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0 00:19:38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앙재판소

북한 법원에서 넘어옴
국가별 최고 사법기관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대한민국 대법원 · 대한민국 헌법재판소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미국 연방대법원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최고재판소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중화인민공화국 최고인민법원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영국 대법원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연방일반법원 · 연방헌법재판소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프랑스 파기원 · 프랑스 국사원 · 프랑스 헌법위원회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사법원 · 대만 최고법원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태국 헌법재판소 · 태국 대법원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오스트리아 헌법재판소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이탈리아 헌법재판소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스페인 헌법재판소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캐나다 연방대법원
* 독립한 문서가 존재하는 사법기관만 기재함
** 관련 문서: 최고법원 · 헌법재판기관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국무위원회
( 위원장)
최고인민회의 지방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내각 중앙검찰소 중앙재판소 지방인민위원회 지방(인민)재판소
}}}}}}}}}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최상급 재판소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e1622,#222222><tablebgcolor=#ee1622,#222222> 파일:북한 국장.svg 중앙재판소
中央裁判所

Central Court
}}} ||
파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앙재판소.jpg
파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앙재판소 재판정.jpg
<colbgcolor=#ee1622,#222222><colcolor=white> 약칭 중앙재(中央裁)
중앙법(中央法)
설립 1948년 9월 2일
연혁
[ 펼치기 · 접기 ]
최고재판소 (1948~1972)
중앙재판소 (1972~2010)
최고재판소 (2010~2016)
중앙재판소 (2016~ )
상급기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소장 최근영
주소

중앙재판소 청사
( 평양시 만경대구역 팔골2동)
1. 개요2. 특징3. 역대 중앙재판소장4. 관계 부문법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북한(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최고법원. 평양시 만경대구역 팔골2동에 있다.

근처에 칠골혁명사적관, 청년호텔, 향만루대중식당, 청년운동사적관, 평양교예극장, 칠골교회 등이 있다.

2. 특징

한국의 대법원에 상응하는 기관으로 최종 판결을 내리는 역할을 한다. 소장은 최고인민회의에서 대의원들의 선거에 의해 선출된다.

북한/사법 문서에서 알 수 있듯이 2심제를 채택하고 있는데 시/군 인민재판소에서 1심을 담당하고 도/직할시 인민재판소가 2심을 담당하지만 도/직할시 인민재판소에서 1심을 담당하면 중앙재판소가 2심을 담당하게 된다. 혹은 중앙재판소가 1심을 담당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단심으로 선고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 조선로동당의 거수기로 전락한 것처럼 중앙재판소도 사실상 김씨일가의 거수기로 전락한 상태다. 위헌법률심판권이 없어 어떤 법률이 헌법에 위반하더라도 뭘 할 수가 없다.[1] 그리고 정치적 범죄에 대해서는 100% 유죄를 때려버린다.

장성택이 재판받은 곳이기도 하며 특히 북한 공공기관 어디에서나 달려있는 김부자 사진이 달려있지 않은데 북한 외교관 출신 고영환에 따르면 "조국을 배반한 반역자는 위대하신 수령님의 얼굴을 볼 자격 조차 없다"란 의미라고 한다. 비슷하게도 북한의 행사중에 유일하게 김일성 김정일 초상화를 들고 나오지 않는 행사가 있는데 바로 공개 처형이다. 북한의 선전선동에서 수령은 인자하게 인민을 보호하는 의미로 꾸며지는데 공개처형같은 처벌에는 우상화 초상화를 들고 나올수 없기 때문이다.

3. 역대 중앙재판소장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602D09><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602D09>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제1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김익선 조성모 황세환 김하운 허정숙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김익선 리국진 리용구 방학세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방학세 최원익
제16대 제17대 제18대 직무대행 제19대
김병률 강석주 박명철
제20대 제21대 제22대 제23대
강윤석 차명남 최근영
}}}}}}}}}}}}}}}

  • 초대: 김익선 ( 1948년 9월 9일 ~ 1955년 3월 2일): 최고인민회의 1기 1차 회의에서 임명. 직총 중앙위원장, 국가검열상으로 이임.
  • 조성모(1955년 3월 2일 ~ 1956년 1월 27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에 따라 검사총장으로 이임.
  • 황세환(1956년 3월 13일 ~ 1957년 9월 20일)
  • 김하운(1957년 9월 20일 ~ 1959년 10월 28일): 최고인민회의 2기 1차 회의에서 임명.
  • 허정숙 ( 1959년 10월 28일 ~ 1960년 11월 24일): 최고인민회의 2기 6차 회의에서 임명.
  • 김익선 ( 1960년 11월 24일 ~ 1962년 10월 23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으로 임명.
  • 김익선(1962년 10월 23일 ~ 1966년 9월 30일): 최고인민회의 3기 1차 회의에서 재선.
  • 리국진(1966년 9월 30일 ~ 1967년 12월 16일)
  • 리용구(1967년 12월 16일 ~ ?): 최고인민회의 4기 1차 회의에서 임명. 리용구는 1970년 2월에 사망.
  • 방학세(1972년 12월 25일 ~ 1977년 12월 15일): 최고인민회의 5기 1차 회의에서 임명.
  • 방학세(1977년 12월 15일 ~ 1982년 4월 5일): 최고인민회의 6기 1차 회의에서 재선.
  • 방학세(1982년 4월 5일 ~ 1986년 12월 29일): 최고인민회의 7기 1차 회의에서 재선.
  • 방학세(1986년 12월 29일 ~ 1990년 5월 24일): 최고인민회의 8기 1차 회의에서 재선.
  • 방학세(1990년 5월 24일 ~ 1992년 7월 18일): 최고인민회의 9기 1차 회의에서 재선, 임기 중 사망.
  • 최원익(1992년 12월 11일 ~ 1998년 9월 5일): 최고인민회의 9기 4차 회의에서 임명.
  • 김병률(1998년 9월 5일 ~ 2003년 9월 3일): 최고인민회의 10기 1차 회의에서 임명.
  • 김병률(2003년 9월 3일 ~ 2009년 4월 9일): 최고인민회의 11기 1차 회의에서 재선.
  • 김병률(2009년 4월 9일 ~ ?): 최고인민회의 12기 1차 회의에서 재선.
  • 제1부소장 강석주[2] 권한대행.
  • 박명철(2014년 4월 9일 ~ 2016년 6월 29일): 최고인민회의 13기 1차 회의에서 임명.
  • 강윤석(2016년 6월 29일 ~ 2019년 4월 11일): 최고인민회의 13기 4차 회의에서 임명.
  • 강윤석(2019년 4월 11일 ~ 2021년 9월 29일): 최고인민회의 14기 1차 회의에서 재선.
  • 차명남(2021년 9월 29일 ~ 2023년 3월 1일): 최고인민회의 14기 5차 회의에서 임명.
  • 최근영(2023년 3월 1일 ~ ): 8기 7중전회에서 임명.

4. 관계 부문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재판소구성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둘러보기

북한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24FA2><colcolor=white> 상징 국기 · 국장 · 국가 · 국화 · 국수 · 국조 · 국견 · 국주
역사 역사 전반
지리 관서 · 관북 · 해서 · 관동
인문환경 한민족 ( 북한인) · 문화어 · 행정구역 ( 주소체계) · 교통
인물 · 가계도 · 김일성 · 김정일 · 김정은
사상·이념 이념 전반 · 최고존엄 · 백두산절세위인 · 백두혈통 ( 가계도) · 주체사상 ( 사회주의 대가정론) · 배움의 천리길 · 수령결사옹위정신 · 피포위 의식 · 대조선적대시정책 · 령토완정 · 자력갱생 · 강성대국 · 지상락원 · 우리식 인권
정치·안보 정치 전반 · 조선로동당 · 국무위원회 · 최고인민회의 · 따뜻한 환영의 음악
외교 전반 · 남북관계 ( 아프리카 외교전) · 남북러관계 · 남북통일 · 대북제재 · 비전향 장기수 · 적대적 두 국가론 ( 괴뢰한국)
조선인민군 ( 육군 / 해군 / 공군 / 전략군) · 군복 · 열악한 현실 ( 빈곤함 / 수송능력) · 징병제 · 핵개발 · 미사일 개발 · 열병식 · 대남 도발 ( 원인) · 대남공작기관 ( 남파공작원) · 땅굴
사법·규범 사법 전반 · 중앙검찰소 · 중앙재판소 · 사회안전성 · 국가보위성 · 보위국
교시 · 당의 유일적령도체계확립의 10대원칙 · 조선로동당규약 · 사회주의헌법
경제 경제 전반 · 경제사 ( 1980년대의 대규모 정책 실패 · 2023년 · 2024년) · 북한 원 · 북한의 국채 · 지하자원 · 산업 · 돈주 · 장마당 · 북한산 상품 · 주체농법 · 비날론 · 8.3 인민소비품 · 조선우편 · IT ( 휴대전화 / 게임 / 이동통신 / 광명망) · 아파트 · 차량
사회 사회 전반 · 우상화 ( 우상화 교과서 / 태양상 / 초상휘장 / 김일성김정일동상 / 1호 사진) · 조선대백과사전 · 조선중앙년감 · 공민증 · 맹원증 · 조선로동당당원증 · 계급 ( 기본 군중 / 복잡한 군중 / 적대계급잔여분자) · 조선소년단 · 궐기대회 · 생활총화 · 훈장 · 인권 · 려행증 · 주체의학 · 금당 2호 · 꽃제비 · 정치범수용소 ( 형성 / 실상)
문화 문화 전반 · 문화 검열 · 요리 · 기호식품 · 노래 · 창작물 ( 콘텐츠 목록 / 북한 영화) · 스포츠 ( 축구 대표팀) · 관광 ( 개성 / 금강산) · 북한의 한국 묘사 · 북한 유튜브 채널 · 북한의 한류 · 소해금
기타 주체년호 · 공휴일 · 한반도의 지도자 목록 · 납북 · 월북 · 탈북 ( 과정과 사례 / 북한이탈주민) · 대북송금 · 대북전단 · 북한의 국가장 · 북한 관련 뉴스
북한 관련 둘러보기 틀 }}}}}}}}}

북한의
공공청사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bgcolor=#f9f9f9,black> 파일:조선로동당_로고.svg 조선로동당
<colbgcolor=#cccccc,#333333> 종합청사 중앙당촌 ( 본부청사) · 3호 청사
독립청사 로동신문사
특수기관 보위국 · 정찰총국 · 호위사령부
의회 만수대의사당
종합청사 내각종합청사
독립청사 국가계획위원회 · 대외경제성 · 외무성 · 조선중앙방송위원회 ( 조선중앙텔레비죤) · 조선중앙은행 · 조선중앙통신사 · 중앙검찰소 · 중앙재판소
특수기관 국가보위성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성 · 사회안전성 (창광분주소)
북한 주재 외교공관
아시아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대사관
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대사관,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 공동대사관 (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대사관,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대사관,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대사관)
남미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대사관
}}}}}}}}}



[1] 설령 있어봤자 법률을 만드는 주체인 최고인민회의에게 판사에 대한 소환권이 있기 때문에 의미가 없다. [2] 외무성 제1부상, 내각 부총리를 지낸 강석주와 동명이인.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4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