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2-07 11:26:03

김일손

파일:225px-탁영교지.jpg
[1]
성명 김일손(金馹孫)
본관 김해 김씨 삼현파(三賢派)
출생 1464년 2월 13일 ( 음력 1월 7일)
조선 경상도 청도군 현산현 토평리 백곡마을
사망 1498년 8월 14일 ( 음력 7월 27일) (향년 34세)
조선 한성부 광통방
국적 조선
계운(季雲)
탁영(濯纓), 소미산인(少微山人)
시호 문민(文愍)
부모 부친 김맹(金孟, 1410 ~ 1483)
모친 용인 이씨 이양(李讓)의 딸
형제자매 형 김준손(金駿孫, 1454 ~ 1508), 김기손(金驥孫, 1456 ~ 1493)
누나 파평 윤씨 윤기분(尹起汾)의 처, 한양 조씨 조건(趙鍵)의 처
부인 단양 우씨[2]
예안 김씨 [3]
자녀 양자 김대장(金大壯, 1493 ∼ 1549)
1. 개요2. 생애3. 기타4. 대중매체

[clearfix]

1. 개요

조선 시대의 문신, 학자, 정치인, 작가.

2. 생애

김일손은 1486년 문과에서 2등을 하고 승문원(承文院)에 배속되어 벼슬길에 나섰다. 이후 홍문관, 승정원, 사간원, 사헌부 등의 관직을 두루 거쳤는데 이는 조선시대 엘리트 관원들이 역임하는 청요직(淸要職)이었다. 김일손은 일찍이 스승으로 섬긴 김종직을 닮아 사장(詞章)에 능했으며 당시 고관들의 부패와 불의를 규탄하였다. 사림파 중의 1명으로 무오사화의 희생양이었는데, 이극돈은 김일손을 부정적으로 평했다. 이극돈이 김일손의 이조좌랑 추천을 거부했을 때 김일손에 대해 평하기를 "사람이 경망스럽다"고 하였다. 그러나 후일 김일손은 이조전랑[4]이 됐다. 사초에서 임금인 세조에 관한 추잡한 소문을 빼내어 달라고 이극돈이 부탁했으나 김일손이 이를 거절하면서 둘의 관계는 더욱 악화됐다. 사실 김일손과 이극돈의 악연은 오래 전부터 시작됐다. 김일손이 등과한 1486년 문과 시험 당시 다른 시험관들은 김일손의 답안에 1등을 매겼으나, 시험관이던 이극돈이 굳이 반대해 2등이 된 적이 있다. 이후 김일손이 사초 작성 업무를 맡게 되면서, 이극돈의 신상에 관한 일들도 사초에 적어 넣었다.
’이극돈은 불교에 심취했던 세조 임금 앞에서 불경을 외는 등 아첨을 떨었고, 이로 인해 전라도 관찰사에 제수되는 등 관직에서도 승승장구할 수 있었다. 또한 세조 임금의 왕비였던 정희왕후의 상을 치르는 기간에 이극돈은 장흥의 관기와 놀아나는 등 추태를 부렸다‘ 라고
그런데 이극돈이 실록청의 책임자가 되면서 사초를 살피는 중에 자신에 관한 부끄러운 일화들이 적혀있는 것을 발견하고서, 김일손에게 해당 내용을 지워달라고 부탁했다. 그러나 김일손은 단칼에 거절했고, 안달이 난 이극돈은 마침 조의제문을 꼬투리 삼아 유자광 등에게 사초를 발설한 것이다.

연산군 때인 1498년에 일어난 무오사화는 김일손이 성종 재위시 사관(史官)으로 있으면서 썼던 사초(史草)에서 비롯되었는데 이 일로 인해 김일손을 비롯한 신진 세력인 사림파(士林派)의 여러 사람들이 함께 처형을 당하였다. 이때 수많은 사람들이 화를 입었는데 < 연산군일기>에 이 과정이 적혀 있다.

무오사화의 명분은 다음과 같다. 김일손이 사관으로 있을 때 세조에 관한 소문을 사초에 기록하였는데 "세조가 죽은 맏아들인 의경세자의 후궁을 비롯해 여러 후궁과 잠자리를 가졌다."는 내용이 문제가 되었다.

김일손이 훈구파와 세조를 비판하기 위해 한 일이었고, 다소 일처리가 경솔했던 것이라 하지만, 사관의 일이라는 게 사실만을 기록하는 것이었으므로 사적 감정을 담아 조의제문[5]을 사초에 기록한 것은 논란이 될 법도 했다. 결국 이 일로 김일손은 1498년 거열형을 맞이했다. 중종 때 영의정 남곤은 말하기를 "세상에 다시 탁영(김일손의 호)같은 이가 또 나올 수 있을까. 그의 문장을 물에다 비하면 탁영은 강하와 같고 나는 개천에 지나지 못하다"고 김일손의 짧은 생애를 애석하게 여겼다. 능력을 떠나서, 애초부터 사적으로 같은 스승 아래에서 공부하고 친밀한 사이이니 남곤이 김일손을 그리워했다는 것은 충분히 납득할 만하다.

3. 기타


* 김일손은 정실 부인으로부터 자식이 없었고, 첩으로부터 아들 둘을 얻었으나 효수되었다. 김일손이 34세의 나이에 자식 없이 죽었으므로 그의 형 김준손(金駿孫)의 차남 김대장(金大壯)을 양자로 들여 대를 잇게 하였다. 김대장(金大壯)은 두 아들을 뒀는데, 장남은 김갱(金鏗), 차남은 김장(金鏘)이다. 무오사화 때 김일손의 친척들도 친척이라는 이유만으로 벌을 받아 전국 각지로 흩어져 유배를 가게 됐는데, 김대장은 그의 형 김대유(金大有)와 함께 남원부로 유배를 가서 그곳에서 생을 마감하였다. 장남 김갱(金鏗)은 고향 청도로 돌아갔으나 차남 김장(金鏗)은 아버지 묘소를 돌보겠다며 고향으로 돌아가지 않고 전북에 뿌리를 내리게 된다. 김갱은 자식이 없이 죽었으나 김장의 자손들이 크게 번성하였다. 김장(金鏗)의 후손들로는 쌍용그룹 창업주 김성곤, 정치인 김무성 등이 있다.
  • 중종 대에 이르러 복권되었고, 순조 대에 문민(文愍)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 거문고를 잘 탔다고 하는데, 실제 그가 사용했던 거문고(탁영금)이 보물로 지정되어 남아있다.

4. 대중매체

  • 1995년 6월 17일 KBS 역사실험 [세조의 정통성논란이 부른 참극 무오사화의 주역 김일손과 이극돈 (역사의 라이벌)]에 부패한 훈구파 이극돈과 사림파 김일손의 대립이라는, 전형적인 시각으로 묘사하고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5ijNlUANiF8&t=1573s

파일:한명회.E080.1994.CATV.XViD-SKYMAX.avi_001454414.jpg

[1] 김일손의 교지인 탁영교지(濯纓敎旨), 보기 드물게 금박을 섞어 만든 붉은 장지를 사용하였다. [2] 우극관(禹克寬)의 딸 [3] 김미손(金尾孫)의 딸 [4] 이조전랑(吏曹銓郞)은 이조정랑(吏曹正郞)과 이조좌랑(吏曹佐郞)을 일컫는 말이다. 관직 서열은 낮은 편이지만 삼사(三司)인 홍문관, 사헌부, 사간원의 관원 인사를 좌우할 수 있는 요직이다. 동서분당이 시작된 심의겸과 김효원의 대립도 이조전랑(吏曹銓郞) 자리를 둘러싸고 일어났다. [5] 차라리 김일손 자신의 글이라면 처형받는 사람은 적었을 것이다. 하지만 어쩐 일인지 그러지 않고 당대의 명사이자 자기 스승인 김종직의 글을 싣는 바람에 일파만파가 되었다. 일족과 동문 전체를 끌고 들어갈 결과를 내다보지 못하지는 않았을 터인데, 일부러 저지른 일이라고 짐작할 수 있는 부분. 허나 동문들의 생각은 다 같지 않아서 무오사화 당시에 이미 죽은 김종직을 부관참시해야 한다는 주장이 큰 힘을 얻었는데 이때 김종직의 제자인 표연말과 홍한도 이에 동참했다. 그만큼 김일손이 생각없이 일을 저질렀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