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6 12:59:38

강계시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e40001>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16px -11px;"
도인민위
강계시
만포시 희천시 }}}
고풍군 동신군 랑림군 룡림군
성간군 송원군 시중군 우시군
위원군 자성군 장강군 전천군
중강군 초산군 향산군 화평군
}}}}}}}}}
파일:북한 국기.svg 자강도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강계시
江界市
Kanggye City
}}} ||
<colbgcolor=#ED1C27,#222222><colcolor=white>


<colbgcolor=#ED1C27,#222222><colcolor=white> 상위 자강도
하위 34동 2리



대의원
[ 펼치기 · 접기 ]
파일:wpk.jpg 로두철 (제427호 강계선거구)
파일:wpk.jpg 안용남 (제428호 연주선거구)
파일:wpk.jpg 장혁 (제429호 부창선거구)
파일:wpk.jpg 최창선 (제430호 야학선거구)
파일:wpk.jpg 김혜란 (제431호 석현선거구)
파일:wpk.jpg 정광철 (제432호 외룡선거구)
파일:wpk.jpg 한영호 (제433호 내룡선거구)
시당 파일:wpk.jpg 최창선[1]
(강계시당 책임비서)
인민위 파일:wpk.jpg 김영남[2]
(강계시 인민위원회 위원장)
면적 263.67㎢
시간대 UTC+9
인구 251,971명 ( 2008년)
인구밀도 956명/km² ( 2008년)
파일:강계시 전경.jpg
강계시 전경
파일:/image/001/2016/07/18/PYH2016071803460001300_P2_99_20160718110312.jpg
파일:/image/001/2016/07/18/PYH2016071803450001300_P2_99_20160718110310.jpg
강계 시내의 야경[3][4]

1. 개요2. 상세3. 행정구역4. 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5. 출신 인물6. 여담

[clearfix]

1. 개요

자강도 소재지이자 자강도 최대도시이며, 4군 중 하나인 자성군과 함께 자강도라는 이름이 기원한 곳이지만 대한민국 이북 5도 행정구역으로 평안북도 동북부에 위치한 강계군에 속한 강계읍이다. 조선 세종 4군( 자성, 우예, 여연, 무창) 진출 거점 도시인 이래 평안(북)도 동북부 지역의 거점 도시였으며, 구한말에 8도 23부로 개편할 때에도 현재의 자강도와 유사한 강계부의 중심 도시였다.

2. 상세

강계시 외룡동 일대[5]의 거리. (2018)[6]
4월의 강계시 충성동 일대의 한 광장[7](2010년대 후반)
서울에서 직선으로 약 380km, 철도로는 약 570km 거리에 있는 북부 내륙지역으로 분지다. 북천강과 남천강이 시내에서 독로강(禿魯江. 현: 장자강)이 되고, 북서쪽으로 흘빠져나가 압록강에 합류한다.

경관이 수려하고 아름다우며, 물이 좋은 도시로 유명하다. 강계 하면 강계미인을 가장 먼저 떠올릴 정도로 미인이 많은 도시로 유명한데 흰 피부와 고운 선 등으로 인해 과거 평양, 진주와 함께 가장 기생이 많이 나오는 곳이었다고 한다. 물이 좋은 도시답게 술도 유명하며 특히 도시 빌딩 한폭판에 있는 ' 인풍루'라는 조선시대 누각이 유명하다고 한다. 지금은 주민들의 쉼터로 개방 중이다.

함경북도 회령과 함께[8] 미인의 고장으로 유명하며, 조선 시대에는 인삼이 특산물이었는데 공물 부담을 견디지 못 한 나머지 떠도는 강계 사람들이 늘어나 사회 문제가 되기도 하였다.

자강도 북한 다른 지역보다 , 포도 등 과일을 많이 재배하는 만큼 이를 사용해 과실주 리큐르를 제조하는 공장이 있는데 바로 강계포도술공장이다. 강계포도술공장에서 제조하는 리큐르로는 인풍술 백로술이 유명하다. 인풍술은 포도 리큐르이고, 백로술은 리큐르이다. 인풍술과 백로술은 남북관계가 상대적으로 나았던 시절에 한국에도 수입되어 팔렸다.

명승고적으로 관서팔경의 하나인 북천강이 독로강에 합류하는 지점에 세워져 있는 인풍루(仁風樓)를 비롯해 강계아사(江界衙舍), 강계망미정(望美亭), 활쏘기 연습장이었던 거연정(巨然亭) 등이 현존한다.

기후는 전형적인 냉대기후를 띄는데 최한월인 1월의 평균 기온은 -12.7℃로 한반도에서 가장 추운 곳들 중 하나이다. 비공식적으로 1927년 1월 23일 -42.4℃를 기록해 한반도 역대 최저 기온 2위로 남게 되었다. 참고로 1위는 1933년 1월 13일 중강군의 -43.6℃. 그런데 위도는 생각보다 낮아서 북위 41도에 불과하다. 이탈리아 나폴리보다 약간 더 높고 튀르키예 이스탄불과 같은 위도 상에 있지만 이스탄불의 1월 평균 기온은 5.7℃로 제주시, 도쿄, 상하이, 런던, 애틀랜타의 1월 평균 기온과 같다.[9] 나폴리는 그보다 더해서 1월 평균 기온이 8.1℃로 서귀포시의 1월 평균 기온보다 더 높다![10] 강계시가 동위도 상에 있는 나폴리, 이스탄불보다 훨씬 더 추운 이유는 내륙 깊숙한 곳에 있어 바다와 멀리 떨어져 있는데다 대륙 동안이라 북서풍의 영향을 많이 받는 곳에 있기 때문이다.

김일성이 자신이 일으킨 6.25 전쟁으로 인한 피난길에서 임시수도로 삼았던 것의 영향인지는 몰라도 의외로 북한의 지도자들이 은근히 관심을 보여준 도시이기도 하다. 고난의 행군 시기에 강계시 사람들이 '강계정신'으로 기근을 극복해나간 것에[11] 김정일이 '감명'을 받고 [12][13] 경제 프로파간다 구호로 '강계정신'을 내세웠을 정도였으며, 김정일의 아들인 김정은도 2012년에 조선노동당 창건 67주년을 맞아 지방에서는 처음으로 강계시에 김일성과 김정일의 동상을 나란히 건립한 데다가 전술한 것처럼 평양 밖 도시 중 공식적으로 야경 사진을 공개한 몇 안 되는 곳 중 하나가 바로 강계시일 정도로 강계시에 남다른 애착을 보이고 있다. 과거에는 사진들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북한 도시들 중에서도 매우 열악한 수준이었지만, 김정은 시기 들어와서 나름대로 최신(?) 모습으로 개발되어가고 있다.

전술한 것처럼 수도 평양시 외부에 있는 북한 지방 도시 중 야경이 공개된 몇 안 되는 도시 중 하나다. 김정은 시기 북한은 외부에 선전 목적으로 야경 사진을 자주 공개하고 있으나, 대부분은 평양 중심부 일대가 차지하고 지방 도시가 차지하는 비중은 적은데, 강계시를 제외하면 김정은 시기 북한이 야경을 공개한 곳은 김정은의 아버지 김정일거짓된 고향 삼지연시[14]와 김정은 본인의 고향 원산시 정도밖에 없다. 문서 상단의 2016년 사진 외에도 북한 측이 공개한 강계의 야경 사진은 적어도 4종이 있다. 2017년 이전 2018년 2021년 2022년 강계의 야경 연출을 보면 네온사인과 LED가 과하게 사용된 나머지 부자연스럽다 못해 유치해 보일 정도인데, 어떻게든 선전용으로 연출한 것이라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 당연히 실질적인 전력으로 불을 밝힌 것이 아니기 때문에 야간 위성사진을 보면 강계시의 불빛은 전혀 보이지 않는다.

3. 행정구역

2008년 기준. 2021년 보도에는 읍성동이라는 동도 언급되었다. #
  • 동: 총 34동

    • 강서동, 고영1동, 고영2동, 공귀동, 공인동, 남문동, 남산동, 남천동, 내룡동, 독산동, 동문동, 동부동, 대응동, 로동자동, 류동, 만수동, 부창동, 북문동, 서산동, 석조동, 석현동, 수침동, 신문동, 장자동, 충성동, 향로동, 흥주동, 야학동, 연석동, 연주동, 연풍동, 은정동, 의진동, 외룡동
  • 리: 총 2리

    • 신흥리, 두흥리

4. 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003764>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or: #181818"
파일:정부상징.svg
신의주시
파일:정부상징.svg
의주군
파일:정부상징.svg
용천군
파일:정부상징.svg
철산군
파일:정부상징.svg
선천군
파일:정부상징.svg
강계군
파일:정부상징.svg
정주군
파일:정부상징.svg
박천군
파일:정부상징.svg
태천군
파일:정부상징.svg
영변군
파일:정부상징.svg
자성군
파일:정부상징.svg
운산군
파일:정부상징.svg
구성군
파일:정부상징.svg
창성군
파일:정부상징.svg
벽동군
파일:정부상징.svg
후창군
파일:정부상징.svg
삭주군
파일:정부상징.svg
초산군
파일:정부상징.svg
위원군
파일:정부상징.svg
희천군
명목상 도청소재지 : 신의주시 }}}}}}}}}


파일:정부상징.svg 평안북도(이북5도위원회)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fff,#1f2023><tablebgcolor=#ffffff,#1f2023>
파일:정부상징.svg
강계군
江界郡
Ganggye County
}}}
<colbgcolor=#14223F><colcolor=#ffffff> 군청 소재지 강계읍 강서동
상위 행정구역 평안북도
하위 행정구역 2 15
면적 263.67km²
인구 251,971명( 2008년)
인구밀도 956/㎢( 2008년)
명예 군수 공석 (제22대)
명예 읍면장 17석
홈페이지 이북5도위원회 강계군 소개

파일:강계군.jpg

해방 당시에 강계군이었으며 2읍(강계·만포) 15면을 관할하는 면적 5,403.63㎢에 달하는 함경북도 무산군 다음으로 한반도에서 두 번째로 넓은 군이었으나, 중심지던 강계읍이 강계시로, 만포읍이 만포군으로 분리된 후 만포시로 승격되고 나머지 지역은 군을 신설하면서 이리저리 찢어졌다. 북한 행정구역으로 7개 시군으로 쪼개진 것이다. 1944년 광복 직전의 강계군 인구는 21만여 명이었으며 2008년 기준으로 쪼개진 7개 시군의 인구를 합치면 모두 69만 7천명(!)이 된다.
  • 강계읍(江界邑)
    • 관할 동: 본(本), 고당(古堂), 궁하(宮下), 금(錦), 남산(南山), 대화(大和), 동부(東部), 북천(北川), 성산(城山), 소화(昭和), 수(壽), 영(榮), 유(柳), 일출(日出), 천석(千石), 학견(鶴見), 행(幸), 화천(和泉), 황금(黃金)
    • 조선 후기인 1839년에 성안방(城安坊)에서 읍동방(邑東坊)과 읍서방(邑西坊)으로 분리되었다가 1914년에 강계면으로 통합되었다. 1931년에 강계면과 공서면(公西面) 고당동, 회룡동(回龍洞)이 병합돼 읍으로 승격되었고, 이후에 동부동 일부, 서부동(西部洞), 고당동 일부, 회룡동을 정, 정목으로 분할했다. 일제강점기 때 크게 발달돼, 동명에 일본식 지명이 많다. 1946년에 일본식 동명을 청산했다.
    • 만포선 철도가 이곳을 지나가며 관내에 강계역이 있다. 협궤철도인 강계선 철도가 이곳에서 시종착하며 관내에 신강계역, 남문역, 동부역이 있다.
    • 동쪽에서 흘러오는 남천강, 북천강이 강계읍내에서 독로강에 합류, 고산진 방면으로 흘러 압록강에 합류한다. 고적으로 강계읍성, 인풍루, 거연정, 망미정 등이 있다.
  • 간북면(干北面)
    • 관할 동: 남(南), 북(北)
  • 고산면(高山面)
    • 관할 동: 포상(浦上), 남상(南上), 미타(美他), 연상(延上), 연하(延下), 춘산(春山)
    • 압록강변에 있는 면으로 독로강이 여기서 압록강에 합류한다.
  • 곡하면(曲河面)
    • 관할 동: 쌍부(雙富), 쌍신(雙新), 의진(義眞), 흥주(興州)
    • 만포선 철도가 지나가며 강계에서 만포 가는 길에 있는 면(1)이다. 관내에 곡하역(구 서창역), 쌍부역이 있다.
  • 시중면(時中面)
    • 관할 동: 외시천(外時川), 내(內), 노남(魯南), 심귀(深貴), 안찬(安贊)
    • 강계에서 만포 가는 길에 있는 면(2)이다. 만포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안찬역, 시중역이 있다. 북한 행정구역상 시중군 소재지.
  • 어뢰면(漁雷面)[17]
    • 관할 동: 풍룡(豊龍), 종인(從仁), 천성(天城), 풍청(豊淸)
  • 외귀면(外貴面)
    • 관할 동: 건하(乾下), 건상(乾上), 이남(吏南), 흥판(興判)
    • 만포읍의 배후지. 강계에서 만포 가는 길에 있는 면(3)이다. 만포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건하역(구 외귀역)이 있다.
  • 용림면(龍林面)
    • 관할 동: 신창(新昌), 광성(廣城), 남흥(南興), 용림(龍林), 용운(龍雲), 후지(厚地)
    • 강계군의 최남단 3면(화경면·입관면·용림면) 중 하나. 군 남동쪽에 있으며 희천군 쪽으로 파고들어가 있는 광성동은 강계군의 최남단이다. 1895년 광성, 남상, 남하, 운상, 운하 5개 동으로 광성면을 분리했으나 1914년 다시 편입되었다. 1913년 운상동과 운하동을 합병해 용운동을 신설하였고, 1930년대에 남상동과 남하동을 합병해 남흥동을 신설하였다.
    • 북한 행정구역상 옛 룡림군 소재지로 면소재지인 신창동 일대는 희천발전소 건설의 일환인 룡림댐 건설로 인해 수몰되었다.
  • 이서면(吏西面)
    • 관할 동: 송학(松鶴), 등공(登公), 송하(松下), 함부(咸富)
    • 군 북쪽에 있는 면.
  • 입관면(立館面)
    • 관할 동: 용문(龍門), 운송(雲松), 창평(倉坪), 천산(天山), 화양(化陽)
    • 강계군의 최남단 3면(화경면·입관면·용림면) 중 하나. 만포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창평역(구 운송역)이 있다. 현재의 운송역(구 중암역)은 전천면 소재. 북한 행정구역상 룡림군 소재지(화양동).
  • 전천면(前川面)
    • 관할 동: 장흥(長興), 중암(仲巖), 창덕(倉德)
    • 강계군 남부의 중심지 역할을 하던 곳으로 북한 행정구역상 전천군 소재지. 만포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운송역(구 중암역), 전천역이 있다.
  • 종남면(縱南面)
    • 관할 동: 한전(閑田), 성장(成章), 원평(院坪), 장평(長坪)
    • 군 북쪽에 있는 면. 강계읍에서 후창군 방면으로 가는 국도가 있다. 북한 행정구역상 장강군 소재지.
  • 종서면(從西面)
    • 관할 동: 신성(新城), 종포(從浦), 황청(黃淸)
    • 군 북쪽에 있는 면.
  • 화경면(化京面)
    • 관할 동: 고인(古仁), 길다(吉多), 신적(新積), 이만(梨滿), 진평(津坪), 황린(黃麟)
    • 강계군의 최남단 3면(화경면·입관면·용림면) 중 하나. 만포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진평역(구 구현역), 고인역, 리만역이 있다.

5. 출신 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분류:강계시 출신 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냉면 전문점 모란각 창업주로 유명한 가수 김용 고려대총장을 역임한 광복군 김준엽이 강계 출신이다.

6. 여담

  • 6.25 전쟁 당시 UN군이 북진하자, 북한 정권은 평양을 포기하고 한동안 강계를 임시수도로 삼았다가 55일 만인 12월 6일에 탈환한 평양으로 환도하였다. 이때 방송으로는 정부를 신의주로 옮겼다고 했다. 이러한 이력 때문인지 현재도 휴전선 후방 깊숙히 있으면서도 상당수의 북한군 전력이 집중된 곳이다. 유사시에는 임시수도 겸 북한 지도층의 피난처 겸 중국군 개입 루트의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추정된다. 강계 주변에는 굴뚝만 산 정상에 돌출된 지하공장(대부분 군수공업 시설로 추정)과 비밀철도도 많은 것으로 보인다.
  • 6.25 전쟁 당시 대한민국 국군 UN군이 단 한 번도 점령해 보지 못한 땅이라는 점에서 조선인민군이 단 한 번도 점령해 보지 못한 땅인 부산광역시의 대척점이라 할 수 있다. 만약 6.25 전쟁이 남한이 평양을 수복한 채 휴전으로 끝났다면, 이곳이 계속 북한의 수도로 남아있었을 가능성도 있다.
  • 1991년 11월 30일, 이 곳의 대표적인 군수공장인 강계 뜨락또르 종합공장(26호 공장) 야적장에서 대형 폭발사고가 발생했다. 이곳은 각종 화기의 탄약, 미사일 등을 제조하는 생산기지여서 야적장에는 생산된 다량의 폭발물이 쌓여 있었고, 엄청난 연쇄폭발로 이어졌다. # 이 사고로 인한 화재 진압 과정에서 생산시설로 불이 번지는 걸 막기 위해 결사대가 지하공장 출입구를 폐쇄했고, 그 안에 갇힌 야간작업조 300여 명 전원이 질식사했다고 한다. 지상에서의 사망자도 1,000명이 넘는다는 이야기가 있으나, 정확히 1개월 전에 있던 평강역 폭발사고와 마찬가지로 자세한 내막은 북한 당국에 의해 철저히 은폐되어 정확한 사망자 숫자는 알 수 없다.[18] #
  • 강계포도술(와인)을 제조한다고 한다.

[1] 2022년 [2] 2022년 [3] 조선로동당 통일전선부 소속으로 추정되는 대외 선전매체인 조선의 오늘에서 2016년 7월 18일에 공개한 모습으로, 건물 외벽에 LED, 네온사인을 붙여 선전용으로 연출한 것이다. 출처 [4] 사진에 있는 한옥처럼 생긴 건물은 인풍원으로, 2008년부터 2014년까지 장자강 강변에 건설하고 2015년 1월 8일 문을 연 종합문화복지시설이다. 외형상으로는 3층 건물이지만 2층까지 운영되는 것으로 보이며, 1층에는 지열냉난방 설비를 갖춘 수영장과 목욕탕, 세탁실, 미용실, 안마실, 이발실, 운동실, 탁구장이 있고 2층에는 식당이 있다고 한다. 북한의 말로는 개업 후 2년 동안 10만 명이 방문했다고 한다. 그런데 수영장 내부 사진을 보면 선전용 사진에서도 수질이 매우 좋지 않은 게 확연히 보여(수영장 물이 거의 녹물 수준으로 탁하며, 어린이수영장 물은 아예 시커멓다) 북한의 수도(水道) 실태가 열악하다는 것을 스스로 인정한 거랑 다를 게 없게 되었다. # 다만 이는 북한이 일제강점기에 건설된 수도를 아직도 사용하기 때문에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다. 평양도 김정은 집권 이후로 중심부는 수도를 싹 다 교체해서 사정이 나아졌지만 외곽 지역은 수도 실태가 열악하다고 하는데 평양보다 인프라가 훨씬 열악한 지방 도시들이야 말할 필요도 없다. 같은 기간 동안 남한에서는 수도를 새로 만드는 등 낡은 인프라들을 모두 교체하여 일제강점기에 만든 시설물들은 지금은 하나도 없다. 물론 후에 보도된 자료들을 보면 인풍원도 수도 보수 공사를 한 것으로 보인다. [5] '외룡상점', '외룡고급중학교'라는 간판이 있다. [6] 썸네일처럼 연인끼리 손을 잡는 것은 2010년대 후반 기준으로 북한에서 좀 깬 사람들이 하는 행동이다. [7] 동상 위치, 춤추는 곳 [8] 북한은 김정숙의 고향이라며 선전했지만 조선시대에도 나오던 말이었다. # 일제강점기 작가 이효석의 《모던걸 멜론》이라는 작품에서도 등장한다. [9] 참고로 제주시의 위도는 북위 33도 30분이다. 이스탄불보다 위도가 7.5도나 더 낮은 곳이라는 뜻이다. 따라서 북위 41도에 있는 이스탄불이 북위 33도에 있는 제주시와 같은 기온이다. [10] 참고로 서귀포시의 위도는 북위 33도 15분이다. 북위 41도에 있는 나폴리가 북위 33도에 있는 서귀포보다 더 따뜻하다는 뜻이다. [11] 참고로 강계시가 속한 자강도는 척박한 자연환경 때문에 고난의 행군 시기에 주민들이 가장 고생을 했던 곳이었다고 한다. [12] 참고로 그 '강계정신'이란 것의 내용이
▲자기 수령만을 믿고 받드는 수령숭배의 정신
▲당의 구상과 의도를 무조건 실현하기 위해 투쟁하는 결사관철의 정신
▲자신의 힘을 믿고 자기 단위의 살림살이를 자체로 꾸려나가는 자력갱생·간고분투의 혁명정신
▲사회주의 미래에 대한 신심과 희망을 잃지 않는 혁명적 낙관주의 정신
이라고 한다. #
[13] 그러나 고난의 행군 시기에 김정일은 '쪽잠에 줴기밥(주먹밥)'은 커녕 외국산/특제 최고급 식재료들로 만든 최고급 요리들을 한 끼마다 20~30개씩 먹었다. [14] 실제로는 러시아 우수리스크 출신이다. [15] 중국어 표기법에 의하면 메이지선이지만 明治線으로 오해될 소지가 있어 한국 한자음으로 적음. [16] 공귀리는 1949년 북한이 공인동의 일부를 분리하여 설정한 행정구역이다. [17] 해군 무기 어뢰(魚雷)와는 무관하다. [18] 물론 2000년대에는 통신매체의 발달로 인해 북한도 더 이상 대규모 사건사고를 완전히 숨길 수 없게 되어 룡천역 폭발사고 평양 아파트 붕괴 사고 같은 사건사고들이 해외에도 알려지게 되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