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earfix]
1. 개요
북한의 주소체계에 대해서 다루는 문서.2. 특징
상당수의 주소가 행정구역만 나타냄으로써 주소를 나타낸다. 큰 단위부터 작은 단위까지, 주민 거주 지역에 한해서는 인민반까지 적는다.행정구역을 적을 때는 평양, 개성, 남포, 라선 등 직할시, 특급시는 ' 시'로만 표기한다. ' 면'은 1952년 군면리 대폐합으로 폐지하고 ' 리'가 그 역할을 대체하고 있다. 주민 거주 지역은 ' 반'이라는 행정단위를 표기할 수 있다. 링크
' 도로명주소'가 쓰인다고 하나 실제 대외선전매체 등 북한 매체에서 공개된 적이 없다. 일반 기관에서 이런 주소를 쓸 수 없는 것은 확실하며 매체에 잘 공개되지 않는 일반 주민 가정집의 주소에서나 큰 도시의 경우 이를 쓸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주소는 거리까지 나타낼 때도 자국의 주소를 나타낼 때는 이렇지 않다. ' 지번'이 쓰이는지조차 불분명하다. 심지어 천연기념물의 위치를 언급할 때조차 ' 동', ' 읍', ' 로동자구'까지만 표시하고 더 자세한 구분이 필요하면 어느 강, 어느 봉우리 근처에 있다고 언급하는 식이다. 즉, 주소에서 정확한 위치를 따지지 않는 경향이 강하다.
안정식 SBS 북한전문기자[1]는 북한은 등기부를 모조리 '태워버렸다'고 했다. 일제강점기에 만든 지적도의 행방은 아직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으나, 지적공부가 완전히 무효화되어 북한의 주소는 ' 평양시 낙랑구역 장벽2동 제73인민반 10층 1호' 같은 식이라고 전했다. # 낙랑구역은 ' 락랑구역'을 한국 정부의 한글 맞춤법에 따라 정리한 것으로 보인다.
한 탈북자가 도로가 들어간 '주소'를 보았다는 증언이 있는데 도로명주소/해외 문서를 보면 북한 외무성이 대외적으로 공개한 주소, 평양 출신 다른 탈북민의 주장은 대부분 이렇지 않고, 다른 지역과 같은 방식이다. 평양은 여기서 확인해볼 수 있다. 다만 검색 결과 표출과 달리 그 접속은 북한 사이트이기 때문에 대부분 차단당할 가능성이 높다. 일반 가정집에 한해 " 평양시 대성구역( 려명거리) 룡흥동(51-44 호동) 188 반 67 층 3 호 김영수동지 앞" 같이 쓰는 경우는 있는 것으로 보인다. #
예를 들면 북한 외무성 홈페이지에서는 외무성 산하 기관의 주소를 이렇게 적는다.
- 군축 및 평화연구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무성 군축 및 평화연구소 평양시 중구역 중성동
- 미국연구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무성 미국연구소 평양시 중구역 중성동
김일성종합대학도 북한 당국이 만든 홈페이지에서는 그 주소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시 대성구역 룡남동'라고 적는다.
북시탈tv라는 유튜브를 운영하는 김강유 씨는 '평양시 동대원구역 동신1동 37반'이 자신이 원래 살던 집이라고 하였다.
기타 지역의 경우에도 ' 함경남도 함흥시 흥덕구역 창흥리 4반 로금향' 같은 식으로 쓸 수 있다. 다만 '로금향'은 그 인민반 내에서 구분을 쉽게 하기 위한 임의적인 표시일 수도 있다.
북한 당국이 운영하는 사이트에서 언급되는 주소는 이 링크와 같다.
북한에서 각종 쓰레기가 밀려오는데, 그 포장지에는 '생산지'로 ' 평양시 보통강구역 운하동', ' 강원도 원산시 석현동' 등이 언급된다.
2023년 8월 23일, SBS가 중국의 한 공항에서 포착된 북한 주민들을 취재한 영상에서 한 북한 주민의 주소가 노출되었는데, (평양시) 평천(구역) 북성1동 104 3-2호라고 적혀있다.
[1]
북한 관련 박사 학위까지 받은 기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