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2-25 00:51:45

이중환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현 제주특별자치도청 고위공무원에 대한 내용은 이중환(공무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박근혜 대통령 탄핵 심판에서 박근혜 전 대통령 측 대리인으로 활동한 법조인에 대한 내용은 이중환(법조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파일:문화부 심볼.svg 이달의 문화인물
(1990-1997)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90년
7월
김정희
8월
장영실
9월
김소월
10월
세종대왕
11월
김홍도
12월
신재효
1991년
1월
나운규
2월
정철
3월
한용운
4월
김정호
5월
방정환
6월
정약용
7월
문익점
8월
안익태
9월
허준
10월
주시경
11월
윤선도
12월
이해랑
1992년
1월
이황
2월
정선
3월
박지원
4월
우장춘
5월
신사임당
6월
류성룡
7월
일연
8월
홍난파
9월
고유섭
10월
이윤재
11월
안창호
12월
윤동주
1993년
1월
이이
2월
이인문
3월
장보고
4월
이천
5월
윤극영
6월
원효
7월
지석영
8월
안중근
9월
박연
10월
최현배
11월
장지연
12월
윤백남
1994년
1월
우륵
2월
황희
3월
김유정
4월
홍대용
5월
강소천
6월
이상백
7월
안견
8월
박은식
9월
박승희
10월
이희승
11월
정도전
12월
신채호
1995년
1월
강세황
2월
조식
3월
월터 정
4월
최무선
5월
이원수
6월
김병로
7월
이육사
8월
김구
9월
채동선
10월
김윤경
11월
이수광
12월
곽재우
1996년
1월
김만중
2월
최치원
3월
이순지
4월
서재필
5월
김명국
6월
유일한
7월
도선
8월
심훈
9월
왕산악
10월
정인승
11월
전형필
12월
이제마
1997년
1월
송석하
2월
성현
3월
최윤덕
4월
이중환
5월
초의 (의순)
6월
한호
7월
이세보
8월
박제가
9월
박진
10월
장지영
11월
왕인
12월
송진우
※ 선정 당시 기관명은 문화부(1990~1993) → 문화체육부(1993~1998) → 문화관광부(1998~2005)였다.
이달의 문화인물(1998-2005) }}}}}}}}}


李重煥

1690년( 숙종 16) ~ 1756년( 영조 32)

1. 개요2. 생애

1. 개요

조선 후기의 실학자이다.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휘조(輝祖), 호는 청담(淸潭)·청화산인(靑華山人)이다. 이다. 삼종조부 성호 이익(李瀷)[1]의 문인이다.

2. 생애

1690년 한성부 서부 황화방 군기사계 소정동(현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2][3]에서 예조 참판을 지낸 아버지 이진휴(李震休)와 함양 오씨 오상주(吳相胄)의 딸 사이의 아들로 태어났다. 정5품 통덕랑(通德郞)의 품계를 갖고 있던 1713년( 숙종 39년), 증광시 문과에 병과 24위로 급제하여 #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다. 승문원 정자, 김천도 찰방, 승정원 주서, 병조 정랑 등을 역임하였다.

영조가 즉위하자 목호룡의 당여[4]라는 이유로 구금되어 여러 번 유배를 당하였다.

유배에서 풀려나 세상을 떠날 때까지 전라도와 평안도를 제외한 조선 전역을 두루 답사하였다. 이 과정에서 당시 전국의 인심과 풍속 및 물화의 생산지·집산지 등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는 관직에서 물러난 사대부들이 살아갈 수 있는 새로운 삶의 터전을 찾아보자는 동기였다. 그가 가장 좋은 곳을 선정하는 기본 관점은 인심과 산천이 좋을 뿐만 아니라 경제적 교류가 좋은 곳이었는데, 이러한 것을 바탕으로 쓴 저서가 바로 택리지이다.

택리지에서 사농공상의 구분을 단순한 직업적 차이로만 보았다. 그리고 지리적 환경을 잘 이용할 것, 상업적 농업 등을 중시하였다.
1754년 복권되었다. 동시에 승정원 주서를 역임한 것이 감안되어 통정대부로 품계가 올랐다.


[1] 이중환의 고조부 이지정(李志定)의 동생 이지안(李志安)의 손자이다. [2] 종1품 의정부 좌찬성을 지낸 5대조 이상의(李尙毅) 때부터 이 곳에 정착하기 시작하였으며, 이상의의 후손을 '정동 이씨'라고 불렀다고 한다. # [3] 충청도 공주목 출생이라는 말도 있다. 일단 부계의 고향은 충청도이기에 충청도 출신으로 볼 수 있다. [4] 이중환의 스승 성호 이익이 일단 근기남인의 주요 인물이었고, 첫째 부인은 사천 목씨 목호룡의 일족이면서 사헌부 대사헌을 지낸 목임일(睦林一)의 딸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