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07 23:41:19

이명(1496)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조선 정승
중종 ~ 광해군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좌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65대

김수동
제66대

박원종
제67대

류순정
제68대

성희안
제69대

송질
제70대

정광필
제71대

김응기
제72대

신용개
제73대

안당
제74대

남곤
제75대

이유청
제76대

정광필
제77대

심정
제78대

이행
제79대

장순손
제80대

한효원
제81대

김근사
제82대

김안로
제83대

윤은보
제84대

류부
제85대

홍언필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85대

홍언필
제86대

윤인경
제87대

류관
}}}
제88대

성세창
제89대

이기
제90대

홍언필
제91대

윤인경
제92대

황헌
제93대

심연원
제94대

상진
제95대

윤개
제96대

안현
제97대

이준경
제98대

심통원
제99대

이명
제100대

권철
제101대

홍섬
제102대

박순
제103대

이탁
제104대

박순
제105대

홍섬
제106대

노수신
제107대

김귀영
제108대

정유길
제109대

노수신
제110대

정유길
제111대

류전
제112대

이산해
제113대

정철
제114대

류성룡
제115대

최흥원
제116대

윤두수
제117대

유홍
제118대

김응남
제119대

윤두수
제120대

이원익
제121대

이덕형
제122대

이항복
제123대

정탁
제124대

이원익
제125대

이항복
제126대

이헌국
제127대

김명원
제128대

윤승훈
제129대

류영경
제130대

기자헌
제131대

심희수
제132대

허욱
제133대

기자헌
제134대

이항복
제135대

이덕형
제136대

이항복
제137대

정인홍
제138대

한효순
제139대

박승종
제140대

박홍구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우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78대

박원종
제79대

류순정
제80대

성희안
제81대

송질
제82대

정광필
제83대

김응기
제84대

신용개
제85대

안당
제86대

김전
제87대

이유청
제88대

권균
제89대

심정
제90대

이행
제91대

장순손
제92대

한효원
제93대

김근사
제94대

김안로
제95대

윤은보
제96대

류부
제97대

홍언필
제98대

김극성
제99대

윤인경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99대

윤인경
제100대

류관
제101대

성세창
}}}
제102대

이기
제103대

정순붕
제104대

황헌
제105대

심연원
제106대

상진
제107대

윤개
제108대

윤원형
제109대

안현
제110대

이준경
제111대

심통원
제112대

이명
제113대

권철
제114대

민기
제115대

홍섬
제116대

이탁
제117대

박순
제118대

노수신
제119대

강사상
제120대

정유길
제121대

김귀영
제122대

정지연
제123대

정유길
제124대

노수신
제125대

정유길
제126대

류전
제127대

이산해
제128대

정언신
제129대

정철
제130대

심수경
제131대

류성룡
제132대

이양원
제133대

윤두수
제134대

유홍
제135대

김응남
제136대

정탁
제137대

이원익
제138대

이덕형
제139대

이항복
제140대

이헌국
제141대

이항복
제142대

이헌국
제143대

김명원
제144대

윤승훈
제145대

류영경
제146대

기자헌
제147대

심희수
제148대

허욱
제149대

한응인
제150대

심희수
제151대

이항복
제152·153대

정인홍
제154대

정창연
제155대

정인홍
제156대

한효순
제157대

민몽룡
제158대

박승종
제159대

박홍구
제160대

조정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조선 정승
정간공(貞簡公)
이명
李蓂
출생 1496년 6월 9일[1]
(음력 연산군 2년 4월 19일)
사망 1572년 9월 22일[2] (향년 76세)
(음력 선조 5년 8월 6일)
시호 정간(貞簡)
본관 예안 이씨
요서(堯瑞)
동고(東皐)
부모 부친 - 이보간(李輔幹)
모친 - 해평 윤씨 윤혼(尹渾)의 딸[3]
부인 안동 김씨 - 김의문(金義文)의 딸
자녀 1남 3녀
장남 - 이응로(李應老)
장녀 - 달성 서씨 서대(徐岱)의 처
차녀 - 신천 강씨 강종선(康從善)의 처
3녀 - 의령 남씨 남응서(南應瑞)의 처

1. 개요2. 생애3. 묘역

[clearfix]

1. 개요

조선 중기의 문신.

2. 생애

1496년( 연산군 2년) 음력 4월 19일에 태어났다. 아버지는 연산현감을 지냈던 이보간이다.

1525년( 중종 20년)에 사마시에 합격하고 3년 뒤에 문과에 급제하면서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 승문원 권지와 예문관 검열 등을 거쳐 병조 예조의 좌랑을 지냈고, 명나라에 서장관으로서 다녀오기도 했다. 이후에도 사헌부 지평, 호조 정랑, 홍문관 교리 직을 맡았으며 홍주목사 및 담양군수를 역임하는 등 지방관으로서 선정을 베풀기도 했다. 그 뒤 직제학, 동부승지, 우부승지, 대사간, 부제학을 지냈으며, 대사헌 이조, 호조, 공조 판서를 거쳐 우의정 좌의정 직까지 오르는 등 주요 고위직을 역임했다.

이명은 우리가 생각하는 바른 선비의 전형이었던 듯 하다. 즉, 공사 구분이 철저하고 의로운 일이면 반드시 행해야 하는 성격이었던 것 같다. 명종 시기 문정왕후의 동생 윤원형이 득세하던 시절에 그 일파였던 이기가 마음대로 권력을 휘두르며 죄없는 선비들을 괴롭히자 이를 비판하며 그를 배척했고, 이조참판 직을 역임하던 1553년(명종 8년)에는 을사사화 때 억울하게 죽은 사람들을 복권시키라고 명종에게 아뢰기도 했다. 이게 얼마나 대단한 것이냐하면, 저 시기는 을사사화를 일으킨 주범인 문정왕후와 윤원형이 시퍼렇게 살아서 권력의 정점에 있던 때였다(!). 정말 말 그대로 목숨걸고 간언한 것. 또한 1565년(명종 20년) 가을에는 청백리로 선정받았다. 청백리는 청렴하고 강직한 신하에게 국가에서 내려주는 호칭인데, 조선왕조 500년 역사 상 청백리 호칭을 받은 사람은 불과 217명 뿐이었다. 즉, 굉장히 받기 힘든 영예인 것. 국가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할 정도로 이명의 성품이 깨끗하면서도 소신 있었다는 뜻이다.

명종이 붕어하고 선조가 왕이 되자 70대 초반의 노인이었던 이명은 사직을 청했고, 1572년(선조 5년) 음력 8월 6일에 세상을 떠났다. 향년 77세.[4]

3. 묘역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54호 55호 56호
창빈 안씨 묘역 정간공 이명 묘역 종묘 어정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55호
정간공 이명 묘역
貞簡公 李蓂 墓域
소재지 <colbgcolor=#fff,#191919> 서울특별시 노원구 초안산로7길 44 (월계동 산766)
시대 1574년 ( 선조 7년)
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 금석각류 / 비
수량 / 면적 분묘 2基, 석물 10基, 토지 259.9㎡
지정연도 1983년 11월 11일
관리자
(관리단체)
예안 이씨 이조판서공파
파일:정간공 신도비1.jpg
파일:정간공 신도비2.jpg
<colbgcolor=#c00d45,#94153e> 정간공 이명 신도비(위)와 비각(아래)[5]
[clearfix]
묘는 서울특별시 노원구 월계동에 있다. 묘역 일대는 1983년 11월 11일에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1호로 지정받았다. 묘의 석물로는 문관석과 망주석이 각각 2기 있고, 석등과 묘갈이 각각 1기 씩 있다.

묘의 동남쪽에 그의 일생을 기록한 신도비가 있다. 는 이명 사후 2년 뒤인 1574년(선조 7년)에 세운 것으로, 김귀영이 비에 새길 글을 짓고, 신충겸이 글씨를 썼다. 네모난 받침돌 위에 비를 세운 형태로, 윗 부분을 둥글게 만들었다. 받침돌 측면에는 조각이 새겨져있다.

신도비를 보호하기 위해 비각을 만들었다. 지붕은 맞배지붕으로, 측면에 나무로 만든 풍판을 두었다. 처마는 홑처마, 공포는 이익공이며 공포 사이마다 화반을 두었다. 단청은 모루단청으로 칠했다.

정면 1칸, 측면 1칸으로, 벽과 창이 없이 사방이 뚫려있다. 단 사방에 홍살을 설치했는데 홍살의 높이는 매우 낮다. 정면에 있는 홍살 가운데에는 아주 작은 문이 달려 있다. 이 문을 통해 비각으로 들어갈 수 있다.
[1] 율리우스력 5월 31일 [2] 율리우스력 9월 12일 [3] 태종의 13녀 소숙옹주의 증손녀. [4] 당시 나이 셈법인 세는나이 기준. [5] 첫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두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