선조가 사람을 천거할 것을 명하자 정철을 청한 것으로 당시 개성은 유생들의 절반이 성혼 율곡 이이의 제자였다고 전해질 정도로 기호학파의 세가 강한 곳이었다. 정철이 성혼과 이이의 친구이자 동반자였으니 이 사건은 이를테면 '동인들 때문에 나라 꼴이 이렇게 됐잖음? 우리 사숙어른 복귀 좀요' 정도의 사건으로 이해 가능하다. 그러니까 양반(같은 당색의 유생들)이 아닌 일반 백성들이 좋은 평가를 내렸다고 보기는 어려운 일화다. 사실 백성의 청원은 전후 관계와 < 선조실록>과 비교해 보면 완벽한 역사왜곡이다. 임진왜란 직전 정철은 평안북도 강계 유배가 있었는데, 당시 선조가 강계로 피난갈 계획을 잡았고 이것 때문에 강계 지역의 상황을 알 필요가 있어서 강계로 유배가 있는 고위 관료인 정철을 부른 것이다. 실제 정철은 선조를 만나자마자 첫 어두부터 강계 이야기로 시작했으며 백성의 추천으로 정철이 등용되었다면 무슨 정치적인 토론을 벌여야 하는데 정철과 선조는 만나자마자 오로지 강계의 상황에 대해서만 묻고 답한다.
  • 백성들에게 악평을 얻었다는 증거 중 하나가 말년에 강화도로 유배 가서 친구에게 보낸 편지에서도 어느 정도 확인되는데 나름 핵심 권력자였던 양반이 강화도 주변에서 지원을 못 받아서 친구에게 구휼 요청을 보낸다.
  • 주당으로서 정조와 더불어 조선 역사에서 가장 유명한 인물 중 하나로 그 정도가 지나쳐 폭음에 따른 주사로 낭패를 본 일도 많았다고 한다. 작품 중에 "한 잔 먹세 그려 또 한 잔 먹세 그려. 꽃 꺾어 세어가며 무진무진 먹세 그려" 라는 <장진주사>[30]라는 작품도 있을 정도. 왕인 선조가 정철의 애주에 감탄해 하사한 술잔 역시 지금까지 남아 있다. 더욱 가관인 것은 선조가 "그대가 술을 좋아하나 너무 과함이 걱정되니 앞으로 이 잔으로 하루에 한 번만 마시라"는 어명과 함께 하사한 은잔을 정철은 한 방울이라도 더 마셔보겠다는 집념으로 망치로 두드려 펴서 사발로 만들어 마셨다고 한다.(...)[31] 이 이야기는 성종 시절의 재상이자 술고래 손순효가 원조이며[32] 정철이 이 이야기를 주워듣고 술잔을 늘렸는지는 모르겠지만 정철과 친분이 있던 류성룡조차도 <운암잡록(雲巖雜錄)>에서 정철의 술버릇에 대해 "정송강은 술에 취해 있느라 정사를 돌보지 않는다"고 비판했을 정도다.
  • 문서 상단에도 첨부되어 있듯이 생전 아내 문화 류씨에게 보낸 한글 편지가 남아있다. 기일이 다가오는데[33] 제사 때 입을 관복이 아직 안 왔으니 사람을 부려 빨리 보내달라는 내용이다. 편지 말미에 적힌 "밧바 이만(바빠서 이만)"이라는 표현이 인상적이다. #

5. 주요 작품

6. 대중매체

6.1. 소설

  • 대한민국 최고의 소설문학상인 이상문학상, 동인문학상 수상자이며 < 남한산성> 등으로 유명한 작가 김훈이 < 칼의 노래>에서 이순신의 입을 빌려 정철을 대차게 디스하는 부분이 나온다. '우의정 정철이 그 피의 국면을 주도했다. 그는 민첩하고도 부지런했다. 그는 농사를 짓는 농부처럼 근면히 살육했다. 살육의 틈틈이 그는 도가풍의 은일과 고독을 수다스럽게 고백하는 글을 짓기를 좋아했다. 그의 글은 허무했고 요염했다.' 언급한 부분처럼 정철의 정치적 행보뿐만 아니라 문학적으로도 혹평했다.
  • 웹소설 < 명군이 되어보세!> 2부에서 등장한다. 파직당해 북방으로 전가사변되는데, 같이 전가사변된 양반들은 향군장 노릇이라도 하는데 혼자서 맨날 술먹고 시만 쓴다. 오죽하면 노비들에게조차 "술만 먹지말고 땔감거리라도 주워오라"고 타박받을 정도. 다만 여진족의 난이 터지자 당시 상황을 자세히 기록해 올려 그 공으로 전가사변에서 풀려난다. 하지만 주인공도 권력을 주기에는 위험한 걸 아는지라 수입한 서양 서적을 번역하고 국어사전을 편찬할 기관인 사전청 도제조로 임명하는데 새로운 세계를 보여주는 서양의 책, 특히 로마의 역사에 대한 책들에 큰 흥미를 느껴 덕업일치되어 술조차 끊고 서양 서적들을 번역하는 데 영혼을 불태운다. 사전청 관원들은 제사일 아니면 무조건 휴일없이 출근이고 본인은 그런 것도 없이 무조건 출근. 이후 경인왜란과 을미동정이 끝나자 전범인 고니시 유키나가의 처형조차 막아내면서 전쟁 당시 기록을 편찬한다. 이렇게 과로했지만 술은 끊은 덕에 원래 수명보다 더 오래 살았고, 문청공(文靑公)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그의 번역작업 덕분에 조선 사대부들에게 유럽의 문화가 긍정적으로 이해되고 받아들여지면서 3부에서 조선이 칭제건원한 대한국은 타민족을 포용하는 진정한 제국으로 발전하게 되어[34] 조선을 개방되고 부강한 나라로 만들겠다는 주인공의 계획을 가장 크게 도운 결과가 되었다.
  • 근육조선 2부에서 등장한다.
    권율, 류성룡과 함께 강화도 훈도에 부임하면서 인연을 맺게 된다. 원 역사처럼 글만 잘 쓰지 술 좋아하고 게으르고 까칠한 비호감적인 인물. 입신체비도 정말 체면치레 할 수준인 500근으로만 하면서 절육도 하지 않는다. 워낙 뺀질거리는 비호감 성격이라 류성룡도 마음에 들어하지 않았기에,[35] 백과사전을 만들면서 지방의 술이랑 음식이나 먹으라는 의도로 백과사전에 대한 아이디어를 줘서 쫒아낸다. 마침 조정에서도 정철이 하는 짓을 좋게 보지 않았는지, 사고뭉치지만 작문은 끝내주게 잘하는 정철과 일은 못하지만 글씨는 기가 막히게 잘 쓰는 한석봉을 세트로 묶어 보내 버린다. 이 백과사전은 정철이 북방과 여송(필리핀)까지 다녀온 끝에 '개원요람'이라는 이름으로 완성되었다. 이후로도 딱히 나아진 점이 없는 모양인지, 호주 개척단에도 백과사전 집필차로 참여했다고 한다. 이때 호주에서 오리너구리의 독가시에 찔려 앓아누웠다는 언급이 나왔다.
선조가 정철에게 술 작작 먹으라는 의미로 술잔을 하사했는데 그걸 두들겨 펴서 대접으로 만들었다는 일화[36]도 그대로인데, 국왕이 이렇게 넓힌 은잔을 압수하고 백자 술잔을 다시 하사해 버린다.
미주편에서 다시 등장하면서 류성룡에 의해 어느정도 과거 근황이 드러났는데, 관청에 앉혀놓으면 사고만 치지만, 술만 주면 명문장을 쏟아낸다는 인식이 박혀서 아예 요람(백과사전) 전문 집필자로 앉혀버렸다고 한다. 그런데 이것만이었으면 그렇게 외방을 돌아다니며 고생하지 않았을텐데, 호주에서 요람에 쓸 자료를 수집한다는 명분으로 도망쳐서 인근에서 싹이 난 감자를 대거 수급해서 그걸로 증류주를 만들려다가 권율이 하다하다 못해서 짐승 여물까지 뺏어서 술로 빚을 생각이냐고 화를 냈고,[37] 곤장 대신 공좌(스쿼트) 2000번 이상을 하는 벌을 받고, 이 여파로 아예 퇴직이나 승진은 꿈도 못 꾼다는 모양이다.
정철의 이런 행동에 류성룡은 못마땅해했지만 어찌됐든 정철의 글 잘쓰는 능력이 필요한 상황이였던지라 도수 높은 술을 무제한으로 제공하고[38] 그의 안주 전담 요리사로 허균을 배정해주었다. 그리고 새로운 요리에 대한 탐구욕이 가득한 허균과 죽이 잘 맞아 미주의 넘쳐나는 물자를 기반으로 각종 리큐르를 만들어냈고 여기에 류성룡의 아이디어를 더해 온갖 종류의 칵테일 제작을 시험하고 있어 술꾼으로서 더할나위 없는 행복을 누리는 중.
작가의 말에 따르면 관동별곡은 쓰지 않는다지만 호주별곡 미주별곡과 각 별곡의 속편이 4~6개 정도씩… 나올 예정이라고 하니 근육조선 세계관 수험생들의 앞날은 어둡기만 하다.[39] 게다가 정철의 문체는 관동별곡에서 볼 수 있듯이 극한의 만연체라, 작정하고 소설을 쓰면 문장 하나가 3-4페이지씩 잡아먹는다.
류성룡이 정철이 뇌일혈로 사망했다는 서신을 받아보고 그렇게나 술을 퍼먹었는데도 간 문제로 죽은게 아니었다는걸 알고 어이없어했다.
  • 임꺽정은 살아있다에서는 명종 재위기가 배경이라 젊은 청년으로 등장한다. 이 세계에서도 글은 아주 잘 쓰기로 명성이 났지만, 주세붕의 장례식에 조문을 오면서 거들먹거리다가 주세붕을 기릴 갈레온 건조비 모금을 하던 소년 이순신에게 봉변을 당하고, 정여립의 대동당에 한자리 차지하려고 찾아갔다가 거기서도 거들먹거려 내쫒기는 등 인품은 비루하게 묘사된다. 하지만 글재주 하나는 인정받아 서림에게 고용되어 임꺽정이 가짜 명나라 황제 칙서 위조를 하는데 동원된다.

6.2. 드라마

  • 1983년 MBC 드라마 < 조선왕조 오백년> 임진왜란에서는 배우 홍민우가 연기했다. 자기 고집을 밀어붙이는 성격으로 나오지만 머리는 안 돌아가게 묘사된다. 덕분에 이산해와 류성룡이 세자 책봉 문제에 소극적인데도 이들을 자기 멋대로 동의시키고 선조에게 세자 책봉을 건의했다 제대로 당한다.
  • 2003년 SBS 드라마 < 왕의 여자>에서는 배우 윤주상이 연기했다. 우직하고 기가 드세며 올곧은 선비 중의 선비의 모습으로 나온다.
  • 2014년 KBS 드라마 < 왕의 얼굴>에서는 배우 주진모가 연기했다. 주인공인 광해군을 지지하느라 처신을 소홀히 한 대가로 쫒겨나는 길에 광해군에게 "그런 식으로 보이는 호의는 반갑지 않다."며 일침을 듣는다.
  • 2015년 KBS 드라마 < 징비록>에서는 배우 선동혁이 연기했다. 성혼과 함께 서인 강경파로 나오며 건저의 문제로 잠깐 퇴장했다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복귀해 이후 선조의 행각에 질린 다른 대신들과 마찬가지로 선조에게 정나미가 떨어진다. 이제는 오히려 선조보다는 광해군을 지지하고 있다가 경략 송응창과 제독 이여송이 일본과의 강화[41]를 핑계로 공격을 멈추자 만력제를 알현하여 적극적으로 진격할 것을 요청하기 위해 사신으로 파견됐다. 하지만 석성 역시 핑계를 대며 거절하자 아무 소득도 없이 돌아왔고 대간들은 그를 탄핵하였는데 결국 선조가 마지못해 그를 삭탈관직시킨다. 돌아왔을 때는 건강이 악화되어 죽음을 앞둔 상태[42]였기 때문이 선조가 나름 배려를 해준 셈. 이후 윤두수를 만나 훈민가 16수를 읊고 나레이션과 함께 쓸쓸히 퇴장하는 모습이 나온다.

6.3. 만화

  • 웹툰 < 오성X한음>에도 실제 역사에 근거한 모습으로 기축옥사편에 등장. 선조를 대신해 반대파들을 숙청할 때 눈동자가 시뻘겋게 묘사되면서 제대로 폭주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훗날 광해군 세자 책봉 문제로 선조에게 팽을 당하고 나서야 그간의 과오를 후회하고 광기에 물들어 폭주하는 자신에게 진심으로 충고한 인물이었던 이항복에게 자신과 같은 길을 걷지 말라고 충고하며 귀양길을 떠나며 퇴장한다. 이 때 선조에게 마음 속 깊이 우러나오는 한 마디를 남긴다.
    "하~ ㅅㅂ 그동안 내가 해 준 게 얼만데.."
  • 웹툰 < 매지컬 고삼즈>에서는 고3들을 고어로 깔아뭉개는 요괴로 등장한다.
  • 만화 <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에서는 서인의 당을 소개할때 윤두수, 윤근수등과 함께 소개되면서 첫 등장, 1584년 이이가 죽자 서인이 대거 실각하면서 유배 되었지만 몇년 뒤 다시 조정에 복귀하는데 1589년에 정여립의 난이 터지자 선조는 정철을 우의정, 위관으로 임명하여 국문을 지휘하게 하였다. 하지만 기축옥사가 끝난지 얼마 안되어 실각됐다. 1591년에 류성룡과 함께 광해군을 세자로 삼자고 하였다가 선조 인빈 김씨가 정철이 자기 자신과 아들을 노리고 있다고 말한 것을 확신해서 정철을 좌의정에서 해임하고 유배 보내버린다. 그리고 이걸 본 동인은 정철의 처벌을 둘러싸고 이산해, 정인홍을 따르는 북인 류성룡, 김성일이 이끄는 남인으로 분열된다. 이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대간들이 “파천을 주장한 이산해를 파직해주십시오.”라고 탄핵하자 선조는 “류성룡이 외침이 없다고 주장해서 이리도 방비가 소홀했다.”며 류성룡과 이산해 모두 파직하고 정철을 복귀시켜주면서 등장종료. 이후 광해군일기에서 엑스트라로 등장한다.

6.4. 게임

  • < 소울칼리버 6>에 등장하는 조선인 캐릭터인 황성경의 스토리 모드에서 이름이 언급된다. 소울엣지에 관심이 있는 서인의 우두머리로 동인에 소속된 성한명이랑 한명의 친구이자 해군 제독 이순신의 동인과 대립 중이다. 틈만 나면 동인 쪽 방해꾼들을 숙청하려는 강경파 인물로 그려졌다. 게임에서 정여립의 난과 기축옥사에 대한 내용이 짤막하게 언급되는걸 보면 소울칼리버 세계관에서는 정철이 "있지도 않는 동인의 반란을 꾸며내서 동인 사람들을 숙청했다"는 음모론을 정사로 채택한 것으로 보인다.
  • < 삼국지 11>의 유즈맵 아이돌 대전에서는 드라마상에서의 정철 캐릭터가 군주로 등장한다. 지바냥, 후도 유세이, 키라 츠바사, 시마다 마유와 함께 최약의 4대 진영 중 하나로 휘하에는 귀문 특기를 가진 송익필뿐이다. 귀문이 사기 특기이기는 한데 소모되는 기력이 너무 많아서 백출 특기를 가진 무장이 없으면 있으나마나하는 기술인데다 바로 인접한 선조랑 만력제가 동맹 관계라 둘이 같이 쳐들어온다면 디펜스만 하다가 망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패치로 선조랑 서로 시작 위치를 바꿔 계양으로 옮겼지만 어려운건 여전하다. 그래도 유세이보다는 잘 버티는 편인데 보통 시나리오에서 가장 먼저 망하는 게 유세이다.


[1] 현재 해당 초상화는 전해지지 않아 어느 시점에 그려진 것인지, 또다른 상상화인지 알 수 없다. 생애 문단에 있는 영정은 상상화다. [2] 율리우스력 1월 17일 [3] 하지만 사실상 정철의 고향은 정철의 본적이자 정철이 젊은 시절을 보낸 전라도 창평현 내남면 지곡리(現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지곡리)으로 본다. [4] '인성(寅城)'은 정철의 본관인 연일(현 포항시)의 별칭이다. 해가 뜨는 곳이라 하여 '동쪽(寅)의 성(城)'이란 뜻. [5] 문정공파-김제공파 12세 삼수변(氵) 항렬. [6] 효령대군의 외현손녀. [7] 계림군의 계부인이며, 봉작은 오천군부인(烏川郡夫人)이다. [8] 송익필, 성혼, 김장생에게 수학하였으며 뛰어난 학문으로 명성이 높았다. 대사성까지 역임하고 후진양성에 힘썼다. [9] 아내 문화 류씨에게 쓴 편지로 추정된다. 현대어역: 기일 때가 다다랐으되 내 제사에 입는 관대(冠帶)는 아니 왔으니 급급히 보내오. 어련히(소홀히) 마오. 일부러 사람을 부리되 4월 초대엿새 전으로 들게 보내오. 바빠 이만. 3월 12일 계함(季涵) [10] 물론 그 업적으로 배워야 할 것이 많아진 학생들의 빡침은 별개다. [11] 그러나 정철은 위관 책임자로서 위치한 사람일 뿐 추국에 대한 모든 내용은 선조에게 직보로 전달되고 있었다. 전라도로 내려가서 피바람을 불던 것도 아니고, 한성부 내에서 반역에 대한 추국을 책임자가 나홀로 마음대로 처리한다는 것은 조선의 행정시스템을 무시하는 처사이다. [12] 실제로 이 소리를 들어보면 외친다고 하기보다는 고기를 다지면서 중얼대는 식이다. "정철정철정철정철..." 대충 이런 식. 여기다 특유의 전라도 사투리 억양까지 더해져서 실제 발음은 "증철증철증철..." 또는 "증철이 조사라(전남 방언 '조수다(다지다)' 의 명령형. 즉, '다져라') 증철이 조사라..." 혹은 성을 떼고 "철철철..." 이라고 한다는 일화도 있다. [13] 정철과 언쟁을 하다 이발이 정철의 수염을 뽑아 버리자 화가 난 정철이 이발의 얼굴에 침을 뱉은 적도 있었다. [14] 본디 선전관이었던 이응표가 그와 친해서 정여립의 집에 들어가서 정언신의 이름이 적힌 편지를 없앴으나, 하필 당시 문인들이 멋을 부려서 이름 대신에 다른 걸 집어넣기도 했던 풍조를 몰라 그 19편은 없애지 못했다. [15]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지곡리 지실마을. # 이곳은 현재도 연일 정씨의 집성촌이다. [16] 충장공 김덕령의 작은 할아버지. [17] 하지만 당시는 출신지와 당파는 관계가 없었다. [반론] 이는 당시 상황에 대한 이해 부족이다. 원래 박순과 허엽은 화담 서경덕을 스승으로 하는 동문이었으나, 이조정랑 자리를 두고서 박순은 심의겸의 동생 심충겸을 지지하고 허엽은 김효원을 지지하면서 서인과 동인으로 갈라선다. 이처럼 같은 스승에게 배운다고 해서 당색이 일치한다고 볼 수 없었다. 또한 정개청의 제자들은 좌의정 남이공과 같이 동인 계열이 많아서 동인으로 분류되지만 정작 정개청 자신은 뚜렷한 당색없이 학문에만 전념하는 학자였다. 즉 박순이 서인이니 정개청도 당연히 서인이었는데 당파를 동인으로 바꿨다는 주장은 서인 측에서 나중에 꿰어맞춘 주장일 가능성이 높다. [19] 선조가 이 점을 고려해서 정철에게 사건 처리를 맡겼다는 시각도 있다. [20] 선조는 이산해, 류성룡, 정인홍 등 동인 수장격 인물들을 탄핵한 상소는 아주 강하게 거부하며 상소한 자를 깠는데 특히 조헌의 상소에는 그를 간귀라 부른다. [21] 설령 진짜 군사적으로 역모를 일으켰다 진압되었다고 해도 최소한 어린애와 노인은 안 죽인다. [22] 이 집안은 이발의 8대조부터 9대동안 과거 급제자를 배출한 호남의 넘버 원 가문이었다. 그러나 이 사건으로 이발+그 동생들+일가 친척이 다 죽어서 완전히 파멸했다. [23] 하지만 후일 동인 계열에선 정철이 어차피 선조가 최영경을 죽일 것을 알고 일부러 멋 부린 것이라고 폄하했다. [24] 이때 같이 까인 인물이 정철과 함께 당시 서인을 이끌었던 성혼이었다. 때문에 간혼독철이라고 같이 붙어서 표현된다. [25] 동인 영수인 이산해와는 사촌 형제로 이이와 친했기 때문에 서인이 되었다. [26] 백인걸의 아들로, 기축옥사에 연루되어 죽은 백유양과는 사촌지간이었다. [27] 이성중은 홍문관 대제학으로 있었을 때, 정철의 세자 책봉 주장에 동조해 정철의 무리로 몰려 유배되었다. 우성전은 홍문관에서 정철을 탄핵하는 차자를 올리려 할때 부제학인 김수와 이를 논의했다가 제때 차자를 올리지 못한 일 때문에 정철의 무리로 몰려 유배되었다. [28] 몇몇 권신이 이례적이지 조선 전기에는 청빈이 사대부의 덕목이었고 경신대기근 당시 정승마저 굶어죽는 일이 벌어지자 청빈을 더 이상 숭상하지 않게 되었다. [29]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신원동에 '송강'을 기념하는 송강마을이 있다. [30] <장진주사>는 문학사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다. 이걸 시조로 보는 입장과 가사로 보는 입장이 있는데, 시조로 보는 보편적인 입장에서 보면 이 작품이 사설시조의 원형 혹은 최초의 사설시조가 된다. [31] 송강 정철 13대 후손 왈 : 송강에게 절주하라고 선조대왕께서 은대를 내리셨는데 그걸로 자시다보니 적어서 더 먹었으면 해서 망치로 두드려서 늘렸다고 하는 일설이 있는데 확실한 얘기가 아니고 자국이 조금 있는 것처럼 보이는데 만드는 과정에서 두드려서 만들었기 때문에 망치 자국이 보이는 것이지 일설과 같이 술을 조금이라도 더 먹기 위해 망치로 두드렸다고 하는 건 신빙성이 없다는 게 일반적인 설명. 다만 실제 은잔의 모습을 보면 어느 정도 설득력이 있기도 하다. 술잔이라고 하기에는 사발만큼 크며 망치질된 모양새가 왕의 하사품치고는 매우 조잡하다. 물론 안 그래도 정철이 속 좁기로 유명한 선조에게 찍힌 마당에 왕이 하사한 물건에 이런 짓을 하다가는 목이 남아났을지도 의문이다. 정철은 세자 건저의 문제가 터지기 이전부터 그 특유의 지독한 성격 때문에 선조도 별로 좋아하지 않았다. [32] 하지만 손순효가 재상으로서 발휘한 능력은 정철 따위가 비빌 레벨이 아니었다. 성종이 평소 말술인 손순효를 걱정하여 은으로 만든 주발을 하사하고 "이걸로 하루 3잔만 마시게"라고 어명을 내렸지만, 손순효는 그것을 대장간에 맡겨 거의 세숫대야 사이즈로 늘려서 3잔을 마셨고 혀가 꼬부라질 정도로 취중이던 차에 성종이 명나라에 보낼 외교 문서를 쓰려고 손순효를 불렀다. 그러나 완전히 고주망태가 되어 입궐한 손순효를 본 성종이 "하루 3잔만 마시라고 했는데 과인의 말을 어긴 것인가?"라고 책망하자 크게 늘린 주발을 보여주며 "신은 분명히 이것으로 딱 3잔만 마셨사옵나이다"라며 답했고 어이가 털린 성종은 외교문서를 다른 신하에게 맡기려고 했으나 손순효가 부득부득 자기가 쓰겠다며 우겨서 일필휘지로 써내려갔는데 그게 또 기가 막히는 명문이라 성종도 감탄을 금치 못하였다고 한다. 성종 또한 소문난 술꾼이었는지라 틈만 나면 손순효와 허리띠 풀고 부어라 마셔라 할 정도로 죽이 잘 맞았다. [33] 누구의 기일인지는 적혀있지 않다. [34] 사대부들이 중국 고사와 함께 유럽의 고사도 알고 있는 것이 상식이 될 정도. [35] 여기에는 류성룡에 빙의한 2부 주인공 김성원이 현대인이던 시절 학교에서 정철의 관동별곡을 못외워 자주 맞았던 기억도 한몫했다. [36] 일단 실물이 남아 있긴 한데 진짜로 하사품인지는 알 수 없다. 비슷한 일화가 성종 시절 손순효에게도 있을뿐더러, 정철은 속 좁은 선조에게 찍힌 상황이었는데 그 상황에서 왕이 하사한 술잔을 훼손한다? 자살행위나 다름없다. [37] 류성룡 말로는 차라리 식량으로 쓰는 메밀을 수급해서 그걸로 술을 빚으려고 했으면 이 정도로 화를 겪지는 않았을 거라고. [38] 주정을 제공한다. 조선 본토의 주정은 1부 주인공인 수양대군이 기껏 주정을 만들어냈더니 물을 타서 술대신 마셔버린 사람들이 생겨났었기에 다른 용도로의 사용을 금하기 위해 쓰디 쓴 약초를 섞어서 마시지 못하게 만들었지만, 미주는 곡물 생산량이 엄청나서 길거리에서 즉석으로 주정을 제조해 판매할 정도로 주정의 무제한 생산이 가능하다보니 쓴 약초를 섞지 않은 순수한 주정을 정철에게 제공할 수 있었다. [39] 미주별곡 분량만 12 관동별곡 수준이라고 한다(...) [40] 1996년 KBS 드라마 < 용의 눈물>에서는 조박 역, 1998년 KBS 드라마 < 왕과 비>에서는 정창손 역, 2000년 KBS 드라마 < 태조 왕건>에서는 궁예의 스승인 범교 역, 2001년 SBS 드라마 < 여인천하>에서는 홍경주 역. [41] 정확히 말하자면 고니시 유키나가 심유경이 벌인 국제 사기극으로 맺어진 강화. [42] 실제로 임진왜란이 발발한 후 2년이 지난 1594년에 사망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