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6 09:36:54

국번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국제 전화에서 각국을 식별하기 위해 부여된 번호에 대한 내용은 국가번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2. 역사3. 관공서4. 지역별 국번5. 휴대전화 국번
5.1. 01X 국번
5.1.1. 3자리 국번5.1.2. 4자리 국번 (9000번대)5.1.3. 4자리 국번 (1700번대)
5.2. 010 국번
6. 기타 국번7. 여담8. 관련 문서

1. 개요

국번()은 '전화(기지)국 번호', 즉 전화국 별로 할당된 식별 번호를 의미한다. "국번없이 112, 119를 눌러주세요." 라는 말은 바로 이 국번을 지칭하는 말이다. 국가번호의 준말이 아님에 주의. xxx - yyyy - zzzz라는 전화번호가 있을 때 xxx는 지역번호(유선) 또는 식별번호(무선)이고, yyyy가 국번에 해당한다. zzzz는 사번이라고 한다.

2. 역사

전화번호가 갓 생겼을 시절에는 일련번호 마냥 국번도 없이 4자리수의 번호만 딸랑 있었다.

물론 하나의 전화국당 수용 가능한 번호에는 한계가 있었으므로 전화국이 곳곳에 분국되어 있었만, 당시는 직접 다이얼을 돌려 숫자를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교환수를 거쳐 수동으로 전화가 연결되는 수동교환 방식이었기에 숫자로서의 국번(局番)은 존재하지 않았던 것이다.

국번은 자동전화교환기가 도입되며 만들어진 산물이다. 교환수를 거치지 않고 사용자가 직접 다이얼을 돌리는 방식으로 특정 전화국을 연결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 최초로 국번이 도입된 것은 1935년 경성 본국을 시작으로 스트로저(ST)식 자동전화교환기가 도입된 이후로, 이때부터 타 전화국에 등록된 가입자에게 전화를 걸 때 교환수에게 전화국명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다이얼을 돌려 전화국 번호를 전화번호의 앞에 찍는 식으로 바뀌었으며, 경성 본국은 2, 광화문국은 3, 용산국은 4 등의 국번이 할당되었다. 이때의 국번은 한자리수(X-XXXX)였으며, 여전히 수동교환방식을 사용하는 지방에는 국번이 존재하지 않았다.

이렇게 국번이 도입되었지만 이때의 자동교환기는 한국전쟁으로 인해 소실되었고, 전후인 1953년에야 다시 복구 #되어 서울 시내에서는 국번이 다시 사용되고, 특히 서울 본국은 과거 본국번호인 2가 그대로 쓰였다.

하지만 당시까지만 해도 모든 국민들이 전화를 소유한 것이 아니고 마을마다 약국 같은 곳에서만 단 한 대씩 있던 정도였고 그마저도 없는 마을도 많았다. 대도시 지역에는 그나마 네 자리 번호가 있었지만, 그 외 지역에는 두 세 자리, 심지어 한 자리 번호가 있는 건 약과였기에, 지방의 대다수 지역은 수동교환식이었으며, 때문에 그냥 전화기에 달려있는 레버를 돌려서 교환수에게 연결을 부탁했던 것이 1980년대 초까지의 이야기다.[1]

국번은 한동안은 한자리수(X-XXXX)으로 충분했지만, 1970년대 중반 이후로 전화 보급률이 올라가면서 두자리수 국번(XX-XXXX)이 등장하게 되었다.[2] 전화기 보급이 급증하면서 1976년부터 세자리수 국번(XXX-XXXX)[3], 1994년부터 네자리수 국번(XXXX-XXXX) 등으로 늘어나게 되었다. 1998년 지역번호를 광역자치단체별로 새로 만들면서 한두자리수 국번은 사라졌다.

2000년대 후반까지는 다른 동네로 이사가면 국번이 변경되었기 때문에 거의 모든 사람들이 거주 지역의 국번을 썼다. 예를 들어서 대학로 거주자가 과천으로 이사가면 3672국이 3677국으로 변경되며, 문산 거주자가 일산으로 이사가면 953국이 932국으로 변경되는 식이었다. 경우에 따라 이사간 곳 전화국 사번(zzzz)이 모두 배정된 경우 사번까지 변경된다. 최근까지도 전화국이 다른 곳으로 이사가면 국번 변경이 원칙이었고, 국번 변경을 원하지 않는 것(즉 자신의 전화번호를 그대로 사용한 것)은 일종의 번호연결 부가서비스로 여겨져서 이전 시 별도의 비용을 지불해야 했다. 지금은 무료인 듯. 언제부터였는지는 모르겠지만 2011년 4월에 별도의 비용을 들여서 자신의 전화번호를 그대로 옮겨오는 것이 가능했었다.

요즘은 xxx가 지역번호인 것은 알아도 가운데의 yyyy 부분이 국번이라는 사실을 아는 사람이 많지 않다. 국번이라는 것 자체를 모르는 사람도 있고[4], 요즈음은 이사를 많이 가기도 하여, 이사 가면서 전화번호를 바꾸는 경우도 거의 없어서, 한 동네에 같은 국번을 쓰는 집들이 많지 않다. 또한 무엇보다 모든 가구원이 개인 휴대 전화를 소지하고 있어 유선전화기를 별도로 두지 않는 경우 또한 많다. 어차피 100% 개인 휴대 전화로 전화가 걸려오기에 전화기는 있어봤자 무용지물이기 때문이다.

이렇듯 국번의 의미가 옅어짐에 따라 읽는 방법도 바뀌었다. 과거에는 전화번호를 읽을 때 "yy국의[5], zzzz"라고들 많이 읽었다.[6] 최소한 "yy국이 우리 동네 관할이구나" 정도는 알고 있었다고. 또한 광고 등에서 "국번 없이 XXX"라는 어구도 많이 쓰였다. 특히 범죄신고, 간첩신고, 화재·재난신고 번호의 홍보에는 "국번없이 112, 113, 119"라는 표현을 많이 활용했다. 요즈음에는 "xxx, yyyy의 zzzz"라고 읽거나 "xxx, yyy, zzzz"라고 그냥 숫자만 읽는다.

3. 관공서

기초자치단체 산하 관공서(구립/시립도서관, 주민센터 등)의 경우 일반적으로 해당 시청, 군청, 자치구청 소재지의 국번을 따른다. 예를 들면, 서울 영등포구 대림1동의 국번은 02-840번대이지만 영등포구청이 02-2670번대 지역(당산동)에 있으므로 대림1동 주민센터의 국번이 구청 소재지 국번인 02-2670번대가 되는 형태. 보통 이렇게 하는 경우는 본청과 산하기관을 같은 국번으로 묶어서 내부전화 비슷하게 사용하려는 의도도 있다. 즉 내부에서 걸때는 국번을 누르지 않고 네자리 숫자만 누르면 되기 때문.

반면에 광역자치단체 산하 관공서들은 해당 시청, 도청 소재지의 국번이 아닌 해당 관공서가 위치한 지역의 지역번호와 국번을 쓴다. 서울 국번을 사용하는 경기도립 과천도서관이 대표적인 예. 물론 지자체 소유가 아닌 국가 소유 시설인 경우는 당연히 해당 소재지의 국번을 사용한다. 국립대인 부산대학교를 예로 들자면, 양산시 물금읍에 위치한 부산대학교 양산캠퍼스의 경우 양산부산대병원은 양산 국번인 055-360-****를 쓰고, 의학전문대학원은 부산 금정구 국번인 051-510-8***를 쓴다. 부산대학교병원은 부산 서구 국번 051-240-****로 통일.

군에서도 군내 내선전화로 국번을 사용하는데, 이 경우 국번은 군종과 부대, 뒤의 네 자리의 사번은 부대 내의 각 부서가 나누어 쓰는 전화번호가 된다. 육군 해군, 공군, 그리고 합동참모본부 국방부까지 모두 별개의 국번을 사용하며, XXX-YYYY번일 경우 XXX는 각 군종과 부대에 따라 배분된다.[7]

4. 지역별 국번

000번대 국번과 100번대 국번은 어느 지역에도 존재하지 않는다. 000번대는 주로 지역번호로 쓰이고 100번대는 주로 긴급전화에 할당된 번호다 보니 일부러 비워둔 것으로 보인다. 마찬가지로 0000번대 국번과 1000번대 국번도 없다. [8]

700 국번은 700 서비스 전용 국번이었으나, 모두 060으로 이동되었다.

같은 지역번호를 사용하는 지역이라도 국번별로 수용 전화국이 모두 다르다. 다만 시내전화 번호 이동성 제도에 따라 식별번호가 같은 지역 내로 이사를 하거나 통신사를 변경할 경우 기존 국번을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아래의 구분은 최초 가입 수용국으로 보면 된다.

각 지역번호 + 112로 전화를 걸면 해당 시/도 경찰청[9] 긴급신고전화로 걸 수 있다.
200번대는 포항을 제외한 나머지 도의 도청소재지 번호로 쓰고 있다.

4.1. 서울(02)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국번/서울특별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광명, 과천, 고양 덕양구 일부(구 신도읍), 하남 일부(구 광주군 서부면), 부천 옥길동, 역곡동 일부(온수공단 한정), 구리 아천동 일부, 안양 석수동 일부(과거 광명 소하동 월경지) 지역의 경우 1963년과 1970년 도시계획 당시 서울시로 편입 예정이었던 지역이었기 때문에 이후 서울전화로 편입되었기 때문에 현재도 서울 지역번호인 02를 사용한다. 자세한 것은 서울특별시 역사 항목 참조. 이 지역을 제외한 경기도 지역에서 서울전화를 쓰는 경우에는 단순히 접경지역 특성상 지역번호가 겹쳐진 것에 지나지 않는다. 다만, 강서구 일부 지역은 제외.

4.2. 경기(031)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국번/경기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예외적으로 인천과 맞닿아있는 부천시와 안산시 단원구 일부(대부도 및 풍도 등 관내 도서지역)는 032를, 상술한 1963년에 서울로 편입된 지역과 1970년대 당시 서울로 편입 예정이었던 지역과 그 외 일부 서울특별시 접경 지역[10]은 02를 사용한다.

4.3. 인천(032)

서울, 인천, 경기 지역 세군데에 걸쳐져 있는데, 서울의 경우 강서구 일부, 경기도의 경우 부천시 전역, 안산시 단원구 일부지역이다.
국번 지역
200번대 SK브로드밴드(구 하나로텔레콤) 국번, 경기도 부천시 일부 포함
300번대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 상동, 소사구, 인천 부평구 일부
420번대~442
446
460번대~470번대
남동구(800번대 제외), 미추홀구(800번대 제외), 연수구 일부[11], 부평구 십정동
440 인천광역시청
451 인천교통공사
500~530번대 부평구 일부
540~550번대 계양구, 서울특별시 강서구 오곡동 일부
560번대
590번대
서구 북부
570~580번대 서구 남부, 동구 송림동, 송현동 각 북부지역
600번대 경기 부천시 오정구, 원미구 일부[12] 출처, 서울특별시 강서구 오곡동 일부[13]
626 인천 글로벌 캠퍼스 일대[14]
650 인천해양경찰서
700번대 동구, 중구, 옹진군 북도면
740번대 영종도, 인천국제공항[15]
748 포스코건설
749 연수구 일부[16], 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17]
800번대 미추홀구 일부[18], 남동구 일부[19], 연수구[20], 옹진군(북도면 제외), 안산시 대부도, 풍도(관공서 제외)
835 전반부 해양경찰청, 후반부 인천대학교
836~838 옹진군 백령면, 대청면
837 해병대 제6여단
860 전반부 인천지방법원· 검찰청, 후반부 인하대학교
899 옹진군(군청 및 산하 기관)
930번대 강화군[21]
  • 결번: 930번대(강화군)를 제외한 나머지 900번대 국번. 690번대는 아직 확인된 바가 없다.

4.4. 강원(033)

원주지역에 백화점이 오픈하기 전까지 지금의 LG U+와, SK브로드밴드 전용 국번은 상당히 오랜 기간동안 결번된 상태였다. AK플라자 원주점이 오픈하면서, 강원도 지역에도 추가국번이 부여되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원주 지역에서만 추가 국번이 부여되다가, 이후 춘천 지역 국번이 포화상태가 되면서 추가 국번이 부여되었다.(903번, 910번 원주와 춘천지역에서 공동 사용)

현재는 원주과 춘천, 속초, 횡성, 강릉 지역에 800번대와 900번대 국번 사용중이다.[22][23][24]
국번 지역
200번대 춘천시[25]
330번대 평창군, 원주시[26]
340번대 횡성군
370번대 영월군
378번 영월군 상동읍, 중동면, 김삿갓면 외룡리, 내리, 정선군 신동읍
430번대 홍천군
440번대 화천군
450번대 철원군
452~453번 철원군 갈말읍(지경리(일부), 토성리, 정연리 제외)
455~456번 철원군 동송읍, 철원읍
458번 철원군 갈말읍(지경리(일부), 토성리, 정연리), 김화읍, 서면, 근남면, 근북면
460번대 인제군
480번대 양구군
520번대
530번대
동해시, 강릉시 옥계면[27]
540~550번대
580번대
태백시, 삼척시 도계읍, 신기면, 하장면
560번대 정선군 정선읍, 북평면, 여량면, 임계면, 화암면(백전리 제외), 강릉시 왕산면 대기리 일부, 평창군 진부면 봉산리 일부
570번대 삼척시(도계읍, 신기면, 하장면 제외)
590번대 정선군 고한읍, 사북읍, 남면, 화암면 백전리
610번대
640~660번대
강릉시[28][29]
630번대 속초시, 고성군 토성면, 죽왕면 대부분의 지역
649번 가톨릭관동대학교
670번대 양양군
680번대 고성군 간성/거진읍, 현내면
700번대 원주시[30]
800번대 LG U+ 전용 국번[31] [32] 811번: AK플라자 원주점 및 일부 공공기관, 812번: 일부 프랜차이즈 대리점 및 병의원 813번: 전 업종 사용중 817~818번: 춘천지역 전용국번, 815번: 춘천 레고랜드 전용 국번, 823번: 강릉지역 전용국번
900번대 SK브로드밴드 전용 국번[33]

4.5. 충남(041)

국번 지역
330번대 예산군[34][35]
339 예산군 산하기관 전용국번
350~360번대 당진시[36]
520~521 천안시 산하기관 전용국번[37]
520
550~580, 590번대 [38][39]
천안시
530~540번대 아산시[40]
620번대 천안시[41]
630 홍성군(군청 및 산하 기관)
630번대 홍성군(홍성읍, 홍북읍, 금마면, 홍동면, 서부면, 갈산면, 구항면)[42]
955 충청남도청 및 산하 기관
940 충청남도교육청 및 산하 기관
640번대 홍성군(광천읍, 장곡면, 은하면, 결성면), 보령시 천북면
660번대 서산시(해미면, 대산읍 기은리 제외)
681 서산시 대산읍 기은리
688~689 서산시 해미면
670번대 태안군
730~740번대, 980번대[43] 논산시
750번대 금산군
830번대 부여군
840~850번대, 960, 962[44] 공주시(반포면 학봉리, 온천리 제외)[45]
930번대 보령시(천북면 제외)
940번대 청양군
950번대 서천군, 내포신도시[46][47]
  • 결번: 200번대, 300~320번대, 340번대, 370~390번대, 400번대(일부 제외), 500~510번대, 600~610번대, 650번대, 690번대, 700~720번대, 760~790번대, 800~820번대, 860~890번대, 900번대 일부. 각 지역의 최대도시나 도청소재지에 많이 쓰이는 200번대가 통째로 결번인 것이 특징. 원래는 400번대도 전부 결번이었으나, 최근에 041-40x-xxxx 등 전화번호 체계가 생성되면서 041-400번대 국번의 경우 현재는 결번이 더이상 아니게 되었다. 900번대도 930~950번대를 제외하면 결번인 상태였으나, 현재는 보령, 서천, 청양, 내포신도시(홍성, 예산 일부)을 제외한 나머지 충남지역에 900번대 국번을 배정할 수 있게 되어 사실상 결번 상태가 아니다.
  • 충청남도에서 300(예산, 당진), 500(천안, 아산), 600(홍성, 서산, 태안, 보령 천북)번대 국번을 사용하는 지역은 도내 서북부에 위치하고 있고, 2005년 천안역, 2008년 신창역까지의 수도권 전철 1호선 연장 개통으로 대전 접근성보다 수원 내지는 서울 등 수도권 남부지역으로의 접근성이 더욱 우세하다.[48]
  • 860번대의 경우 2012년 6월 30일까지 충청남도 연기군(소정면 제외)[49]에 할당된 국번이었으나, 2012년 7월 1일 연기군 폐지 및 세종특별자치시 승격 관계로 해당 지역의 자동지역번호가 충남 041에서 세종 044로 변경되면서 041-86# 국번의 경우 현재는 사실상 무기한 결번 상태로 간주한다.

4.6. 대전(042)

국번 지역
220
240~250번대
동구(270~280, 600번대 제외), 중구 대사동, 대흥동, 목동, 문창동, 문화동(일부), 부사동, 선화동, 용두동, 은행동, 중촌동
270~280번대 동구 대청동 전 지역, 산내동 전 지역, 가오동, 삼정동, 비룡동, 용운동, 판암동, 중구(220, 240~250, 580번대 제외),[50] 서구 관내 동 행정복지센터(288)
270번 대전광역시청, 한밭수목원[51]
300번대 SK브로드밴드(구 하나로텔레콤) 전용 국번
340번대 서구 용문동(일부), 탄방동(일부)
350
351
KAIST 전용 국번[52]
470~480번대 서구 갈마동(일부), 둔산동[53], 만년동(한밭수목원 제외), 월평동(일부), 탄방동(일부), 용문동(일부), 유성구 노은동(일부), 지족동(일부), 하기동(일부)
520~530번대 서구 가장동, 갈마동(일부), 괴정동, 내동, 도마동(일부), 변동, 월평동(일부), 탄방동(일부), 중구 오류동, 유천동(일부), 정림동(일부), 태평동, 유성구 노은동(일부), 지족동(일부), 하기동(일부)
540번대 서구 가수원동, 관저동, 도안동(일부), 유성구 교촌동, 대정동, 방동(일부), 용계동(일부), 원내동
550번대 충청남도 계룡시
550 대한민국 육군 ( 대한민국 육군본부 포함)
552 대한민국 공군
553 대한민국 해군
580번대 서구 기성동 전지역, 도마동(일부), 복수동, 정림동, 중구 문화동(일부), 사정동, 산성동, 안영동, 유천동(일부)
600~610번대 중구청(606), 대덕구청, 홈플러스 동대전점(이상 608), 유성구청, 서구청 (이상 611)
616번 대한민국 육군 ( 칠성대)
620~630
670번대
한화 이글스[54] , 대덕구(신탄진 제외), 동구 가양동, 대동, 비래동, 삼성동, 성남동, 소제동, 송촌동, 용전동, 자양동, 홍도동
710번대 LG U+(구 LG데이콤) 전용 국번
820번대 유성구(540, 860, 930번대 제외), 서구 도안동(일부),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 온천리, 대한민국 육군 ( 제32보병사단)
840번대 충청남도 계룡시(550번대 제외)
860번대 유성구 가정동, 덕진동, 도룡동, 문지동, 신봉동, 신성동, 원촌동, 장동, 전민동, 추목동, 하기동(일부), 화암동
878 대한민국 국방부 ( 자운대)
930번대 대덕구 신탄진 전 지역, 유성구 관평동, 구룡동, 봉산동, 송강동, 용산동, 탑립동, 구즉동 전 지역,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현도면 일부(노산리, 양지리, 중척리, 하석리, 오가리)

4.7. 충북(043)

국번 지역
200번대 청주시(현도면 일부 제외)
420번대 단양군
530번대 진천군(초평면 일부 제외)
540번대 보은군
640번대 제천시
730번대 옥천군
740번대 영동군
753 진천통화권내 SK브로드밴드 전용 국번
830번대 괴산군, 증평군, 진천군 초평면 일부
840~860번대 충주시
870번대 음성군
900번대 지역 구분 없이 대규모 사설 교환기에 부여

4.8. 세종(044)

기존에 존재하던 전화번호에 지역번호만 041[55] 혹은 043[56]에서 044로 바뀌었다. 신소도시인데도 국번이 매우 다양한 편. 세종시가 설치되기 전 충청북도 청원군 부용면이었던 부강면은 청주시, 청원군의 국번인 200번대, 연기군이었지만 천안시와 인접한 소정면은 천안시의 국번인 500번대, 연기군 소정면을 제외한 지역과 공주시 장기면, 의당면, 반포면의 일부였던 나머지 세종특별자치시 지역은 연기군, 공주시 국번인 800번대를 사용한다. 정확하게 설명하자면, 세종특별자치시 설치 이전 기준 연기군 지역 국번은 860번대이고, 공주시 지역 국번은 850번대이다. 물론 상술한 국번을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세종시 출범 후 생성된 국번이다. 다만, 400번대 중 410번대, 700번대 중 710번대가 일부 학교 또는 유치원, 어린이집에서 사용 중이며, 현재는 소정면, 장군면, 부강면 등지에서도 신규 번호는 860번대 국번이다. 600번대 국번은 아직 도입되지 않았다.
국번 지역
200번대 정부세종청사(200~210; 220~260번대 결번)
200 국무조정실, 해양수산부, 공정거래위원회, 국민권익위원회, 법제처,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우정사업본부
201 국토교통부, 농림축산식품부, 환경부, 인사혁신처
20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 고용노동부, 국가보훈처
203 산업통상자원부, 교육부, 문화체육관광부
204 국세청, KTV 국민방송
205 행정안전부, 소방청
215 기획재정부
270번대 부강면(구 충북 청원군 부용면)
300번대 세종특별자치시청(시청 산하기관 포함; 300,310번대),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320번대)
330 세종남부경찰서
410번대 한솔초등학교, 도담초등학교 등의 일부 학교에서 확인 가능.
550번대 소정면[57]
559 세종특별자치시경찰청
710번대 1생활권 지역 일부 공립유치원에서 사용
850번대 세종도시교통공사, 장군면(과거 충남 공주시 의당면, 장기면이었던 지역)
860번대 연기군 일원(소정면 제외) 단, 현재는 소정면, 장군면, 부강면 일대에서도 신규번호는 이 국번을 쓴다. (860~899)
900번대 행정중심복합도시 지역 추가국번

4.9. 부산(051)

국번 지역
200번대
290~294
220
사하구 감천동, 괴정동, 당리동, 신평동, 하단동, 강서구 명지동[58] (구 사하전화국 관할)
231
240~248
250
253~257
서구 전역, 중구 광복동, 남포동, 보수동, 부평동, 대청동 일부 (구 아미전화국 관할)[59]
260~266 사하구 구평동, 다대동, 장림동 (구 장림전화국 관할)
271 강서구 명지동[60]
301~305
309
사상구 덕포동, 모라동, 삼락동, 북구 구포2동 일부[61] (구 덕포전화국 관할)
310~317
320~328
사상구 감전동, 괘법동, 엄궁동, 주례동, 학장동, 모라1동 일부[62] (구 사상전화국 관할)
330~338
341~343
북구 구포동, 덕천동, 만덕동, 화명동 일부, 금곡동 일부[63] (구 구포전화국 관할)
361~365 북구 금곡동, 화명동[64]
400
403~405
409
410번대 (411번 결번)
영도구 전역 (구 영도(410번대)·동삼전화국 관할(400, 403~405, 409))[65]
440~442
460번대
중구 대청동, 동광동, 영주동, 중앙동, 동구 수정동, 초량동, 범일5동 일부[66] (구 부산전화국 관할)
500~507
590번
동래구 사직동, 온천3동, 연제구 거제1동, 거제2동, 거제4동 (구 미남전화국 관할)[67]
508 금정구 청룡노포동, 선두구동, 기장군 정관읍 월평리, 임곡리, 철마면 송정리, 임기리 (구 청룡전화국 관할)
509 부산외국어대학교[68]
510번대 (511 결번)
580~583
금정구 구서동, 금성동, 남산동, 부곡동, 장전동, 부산대학교 양산캠퍼스[69] (구 금정전화국 관할)
520번대
531~532 (530 결번)
금정구 금사동, 서동, 동래구 명장동, 안락동, 해운대구 반여1동, 반여4동, 반송1동 일부[70] (구 금사전화국 관할)
540~545 (541 결번) 해운대구 반송동[71] 금정전자고등학교[72] (구 반송전화국 관할)
552~558 동래구 명륜동, 복산동, 수민동, 온천1~2동 (구 동래전화국 관할)
600번대
664
665
667
678~679
부산 전지역: 공공기관 등
610~612
620~628
남구 대연1, 3, 4, 5동, 용호동, 용당동, 수영구 남천동 (구 대연전화국 관할)
629 부경대학교
630번대
640~647 (641 결번)
남구 대연1동 일부[73], 대연6동, 감만동, 문현동, 우암동, 동구 범일동, 좌천동, 부산진구 범천동 (구 남부산전화국 관할)
663 경성대학교
666 반여농산물시장
667~668 부산진구 일대[74]
669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75]
701~704
709
해운대구 좌동, 송정동 (구 좌동전화국 관할)
710번대
790번대
LG U+(구 LG데이콤) 전용 국번
720번대 (725, 729는 결번) 기장군 전역 (구 기장·일광전화국 관할)
730~731
740번대 (748 결번)
해운대구 우동, 중동, 좌3동 일부 (구 해운대전화국 관할), 한국수력원자력 인재개발원[76]
741 영화진흥위원회 제공 영화용 전화번호[77]
750번대
760~761
연제구 연산9동, 수영구 광안동, 망미동, 민락동, 수영동 (구 수영전화국 관할)
770~775(773 결번) 신규국번(통신사 불명)
780~784 해운대구 반여2동, 반여3동, 재송동 (구 재송전화국 관할)
802~809
816~819
부산진구 범전동, 부암동, 부전동, 연지동, 전포동, 초읍동, 범천동 일부[78] (구 부산진전화국 관할)
831~832 강서구 녹산동 일부[79]
850~853
860~868
연제구 연산1~8동, 거제3동, 거제1동 일부, 부산진구 양정동 (구 연산전화국 관할)[80]
888 부산광역시청
890번대 부산진구 가야동, 개금동, 당감동 (구 가야전화국 관할)
940~941
970~974
979
강서구 명지동, 녹산동 일부 제외 전역, 김해국제공항 (구 강서전화국 관할)
900번대 SK브로드밴드(구 하나로텔레콤) 전용 국번 (강서구 일부 회선 제외)

4.10. 울산(052)

1997년 광역시 승격 당시 지역번호는 052를 부여받았는데 국번을 자세히 보면 알겠지만 과거 0522 시절의 흔적이 존재한다. 당시 0522-XX-XXXX번이 단순 하이픈 위치만 바꿔서 052-2XX-XXXX번으로 바뀌었기 때문.
국번 지역
201
230번대 초중반
250번대 초반
동구
210번대
250번대 후반~260번대
270번대
남구
201을 제외한 나머지 200번대
250번대 중후반~260번대 초반
울주군
280번대
298
북구[81]
220번대
240번대
290번대
중구
700번대 LG U+(구 LG데이콤) 전용 국번
900번대 SK브로드밴드(구 하나로텔레콤) 전용 국번

4.11. 대구(053)

국번 지역
210번대 SK브로드밴드(구 하나로텔레콤) 전용 국번[82]
231~235번[83][84] 대구광역시교육청 및 소속 학교와 기관(교육지원청, 시립도서관 등)
250번대 중구 중앙대로 기준 서쪽, 롯데백화점 상인점
310번대
320번대
북구 칠곡지구[85]
340번대
350번대
360번대
북구 금호강 이남, 신천 서쪽 일대(침산동, 노원동, 칠성동), 서구 경부선 이북(비산5동, 비산7동, 원대동)
380번대 동북로 이북(산격2동, 복현2동, 검단동)
420번대
430번대
중구 중앙대로 기준 동쪽
470번대 남구 대명2동 일부(중앙대로 동쪽), 봉덕동, 이천동
520번대
550번대
560번대
570번대
서구 대부분(비산5, 7동, 원대동 제외), 달서구 죽전동, 감삼동, 장기동, 용산1동, 본리동, 본동 일부
580번대
590번대
달서구 성서, 계명대학교(580번 사용), 달성군 다사읍, 하빈면
600번대 대구 전 지역 일부 추가 국번
610번대 달성군 옥포읍, 논공읍, 현풍읍, 유가읍, 구지면
620번대
650번대
달서구 두류동, 성당동, 송현2동, 남구 대명동(중앙대로 동쪽 제외)
630번대
640번대
달서구 월배, 송현1동 , 달성군 화원읍
660번대 각 구군청 및 산하 읍면동 사무소[86], 롯데백화점 대구점(660번 사용), 대구신세계(661번 사용)[87]
740번대
750번대
수성구 수성동 일부, 범어동, 만촌동 대부분, 황금1동, 경부선 이남 동구 신천동, 효목동[88]
760번대 수성구 수성동 일부, 상동, 중동, 파동, 황금2동, 두산동 일부, 지산1동 일부, 달성군 가창면
780번대 수성구 범물동, 지산동 일부[89]
785 대구경북과학기술원
790번대 수성구 시지지구
803 대구광역시청[90]
804 경상북도 경산시 읍면동 주민센터
810번대 경상북도 경산시 동(洞) 지역, 남천면, 압량읍
850번대 경북 경산시 남산면, 와촌면, 용성면, 자인면, 진량읍, 하양읍
930번대
940번대
950번대
북구 무태조야동[91], 복현동, 산격동, 대현동, 경북대학교(950번 사용), 동구 신암동, 효목동, 수성구 만촌동 일부[92]
960번대 동구 안심
980~986번[93] 동구 공산동, 지저동, 방촌동, 해안동, 불로봉무동, 도평동, 북구 연경동
989번 제11전투비행단 등 K-2 공군기지 내
  • 결번: 220~229, 240~246[94], 248, 249, 260~309[95], 330~339, 370~379, 390~419[96], 440~469, 480~519, 530~549[97], 670~739[98], 770~779, 800, 801, 805~809, 820~849, 860~929, 970~979, 987, 988, 990~999

4.12. 경북(054)

국번 지역
230~280번대 포항시
279 포스코교육재단 산하 학교 및 포항공과대학교
300~330번대 영천시
370번대 청도군
380번대 대구광역시 군위군
420~430번대 김천시
440~450번대 구미시 남통동, 도량동, 봉곡동, 부곡동, 선기동, 송정동, 지산동, 형곡동 전역, 광평동 경부고속도로 이서지역, 원평동 서부, 양호동 낙동강 이서지역, 고아읍 남부
460번대 구미시 공단동, 비산동, 사곡동, 상모동, 신평동, 오태동, 임은동 전역, 광평동 중 경부고속도로 이동지역, 원평동 동부
470번대 구미시 구평동, 구포동, 금전동, 시미동, 신동, 옥계동, 인의동, 임수동, 진평동, 황상동, 산동읍, 도개면, 장천면, 해평면 전역, 양호동 중 낙동강 이동지역
478 금오공과대학교
480번대 구미시 선산읍, 무을면, 옥성면 전역, 고아읍 북부
530~540번대 상주시[99]
550~570번대 문경시
610번대 포항시
620번대 경주시
630번대 영주시[100]
650~660번대 예천군
670번대 봉화군
680번대 영양군
700번대 경주시, 영천시
720번대 포항시
730번대 영덕군
740~770번대 경주시
750번대 경주시 건천읍, 서면, 산내면[101]
780번대 울진군
787~788 울진군 평해읍, 기성면, 후포면
790번대 울릉군
820번대[102]
840 ~ 869
900~902
안동시
830번대 의성군(860번대 사용지역 제외)
861~862 의성군 안계면, 비안면, 구천면, 단밀면, 단북면, 다인면, 안사면, 신평면
880 경상북도청[103]
870번대 청송군
920번대 영천시
930~940번대 성주군
950~960번대 고령군
970번대 칠곡군
  • 결번: 200~229, 390~419, 490번대, 580~599, 690번대, 700~720, 881~899, 903~929, 980, 990번대

4.13. 경남(055)

국번 지역
200번대 창원시 의창구, 성산구, 마산합포구, 마산회원구(구 창원시, 마산시 지역)
310~340번대 김해시[104]
320 인제대학교 김해캠퍼스, 김해시 일부 공공기관 및 주요 시설들[105]
350번대 밀양시(하남읍, 초동면 제외)
360~380번대 양산시, 울산광역시 울주군 삼남읍 방기리[106]
391 밀양시 하남읍, 초동면[107]
392 양산시청[108]
520~526
531~536
창녕군
540번대
551~552
창원시 진해구(구 진해시 지역)[109]
549번 대한민국 해군
570
572~574
의령군
580번대 (588 결번) 함안군(함안국: 582~585. 칠원국: 586~589)
600번대 창원시(의창구, 성산구, 마산합포구, 마산회원구 추가 국번)
630번대 거제시(장승포 제외)
640~660번대 통영시
670번대 고성군(하이면 제외)
680~690번대 거제시(구 장승포시 지역)[110]
710번대 창원시(의창구, 성산구, 마산합포구, 마산회원구 추가 국번)
733~735 거제시( 한화오션)
740~770번대 진주시
772 경상대학교
800~830번대 사천시(구 삼천포시 지역), 고성군 하이면(봉원리 제외)
850번대 사천시(구 사천군 지역), 고성군 하이면 봉원리
860번대
870번대
남해군
880번대 하동군
900~906
908~909
김해시 추가 국번
907 김해시, 창원시 진해구 추가 국번
910~914 양산시, 김해시, 창원시 마산합포구 추가 국번
920~924 진주시 추가 국번
930번대 합천군
940번대~950번대 거창군
960번대 함양군[111][112]
970번대 산청군

4.14. 전남(061)

국번 지역
200번대 목포시, 신안군, 무안군 일로읍, 삼향읍, 남악신도시
300~320번대 함평군
330번대
340번대
나주시
350번대 영광군
356~357 영광군 홍농읍, 법성면
360번대 곡성군
370번대 화순군
380번대 담양군
390번대 장성군
400~430번대 강진군
450번대 무안군(일로읍, 삼향읍 제외)
460번대 영암군 삼호읍
470번대 영암군(삼호읍 제외)
500~530번대 해남군
540번대 진도군
550번대 완도군(금당면 제외)
600번대 여수시
720~750번대 순천시[113](황전면 선변리(일부[114]), 비촌리 제외)
760번대 광양시 광양읍, 봉강면, 옥룡면
770번대 광양시 옥곡면, 진상면, 진월면
780번대 구례군, 순천시 황전면 선변리(일부), 비촌리
790번대 광양시 동 지역(구 동광양시)[115]
790 포스코 광양제철소와 관련 시설
797 동광양지역 관공서
798 조선대학교병원[116], 동광양지역 내 학교
799 제철주택단지 전용
800~810번대 LG U+(구 LG데이콤) 전용 국번
820~830번대 고흥군(도양읍, 금산면, 도덕면 제외)
840번대 고흥군 도양읍, 금산면, 도덕면, 완도군 금당면
850번대 보성군(관내 공공기관 포함)
852~853 보성군 보성읍, 노동면, 미력면, 겸백면, 율어면, 복내면, 문덕면, 득량면, 회천면, 조성면 서부
857~858 보성군 벌교읍, 조성면 동부
859 보성군 벌교읍 소재 공공기관
860번대 장흥군(장흥국: 862~864, 관산국: 867~868)
870~899번대 전라남도교육청 소속 일부 교육기관
900번대 SK브로드밴드(구 하나로텔레콤) 전용 국번
  • 결번: 560~599

4.15. 광주(062)

국번 지역
220~230번대 동구(계림동과 산수동의 각 일부 제외)
250~260번대 동구 산수동 일부, 북구 각화동, 두암동, 문흥동, 삼각동(일부), 석곡동 전 지역, 오치동, 용봉동(일부), 우산동
260번 홈플러스 동광주점
350~380번대 남구 대촌동(양과, 이장 제외 전 지역), 월산동, 주월동(일부), 서구(500, 600번대 지역 제외), 나주시 산포면 덕례리
400번대 SK브로드밴드(구 하나로텔레콤) 전용 국번
460번 광주씨티병원
510~530번대 동구 계림동 일부, 북구 누문동, 동림동, 북동, 신안동, 용봉동(일부), 운암동, 유동, 임동, 중흥동, 풍향동, 서구 동천동
530번 전남대학교
570번대 북구 건국동(대촌, 오룡, 월출 제외 전 지역), 매곡동, 삼각동(일부), 양산동, 연제동, 일곡동
600~610번대 광주 전지역[117][118]
613번 광주광역시청[119]
650번대
670~680번대
남구(300번대 지역 제외[120]), 서구 금호동과 매월동의 각 일부, 풍암동[121]
710번대 LG U+(구 LG데이콤) 전용 국번
940번대 광산구(박호동과 우산동 일부를 제외한 구 송정시 지역, 동곡동, 본량동, 삼도동, 평동 전 지역)
950~960번대 광산구(임곡동과 하남동의 전지역, 박호동, 비아동, 수완동, 신가동, 신창동, 운남동, 산월동과 우산동의 각 일부)
970번대 광산구 산월동 일부, 쌍암동, 월계동, 북구 대촌동, 오룡동, 월출동

4.16. 전북(063)

국번 지역
200번대 전주시, 완주군
320번대 무주군
350번대 장수군
430번대 진안군
440~470번대 군산시
530번대 정읍시(신태인읍, 감곡면 제외)
540번대 김제시
560번대 고창군
570 정읍시 일부 공공기관, 대형마트 등
571 정읍시(신태인읍, 감곡면 일대)
580번대 부안군
630번대 남원시
640번대 임실군
650번대 순창군
700번대 LG U+(구 LG데이콤) 전용 국번
830~862 익산시
850 원광대학교, 원불교중앙총부 전용 국번
900번대 SK브로드밴드(구 하나로텔레콤) 전용 국번
  • 결번: 300, 310, 360~390번대, 400~429, 480~499, 590번대, 600~629 660~699, 800~829, 863~899

4.17. 제주(064)

국번 지역
700~720
760~770번대
제주도 전지역
730번대 서귀포시 동지역
740~750번대 제주시 동지역, 추자면[122]
780번대 동부 시외 지역 (제주시 조천읍, 구좌읍, 우도면, 서귀포시 성산읍, 표선면, 남원읍)
790번대 서부 시외 지역 (제주시 애월읍, 한림면, 한경면, 서귀포시 대정읍, 안덕면)
800번대 LG U+(구 LG데이콤) 전용 국번
900번대 SK브로드밴드(구 하나로텔레콤) 전용 국번

5. 휴대전화 국번

5.1. 01X[123] 국번

5.1.1. 3자리 국번

번대 배정지역
200~359
380~399
서울특별시 및 경기도
360~379
(017 전용) 365~384
강원도[124]
400~458 대전광역시, 충청남도
459~499 충청북도
500~549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550~599 부산광역시, 경상남도[125]
600~649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650~659 전라북도
660~669 서울특별시 및 경기도[126]
670~689 전라북도
(017 전용) 670~689 군인 전용
690~699 제주도[127]

200~400번대의 신설은 1984년 휴대폰의 개시와 함께 처음 배정되었다. 500~600번대의 국번은 1988년에 증설되었다. 같은 대역이라도 세부 지역별 구분이 추가로 있었다. 예를 들어 강원은 360-379, 대구/경북은 500~549, 부산/울산/경남은 550~599 식으로.

휴대전화 회선이 급증하면서 국번을 추가로 증설했다.
700번대 서울특별시 및 경기도
(016 전용) 757, 770~779 강원도
(017 전용) 774, 778 경찰 전용
800~829 대구광역시, 경상북도[128]
830~899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

700~800번대의 신설은 1996년 SK텔레콤의 이동전화 011(CDMA)의 개시와 함께 처음 배정되었고 애초부터 가입자 수가 많았기 때문에 해당 국번을 많이 볼 수 있었다. 반면 나머지 사업자들은 사업초기부터 CDMA 한 가지만 서비스한 관계로 서비스 종류별로 국번이 구분되지 않았고 그나마도 016이나 019를 제외하면 매우 드물었다.

1996년부터 삐삐가 소멸되기 시작하고 가입자들이 대거 휴대전화로 넘어오면서 가용 국번도 거의 바닥을 보이기 시작하여, 1999년 1월 1일부터는 지역 구분 없이 비어 있는 아무 번호를 배정하기 시작했다. 2003년 4월 1일부터 3G 서비스 개시가 되면서 010 번호가 생겼고 2004년 1월 1일부터 010 통합이 본격적으로 시행되면서 신규가입이나 번호변경 시, 3G 이상(4G LTE 포함) 통신 서비스 사용 시에는 010 번호만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3G 서비스 극초창기에는 010 번호 중에서도 3G 전용 국번을 사용해야 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제한이 해제되었다. 이제 01X 번호에서 010 번호로 이동하면 더 이상 통화 발신 시 01X 번호가 표시되지 않지만, 자동으로 수신 통화 연결 및 신규 번호를 안내해 주는 부가 서비스는 모든 통신사에서 제공되고 있다.

5.1.2. 4자리 국번 (9000번대)

번대 배정지역
9000~9056
9059~9078
9080~9157
9160~9199
서울특별시 및 경기도
9057~9058, 9079
9158~9159
(011 전용) 9219, 9243~9244, 9466, 9480
(016 전용) 9317~9318, 9345~9346, 9390
강원도[129]
9200~9249 전라북도
9250~9259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9260~9269 서울특별시 및 경기도
9270~9289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9290~9299 제주도
9300~9349 경상남도,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9350~9399 경상북도, 대구광역시
9400~9458 충청북도
9459~9499 충청남도, 대전광역시
9500~9549 경상남도,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9550~9599 경상북도, 대구광역시
(016 전용) 9520~9529 충청도
9600~9649 전라북도
9650~9689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9690~9699 제주도
9700~9789 서울특별시 및 경기도
9790~9799 강원도
9800~9824 충청남도, 대전광역시
9825~9849 충청북도
9850~9877
9880~9917
9920~9968
9970~9976
9978~9999
서울특별시 및 경기도
(016 전용) 9880~9889 전라도
9878~9879
9918~9919
9969
9977
강원도
그러나 상술한 구분에도 불구하고 1998년부터 회선 수가 급증하면서 정부가 추가로 배정한 9로 시작하는 국번은 아예 처음부터 네자리로 배정하였고, 이 번호대는 휴대전화 번호로는 최초의 4자리 국번이다. 2000년 12월 1일부터는 지역 구분 없이 비어 있는 아무 번호를 배정하기 시작했다. # 이 번호대는 지역별 구분을 별도로 두지 않았고 가입자 수가 많았던 SKTelecom(011), KTF(016), LG Telecom(019) 한정으로 9000번대 4자리 국번을 부여했으며, 가입자 수가 상대적으로 적었던 신세기통신(017), 한솔PCS(018)은 010 통합 이전까지 4자리 국번을 아예 부여하지 않았다.

하지만 SK텔레콤(SPEED 011)은 이 9000번대들도 꽉 찼다고 추가 증설을 요구했고 이에 난색을 보인 정보통신부는 2003년 당시 1700번대를 증설했었다.

5.1.3. 4자리 국번 (1700번대)[130]

SK텔레콤 신규 가입자는 2003년 7월부터 이 번호로 가입하게 되었다. 즉 2003년 7월 1일부터 2003년 12월 31일까지 2G 신규 가입자에 한해[131] 이 번호가 부여된 셈이다. 011-17XX-YYYY 이렇게 말이다.

정보통신부는 2000번대와 7000번대의 경우 기존에 200번대와 700번대 국번을 사용하던 가입자들이 전화번호를 새로 바꿔야 하는 불편함이 있기 때문에 궁여지책으로 새로운 번호대를 증설했다고 하였다.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당시 SK텔레콤의 총 가입자 비율 50% 이상임에도 불구하고 약속을 준수하지 않아 이에 정부가 괘씸죄로 "앞으로 100만명만 더 모으게 해 주겠다"라는 조치를 내렸다고 볼 수도 있다. 이후 2002년 정보통신부 고시로 010 번호제를 도입하기로 최종 결정한 것도 위의 주장을 덧붙이는 요인이 된다. 이전부터 번호를 통합해야 한다는 목소리는 많이 나왔으나 실제로 최종적으로 결정한 것은 이 무렵이었다.

그리고 곰곰이 생각해보면 1100번대나 1200번대도 쓰면 될 것을 하필이면 1700번대냐고 의문을 가질 수도 있는데... 이유는 11~16으로 시작하는 번호는 이미 선점되었기 때문이다. 111(국정원), 112(범죄신고), 123( 한국전력), 131(날씨), 1588, 1688, ... 등등.

5.2. 010 국번

위에 서술한 대로 신규 이동전화가입자의 증가와 번호 브랜드화 방지 및 IMT-2000 서비스의 확대에 따른 번호자원 관리의 효율화를 이유로 정부는 2002년 하반기 010 번호제를 실시하기로 결정하였다.

010으로 단일화에 따라 각 통신사 별로 중간자리 번호 구분이 새로 재지정되었다. 미배정 국번의 경우 제4대 이동통신사 출범 등에 대비해서 남겨둔 예비 국번이라고 할 수 있다.
'''
통신사별 원배정 국번
'''
0 1 2 3 4 5 6 7 8 9
2000 20xx
SKT

[신]
21xx
SKT/KT
[신][134]
22xx
LG U+
23xx
LG U+
24xx
LG U+
25xx
KT
26xx
KT
27xx
KT
28xx
KT
29xx
KT

[신]
3000 30xx
KT

[신]
31xx
SKT

[신]
32xx
KT
33xx
KT

[영]
34xx
KT
35xx
SKT
36xx
SKT
37xx
SKT

[정]
38xx
SKT
39xx
LG U+

[신][군A]
4000 40xx
SKT

[신][143]
41xx
SKT

[신][145]
42xx
KT
43xx
KT
44xx
KT
45xx
SKT
46xx
SKT

[신][147]
47xx
SKT

[정]
48xx
SKT
49xx
SKT

[신][군B][151]
5000 50xx
SKT

[신][군C][154]
51xx
KT

[신][156]
52xx
SKT

[정][158]
53xx
SKT
54xx
SKT
55xx
LG U+
56xx
LG U+
57xx
LG U+
58xx
LG U+
59xx
SKT/미배정
[신][160]
6000 60xx
미배정
61xx
미배정
62xx
SKT

[정]
63xx
SKT
64xx
SKT
65xx
KT
66xx
KT

[영]
67xx
KT
68xx
KT

[투A][군D]
69xx
미배정
7000 70xx
미배정
71xx
SKT
72xx
KT
73xx
KT
74xx
KT
75xx
LG U+
76xx
LG U+
77xx
LG U+
78xx
미배정
79xx
LG U+
8000 80xx
LG U+
81xx
LG U+
82xx
LG U+
83xx
LG U+
84xx
LG U+
85xx
SKT
86xx
SKT
87xx
SKT
88xx
SKT
89xx
SKT
9000 90xx
SKT
91xx
SKT
92xx
SKT
93xx
SKT
94xx
SKT
95xx
KT
96xx
KT
97xx
KT
98xx
KT
99xx
KT

[투B]

SK텔레콤은 총 33개의 국번대가 배정되어있고 KT는 총 26개의 국번대, LG U+는 총 17개의 국번대가 배정되어있다.

간혹 위의 표를 보고 "나는 분명 통신사는 A인데, 번호는 B통신사 국번이네..."라며 오인할 수 있는데, 위의 구분은 최초 개통 시의 국번이기 때문에 중간에 번호 그대로 통신사만 옮긴 적이 있다면, 위의 규칙과 다를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번호를 바꿀 경우 현 통신사의 국번을 받게 되고, 기존 번호는 원 통신사에 회수된다.[166]

010 제도를 막 시작할때 쯤인 2004년에는 2G 전용 국번, 3G 전용 국번 이렇게 따로 분류되었으나 2008년 3월 27일부터 공용화하였다. 쉽게 말해 이제 어떤 국번이든 2G 3G 기기로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

2011년 21xx 국번대를 시작으로 새 국번을 부여할때는 천 단위 전체를 할당해주는게 아닌 백 단위 일부만 할당한다. 이는 국번 고갈을 막기 위한 방편. 이후 2013년 59xx 국번대가 새로 부여됐으며[167], 이후에도 번호 부족 사태가 지속적으로 발생해 번호공동사용제도를 2015년에 시행되었다. 쉽게 말해 한 통신사가 번호부족사태가 발생한 경우 번호 여분이 많은 통신사의 국번을 가져와 번호가 부족한 통신사에게 재할당하는걸 말한다. 이로 인해 번호이동을 한 적이 없어도 위의 규칙이랑 다를 수 있다.

최근 제4이동통신사인 스테이지엑스가 출범하면서 일부 국번대가 새로 배정될 것으로 보였으나 선정 취소됨에 따라 보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기존 01X 번호 사용자들은 010으로 전환할 경우 바뀌는 국번인 '매핑 번호'도 규칙이 있는데 아래와 같다.
지역번호 기존 전환 규칙
시작 종료 시작 종료
파일:SK텔레콤 로고 화이트.svg
011
200 499 5200 5499 국번호 앞에 한 자리 추가
500 899 3500 3899 국번호 앞에 한 자리 추가
9000 9499 9000 9499 기존 번호 유지
9500 9999 8500 8999 국번호 첫번째 자리 변경
1700 1799 7100 7199 국번호 앞 두 자리 순서 변경
파일:SK텔레콤 로고 화이트.svg
017
200 499 6200 6499 국번호 앞에 한 자리 추가
500 899 4500 4899 국번호 앞에 한 자리 추가[예외]
파일:KT 로고 화이트.svg
016
200 499 3200 3499 국번호 앞에 한 자리 추가
500 899 2500 2899 국번호 앞에 한 자리 추가
9200 9499 7200 7499 국번호 첫번째 자리 변경[169]
9500 9999 9500 9999 기존 번호 유지
파일:KT 로고 화이트.svg
018
200 499 4200 4499 국번호 앞에 한 자리 추가
500 899 6500 6899 국번호 앞에 한 자리 추가
파일:LG U+ 로고 화이트.svg
019
200 499 2200 2499 국번호 앞에 한 자리 추가
500 899 5500 5899 국번호 앞에 한 자리 추가
9000 9499 8000 8499 국번호 첫번째 자리 변경
9500 9999 7500 7999 국번호 첫번째 자리 변경[170]

6. 기타 국번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자세한 내용에 대한 내용은 전화번호 문서
번 문단을
대한민국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여담

  • 휴대전화 번호를 바꿀 때 연락받기 싫은 사람이 계속 연락한다거나 가족 등이 무단으로 전화를 개통해 연체를 하는 상황이 우려되는 경우 직원한테 대리점 조회를 잠가달라고 요청하면 된다. 단, KT의 경우 홈페이지에서 직접하라고 안내한다. 일반적으로 대리점을 통해 이런 사실을 확인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의 국번을 알아놓으면 여러모로 편리한데 자신의 휴대전화모르는 번호로 전화가 걸려왔을 시에 어느 동네에서 걸려온 전화인지 대충 짐작해볼 수 있기 때문에 부재중으로 돌릴지 끊어버릴지, 받을지 판단할 수 있다.[171] 물론 요즘은 대부분 휴대전화를 이용하기 때문에 더이상 이를 이용하기는 어렵다.
지역 국번 회선수
서울특별시(02) 540 2개
2285
경기도(031) 521 1개
부산광역시(051) 741 1개
이동전화(010) 3348 2개
6687

8. 관련 문서


[1] 1980년대 초 이후로는 거의 모든 지역에 국번이 생겼다. [2] 인천 편입 전 강화군의 경우 1993년까지 한자리수 국번을 사용했다. 1993년에 두자리수로 전환(0349-3X)되었고 인천으로 편입되면서 지금처럼 032-93X로 변경. [3] # 1980년대 TDX(전전자교환기) 국내 개발로 전화가입이 간편해져 전화 보급은 더 늘어난다. [4] 국번이 지역번호를 가리키는 말인줄 아는 사람도 있다. [5] 허용 발음에 따라 ‘에’라고 발음하더라도, ‘’를 읽은 것으로 보아야 한다. # [6] 1983년에 방송했던 KBS 이산가족을 찾습니다에서 요즘 세대들은 거기 나오는 전화번호를 들으면서 의아해 하는 것이 전화번호를 부르는 방식이다. 대부분 국번이 한자리수에서 두자리수다. 그리고 읽는 것도 앞서 말했듯이 요즘처럼 읽지 않고 "지역번호 xxxx의 ('의'를 붙이지 않는 경우 한템포 쉰다.)yy국의 zzzz" 식으로 읽는다. [7] 군내 내선번호는 대외비 이상에 해당하므로 적지 않는다. [8] 주로 경찰, 소방서, 군대, 관공서 등. 긴급전화 버튼이나 군대 교환대로 전화를 걸면 가까운/원하는 관공서에 연락이 간다. [9] 구 지방경찰청. 자치경찰제 도입 이후 명칭이 바뀌었다. [10] 과천시 및 광명시 일대와 고양시 덕양구 일부, 구리시와 시흥시 일부, 부천시와 안양시 일부 [11] 스퀘어원 입주 업체들의 국번이 46x이다. [12] 2000년 4월 이전 시흥시 북부는 690~698 국번을 사용했다. 2000년 4월 21일자로 기존 690~698국에서 310~318국으로 자동 변경되었으며 동년 7월 2일부터 시외전화 지역번호 032 사용지역에서 031 사용지역으로 대체되었다. [13] 서울에서 유일하게 이 국번을 사용하는 지역이다. 출처 이 경우도 접경 지역 특성상 겹쳐진 케이스. 참고로 해당 주유소를 갈 수 있는 서울 버스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으며, 다른 서울지역에서는 일반적인 도로가 아니라 농로를 거쳐야 만 갈 수 있다. [14] 한국조지메이슨대학교, 겐트 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뉴욕 주립대학교 스토니브룩 한국캠퍼스, 유타 대학교/아시아 캠퍼스 [15] 공항철도가 032)745-7XXX 번호를 쓴다. 용유차량사업소에서 개통한 기업용 인터넷전화를 쓰기 때문. 심지어 서울 소재 역들도 032 번호로 전화가 걸린다. [16] 단적으로 연수구청이 이 국번을 사용한다. 연수전화국이 코앞임에도 불구하고 주력 국번인 81x나 82x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의외인 부분. [17] 연세대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으나 연세대 캠퍼스 안에 입점한 몇몇 시설들은 이 국번을 사용하지 않기도 한다. (은행 등) [18] 단적으로 연수구가 코앞인 경인방송에서 830국번을 사용한다. 그밖에도 용현동/학익동 지역이 86x국번을, 주안동 지역이 87x국번을 사용. [19] 남동인더스파크 입주 업체들이 81x/82x국번을 사용. 연수구 인접 지역이기에 연수전화국 관할이다. [20] 동춘1동 구송도지역/옥련동은 83x(송도전화국 관할), 동춘1/2/3동 아파트단지와 연수동/선학동은 81x국번과 82x국번 혼용(연수전화국 관할). 청학동은 81x/82x/83x 혼용(연수전화국 및 송도전화국 구간 혼재. 두 전화국의 관할 경계는 미추홀대로이다). 송도국제도시는 85x국번 사용. 다만 요즘에는 송도국제도시에도 83x와 85x를 모두 사용하고 나사렛국제병원에서 89x국번을 사용하는 등 전반적으로 혼용하는 추세이다. [21] 인천 편입 전 사용했던 0349-3X의 흔적이 일부 남아있는 상황. 사실 강화군의 경우는 1993년부터 두자릿수 국번을 사용했다. 다시 말해 1992년까지만 해도 국번이 한자리수로서 정말 전화번호가 0349-X였다. [22] 횡성읍 910번 나머지 지역 961번 부여 [23] 강릉은 823번,920번 부여 [24] 속초는 947번만 부여 [25] 24X, 25X, 26X번대만 사용. 참고로 두자릿수 국번 시절에는 5X밖에 없었다. 24X하고 26X는 세자릿수가 되면서 추가되었다. [26] 033-333-3333만 유일하게 원주 지역에서 사용되는데, 교회다. 같은 숫자로만 전화번호를 배치해 홍보 효과를 노리려는 것이다. [27] 이 중 520번대는 KT 북평지사(동해전화국 북평분국) 관할 국번으로 동해시 남부지역에서 주로 쓰이고, 530번대는 KT 동해지사(동해전화국) 관할국번으로 동해시 북부지역과 강릉시 옥계면에서 주로 쓰인다. [28] 640~644번만 두자릿수 국번이고 610번대하고 645~669번까지는 세자릿수 국번이다. [29] 단, 옥계면은 옥계면사무소를 제외하고 동해시 국번인 530번대를 사용한다. [30] 73X(730번 제외), 74X, 76X번대만 사용. 참고로 두자릿수 국번 시절에는 74X밖에 없었다. 73X하고 76X는 세자릿수가 되면서 추가되었다. [31] 현재는 원주, 춘천 지역에서 81X번대만 사용. [32] 원주 811~813, 춘천 817, 818 [33] 현재는 원주, 춘천, 속초, 횡성,강릉 지역에서 사용(903번, 910번는 원주(일부지역), 춘천,횡성(횡성읍 910번) 900, 904번은 원주전용,920번은 강릉전용, 947번은 속초전용 961번은 횡성전용,) [34] 예산군의 경우 두 권역별로 양분되어 있는 특성을 나타내는데 예산읍(신례원 포함), 대술면, 신양면, 신암면, 오가면, 응봉면, 대흥면, 광시면은 330~335, 관내 서부 지역(덕산면, 삽교읍, 봉산면, 고덕면)은 336~339 국번이 부여된 실정이다. [35] 단, 삽교읍 목리, 신리 일부는 내포신도시 조성 관계로 957~958 국번을 사용한다. [36] 이 중 350번대는 KT 당진지사 국번으로 구룡동, 대덕동, 사기소동, 수청동, 시곡동, 용연동, 우두동, 원당동, 읍내동, 채운동, 행정동, 송악읍, 고대면, 대호지면, 면천면, 석문면, 송산면, 순성면, 정미면 등에서 주로 쓰이고, 360번대는 KT 합덕지사 국번으로 합덕읍, 신평면, 우강면 등에서 주로 쓰인다. 이 중 359국은 KT 합덕지사에도 분산되어 합덕읍, 신평면, 우강면 등에서 널리쓰이고, 360국은 KT 당진지사에도 분산되어 구룡동, 대덕동, 사기소동, 수청동, 시곡동, 용연동, 우두동, 원당동, 읍내동, 채운동, 행정동, 송악읍, 고대면, 대호지면, 면천면, 석문면, 송산면, 순성면, 정미면 등에서도 널리 쓰인다. [37] 천안시청 및 산하 기관의 국번은 521국이다. 본청 계열은 521-2xxx, 동남구청 계열은 521-4xxx, 서북구청 계열은 521-6xxx이다. [38] 2010년대 이후 대부분 신규가입 시 동남구는 550~560번대, 서북구는 570~580번대 국번 회선으로 설치됨. 2000년대 초반 당시에는 충남 천안시에 일반구가 존재하지 않아 쌍용동의 국번이 565국으로 할당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후 천안시의 구제 실시로 2개 일반구(동남,서북)가 설치되면서 유선전화 신규 회선 신청 시 지금처럼 세분화된 것으로 추정된다. [39] 서북구의 경우 동지역은 주 570번대를 쓰나 아주 가끔가다가도 동남구 국번과 함께 520번대나 550번이나 560번대를 쓰고 신규 회선 신청의 경우에만 580,590번대를 사용한다. 읍, 면지역은 주로 580번대를 사용한다. [40] 535~539 국번은 일반적으로 쓰이지 않는다. 아산시청은 530,540국번을 주로 쓰는데, 일부 부서는 536,537국번을, 한전 지사의 경우는 539국번을 쓴다. [41] 630~680번대 국번과는 별개로 홍성, 서산, 태안이 아닌 천안에 극히 일부 산재해있다. [42] 단, 홍북읍 신경리, 대동리 일부는 내포신도시 조성 관계로 951~955 국번을 사용한다. [43] 980번대의 경우 SK브로드밴드 전용 국번이다. [44] 960번대의 경우 SK브로드밴드 전용 국번으로 사용됨 [45] 이 중 850 ~ 859, 881국 등은 KT 공주지사(공주전화국) 국번으로 시내동지역, 계룡면, 반포면(학봉리, 온천리 제외), 우성면, 의당면, 이인면, 정안면, 탄천면 등에서 주로 쓰이고, 840 ~ 849국은 KT 유구지사(공주전화국 유구분실) 국번으로 유구읍, 사곡면, 신풍면 등에서 주로 쓰인다. 이 중 840국은 KT 공주지사에도 분산되어 시내동지역, 계룡면, 반포면(학봉리, 온천리 제외), 우성면, 의당면, 이인면, 정안면, 탄천면 등에서도 널리 쓰이는 실정이다. [46] 홍성군 홍북읍(신경리, 대동리 일부)에서는 951~955국, 예산군 삽교읍(목리, 신리 일부)에서는 957~958국이 주로 사용되며, 950,956[172],959국은 예비용으로 내포 전지역에 배정 가능하다. 내포신도시가 없었던 시절에는 630, 330번대만 사용했다. [47] 원래 경기도 파주시 장단면 일원에 내포신도시가 조성될 예정이었으나 취소되고 이후 대한민국 정부의 신도시 계획이 변경되어 충청남도 홍성군 홍북면 및 충청남도 예산군 삽교읍 일원에 조성하는 방식으로 대체되면서 일부 문제가 발생되었다. 경기도 파주시 장단면 노상리,노하리,거곡리,석곶리,정동리,강정리 및 문산읍 내포리의 영향으로 충남 내포신도시는 950번대 국번을 불하받았는데, 031-95X에서 단순 지역번호만 031에서 041로 바꾸어 서천군과 동일한 041-95X 국번이 된 것. 이후 내포신도시 인구와 세대 및 상호의 증가로 내포신도시의 전화 회선이 증설되면서 950번대는 서천군에 할당된 회선보다 충남도청 소재지 내포신도시에 할당된 회선이 더욱 많아지게 된다. [48] 실제로 경기도 남부지역에 거주하는 충청권 출신 인구 대다수가 이쪽 지역 출신인 실정이다. [49] 소정면은 연기통화권이 아닌 천안통화권으로 2000년 7월 1일까지 4자리 지역번호 체제 시절 0415가 아닌 0417을 사용했으며, 국번 역시 2자리에서 3자리로 전환하는 과정에도 기존 2자리 국번 앞에 8이 이닌 5가 추가됐다. 2005년 12월 29일까지 충청북도 청원군 강외면, 부용면 역시 연기통화권으로서 충남 연기군과 동일한 국번호가 적용되었으나, 2005년 12월 30일부터 충북 청원군 강외면(2012년 1월 1일 오송읍으로 승격)과 부용면(2012년 7월 1일 외천리 제외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으로 전환)은 청주통화권으로 변경되어 충청북도 청주시 및 청원군(2014년 7월 1일 폐지)과 동일한 국번호로 개편되었다. 그러나 부용면은 외천리를 제외하면 연기통화권의 후신인 세종통화권으로 이관되었고 지역번호는 043에서 044로 변경되었으나 국번은 변경되지 않았다. [50] TJB 대전방송은 1995년부터 2012년 10월 10일까지 동구 효동에 사옥이 있었으나 2012년 10월 11일에 유성구 도룡동으로 사옥을 이전했다. 유성구 도룡동으로 이전했음에도 국번은 그대로 281 국번을 쓰고 있다. [51] 시청은 서구 둔산동, 한밭수목원은 서구 만년동 소재다. [52] 과거에는 867을 사용하다가 변경되었다. [53] 488번 일부는 528번에서 변경되었다. [54] 소재지가 중구 부사동인데 630 국번을 사용한다. [55] 충남 연기군 전역, 공주시 장기면(송선리, 동현리, 장암리 제외), 반포면 봉암리, 의당면 태산리, 용암리, 송학리, 용현리, 송정리 [56] 충북 청원군 부용면(외천리 제외) [57] 본래 천안통화권이었던 지역으로, 천안시에서 사용하는 국번과 동일한 체계를 구성한다. [58] 후술된 271번의 명지동 고유 국번이 있다. [59] 중구는 국번이 200번대와 400번대로 나뉘는데 서구와 가까운 지역은 200번대 국번을 사용하고 동구와 가까운 지역은 400번대 국번을 사용한다. [60] 명지국제신도시 명지오션시티. 강서구 내에서 유일하게 2번대로 시작되는 국번을 사용하는 동네이며, 원래는 여타 강서구 다른 동네처럼 9번대 국번을 사용하였지만 오션시티의 개발로 국번이 2번대로 변경되어 사하구와 공유하고 있으며 명지동 고유의 번호인 271번을 부여받았다. 허나 막상 가보면 200번대 번호가 믹스되어 있다. [61] 북구청 주변에서 이 번호를 발견할 수 있다. [62] 백양대로 주변 [63] 주로 330번대 번호들이 360번대 국번과 섞여있다. 하지만 요즘은 화명동과 금곡동에서 360번대를 배정받는다. [64] 북구의 금곡동, 화명동 이외의 다른 동에서 이 번호를 보기는 생각보다 어렵다. 하지만 예외로 덕천중학교와 낙동고등학교, 그리고 포천초등학교와 삼정고등학교는 각각 덕천동과 구포동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번호를 사용한다. [65] 동삼동에는 402, 403, 404, 414국번이 있었는데 402국번은 90년대 중반쯤에 폐쇄되었고 414국번은 405국번으로 전환됨. [66] 법정동으로 좌천동에 속하는 지역 [67] 롯데 자이언츠도 국번을 이 쪽으로 받았다.(590 국번) 사직동 자체가 이 국번대를 쓰기 때문. [68] 2014년 금정구 남산동으로 이전하면서 이 번호를 부여받았다. [69] 의대가 양산시 물금읍으로 이전했지만 여전히 기존의 번호를 사용한다.(051-510-8XXX이면 양산캠퍼스 전화번호다.) 단, 양산부산대병원은 경상남도 지역번호인 055-360으로 사용. [70] 법정동 석대동 지역 [71] 법정동으로 석대동에 속하는 지역 제외 [72] 금정구 서3동에 있음에도 540번 사용 [73] 구 대연2동. 2013년에 대연1동과 통합되어 사라졌다. [74] 서면 등지에서 자주 발견된다. [75] 경상남도 김해시 상동면 소재의 수질연구소, 매리 덕산정수장사업본부 포함. [76] 울산광역시 울주군 서생면 소재. 745번대 사용. [77] 영화에서 전화번호가 나와야 할 때, 영진위에 신청하면 부여된다. 실제로 전화를 걸면 '영화진흥위원회에서 제공하는 스크린 노출용 전화번호입니다.' 라는 ARS 멘트가 나온다고 한다. (구 746 국번) 741의 모든 번호가 해당되는 건 아니고, 일반 해운대 국번의 일부를 빌려서 사용하므로 741 국번의 아무 번호로 전화하지 말자. [78] 행정동 범천2동(구 범천4동)에 속하는 부암역 인근 지역 [79] 강서구에서 유일하게 800번대 국번을 사용하는 지역이다. 주로 본녹산 지역에 이 번호가 몰려있다. [80] KNN은 1995년부터 2012년 11월 11일까지 연산동에 사옥이 있었으나 2012년 11월 12일에 해운대 센텀시티로 사옥을 이전했다. 해운대 센텀시티로 이전했음에도 국번은 그대로 850 국번을 쓰고 있다. [81] 298국은 정자동에서 자주 보이며, 대부분은 280국. [82] 240번대도 일부 사용한 듯 하다. [83] 일부 학교와 대구 관외 기관에서는 지역국번을 쓰는 듯 하다. [84] 053-230으로 스팸전화가 걸려온 적이 있었다. [85] 칠곡군 지천면 용산리 일부도 이 국번을 공용한다. [86] 중구 - 661, 동구 - 662, 서구 - 663, 남구 - 664, 북구 - 665, 수성구 - 666, 달서구 - 667, 달성군 - 668 [87] 대구아쿠아리움은 제외, 대구아쿠아리움은 247번을 사용한다. [88] 예외적으로 동대구농협 신암강남지점이 신암동이라 940, 950번대를 써야하는데도 불구하고 동구 효목동 국번인 740국번대를 쓰는데 이는 과거 수성구 만촌우방지점이 사용했던 국번을 그대로 가져온 것 실제로도 동대구농협 만촌우방지점을 폐업하고 동시에 신암강남지점으로 이전 개업했기 때문 [89] 삼성 라이온즈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 홈구장 이전 이후로 780번을 사용한다. [90] 팔공산 비슷한 발음을 노린 것이다. [91] 연경동 제외 [92] 효목동, 만촌동 모두 경부선 이북 한정. [93] 987, 988번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 국번에 해당하는 지역은 1980년대 초까지는 안심과 같은 96X 국번을 썼었다. 2000년대까지만 해도 이 시절 간판이 간간히 남아있었으나, 2011 대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를 앞두고 간판을 대거 교체하여 이제는 찾아보기 어렵다. [94] 246번대는 일부사용,사용 지역은 알수없지만 통신사는 KT로 추정됨. [95] 한때 월배,서구 일부 지역은 인터넷 회선 국번인 260번대 성서 일부 지역은 280번대 국번을 사용했었다. 지금 현재는 모두 사라져서 결번이다. 하지만 아직 그 국번을 사용하고 있는 곳은 있다. 그래도 [96] 경상북도 군위군 대구광역시 편입 이후 대구광역시 군위군에서 사용하게 될 가능성이 유력하였으나, 현재로서는 성사되지 않은 실정이다. [97] 두류동, 성당동, 감삼동 일부지역이 서구 관할 시절에 사용했을 적으로 추측되는 국번이다. 현재는 모두 달서구로 편입되 송현2동 밎 남구 대명동(중앙대로 동쪽 제외) 국번인 620, 650번대와 공유한다. 다만 이 국번을 사용한 감삼동은 대부분 서구 국번인 520, 550~570번 국번대를 사용한다. [98] 716국은 기 사용 중인 회선이 일부 존재한다. [99] 530국부터 534국까지는 두자릿수 국번이고 535국부터 549국까지는 세자릿수 국번이다. [100] 630국부터 634국까지는 두자릿수 국번이고 635국부터 639국까지는 세자릿수 국번이다. [101] 경주시 서부지역 [102] 안동시 동부 지역에서 820, 821, 822번대, 도청신도시 일부 지역에서 824번대를 사용한다. [103] 안동시 풍천면에 있다. [104] 320 국번은 인제대학교 김해캠퍼스를 포함한 김해시 일부 공공기관 및 주요 시설들에서 사용하는 국번이다. [105] 부산에 위치한 개금캠퍼스는 051-890번대 번호를 사용한다. [106] 울산에서 유일하게 055 국번을 사용하는 지역이다. [107] 정확히는 KT 수산분실(밀양전화국 수산분실) 관할 국번이다. [108] 이외에 양산시 모든 읍면동 주민센터, 시립 공공기관이 이 번호를 사용한다. [109] 시내와 웅천은 주로 540번대, 용원은 주로 551,552. [110] 장승포, 아주, 능포동, 일운면은 681, 682국, 옥포동은 687, 688국이 많이 보인다. [111] 1999년까지는 대구 남구, 월배지역 국번, 2000년부터 대구 동구 동촌, 안심 지역 국번과 동일하지만 엄연히 시외전화이므로 만약 대구에서 함양, 함양에서 대구로 일반 유선전화 연결하려면 반드시 지역번호를 우선 눌러야 한다. [112] 참고로 함양군 국번 두자리수 시절에는 63~64번대는 함양읍과 안의면 지역에서 62번대는 나머지 면지역에서 고정사용했었으나 세자리수 개편후부터는 읍, 면지역 고정 국번대가 따로 없다.왜냐 함양읍에서도 962번대를 쓰는곳이 있기 때문 [113] 720번대는 신시가지, 740번대는 시내 외곽, 750번대는 대부분 순천시 구도심과 서부 지역으로 도농통합 이전 당시 승주군(현재 순천 읍면 중 황전면 일부, 해룡면, 상사면, 별량면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 지역이다. 순천은 전국에서 세자릿수 국번 도입이 빠른 편이다. 동시에 광양(당시에는 시로 승격되기 전이였다.), 구례가 우선 3자리 국번체계를 도입했고, 계속해서 2자리 국번을 사용하던 승주군은 순천시로 통합된 뒤인 1998년에 국번이 최종적으로 3자리로 개편되었다. [114] 순천완주고속도로 개통 후 황전IC를 기준으로 남쪽은 순천시 국번, 북쪽 구례구역 일대는 구례 국번을 사용한다. [115] 1994년까지는 구 골약면 지역이 광양읍과 동일한 760국, 구 태금면 지역은 774국이였다. 전부 시로 승격하기 직전인 1988년 이전에 가입한 전화번호이며, 통합된 뒤인 1995년에 국번을 통일했다. [116] 현재 포스코에 인수되어 휴먼센터라는 이름으로 개칭하고 건물 내부를 리모델링했다. [117] 주로 관공서 등 대규모의 전화를 구비한 기관에서 일종의 대표 국번으로 사용한다. [118] 병원, 대형마트 등. 대형마트 중에서 이 국번을 쓰지 않는 곳도 있다. 예를 들면 홈플러스 등. [119] 무등산과 발음이 비슷하다는 점을 노린 듯 하다. [120] 주월동의 경우 일부에 속한다 [121] kbc 광주방송은 1995년부터 2019년 7월 7일까지 남구 서동에 사옥이 있었으나 2019년 7월 8일에 서구 광천동으로 사옥을 이전했다. 서구 광천동으로 이전했음에도 국번은 그대로 650번대를 쓰고 있다. [122] 대충 한천을 기준으로 서쪽은 740번대, 동쪽은 750번대다. [123] 011, 016, 017, 018, 019. [124] 예외적으로 가평읍/가평군 북면을 포함한 영서 지방을 포함하며, 영동 지방 또한 포함하여 서로 구분없이 사용되었다. [125] 울산이 광역시로 승격한 건 휴대전화 국번 추가 증설 이후인 1997년이다. [126] 해당 국번은 200~359, 380~399, 그리고 700번대에 비해 매우 드물게 보였다. [127] 제주도(島)는 조선시대엔 전라도의 일부로 간주되었고, 그 영향으로 지역번호의 중간자리(6) 역시 전라도와 같이 쓴다. 제주도(道)가 독립한 것은 비교적 최근인 1946년이다. [128] 해당 국번은 500번대에 비해 드물게 보였다. [129] 016 전용 국번은 011 전용 국번에 비해 매우 드물게 보였다. [130] 당시 1700번대는 011 한정으로 SK텔레콤에게만 배정되었다. KTF LG텔레콤은 미배정. [131] 당시 3G(IMT-2000) 가입자는 010-20xx번대 번호가 부여되었다. [신] 01X 번호를 거치지 않은 010 신규 국번. [신] [134] SK텔레콤 : 2100~2179. KT : 2180~2199.
2011년 추가로 국번 배정을 요청한 SK텔레콤 KT에게 각각 8:2로 나눠서 할당했다. 본래 이 국번대는 2003년 LG텔레콤 IMT-2000을 위해 최초로 배정된 국번대였으나 정부 CDMA 정책으로 인하여 서비스가 불허되는 바람에, 해당 국번도 다시 회수되어 국가에 오랜기간 봉인되어 있었다.
[신] [신] [신] [영] 3348과 6687에는 각각 1회선씩 영화진흥위원회 제공 스크린 노출용 전화번호가 할당되어있다. [정] 교통정보 및 부가서비스정보 등에 이용되는 국번. [신] [군A] 3983~3992 국번은 군 간부, 군무원 (군인 가족까지) 전용 국번이었으나, 2021년 이후 일반인에게도 개방되었다. [신] [143] 2008년 추가로 국번 배정을 요청한 SK텔레콤에게 4000~4099국 전체를 할당했다. [신] [145] 2008년 추가로 국번 배정을 요청한 SK텔레콤에게 4100~4199국 전체를 할당했다. [신] [147] 2015년 추가로 4670~4689번에 한해 01X 번호를 거치지 않은 010 신규 국번이다. 010 매핑 번호 규칙대로라면 017-670~689번의 전환번호가 4670~4689번인데 본래 이 국번대는 군인만 가입이 가능한 군 전용 국번이어서 예외적으로 5070~5089번으로 전환이 된 것이다. [정] [신] [군B] 4956~4960 국번은 군 간부, 군무원 (군인 가족까지) 전용 국번이었으나, 2021년 이후 일반인에게도 개방되었다. [151] 2008년 추가로 국번 배정을 요청한 SK텔레콤에게 4900~4999국 전체를 할당했다. [신] [군C] 5070~5089 국번은 군 간부, 군무원 (군인 가족까지) 전용 국번이었으나, 2021년 이후 일반인에게도 개방되었다. [154] 2008년 추가로 국번 배정을 요청한 SK텔레콤에게 5000~5069, 5090~5099국 일부를 할당했다. [신] [156] 2007년 추가로 국번 배정을 요청한 KT에게 5100~5199국 전체를 할당했다. [정] [158] 교통정보안내(010-5200-2000), 내 컬러링 듣기(010-5200-8000), 소리샘메시지센터(010-5200-8585) 등 부가서비스 관련 번호는 모두 이 국번대를 사용한다. [신] [160] SK텔레콤 : 5900~5969. 미배정 : 5970~5999.
2013년 추가로 국번 배정을 요청한 SK텔레콤에게 5910~5959국 일부만 할당했다가 2014년 5900~5909, 5960~5969국이 추가로 배정되었다.
[정] [영] [투A] 6831~6839국 일부는 투넘버플러스 가입 시 부여되는 국번이다. [군D] 6879, 6882 국번은 군 간부, 군무원 (군인 가족까지) 전용 국번이었으나, 2021년 이후 일반인에게도 개방되었다. [투B] 9951~9952국 일부는 투넘버플러스 가입 시 부여되는 국번이다. [166] 3사 망을 취급하는 알뜰폰일 경우 번호 변경할 때에 3사 번호를 모두 고를 수 있다. 예를 들어 SK텔레콤일 경우 64xx이었는데, 통신사 변경 없이 KT 국번인 96xx으로 바뀌는게 가능한 식이다. [167] 마찬가지로 59xx 국번대도 전체가 부여된게 아닌 일부만 부여되었다. [예외] 군용 번호인 017-670, 또는 689인 경우는 010-5070, 5089로 변경된다. [169] 016-91XX 전환번호가 71XX국으로 잘못 알려진 적이 있었는데 016-91XX국은 결번이며, 당시 KTF의 9000번대 번호는 016-9200~9999까지만 할당되어 있었다. [170] 019-9800~9899국은 결번이라 제외. [171] 예를 들어 자신의 거주구역이 200번대 국번을 사용하는 동네인데 400번대나 500번대로 시작되는 번호로 전화가 걸려왔다면 십중팔구 다른 구나 동네에서 전화를 건 것이기 때문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