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9 17:23:46

이원익

이원익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colcolor=#f0ad73>
조선 영의정
중종 ~ 광해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60420, #b82642 20%, #b82642 80%, #960420); min-height: calc(1.5em + 9.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48대

류순
제49대

박원종
제50대

김수동
제51대

류순정
제52대

성희안
제53대

송질
제54대

류순
제55대

정광필
제56대

김전
제57대

남곤
제58대

정광필
제59대

장순손
제60대

한효원
제61대

김근사
제62대

윤은보
제63대

홍언필
제64대

윤인경
제64대

윤인경
제65대

홍언필
제66대

이기
제67대

심연원
제68대

상진
제69대

윤원형
제70대

이준경
제70대

이준경
제71대

권철
제72대

이탁
제73대

홍섬
제74대

권철
제75대

홍섬
제76대

권철
제77대

홍섬
제78대

박순
제79대

노수신
제80대

류전
제81대

이산해
제82대

류성룡
제83대

최흥원
제84대

류성룡
제85대

이원익
제86대

윤두수
제87대

이원익
제88대

이산해
제89대

이항복
제90대

이덕형
제91대

이항복
제92대

윤승훈
제93대

유영경
제94대

이원익
제95대

이덕형
제96대

이원익
제97대

이덕형
제98대

기자헌
제99대

정인홍
제100대

박승종
}}}}}}}}}

<colcolor=#f0ad73>
조선 영의정
인조 ~ 경종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60420, #b82642 20%, #b82642 80%, #960420); min-height: calc(1.5em + 9.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101·102대

이원익
제103대

윤방
제104대

신흠
제105대

오윤겸
제106대

윤방
제107대

김류
제108대

이홍주
제109대

최명길
제110대

홍서봉
제111대

이성구
제112대

최명길
제113대

신경진
제114대

심열
제115대

홍서봉
제116대

김류
제117대

홍서봉
제118대

김류
제119대

김자점
제120대

이경석
제121대

이경여
제122대

김육
제123대

정태화
제124대

김육
제125대

이시백
제126대

김육
제127대

이시백
제128대

정태화
제129대

심지원
제130대

정태화
제130대

정태화
제131대

홍명하
제132대

정태화
제133대

허적
제134대

정태화
제135대

허적
제136대

김수흥
제137대

허적
제137대

허적
제138대

김수항
제139대

남구만
제140대

김수흥
제141대

여성제
제142대

권대운
제143대

남구만
제144대

류상운
제145대

서문중
제146대

최석정
제147대

서문중
제148대

최석정
제149대

신완
제150대

최석정
제151대

이여
제152대

서종태
제153대

이유
제154대

서종태
제155대

김창집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155대

김창집
제156대

조태구
제157대

최규서
}}}
}}}}}}}}}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조선 정승
중종 ~ 광해군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좌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65대

김수동
제66대

박원종
제67대

류순정
제68대

성희안
제69대

송질
제70대

정광필
제71대

김응기
제72대

신용개
제73대

안당
제74대

남곤
제75대

이유청
제76대

정광필
제77대

심정
제78대

이행
제79대

장순손
제80대

한효원
제81대

김근사
제82대

김안로
제83대

윤은보
제84대

류부
제85대

홍언필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85대

홍언필
제86대

윤인경
제87대

류관
}}}
제88대

성세창
제89대

이기
제90대

홍언필
제91대

윤인경
제92대

황헌
제93대

심연원
제94대

상진
제95대

윤개
제96대

안현
제97대

이준경
제98대

심통원
제99대

이명
제100대

권철
제101대

홍섬
제102대

박순
제103대

이탁
제104대

박순
제105대

홍섬
제106대

노수신
제107대

김귀영
제108대

정유길
제109대

노수신
제110대

정유길
제111대

류전
제112대

이산해
제113대

정철
제114대

류성룡
제115대

최흥원
제116대

윤두수
제117대

유홍
제118대

김응남
제119대

윤두수
제120대

이원익
제121대

이덕형
제122대

이항복
제123대

정탁
제124대

이원익
제125대

이항복
제126대

이헌국
제127대

김명원
제128대

윤승훈
제129대

류영경
제130대

기자헌
제131대

심희수
제132대

허욱
제133대

기자헌
제134대

이항복
제135대

이덕형
제136대

이항복
제137대

정인홍
제138대

한효순
제139대

박승종
제140대

박홍구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우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78대

박원종
제79대

류순정
제80대

성희안
제81대

송질
제82대

정광필
제83대

김응기
제84대

신용개
제85대

안당
제86대

김전
제87대

이유청
제88대

권균
제89대

심정
제90대

이행
제91대

장순손
제92대

한효원
제93대

김근사
제94대

김안로
제95대

윤은보
제96대

류부
제97대

홍언필
제98대

김극성
제99대

윤인경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99대

윤인경
제100대

류관
제101대

성세창
}}}
제102대

이기
제103대

정순붕
제104대

황헌
제105대

심연원
제106대

상진
제107대

윤개
제108대

윤원형
제109대

안현
제110대

이준경
제111대

심통원
제112대

이명
제113대

권철
제114대

민기
제115대

홍섬
제116대

이탁
제117대

박순
제118대

노수신
제119대

강사상
제120대

정유길
제121대

김귀영
제122대

정지연
제123대

정유길
제124대

노수신
제125대

정유길
제126대

류전
제127대

이산해
제128대

정언신
제129대

정철
제130대

심수경
제131대

류성룡
제132대

이양원
제133대

윤두수
제134대

유홍
제135대

김응남
제136대

정탁
제137대

이원익
제138대

이덕형
제139대

이항복
제140대

이헌국
제141대

이항복
제142대

이헌국
제143대

김명원
제144대

윤승훈
제145대

류영경
제146대

기자헌
제147대

심희수
제148대

허욱
제149대

한응인
제150대

심희수
제151대

이항복
제152·153대

정인홍
제154대

정창연
제155대

정인홍
제156대

한효순
제157대

민몽룡
제158대

박승종
제159대

박홍구
제160대

조정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역대 종묘 배향공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00d45,#94153e> 태조 조준, 의안대군, 이지란,
조인옥, 남재, 이제, 남은
정종 익안대군
태종 하륜, 조영무, 정탁, 이천우, 이래
세종 황희, 최윤덕, 허조, 신개,
이수, 양녕대군, 효령대군
문종 하연
세조 권람, 한확, 한명회
예종 박원형
성종 신숙주, 정창손, 홍응
중종 박원종, 성희안, 류순정, 정광필
인종 홍언필, 김안국
명종 심연원, ■이언적
선조 이준경, ■이황, ■이이
인조 이원익, 신흠, 김류, 이귀,
신경진, 이서, 능원대군
효종 김상헌, ■김집, ■송시열,
인평대군, 민정중, 민유중
현종 정태화, 조경, 김좌명, 김수항, 김만기
숙종 남구만, ■박세채, 윤지완,
최석정, 김석주, 김만중
경종 이유, 민진후
영조 김창집, 최규서, 민진원, 조문명, 김재로
장조 이종성, 민백상
정조 김종수, 유언호, 김조순
순조 이시수, 김재찬, 김이교,
조득영, 남연군, 조만영
문조 남공철, 김로, 조병구
헌종 이상황, 조인영
철종 이헌구, 익평군, 김수근
고종 박규수, 신응조, 이돈우, 민영환
순종 송근수, 이완용, 서정순
: 문묘 종사 동국 18현을 겸하는 6인(동무종향)
: 문묘 종사 동국 18현을 겸하는 6인(서무종향)
}}}}}}}}}

남인
南人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동인
선조
(1575 ~ 1608)
이황 정개청 이덕형 김성일 류성룡
우성전 정구 김응남 이원익 심희수
허성 윤승훈 신식 이광정 신용
정경세 이성구 이준
광해군 - 인조
(1608 ~ 1649)
근기남인 (북인) 영남남인
정구 장현광 윤선도 윤휴 이현일
이하진 이수광
효종 - 숙종
(1649 ~ 1720)
윤선도 허목 민희 민점 윤휴
목내선 류형원 이서우 김덕원 민암
이의징 신경제 이운징 신필청 장희재
청남 탁남
허목 홍우원 윤휴 허적 권대운
이원정 오시수 오정창 류혁연 허견
경종 이후
(1720 ~ )
실학 (중농학파) 탁남
이익 이중환 류득공 정사효 이인좌
청남
신서 공서 (벽파)
채제공 이가환 이승훈 신후담 안정복
정약전 정약종 정약용 홍낙안 목만중
세도 정치
조선의 붕당
( 관학파 · 훈구파 · 사림파 · 동인 · 서인 · 남인 · 북인 · 소론 · 노론 · 개화당 · 수구파 · 정동파 · 위정척사파 · 급진개화파 · 온건개화파)
}}}}}}}}} ||
<colbgcolor=#b82642><colcolor=#f0ad73>
조선 영의정
완평부원군(完平府院君) 문충공(文忠公)
이원익
李元翼
<nopad> 파일:Yi_Won-ik.jpg 일본 덴리대학 소장 이원익 초상화(1590년 작)
출생 1547년 12월 15일[1]
(음력 명종 2년 10월 24일)
한성부 유동 천달방
(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동숭동 일대)
사망 1634년 2월 26일 (향년 86세)
(음력 인조 12년 1월 29일)
경기도 금천현 서면
(現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
묘소 경기도 광명시 소하2동 산137-1번지
( 이원익 선생 묘 및 신도비)
재임기간 제85대 영의정
1598년 11월 6일 ~ 1599년 7월 17일
(음력 선조 31년 10월 8일 ~ 선조 32년 5월 26일)
제87대 영의정
1599년 11월 9일 ~ 1600년 2월 29일 이전
(음력 선조 32년 9월 22일 ~ 선조 33년 1월 15일 이전)
제94대 영의정
1608년 3월 29일 ~ 1609년 9월 10일
(음력 선조 41년 2월 14일 ~ 광해군 1년 8월 13일)
제96대 영의정
1611년 9월 30일 ~ 1612년 7월 19일
(음력 광해군 3년 8월 24일 ~ 광해군 4년 6월 21일)
제101대 영의정
1623년 4월 15일 ~ 1625년 3월 29일
(음력 인조 1년 3월 16일 ~ 인조 3년 2월 21일)
제102대 영의정
1625년 9월 8일 ~ 1627년 1월 23일
(음력 인조 3년 8월 7일 ~ 1626년, 인조 4년 12월 7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b82642><colcolor=#fff> 봉호 완평부원군(完平府院君)
시호 문충(文忠)
본관 전주 이씨
공려(功勵)
오리(梧里)
학력 별시문과에 병과 급제 ( 음력 1569년)
공훈 충근정량효절협책호성공신 2등
선무원종공신 1등
신장 69~154cm[2]
붕당 남인
부모 부친 - 함천군(咸川君) 이억재(李億載, 1503 ~ 1585)[3]
모친 - 동래 정씨 정치(鄭錙)의 딸[4]
부인 연일 정씨 - 정추(鄭樞)의 딸[5]
자녀 3남 5녀
장남 - 이의전(李儀傳, 1568 ~ 1647)
장녀 - 이경선(李敬善, 1574 ~ ?)
서장녀 - 이기선(李箕善, 1594 ~ ?)
서차녀 - 이의선(李儀善, 1598 ~ ?)
서3녀 - 이인선(李仁善, 1602 ~ ?)
서장남 - 이효전(李孝傳, 1604 ~ ?)
서4녀 - 이말선(李唜善, 1608 ~ ?)
서차남 - 이제전(李悌傳, 1611 ~ ?)
}}}}}}}}}
파일:이원익 신도비.jpg
이원익 신도비

1. 개요2. 생애3. 여담4. 초상화5. 대중매체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뜻과 행동은 나보다 나은 사람과 비교하고 분수와 복은 나보다 못한 사람과 비교하라.
(志行上方 分福下比)
이원익의 좌우명
조선 중기의 문관.

조선 시대 인물들 중에서도 손꼽히는 실무형 관료들 중 한 명이며, 서로 다른 정치 세력에 의해 왕위에 오른 광해군 인조[6]가 모두 첫 영의정으로 선택한 인물이 이 사람이다. 보통 야사 등에서는 호를 사용해 오리 대감이나 오리 정승으로 부르는 인물.[7] 태종의 왕자 익녕군의 4세손. 경기도 금천현(현 광명시) 출신.[8]

2. 생애

명재상으로 유명한 동고 이준경의 문인으로 1569년(선조 2년) 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에 있었다. 성품이 소박하고 조용해 사람 사귀기를 즐기지 않아 공적인 일이 아니면 나오지 않았으므로 이원익을 아는 이가 없었으나 류성룡만은 이원익의 슬기로움을 알고 존경하였다. 1573년 성균관 전적(典籍)으로 성절질정관(聖節質正官)이 되어 하사(賀使) 권덕여를 따라 명나라에 다녀온 1574년 예조랑(禮曹郞)에서 뽑혀 종5품 황해도 도사(都事)가 되어 병적(兵籍) 정비에서 실력을 발휘했다.

이 때가 율곡 이이가 황해 감사로 있을 때여서 이이의 신임을 얻었으며[9] 후에 이이가 천거하여 1576년 정6품 사간원 정언(正言)이 되고 1578년 홍문관에 들어갔으며 1583년 승지가 되었다. 그러나 왕자사부 하낙이 승정원이 왕의 총명을 흐리게 한다고 상소함으로써 책임을 지고 파면되었다.

1587년 평안도의 중심지 중 하나였던 안주에 전염병과 기근이 닥쳐 폐촌(廢村)이 될 지경에 이르자 이조참판 권극례(權克禮)가 이원익의 실무 능력을 이유로 추천해 정3품 안주목사에 기용되었다.[10] 이원익은 우선 양곡 1만석을 동원해 기민(棄民)을 구호하고 곡식종자를 마련하는 한편 백성들에게 누에를 치는 법을 가르치고 권장해 재활에 힘썼고, 피폐해진 백성들의 부담을 줄이고자 번상병제의 교대 기간을 3개월에서 2개월로 줄였는데 성과가 뛰어나서 이 조치는 후에 윤두수의 건의로 전국에 확대 적용될 정도였다. 이 당시 평안도에서 대단한 인심을 얻어 백성들이 이원익의 말이라면 마치 어버이처럼 따랐다고 한다. 이후 임진왜란에서 이 인심을 바탕으로 평안도에서 대병력을 편성하는 데 성공한다.

그 후, 종2품 사헌부 대사헌이 되었다가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정2품 이조판서로서 평안도 도순찰사를 겸직하여 선조가 피란하는 길에 앞장섰으며 흩어진 군사를 모아 적과 싸웠다. 이후, 조선군의 총사령관이라고 할 수 있는 도체찰사에 임명되어 곽재우 등의 의병장과 교류하여 이를 위무하였고, 한산도에서 열심히 자력갱생하고 있던 이순신과도 통하여 후에 이순신이 선조의 정략에 휘말려 삼도수군통제사 관직을 박탈당하고 참수당할 위기에 처하자 정탁, 당시 도원수 권율과 함께 이순신을 극력 변호하였다.[11]

1598년 명나라에서 정응태의 무고사건이 벌어지자 조선은 3차례에 걸쳐 진주사를 파견하였고 이원익은 2차 진주사로 가 현안을 해결하고 1599년에 돌아와 영의정이 되었다. 하지만 북인의 맹렬한 공격을 받은 류성룡을 변호하다가 함께 사직했다. 이후, 소하리 선산(先山)에 가 있었으나 1600년 다시 소환되어 이항복의 뒤를 이어 좌의정이 되었고, 1604년 비로소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고 완평부원군(完平府院君)에 피봉되었다.

광해군이 즉위하자 선위 문서를 숨긴 류영경이 죽은 뒤 다시 영의정이 되고, 그리고 이원익과 같이 선조 시절에 중용받은 신하들은 이후의 왕조를 그나마 유지시켜주었던 여러 개혁안에 대해 탐색했으며 이원익은 결국 광해군 즉위 직후 1608년 이후 백년간 개혁의 효시인 경기선혜법(京畿宣惠法)[12]의 초안을 올림으로써 대동법을 건의하여 시행하도록 하였으며 불합리한 세금 제도를 고치게 하고 후대에도 좋은 평가를 받았다. 또한 군사 제도를 개혁하는 등 사상적으로 이원익은 공리공론에 머물지 않고 정치 및 행정에 실제로 활용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 같은 사상은 최초로 대동법 시행을 정책적으로 실현한 면모를 통해 알 수 있다. 하지만, 1615년 인목대비의 폐모(廢母)론을 반대하다 홍천에 유배되었으며, 1619년 풀려나와 여강[13]에 머물렀다.

1623년 인조반정 직후, 중신이자 인망이 있다는 이유로 남인 세력에다가 당시 77세의 고령임에도 불구하고 영의정 직에 다시 올랐다. 이후 광해군 시절 북인 정권에 대한 처벌과 관련된 논쟁에서 온건파로서 북인 정권의 핵심 인물들만 처벌하고, 북인 출신의 단순 가담자는 봐주자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는 민심을 수습해야 하고 하여금 보복의 강도를 감소시키는데 공헌하자는 주장이다. 그래서 서인 정권은 인조반정 때나 이괄의 난이 일어나면서 이이첨, 류희분, 기자헌, 박홍구를 비롯한 북인 정권 시절에 권력 실세이자, 핵심 인물들을 처벌했다.

물론 서인 정권은 북인 중에서 권력 실세를 처벌하면서 광해군의 측근 세력들까지 몰살하기 위해, 북인 출신인 단순 가담자까지 처벌하고 광해군 시절, 북인 내의 권력 실세와 측근 세력들을 무자비하게 멸망시키게 해서 소북 출신이었던 남이공, 김신국, 윤휘, 이경전, 정온 등은 살아남아 정계에서 활동했다. 그래서 서인 정권 하에서 그런 일이 일어나자 공주에서 늦게 소식을 접한 이원익은 "이제 나도 폐물이 되었구나. 수십 명씩 죽었는데도 알지 못했으니."라며 혀를 찼다고 한다.

야사에서는 인조반정 직후 살기등등한 반정군 사이를 유유히 지나 유폐되어 있던 광해군에게 '왜 자기 말을 듣지 않았냐?'면서 눈물을 흘리자 광해군이 아무 말 없이 고개를 떨궜다는 일화가 있다. 또한, 인조에게 "광해군을 사사한다면 자신도 관직에 더는 있을 수 없다."고 말했다고도 하는데, 애초에 둘 다 야사일 뿐이며 광해군을 살리는 건 인조를 포함한 반정 측 인사들의 공통된 합의였기에[14] 딱히 그런 발언이 대단한게 아니라고는 하지만, 새로운 왕과 그 무리를 두고 쫓겨난 왕에게 예를 다한 점은 범상한 게 아니다.

인조반정 직후, 영의정에 올라 인조가 '당장 해야 하는 게 무엇인가?'를 물었을 때 '군사를 정비하는 것이나 인사 문제보다 민생을 안정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그리고 민생 안정에 있어서는 공납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급선무이다'는 요지의 건의를 하여 3도 대동법(시행 지역: 강원도, 충청도, 전라도) 시행을 주장했다. 그러나 전결 파악의 미비, 거듭된 흉년으로 인해 더 확대되지 못한 채 강원도 일대만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었으며, 심지어 자신도 대동법 철폐를 주장하기에 이른다.

1624년 이괄의 난 때에 도체찰사가 되어 공주로 피란하는 왕을 모셨으며, 정묘호란 때에는 임진왜란과 이괄의 난에 이어 또다시 도체찰사가 되어 세자를 호위하여 전주로 갔다가 강화도로 와서 왕을 호위했다. 환도한 뒤, 훈련도감 제조에 제수되었으나 80이 넘은 고령[15]을 이유로 사직을 청하고 오리곡(지금의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으로 낙향했으며 여러 차례 왕의 부름이 있었으나 응하지 않았다. 물론, 실록 기록 등을 보면, 사직 상소를 올리긴 했지만, 번번이 인조가 거절했으며, 이후에도 가끔씩 궁궐에 일이 날 때마다 원로로서 출입해 의견을 피력하기는 하였다.

1634년 88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고, 사후 인조 묘정에 배향되었다. 4년 전에 써 놓은 친필 유서를 비롯한 유훈에는 풍수설에 구애받지 말고 소하동 선산에 안장할 것을 당부하였고, 재물로 가족들이 화목하지 못함을 경계하여 불의한 재물을 모으지 말 것을 여러 차례 강조하고 있다. 빈소에 소현세자가 직접 조문했다고 하며, 저서로 《오리집》 등이 있다.

1628년 연풍 현감으로 부임하는 손자 이수약에게 내려준 지침에는 마음가짐을 비롯하여 아랫사람을 다스리는 방법 쓸데없는 일을 벌이지 말 것을 당부하는 내용 등 실질을 숭상하는 모습이 드러나 있다.
서여손수약부연풍현(書與孫守約赴延豊縣) 출처

1. 너의 아버지는 전후 고을을 맡을 때마다 청렴과 간명(簡明)으로 백성을 보호한다고 여러 번 임금에게 알려졌다. 너는 네 아버지의 아들이니, 마땅히 마음에 새겨 자신을 가지고 집안의 명성을 떨어뜨리지 말라.
1. 세상을 다스리는 데에는 백성을 사랑하는 것보다 더한 것이 없고, 몸을 닦는 데는 욕심을 적게 하는 것보다 더한 것이 없다.
1. 천하의 실정을 안 다음에야 천하의 일을 이룰 수 있다.
1. 일에 임했을 때 지나친 분노를 경계하고, 서서히 일의 실정을 파악하라.
1. 사람을 다스림에 상벌이 없을 수가 없으니, 착한 자에게는 상을 주고, 악한 자는 벌을 주어야 한다.
1. 하나의 이익을 일으키는 것이 하나의 폐단을 제거하는 것만 못하고, 한 가지 일을 만들어 내는 것이 한 가지 일을 줄이는 것만 못하다.
1. 읍중에 일이 있거든 노련한 관리와 연로한 인민에게 물어서 인정에 합하기를 힘써야 하고, 거만을 부리고 자신이 옳다고 하여 민심을 떠나게 해서는 안 된다.
1. 백성은 마땅히 어루만지고 은혜를 베풀어야하고, 관속을 대우하는 것도 너무 각박하게 해서는 안 된다.
1. 모든 일은 마땅히 때에 따라 마음을 다해야 한다. 어찌 일일이 지휘할 수가 있겠느냐?

이원익 선생 묘 및 신도비는 출생지인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에 있으며, 묘 주변에는 이원익을 기리는 충현박물관[16]과 충현역사공원이 조성되어 있는데, 이원익의 선산은 충현박물관과 함께 참배가 가능하다. 또한 경내에 이원익의 고택이자 종택인 관감당이 있다. 본 건물은 1916년에 다시 중건된 것이며, 과거에는 실제 후손들이 거주하고 있었기에 관람이 불가했었으나, 충현박물관 개관과 함께 개방되어 현재는 일반인들도 관람이 가능하다.

3. 여담

  • 작은 로 유명하여 이와 관련된 야사가 많다. 한 야사에 따르면 관직에 오른지 얼마 안 되었을 당시에 영의정 이준경이 그를 천거하면서 몸이 약해 산삼 20근은 족히 먹여야 하지만 빈궁하여 그러지를 못하고 있다고 하자 선조는 즉시 산삼 20근을 내렸다. 그 후 벼슬길에 오른 신임 관리들을 친견하는 자리에서 이원익의 모습을 보고자 하니 이준경이 "이원익은 키가 매우 작으니 발돋움하셔야 보일 것입니다." 하니 정말 그러했는데 이 모습을 본 선조는 "아까운 산삼만 버렸구나." 라며 웃었다고 한다. 그의 키는 구전에 따르면 3척 3촌 정도라고 하는데 당시 의 길이는 종류에 따라 짧으면 20.8cm에서 길면 46.6cm 가량이었으므로 이를 그대로 대입하면 그의 키는 최소 69cm에서 최대 154cm 범위 안에 있다고 볼 수 있다. 현실적으로 후자에 가까운 130~150cm대의 수치였을 것이다. 다른 버전에서는 명종이 산삼 20근을 주고 "아까운 산삼만 버렸구나."라고 웃어넘겼으나 훗날 임진왜란이 터진 후에 이원익이 종횡무진 활약하자 선조가 "선왕께서 잃어버린 산삼을 이제야 찾았구려."라고 했다고 한다. 이쪽이 더 재미있고 앞뒤 관계가 들어맞기는 한데... 앞서 기술했듯이 이원익이 벼슬에 오른건 선조 2년이다.
  • 다른 야사에 따르면 자기도 키가 작은 것에 콤플렉스가 있었는지 젊을 적에 한 치(약 3cm)가 되는 나막신을 신고 다녔는데 그것을 본 관상쟁이가 "아깝다, 키가 딱 한 치만 작았으면 영의정이 될 상인데." 라고 하며 혀를 찼다고 한다. 그러자 이원익은 그 자리에서 나막신을 벗었고 관상쟁이는 미래의 영의정을 뵙는다며 절을 올렸다고 한다.
  • 벼슬에 오른 후 중국어를 익혔다고 한다. 어찌나 열심이었던지 퇴근 후에는 집에 틀어박혀 얼굴을 볼 수 없기에 주변에서 처자정자(處子正字)[17]라 부르며 놀렸으나 동기인 강서[18] 혼자만이 "너희들은 이원익에 미치지 못한다. 이원익은 훗날 나라가 어지러울 때 정승이 되어 큰 일을 할 것이다." 라고 홀로 변호했다고 한다. 그것은 현실이 되었다. 퇴근하고 항상 영어 공부하는 오늘날의 직장인들이 떠오른다
  • 명나라에 갔을 때 직급이 낮았기 때문에 역관들조차도 무시하고, 때로는 중국어로 놀리기까지 했는데도[19] 성품이 온화했던 이원익은 잠자코 넘어갔다고 한다. 그러나 막상 명나라에 도착하자 명나라 예부상서를 만나 통역도 없이 유창한 중국어를 구사하며 일사천리로 일을 끝마치자 이 때까지 이원익을 무시하던 역관들이 두려워하고 감복했다고 한다.
  • 아버지의 약을 구하기 위해 의원을 찾아가 약을 지었는데 하필 의원이 각기병에 걸려서 거동이 불가능한 상태라 매번 직접 찾아갔다고 한다. 때문에 의원의 집에서는 이원익이 벼슬아치인 줄도 몰랐다고 한다.[20]
영남 사람들이 이원익과 류성룡을 두고 말했다.
"이원익은 속일 수는 있지만 차마 속이지 못하겠고, 류성룡은 속이고 싶어도 속일 수가 없다."
(嶺南人稱完平西厓曰:完平可欺而不忍欺, 西厓欲欺而不可欺.)
남학명(南鶴鳴)의 <晦隱集(회은집)>[21]
  • 청백리하면 으레 거론되는 위인 중 1명이며 당파로는 남인에 속해 있었으나 성품이 원만하여 반대파로부터도 호감을 받았는데 이준경의 문인으로 이이로부터 극찬을 받았다. 나중에 쫓겨났을 때는 남자 백성들이 웃통을 벗어서 그가 밟는 길에 놓았으며 모두 통곡했다고 한다.
"글과 친하려니 노후(老後)가 가까웠고, 글씨나 시를 즐기자니 혼자서 하기는 겸연쩍다. 사람들과 모여서 즐기자니 어울릴 만한 사람도 없다. 그렇다고 장기나 바둑은 악습(惡習)이라 좋아하지도 않는다. 반면 돗자리를 짜면서 소일하면 백 가지 잡념이 가라앉곤 한다."[22]
  • 유배 당시에는 별로 할 일이 없자 서툴게나마 돗자리를 만들기 시작했는데, 이원익 본인은 위와 같이 말하였다. 나이가 70이 다 되어서 늦게 배운 솜씨라 서툴렀지만 계속 이것만 만들다보니 나중에는 제법 실력이 늘었고 그렇게 만든 돗자리를 거리낌없이 원하는 사람들에게 그냥 주었다고 한다. 유배가 풀리면서 영의정이 되자 유배 당시에 그가 만든 돗자리는 '영상 대감이 만든 돗자리'로 알려져 값이 엄청 올라 그냥 받은 돗자리를 5백 냥이나 되는 거액에 판 사람도 있었다고 하는데 이름하야 '영상수직석'(領相手織席). 약 250년이 지나서 흥선대원군도 어느 선비가 낡을대로 낡은 돗자리를 선물했기에 "이게 뭔가?" 했더니 "오리 이원익 영상 대감이 손수 지은 돗자리"라는 답변에 놀라워하며 아꼈다고 한다. 물론, 손으로 짠 돗자리가 250년이나 버틸 가능성은 없으니 흥선군이 받은 돗자리는 사기였을 가능성이 높으며, 단지 사람들이 이원익이 만들었다는 돗자리를 얼마나 귀히 여겼는가를 알려주는 이야기 정도로만 받아들이면 될 것이다. 현재도 그가 만든 돗자리는 남아 있지 않다.
  • 영의정 시절 야사로 이원익이 사가에 다녀올 일이 있어 길 안내할 아이 하나만 데리고 길을 떠났다. 길을 가던 도중 주막에서 국밥으로 요기를 하는데 하필이면 그날 그 고을에 신임 사또가 행차한 날이었다. 사또는 주모에게 진수성찬을 차려오라 강요했고, 주모는 할 수 없이 쌀과 고기를 빌려다가 사또의 상을 차렸다. 그런데 정작 한 상 잘 차려먹은 사또는 주모에게 음식값 한 푼 주지 않고 그대로 가버렸다. 이에 대노한 이원익은 곧장 관아로 가 사또를 크게 질책하고 직첩과 관인을 도로 빼앗았다고 한다. 부임한 그날 바로 잘린 것.
  • 길을 가다 동전 한 닢을 깊은 내에 빠트리자 지나가던 백성 둘에게 각각 한 닢씩 사례금으로 주고 내에 들어가 빠진 동전을 찾아냈다. 이걸 보고 사람들이 동전 한 닢을 위해 동전 두 닢을 썼으니 손해라고 말하자 물에 빠진 동전 한 닢은 그대로 두면 죽은 돈이 되지만 이렇게 건져내고 또 그를 위해 쓴 사례금 두 닢은 돌고 돌아 경제에 공헌할테니 손해가 아니라고 말하여 그 시야의 넓음에 모두들 감탄했다고 한다. 조선시대의 케인스학파
  • 어찌나 청렴한 생활을 했던지 다 쓰러져가는 방 두어 칸의 초가집에서 살았고 말년에 인조가 그 청렴함을 높이 사 5칸짜리 집을 하사했다. 관값마저 없어 결국 나라에서 장례를 치러주었다고 한다.
  • 이원익의 집에 관련된 일화로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해진다. 이원익이 집을 짓기 위해 목재를 마련했는데 마침 호조판서가 되는 바람에 집 짓는 것을 미뤘다가 나무가 모조리 썩어버렸다고 한다. 호조판서는 재정을 책임지기 때문에 남들에게 횡령이나 부정축재로 비추어질까 봐서이다. 말 그대로 오비이락을 걱정한 상황. 청백리라 하면 나오는 대표적인 일화. 이원익의 집
  • 광명시 3~4학년 지역 교과서에서 죽도록 우려먹힌다. 이쪽 위인이 거의 없다보니...[23]
  • 나이에 비해 흰머리가 많았다고 한다.

4. 초상화

파일:681eef8f1536175700430.jpg 파일:501ea6d01540842936058.jpg
충현박물관 소장 이원익 선생 영정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초상화

5. 대중매체

  • 1974년 TBC 드라마 <인목대비>에서는 배우 연규진이 연기했다.
  • 1995년 KBS 드라마 < 서궁>에서는 배우 신구가 연기했다. 당시 중신의 위치에 있었으면서 청백리로도 통했던 이원익의 모습을 보여준다. 41회에서 돗자리를 짜는 장면도 나오는데 한쪽이 다 헤진 정자관을 쓰고 바지와 저고리만 입고 흙방에 앉아 돗자리를 짜는데 싱크로율이 쩐다.
  • 2003년 SBS 드라마 < 왕의 여자>에서는 배우 강인덕[24]이 연기했다. 배우의 풍채가 좋은 편이어서 겉으로 드러나는 모습 자체가 초상화와는 전혀 딴판이었고 배우의 필모그래피에서도 드러나듯 주로 맡아온 배역들이 선 굵은 용장이어서 이원익의 내면적인 이미지와도 괴리가 있다는 평을 듣는 편.
  • 2004년 KBS 드라마 < 불멸의 이순신>에서는 배우 윤덕용[25]이 연기했다. 전형적인 문신 이미지이기는 한데 드라마 포커스 자체가 이순신에 집중되어 있다 보니 비중은 없는 편. 실제 역사에서 이순신을 옹호하였던 이원익과는 달리 류성룡이 이순신을 옹호하려 하자 그걸 말린다.
  • 2015년 MBC 드라마 < 화정>에서는 가수 겸 배우 김창완[27]이 연기했다. 드라마 자체가 왜곡이 심한데 외적으로는 미염공의 간지넘치는 수염을 자랑했던 이원익의 초상화와는 딴판으로 수염이 매우 적고 짧으며 흰칠만 안했으면 이덕형보다 연소해보인다. 광해군 대에도 대동법(당시에는 경기선혜법) 실시에 있어서 영향을 미쳤던 이원익의 공이 이덕형에게로 넘어갔다.[28]

6. 관련 문서



[1] 율리우스력 12월 5일 [2] 구전에 따르면 키가 3척 3촌이라고 한다. 당시 조선에서 사용되던 1척의 길이는 종류에 따라 짧으면 20.8cm에서 길면 46.6cm 가량이었다. 이를 기계적으로 대입하여 계산했을 때 나올 수 있는 키의 범위이다. 다만 적어도 100cm는 넘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3] 익녕군의 증손자. [4] 정창손의 후손. [5] 태종의 13녀 소숙옹주의 외5대손. 소숙옹주 안관의 처 윤씨 어숙평의 처 안씨 → 어계호 → 정추의 처 어씨 → 정씨 [6] 광해군은 북인, 인조는 서인 세력에 의해서 왕위에 올랐다. [7] 동물 오리가 아니다. 오동나무 마을이란 뜻의 '梧里'를 사용했다. [8] 실제 출신지는 한성부. 금천현은 선산이 있던 곳이다. [9] 이이가 이원익에게 모든 일을 다 맡겼을 정도라고 하는데 "일과 시간에는 내 일을 돕고, 네 직무는 일과가 끝나면 해라."라고 했다고 한다. [10] 윤승운 맹꽁이 서당에서는 해당 일화를 소개하며 이 때의 일로 인해 '명망 높아 안주 목사'란 말이 생겨났다고 전한다. [11] 후일 인조와 대화하던 중 이 일에 대해서 이원익이 회상하길 "이 일을 생각하면 지금도 울분을 가눌 수가 없습니다."라고 했을 정도였다. 류성룡은 뭐했느냐 하는 사람도 있는데, 당시 류성룡은 이순신 비판에 가담했다. 다만, 이순신에게 악의가 있는 건 아니었고, 당시 남인의 영수로서 선조가 이순신을 미워하는 것을 알았기에 자신이 무조건 이순신 편을 들면, 이순신과 남인 자체가 위험해질 수 있어 어쩔 수 없이 구명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못하고 비판에 가담한 것이다. 다만, 못 해주면 못 해준거지 자신이 이순신을 모른 척한 이야기를 징비록에서 은근슬쩍 빼는 치졸한 모습을 보인다. 전후 가장 처음 남긴 기록인 난후잡록에는 이때 뇌물을 써서 이순신을 구명할 수는 없을까하고 찾아온 이순신의 조카 이분에게 '왜 나한테 그런걸 물어보냐?'고 퉁명스럽게 말하고 돌려보낸 기록이 있는데, 난후잡록을 바탕으로 쓴 징비록 초본에는 이 대목이 지워졌다. 써놓고 보니 자기한테 누가 될 거 같아 슬쩍 빼버린 것이다. [12] <광해군대 京畿宣惠法의 시행과 선혜청의 운영>, 4-5, 8-10, 17, 29-30 [13] 현재의 여주시 [14] 광해군을 죽이자고 주장한 건, 자기 아들인 영창대군이 비명에 간 인목대비 뿐이며 이에 대해 반정 수뇌부는 '걸, 주가 폭군이었지만 탕, 무는 단지 이들을 추방하는데 그쳤다(그런데 걸왕이 유배당한 건 기록에 남아있지만, 주왕의 경우 이들의 주장과는 다르게 상나라 멸망이 확정된 이후 스스로 분신해 목숨을 끊었으며, 시신은 무왕에게 목이 베였다).'거나 ' 중종 연산군을 살린 전례가 있다.'면서 인목대비를 뜯어말렸다. 근데 진짜 광해군을 죽였다면 새로운 반역이 일어나 '너도 반역을 일으켜 왕을 죽였는데 나라고 못할쏘냐?'하고 하극상이나 반역이 일어난다. 옛날 중국에서 군주를 시해하고 군주에 오른 자들은 말로가 좋지 않았다. 설사 제위에 무난히 올랐다 하더라도 후손들에게 악영향을 미쳤다. [15] 정묘호란 당시 그의 나이가 81세였다. [16] 충현박물관은 후손들이 세운 곳이다. 사이트 [17] 양갓집 규수처럼 얼굴 보기 힘든 사람이라는 의미. 정자(正字)는 당시 이원익의 관직명이다. [18] 난곡 강서를 이른다. 강서는 모나지 않은 성품으로 이원익과 친했고 여러 실무직을 거쳐 승지를 지냈다. 관악산 자락에 있는 난곡 공원이 이 사람의 호를 딴 것. 동생 강신도 여러 요직을 맡았는데, 그의 아들이자 강서의 조카가 바로 강홍립이다. 강서 본인은 정여립의 난을 예언했다고 하며, 임진왜란 3년 전인 1589년에 졸했다. [19] 조선시대 관리들은 한문을 익혔기 때문에 중국인과 의사 소통이 가능하기는 하지만 어디까지나 필담에 해당되고 중국어를 말하고 듣는 수준까지는 이르지 못하는게 일반적이었다. [20] 조선시대 양반이라면 잡일은 아랫 사람에게 맡기는 것이 일상이었기 때문. 양반은 다리 6개(말이나 나귀의 다리 4개+하인의 다리 2개)가 아니면 바깥 거동을 하지 못한다는 말도 있다. [21] 이 말은 『사기』 「골계열전」에 실린 "자산이 정나라를 다스리자 백성들이 그를 속일 수가 없었고, 자천이 선보를 다스리자 백성들이 차마 그를 속이지 못했으며, 서문표가 업을 다스리자 백성들이 감히 그를 속이지 못했다(子産治鄭 民不能欺 子賤治単父 民不忍欺 西門豹治鄴 民不敢欺)"는 말과 비슷하다. [22] 더불어 조선시대 때 가난한 양반들은 돗자리를 짜 팔아서 입에 풀칠했다고 한다. 시대상 장사나 막일 같은건 양반으로서는 도저히 할 수 없는 일이니까. 농사 짓는 것은 농본주의인 유교 이념상 양반 체면에 딱히 어긋나는 일이 아니니까 그나마 괜찮았지만, 농사도 자기 땅이 있어야 짓는 것이었고. 참고 사실 돗자리 짜다가 황제 된 양반 보면 알겠지만 과거부터 글 줄 깨나 익혔는데 생계가 막막한 사람들이 즐겨 찾던 유구한 호구지책이기도 했다. [23] 보통 이 분 아니면 무의공 이순신이 언급된다. [24] 1996년 KBS 드라마 < 용의 눈물>에서는 이지란 역, 2000년 KBS 드라마 < 태조 왕건>에서는 유금필 역, < 공화국 시리즈>에서는 김두한 역. [25] 2001년 KBS 드라마 < 명성황후>에서는 홍영식의 아버지인 홍순목 역. 드라마 초반에 잠시 나왔다 사라진 '오상(吳祥)' 역할을 연기하기도 해서 1인 2역. 오상은 선조 초반기까지 활동했던 문신이다. [26] 2008년 KBS 드라마 < 대왕 세종>에서는 김문 역, 2006년 SBS 드라마 < 연개소문>에서는 알천 역. [27] 2008년 SBS 드라마 < 일지매>에서는 인조 역, 2010년 개봉한 영화 <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에서는 선조 역. [28] 삼도 대동법 철폐를 주장했던 만년을 제외하면 이원익은 시종일관 대동법 실시를 생각했고 정승 반열에 오른 뒤 대동법 실시를 위해 항상 앞장섰던 인물이며 한때는 반대도 무시하고 대동법 실시를 하자고 나섰다. 광해군이 대동법 실시를 추진하고 그걸 위해 이덕형을 영의정으로 삼는 것이 나오는데 심지어 "대동법은 이덕형 대감의 숙원"이라는 소리까지 나온다. 실제로 이덕형은 이항복과 더불어 대동법에 비관적이었던 사람이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