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4 23:28:51

신재효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파일:문화부 심볼.svg 이달의 문화인물
(1990-1997)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90년
7월
김정희
8월
장영실
9월
김소월
10월
세종대왕
11월
김홍도
12월
신재효
1991년
1월
나운규
2월
정철
3월
한용운
4월
김정호
5월
방정환
6월
정약용
7월
문익점
8월
안익태
9월
허준
10월
주시경
11월
윤선도
12월
이해랑
1992년
1월
이황
2월
정선
3월
박지원
4월
우장춘
5월
신사임당
6월
류성룡
7월
일연
8월
홍난파
9월
고유섭
10월
이윤재
11월
안창호
12월
윤동주
1993년
1월
이이
2월
이인문
3월
장보고
4월
이천
5월
윤극영
6월
원효
7월
지석영
8월
안중근
9월
박연
10월
최현배
11월
장지연
12월
윤백남
1994년
1월
우륵
2월
황희
3월
김유정
4월
홍대용
5월
강소천
6월
이상백
7월
안견
8월
박은식
9월
박승희
10월
이희승
11월
정도전
12월
신채호
1995년
1월
강세황
2월
조식
3월
월터 정
4월
최무선
5월
이원수
6월
김병로
7월
이육사
8월
김구
9월
채동선
10월
김윤경
11월
이수광
12월
곽재우
1996년
1월
김만중
2월
최치원
3월
이순지
4월
서재필
5월
김명국
6월
유일한
7월
도선
8월
심훈
9월
왕산악
10월
정인승
11월
전형필
12월
이제마
1997년
1월
송석하
2월
성현
3월
최윤덕
4월
이중환
5월
초의 (의순)
6월
한호
7월
이세보
8월
박제가
9월
박진
10월
장지영
11월
왕인
12월
송진우
※ 선정 당시 기관명은 문화부(1990~1993) → 문화체육부(1993~1998) → 문화관광부(1998~2005)였다.
이달의 문화인물(1998-2005) }}}}}}}}}
<colbgcolor=white><colcolor=#000000,#dddddd> 1990년 12월 이달의 문화인물
신재효
申在孝 | Shin Jae-hyo
파일:이달의 문화인물 신재효.jpg
출생 1812년
조선 전라도 고창현
사망 1884년 (향년 73세)
조선 전라도 고창현
재임 기간 조선국 가선대부
1878년 3월 2일 ~ 1879년 3월 16일
거주지 조선 한성부, 경기도 고양군
본관 평산 신씨[1]
백원(百源)
동리(桐里), 호장(戶長)
부모 부친 - 신광흡(申光洽, ? ~ ?)
모친 - 경주 김씨 김상려(金常礪, ? ~ ?)의 딸
직업 판소리 연구가, 판소리 작가

1. 개요2. 생애3. 관련 장소4. 기타

[clearfix]

1. 개요

조선 후기의 판소리 이론가이자 작가. 본관은 평산(平山)[2], 자는 백원(百源), 호는 동리(桐里).

2. 생애

1812년 전라도 고창현(現 전라북도 고창군)에서 아버지 신광흡(申光洽)과 어머니 경주 김씨 김상려(金常礪)의 딸 사이의 아들로 태어났다.

1877년(고종 14) 한량으로서 은수룡(殷壽龍)과 함께 빈민 구휼을 위해 돈 500냥을 기부하여 그에 대한 포상으로 정3품 통정대부의 품계에 올랐다. # 이후 가선대부 호조참판에까지 올랐다.

종래 계통없이 불리어오던 광대 소리를 통일하여 12마당을 《춘향가》, 《심청가》 등 6마당으로 정립, 체계를 이루고 독특한 판소리 사설 문학을 이룩하였다. 최초의 판소리 서적인 《조선창극사》를 저술하기도 했다.

그는 판소리의 흥행 가능성(?)을 내다보고 광대패를 조성하는가 하면 현재 개념으로 보자면 연예 기획사에서 아이돌 양성까지도 해냈다. 그 때까지의 판소리 가창자는 성량으로 승부하는 남성 위주였지만[3] 신재효는 여성 가창자를 키우는가 하면, 싹이 보이는 아동을 가르쳐 소리를 하게 했는데 이게 당시로선 엄청나게 충격적이고 파격적인 시도였다.

자신의 집에 문하생을 들이고, 판소리 교육공간까지 마련한 신재효 덕분에 동편제에 속하는 박만순, 김세종[4], 전해종, 김창록과 서편제에 속하는 이날치, 김수영, 정창업 등이 그의 밑에서 판소리를 수련했다. 최초의 여성 명창이라 평가받는 진채선, 허금파도 그의 지도 아래 성장할 수 있었다.

이렇게 아동에게 소리를 하게 하는 것을 童唱이라 하는데, 신재효는 동창용 판소리를 또 따로 집필해(동창 춘향가) 부르게 했다. 문제는 이 동창용 판소리에 음담패설이 무지막지하게 많았다는 것... 사실 지금이나 당대에나 문제거리로 지적될 일이지만 어린애가 음담패설하는 걸 듣고 좋아라 한 인간이 많았던 모양이다.(...)[5]

평소 판소리를 매우 즐겼던 흥선대원군도 신재효와 진채선의 재능을 인정해서 운현궁에 자주 부르는 등 매우 총애했다고 한다.

3. 관련 장소

평생을 고향인 고창에서 주로 활동했기 때문에 동리 신재효의 족적은 대부분 고창에 남아있다. 여러 문하생들이 수련했던 신재효의 고택은 현재 중요민속자료 제39호로 보존되어 있다. 더불어 그 맞은편에는 여러 국악공연 및 문화예술행사가 열리는 동리국악당이 자리잡고 있으며, 근처에 세워진 고창판소리박물관과 판소리공원도 신재효를 기념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현재는 이러한 장소들을 연결하는 도로를 판소리길로 지정하고 관광지로 운영하는 중이다.

참고로 판소리길 끝에는 고창읍성이 위치하고 있어 같이 둘러보기 좋다.

4. 기타

  • 신재효 판소리 필사본인 고수 청계본의 완질이 발견되었다고 한다. 지금까지 전해지는 판소리 판본은 모두 1940년대 이후에 정리된 것이라 하며 19세기 당시의 언어와 생활상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라 한다. #


[1] 현령공파 27세 재(在) 항렬. [2] 현령공파 27세 재(在) 항렬. [3] 남창(男唱) [4] 아예 문하생으로 들어갔으며 결국 명창 자리에 오른다. [5] 다만 판소리 창법은 성대에 특수한 결절을 생성하는 노래 방식이기 때문에, 성장기의 성대에 결절이 생기면 성장 후엔 목소리를 아예 잃게 된다. 심심찮게 TV에 나오는 판소리 영재들이 성장 후엔 왜 소리없이 사라지는지에 대한 이유 중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