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5 00:24:48

담양군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조선 세종의 왕자에 대한 내용은 담양군(1439)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ffcd00> }}}
{{{#!wiki style="color: #0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자치시
파일:목포시 CI.svg
목포시
파일:여수시 CI.svg
여수시
파일:순천시 CI.svg
[[전라남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FFCD00 21%, #dc6b31 21%, #dc6b31); font-size: 1em"
]] 순천시
파일:나주시 CI.svg
나주시
파일:광양시 CI.svg
광양시
자치군
파일:담양군 CI.svg
담양군
파일:곡성군 CI.svg
곡성군
파일:구례군 CI.svg
구례군
파일:고흥군 CI.svg
고흥군
파일:보성군 CI.svg
보성군
파일:화순군 CI.svg
화순군
파일:장흥군 CI.svg
장흥군
파일:강진군 CI.svg
강진군
파일:해남군 CI.svg
해남군
파일:영암군 CI.svg
영암군
파일:무안군 CI.svg
[[전라남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FFCD00 21%, #018755 21%, #018755); font-size: 1em"
]] 무안군
파일:함평군 CI.svg
함평군
파일:영광군 CI.svg
영광군
파일:장성군 CI.svg
장성군
파일:완도군 CI.svg
완도군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파일:진도군 CI.svg
진도군
파일:신안군 CI.svg
신안군
}}}}}}}}}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1f904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1f9043> 파일:담양군 담양읍 CI.png
군청
담양읍
파일:담양군 고서면 CI.png
고서면
파일:담양군 금성면 CI.png
금성면
파일:담양군 대덕면 CI.png
대덕면
파일:담양군 대전면 CI.png
대전면
파일:담양군 무정면 CI.png
무정면
파일:담양군 봉산면 CI.png
봉산면
파일:담양군 수북면 CI.png
수북면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담양군 용면 CI.png
용면
파일:담양군 월산면 CI.png
월산면
파일:담양군 창평면 CI.png
창평면
}}}
}}}}}}}}} ||
전라남도 자치군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파일:담양군 CI.svg
담양군
潭陽郡
Damyang County
}}}
<colbgcolor=#1f9043><colcolor=#fff> 군청 소재지 담양읍 추성로 1371 (객사리)
광역자치단체 전라남도
하위 행정구역 1 11
면적 455.09㎢
인구 44,678명[1]
인구밀도 98.17명/㎢[2]
군수
이병노 (초선)
군의회
6석[3]

2석[4]

1석[5]
도의원
2석[6]
국회의원
이개호
상징 <colbgcolor=#1f9043><colcolor=#fff> 군목 대나무
군목 매화
군조 비둘기
지역번호 061-38X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SNS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지리4. 인구5. 교통6. 경제
6.1. 산업6.2. 금융
7. 관광
7.1. 주요 관광지7.2. 특산물7.3. 음식
8. 교육9. 정치10. 군사11. 하위 행정구역12. 기타13. 출신 인물1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담양군청.png
담양군청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파일:담양군 슬로건.svg
슬로건
파일:담양군 마스코트.jpg
마스코트 대돌이와 딸리
전라남도 북부에 위치한 . 북쪽과 북동쪽으로 전라북도 순창군, 동쪽으로 곡성군, 서쪽으로 장성군, 광주광역시, 남쪽으로 화순군에 접해 있다.

2. 역사

백제 때 추자혜군(秋子兮郡)이었다.

신라 경덕왕의 전국 지명 한문화정책 때 추성군(秋成郡)으로 개명했고, 고려시대에 지금까지 불리는 이름인 담양군으로 바뀌었다.

조선 시대의 담양도호부와 창평현이 1914년 병합된 곳이다. 봉산면, 무정면 이북지역은 대체로 옛 담양도호부 영역이고, 창평면, 고서면, 대덕면, 가사문학면, 수북면 등 남부는 옛 창평현 지역에 해당한다.

백제 때 구 담양군 지역은 추자혜군, 구 창평군 지역은 굴지현이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추자혜군에서 추성군으로 개칭하였다. 굴지현 지역은 기양현으로 개칭하여 무주(현 광주)의 영현이 되었다.

995년(고려 성종 14) 추성군을 담주라 개칭하고 도단련사를 두었다가 1018(현종 9) 담주 도단련사를 없애고 담양군이라 개칭하였다. 동시에 율원현 및 창평현과 함께 무주(현 광주)에서 나주로 소속되었다. 무신 집권기에는 이연년 형제의 난이 일어나기도 하였다.

조선시대 때인 1395년(태조 4)에 군으로 승격되었으며, 1413년(태종 13)에는 담주에서 담양으로 개칭되어 도3호부가 되었다. 그러나 1728년(영조 4)에 이인좌의 난 당시 담양부사였던 심유현이 반란에 연루된 탓에 현으로 강등되었지만 10년 후 복구되었다.

1895년(고종 32) 전국을 23부(府) 337군(郡)으로 나눌 때 남원부 담양군이 되었다. 그러다가 이듬해인 1896년 23부제가 폐지되고 13도제가 실시되면서 전라남도에 속하였다. 1908년(순종 2)에는 담양군 남쪽의 창평군이 옥과군을 병합하였다.

1914년 부군면 통폐합 때, 창평군 중 원래부터 창평군이었던 지역이 5개 면으로 폐합되어 담양군에 편입되었다.[7] 이 때 광주군(현 광주광역시)의 갈전면, 대치면과 장성군 갑향면이 대전면으로 개칭되어 이관됨으로써 담양군은 13개 면으로 조정되었다. 1931년 구암면을 봉산면으로, 1932년 무면과 정면을 합하여 무정면이 되었다. 1943년 담양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1955년 광산군 석곡면 덕의리, 충효리, 금곡리가 남면에 편입되었다가, 1957년 다시 광주시에 편입되었다. 1973년에 담양호와 광주호 건설로 용면 산성리와 청흥리가 수몰됨으로써 2개 리가 줄었다.

파일:담양군 군기(1979-2000).svg
1979년부터 2000년까지 사용한 군기.

파일:담양군 구 휘장.png
2000년부터 2018년까지 사용한 로고. 그러나 근거 법령인 담양군 상징물 등에 관한 조례는 2023년 4월에야 정식으로 개정됐다. 그래서 군기로는 옛 로고가 그려진 깃발이 그대로 사용되기도 했다.

2019년 2월 19일 남면이 가사문학면으로 개칭되었다.

3. 지리

담양군은 지리적으로 대략 구 담양군 지역과 구 창평군 지역으로 나뉜다. 구 담양군 지역은 영산강 본류 유역으로, 담양읍에서 시작되는 평지가 영산강을 끼고 확장되어 광주광역시 광산구 쪽으로 이어진다. 구 창평군 지역은 영산강의 지류인 증암천과 창평천을 낀 평지에 형성되어 있으며, 두 지역은 산정산 줄기를 중심으로 분리되어 있다.

담양군은 완전히 광주광역시 생활권으로, 시외 교통망도 광주 - 담양 - 순창 - 남원 축 노선을 제외하고는 전무하다시피 하다. 심지어 고속도로를 타는 농어촌버스 노선이 평균 15분 간격으로 광주를 향해 절찬리로 운행될 정도.. 이는 담양군 산하 면들도 마찬가지인데, 특히 구 창평군 지역은 지금도 담양읍 보다는 광주로 직접 가는 교통망이 더 발달한 상태이다.

4. 인구

파일:담양군 CI.svg
전라남도 담양군 인구 추이
(1960년~2020년)
1955년 7월 1일
광산군 석곡면 폐지
광산군 석곡면 덕의리·충효리·금곡리 → 담양군 남면 편입
1957년 11월 6일 담양군 남면 덕의리·충효리·금곡리 → 광주시 편입
1960년 117,124명
1966년 126,805명
1970년 110,412명
1975년 108,273명
1980년 91,141명
1985년 84,773명
1990년 73,855명
1995년 61,972명
2000년 55,764명
2005년 50,736명
2010년 47,808명
2015년 47,009명
2020년 46,280명
2024년 10월 44,67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읍면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담양읍 15,005명
수북면 4,713명
대전면 4,078명
창평면 3,540명
고서면 2,906명
봉산면 2,582명
금성면 2,436명
무정면 2,353명
월산면 2,273명
대덕면 1,852명
용면 1,755명
가사문학면 1,185명
2024년 10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 ||

계속 인구가 줄고 있지만 광주광역시와 가까운 지리적인 이점을 이용하여 담양읍 가산리와 수북면 주평리에 첨단문화복합단지 2005년부터시작으로 고서면 보촌리에 택지조성을 통한 도시개발사업 시작되어 전남개발공사가 조사설계용역업체를 공모하는 등 사업이 순조롭게 진행되어, 완공될 경우 약 8,700여명을 입주시키는 신도시로 조성되어 담양군의 외곽지역이 위성도시화가 가속화될것으로 전망된다.[8] 그리고 4만 6천선을 다시 회복했다. 하지만 그 이후로 인구가 다시 감소 중이다.

또한 대덕면 매산리 일대 새꿈도시개발사업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 읍면별 인구 #===
파일:담양군 CI.svg 파일:담양군 담양읍 CI.png 담양읍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4,844명
1970년 13,695명
1975년 15,492명
1980년 15,276명
1983년 2월 15일
봉산면 강쟁리 → 담양읍 편입
무정면 오계리·반룡리 → 담양읍 편입
금성면 금월리·삼만리·학동리 → 담양읍 편입
월산면 가산리·삼다리·운교리 → 담양읍 편입
1985년 21,796명
1990년 20,541명
1995년 17,274명
2000년 16,190명
2005년 15,055명
2010년 14,130명
2015년 14,377명
2020년 14,667명
2024년 10월 15,00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파일:담양군 CI.svg 파일:담양군 봉산면 CI.png 봉산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0,592명
1970년 9,166명
1975년 8,692명
1980년 7,584명
1983년 2월 15일 봉산면 강쟁리 → 담양읍 편입
1985년 5,631명
1990년 4,486명
1995년 4,215명
2000년 3,672명
2005년 3,247명
2010년 2,955명
2015년 2,952명
2020년 2,797명
2024년 10월 2,58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파일:담양군 CI.svg 파일:담양군 고서면 CI.png 고서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9,298명
1970년 7,794명
1975년 8,481명
1980년 7,689명
1985년 6,818명
1990년 5,710명
1995년 5,011명
2000년 4,223명
2005년 3,863명
2010년 3,781명
2015년 3,527명
2020년 3,171명
2024년 10월 2,90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9천 명
파일:담양군 CI.svg 파일:담양군 가사문학면 CI.png 가사문학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6,196명
1970년 5,427명
1975년 4,889명
1980년 3,368명
1985년 3,066명
1990년 4월 1일 남면 외동리 → 창평면 편입
1990년 2,492명
1995년 2,028명
2000년 1,696명
2005년 1,506명
2010년 1,490명
2015년 1,328명
2019년 2월 19일 담양군 남면 → 가사문학면 개칭
2020년 1,264명
2024년 10월 1,18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6천 명
파일:담양군 CI.svg 파일:담양군 창평면 CI.png 창평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1,123명
1970년 9,821명
1975년 9,265명
1980년 7,987명
1985년 6,908명
1990년 4월 1일 남면 외동리 → 창평면 편입
1990년 6,243명
1995년 5,401명
2000년 5,078명
2005년 4,381명
2010년 4,104명
2015년 3,964명
2020년 3,704명
2024년 10월 3,54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담양군 CI.svg 파일:담양군 대덕면 CI.png 대덕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7,857명
1970년 6,638명
1975년 5,911명
1980년 4,436명
1985년 3,858명
1990년 3,141명
1995년 2,661명
2000년 2,306명
2005년 2,406명
2010년 2,174명
2015년 2,010명
2020년 1,935명
2024년 10월 1,85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8천 명
파일:담양군 CI.svg 파일:담양군 무정면 CI.png 무정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2,502명
1970년 10,812명
1975년 10,266명
1980년 8,074명
1983년 2월 15일 무정면 오계리·반룡리 → 담양읍 편입
1985년 5,704명
1990년 4,722명
1995년 4,109명
2000년 3,565명
2005년 3,055명
2010년 2,801명
2015년 2,701명
2020년 2,795명
2024년 10월 2,35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담양군 CI.svg 파일:담양군 금성면 CI.png 금성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1,053명
1970년 9,391명
1975년 9,590명
1980년 7,572명
1983년 2월 15일 금성면 금월리·삼만리·학동리 → 담양읍 편입
1985년 5,427명
1990년 4,814명
1995년 3,820명
2000년 3,467명
2005년 3,233명
2010년 3,000명
2015년 2,770명
2020년 2,654명
2024년 10월 2,43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담양군 CI.svg 파일:담양군 용면 CI.png 용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6,687명
1970년 6,016명
1975년 5,542명
1980년 3,865명
1985년 3,368명
1990년 2,925명
1995년 2,669명
2000년 2,296명
2005년 2,058명
2010년 2,010명
2015년 1,902명
2020년 1,870명
2024년 10월 1,75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7천 명
파일:담양군 CI.svg 파일:담양군 월산면 CI.png 월산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1,471명
1970년 9,671명
1975년 9,374명
1980년 7,587명
1983년 2월 15일 월산면 운교리·삼다리·가산리 → 담양읍 편입
1985년 5,512명
1990년 4,772명
1995년 3,599명
2000년 3,171명
2005년 2,820명
2010년 2,726명
2015년 2,606명
2020년 2,470명
2024년 10월 2,27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담양군 CI.svg 파일:담양군 수북면 CI.png 수북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3,096명
1970년 11,225명
1975년 10,581명
1980년 8,640명
1985년 7,953명
1990년 6,582명
1995년 5,204명
2000년 4,648명
2005년 4,238명
2010년 4,189명
2015년 4,420명
2020년 4,547명
2024년 10월 4,71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담양군 CI.svg 파일:담양군 대전면 CI.png 대전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2,079명
1970년 10,756명
1975년 10,181명
1980년 9,063명
1985년 8,732명
1990년 7,427명
1995년 5,981명
2000년 5,452명
2005년 4,874명
2010년 4,448명
2015년 4,452명
2020년 4,406명
2024년 10월 4,07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5. 교통

장성군처럼 담양군 또한 광주의 관문이다. 장성군 수도권, 천안, 대전, 전주, 익산에서 광주광역시로 가기 전에 제일 먼저 맞이하는 역할을 하지만 담양군은 경상도, 남원, 순천, 여수, 광양에서 광주광역시로 가기 전에 맞이하는 역할을 한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담양군/교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경제

6.1. 산업

전라남도 여느 군 지역처럼 농업이 발달한 곳으로, 주 특산물로는 딸기가 있다. 논산시보다는 유명도가 덜하지만 담양의 대표적인 특산물이다. 또한 기후변화로 인해 열대 작물인 커피도 재배하고 있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으며[9] 앞으로 기후 변화 때문에 담양의 농업 생태계도 점점 변화할 것으로 보인다.

관내 산업단지로는 담양일반산업단지, 담양에코하이테크농공단지, 무정농공단지, 금성농공단지가 존재한다. 식료품 관련 공장이 가장 많으며, 그 다음으로 1차 금속, 가구 관련 공장이 많다.[10]

6.2. 금융

담양군에 위치한 금융기관
제1금융권 [괄호]
국가기관
담양우체국 (12)
특수은행
농협은행(중앙회) (2)
지방은행
광주은행 (1)
제2금융권(상호금융) [괄호]
농업협동조합
담양농협 (4) 고서농협 (2) 창평농협 (2) 담양축산농협 (3)
대전농협 (1) 금성농협 (1)
무정농협 (1)
새마을금고
담양새마을금고 (4)
신용협동조합
담양한빛신협 (2) 광주중앙신협 (1)
산림조합
담양군산림조합 (1)

7. 관광

7.1. 주요 관광지

파일:죽녹원.png
<rowcolor=#ffffff> 담양의 대표적인 관광지인 죽녹원
대외적으로 잘 알려진 관광명소로는 메타세콰이어 가로수길,[13] 대나무 공원 및 산을 이용해 조성한 죽녹원, 관방제림, 고3이면 잘 알만한 면앙정가의 배경인 면앙정이나 문과생들에겐 이름만 들어도 치가 떨리는 조선의 정치가 송강 정철이 머물며 사미인곡, 속미인곡을 탄생시킨 송강정 등의 정자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소쇄원, 송강정, 면앙정을 비롯하여 광주 충효동의 환벽당 등 광주호 일대와 담양 남쪽에 걸쳐 있는 유적을 가사문학권이라고 부르며 유홍준의 ' 나의 문화유산답사기'를 통해 알려졌다. 과거 '호남가단'의 문인들과 정치에서 물러난 선비들이 경치가 좋은 이 곳을 터잡아 자연을 벗삼으면서 물아일체(物我一體), 충절 등의 삶이 묻어난 문학 작품들을 많이 배출했기 때문이다. 광주호 상류의 광주와의 시.군 경계에 이곳에서의 정취를 배울 수 있는 가사문학관이 건립되어 있다.

삼지내마을은 의병장 고경명 장군의 후손들이 살고 있는 제주 고씨 장흥백파 집성촌으로 개화기에는 영어 선생을 모셔와 가르칠 정도로 깨인 곳이였다. 현재는 슬로시티로 지정돼 흙과 돌로 쌓아 만든 마을 담장을 따라 토담길 산책을 즐길 수 있는 고즈넉한 마을이기도 하다.

태목리 대숲은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대나무 자생 군락지이다. 대나무 앞 습지 또한 습지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이곳에서는 진귀한 새들을 볼 수 있다. 대나무 숲과 습지에서 피어오르는 물안개가 어우러진 풍광은 '죽림연우(竹林煙雨)'라고도 불린다. 영산강을 따라 자전거 도로가 잘 조성돼 있다.

여담으로 담양에 대나무가 많은 이유는 풍수적으로 담양은 봉황(鳳凰)과 관련이 있는데, 봉황의 먹이가 바로 대나무 열매이기 때문이다.
봉황(鳳凰)에 대하여...
非梧桐不止 오동나무가 아니면 머물지 않고
非竹實不食 대나무 열매가 아니면 먹지 않으며
非醴泉不飲 달디 단 샘물이 아니면 마시지 않는다
- 莊子 第17篇 秋水(장자 제17편 추수)

매년 어린이날 전후로 대나무 축제를 개최하고 있다. 축제기간 행사 부스에서 대나무통에 소주를 담아 1년간 숙성시킨 후 다음 해에 찾아갈 수 있게 하는 이벤트를 진행 중이다. 가격도 비싸지 않으니 사서 선물하는 것도 좋다.

2015년 9월 17일부터 10월 31일까지 약 45일간 세계대나무박람회가 개최되었다.

남부에는 무등산 국립공원이 있다.

메타세콰이어 가로수길 주변에 메타프로방스라는 곳이 조성되었다. 유럽식으로 꾸민 커피숍, 식당, 기념품점 등이 늘어선 쇼핑단지로 조성되어 타지 관광객들의 단골 코스이다.

담양시티투어버스를 이용하여 자차 없이도 편하게 담양의 관광지를 여행할 수 있게 되었다.

옛 창고를 개조한 담빛예술창고[14]가 있으며, 이곳에서는 파이프 오르간[15] 연주회가 열리기도 한다.

국립한국정원문화원이 2024년 개업 예정이다.

7.2. 특산물

대나무로 유명한 곳이며 이 대나무가 죽세공품의 원료로도 쓰인다. 이걸로 외화 획득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담양 관내의 관광물품 판매소에서조차 마데제품을 파는 현실. 진품은 확실히 비싸다. 그래도 구하고 싶다면 인맥을 동원하거나 죽녹원에 가보자.

여담이지만 대나무를 좋아하지 않는 담양 사람이 은근히 많은데, 바로 모기때문. 특히 여름철 대나무 주변에 서식하는 모기들은 힘도 좋아서 버틸 수가 없다.

그 외의 특산물은 창평 한과, 창평쌀, 대잎, 청죽환, 죽향 딸기, 방울 토마토, 죽향 멜론, 시목단, 죽향비가림 포도, 용면 한봉, 추성주, 죽엽청주, 동충하초, 죽제품, 염장죽순 등등이 있다.

지리적 표시제/대한민국에는 담양 딸기와 담양 죽순이 등록되어 있다.

* 추천 특산물
  • 죽순 : 담양에서 생산된 최고 품질의 죽순을 엄선하여 죽순 고유의 아삭거리는 맛이 그대로 살아 있도록 삶아서 연중 판매.
  • 딸기 : 동절기에 생산되는 딸기 중 당도, 경도, 향이 전국 최고로 평가받고 있음. 특히 자체 육성된 담향, 죽향은 기존 품종을 대체하는 신품종으로 호평받고 있음. # 새로 자체 육성된 품종인 메리퀸은 # 롯데그룹 신동빈 회장이 선물용으로 구매하는 딸기로도 알려져 있음. #
  • 블루베리 : 무농약 인증 이상 특품만 선별하여 출하된 블루베리는 품종과, 크기가 균일하고, 당산비가 균형을 이루어 품질이 매우 좋고 일정량을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음.
  • 쌀 : 영산강 시원지에서 생산된 담양쌀은 미질이 우수하여 2013 전국 고품질 우수 브랜드쌀로 선정됨 (2위 입상).

7.3. 음식

외지인들에게는 떡갈비가, 광주•전남 현지인들에게는 돼지갈비로 알려져 있는 지역이기도 하다. 덕분에 두 개를 전부 다 취급하는 식당도 간혹 있다. 흔히 떡갈비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뼈가 붙어있고 고기가 다져진)에 부합한다. 다만 한우로 만들기 때문에 가격이 센 편. 돼지갈비의 경우 숯불에 미리 구워져서 나오는 것으로, 승일식당의 꿀꿀갈비가 대외적으로 유명하다.[16] 최근에는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해서인지 전체적으로 맛과 질이 하향평준화, 가격은 상향평준화되었다.

담양읍내 관방제림 근처에 형성된 국수거리가 어느 정도 인지도가 오른 상태인데 메뉴는 모든 집이 동일( 비빔국수, 멸치국수 그리고 삶은 달걀)하다. 특별할 건 없고 가격 대비 맛은 괜찮은 편. 단 이곳도 역시 대외적으로 유명한 곳과 실제 지역민들이 꼽는 맛집은 다르다. 국수거리는 원래 '진우네 국수집' 이라는 곳이 원조로 그곳이 유명해지자 그 주변에 점점 국수집이 들어서게 되고 어느 순간에 담양군이 국수거리라고 지정했다.

창평면 면소재지 부근 창평시장 안에 국밥집들이 있다. 호남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창평국밥의 원조가 여기다. 창평국밥이 인기가 좋아 여기저기 체인점들이 많지만 맛과 양은 본가의 것을 따라가지 못해 체인점들의 평은 좋은 편이 아니니 체인점에서 먹어 본 사람들은 한 번씩 먹어보고 맛을 비교해 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 시장 안에 국밥집은 맛이 조금씩 다 다르다. 창평 엿도 나름 유명한데 공장에서 찍어내는 엿이 아니라 마을 부녀자들이 모여 밟고 당겨 만드는 수제 엿이다. 바삭하여 치아에 잘 붙지 않고 많이 달지 않아 노인들이 먹기에도 적합하다. 지금은 엿을 사먹는 사람이 거의 없어지다시피 해서 엿을 만들어 파는 일도 많이 쇠퇴하였지만 아직 명맥은 이어지고 있다.

대나무통에 밥을 넣어 만드는 대통밥도 유명하다. 죽순 회무침도 있는데 생선회를 무친 것이 아니라, 죽순을 채썰어 회무침처럼 버무린 것이다. 메뉴 목록에 올라 있는 것을 별도로 주문해서 먹기보단 죽순이 나는 철에 대통밥 반찬으로 나오는 경우가 있으므로 그때 먹어보는 것이 좋다.

그리고 디저트류로는 죽녹원에서 파는 대나무 아이스크림이나 현미죽순빵 등이 있다. 맛은 말차와 비슷하다.

8. 교육

파일:담양군 CI_White.svg 전라남도 담양군 초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가사문학초등학교 고서초등학교 금성초등학교 담양남초등학교
담양동초등학교 담주초등학교 만덕초등학교 무정초등학교
봉산초등학교 수북초등학교 용면초등학교 월산초등학교
창평초등학교 한재초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담양군 CI_White.svg 전라남도 담양군 중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담양고서중학교 담양금성중학교 담양수북중학교 담양여자중학교
담양중학교 창평중학교 한재중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담양군 CI_White.svg 전라남도 담양군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담양고등학교 담양공업고등학교 창평고등학교 한빛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대학교는 담양읍에 전남도립대학교 하나가 있다.
학교명 주소 학제 성별
전남도립대학교[17] 담양읍 죽녹원로 152 2년제(유아교육과, 보건의료과 3년제) 남녀공학

9.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담양군/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군사

수북면에 담양군 예비군훈련장이 있는데, 그것보다 창평면에 광주광역시 동/서/남구 예비군훈련장이 더 크게 있다. 그리고 무정면에 육군특수전사령부 예하 제11공수특전여단(황금박쥐부대)이 있다. 담양읍내 택시기사들한테 부대로 가자고 하면 다 알아서 그 쪽으로 간다. 혹시라도 면회 때문에 갈 일 있으면 참고할 것.

11. 하위 행정구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담양군/행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기타

2009년 10월 제5회 아시아-태평양 천문올림피아드 수북면 대방리에 있는 담양청소년수련원에서 개최되어 9개국 60명이 참가했다. 대한민국 대표팀은 1위(금3, 은4, 동1), 전라남도 지역 대표팀은 5위(은1, 동4)를 기록했다.

2018년 4월 1일 방송된 전국노래자랑전라남도 담양군 편에서 전국노래자랑 역사상 최초의 여초 현상이 벌어졌다. 참가자 중 단 2명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출연자가 전부 여자였던 상황이 나온 것이다. 또한 그 여자 출연자들 중 한 팀인 제11공수특전여단 황금박쥐부대 특전부사관에게 시집 온 기혼 여성 4인방으로 구성된 팀도 출연했는데, 이 팀은 인기상을 수상했다. 입상자는 남자도 있었다.

2011년에 대덕면의 체험마을인 시목마을에서 5남 2녀의 7남매를 낳은 한 농부 부부[18]의 집이 인간극장을 통해 소개되어 화제가 되었다. 근황이 알려지지 않아 더 낳았는지 알 수는 없으며 방영 당시 7남매는 예의 바르고 성실한 모습으로 시청자들의 사랑을 받은바 있다.

장수하는 사람들이 많이 나오는 지역이다. 서울대 노화 연구소에서 담양 지역 노인 1천여 명의 식습관, 생활 태도 등을 조사해 가기도 했다.

충청북도 단양군과는 발음상 헷갈리는 지역이기도 하다.

담양 전씨(潭陽 田氏) 및 담양 국씨(潭陽 鞠氏), 담양 빈씨(潭陽 賓氏)[19]의 본관이기도 하다. 담양 전씨 시조 전득시의 묘는 담양군 담양읍 향교리에 있다. 여담으로 일본 수상을 지낸 다나카 가쿠에이(田中角栄)가 자신의 가계에 대해 "담양 전씨의 후손으로 시조 전득시의 12대손이 일본으로 건너왔다."는 발언으로 화제가 되기도 했다. 일본 '다나카(田中)' 성씨가 담양 전씨에서 파생된 성씨로 알려져 있다.

13. 출신 인물

14. 둘러보기

파일:국제슬로시티 로고.svg 대한민국 국제슬로시티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margin-top: -5px"
춘천시 | 영월군
제천시
예산군 | 태안군 | 서천군
전주시
신안군 | 완도군 | 담양군 | 장흥군
상주시 | 청송군 | 영양군
김해시 | 하동군
}}}}}}}}} ||


[1] 2024년 10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2] 2024년 10월 기준. [3] 담양군 가선거구 (담양읍): 최용만
담양군 나선거구 (무정면, 금성면, 용면, 월산면): 박준엽
담양군 다선거구 (봉산면, 수북면, 대전면): 장명영, 조관훈
담양군 라선거구 (고서면, 가사문학면, 창평면, 대덕면): 최현동
담양군 비례대표: 박은서
[4] 담양군 가선거구 (담양읍): 이기범
담양군 나선거구 (무정면, 금성면, 용면, 월산면): 정철원
[5] 담양군 라선거구 (고서면, 가사문학면, 창평면, 대덕면) 최용호 의원 의원직 상실로 인한 공석 [6] 담양군 제1선거구 (담양읍, 무정면, 금성면, 용면, 월산면): 박종원 (재선)
담양군 제2선거구 (봉산면, 고서면, 가사문학면, 창평면, 대덕면, 수북면, 대전면): 이규현 (초선)
[7] 원래 옥과군이었던 지역은 곡성군에 편입되었다. [8] 또한 별도로 면소재지 동운리 636번지에도 지하 1층~지상 12층 총 18개동, 총 880세대 규모의 아파트단지(대우담양푸르지오)를 만들 예정이라 고서면이 더욱 발전될 것이다. [9] # [10] #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13] 입장료가 없는 공도였지만 24번 국도의 우회도로가 만들어지면서 공원화되어 차량 통행을 막고 2012년부터 성인 기준 1천원의 입장료를 받는다. 2023년 9월 현재 2000원으로 인상되었고 그간 허용되던 자전거 통행까지 금지되어 100% 보행자 전용 공원이 되었다. [14] 건물엔 남송창고가 표기되어 있다. [15] 모든 파이프가 대나무로 만들어져 있다. [16] 방송 한식대첩 시즌2 전라남도 대표로 출전한 김갑례 도전자가 운영하는 곳 [17] 이름에서 알 수 있다시피 전라남도에서 설립한 전문대학이다. (건물은 거의 무너져 내릴 수준. 교수들이 두 세개 이상의 다른 과를 가르친다고한다.)참고로 각도에 설치되어 있는 도립 전문대학은 다음과 같다. 강원도 : 강원도립대학( 강릉시 소재), 충청남도 : 충남도립대학교( 청양군 소재), 충청북도 : 충북도립대학( 옥천군 소재), 경상남도 : 경상남도립거창대학( 거창군 소재), 경상남도립남해대학( 남해군 소재), 경기도 전라북도, 제주도에는 없다. [18] 나정채 씨와, 김영미 씨로 각각 1970년생, 1974년생 [19] 담양 빈씨 시조는 독일 출신 귀화 한국인 빈도림(賓道林) # [20] 단발령 명성황후 민씨 시해에 항거하여 의병을 일으켰으나 조정에서 온 관리의 회유로 해산했으며, 1907년 다시 의병을 일으켜 많은 전과를 올렸으나 지리산에서 일본군의 습격을 받아 전사했다. 해방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21] 동아일보 창업주 인촌 김성수와 사촌 처남-매부 관계이다. 즉 인촌 김성수와 사별한 첫번째 부인 고광석의 사촌이 고광표이다. 그래서 고광표가 동아일보 감사를 맡기도 했었다. 동아일보, 고려대학교를 맡고 있는 김재호와 삼성 이건희의 사위 김재열은 고광석의 자손들이다. [22] 지역구 : 광주광역시 서구 을 [23] 지역구 : 광주광역시 동구·남구 갑. [24] 지역구 : 전라남도 담양군·함평군·영광군·장성군. [25] 지역구: 광주광역시 북구 갑. [26] 지역구는 서울특별시 용산구였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