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7 12:09:35

해운대구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E5007F>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중구(부산광역시) CI.svg
중구
파일:서구(부산광역시) CI.svg
서구
파일:동구(부산광역시) CI.svg
동구
파일:영도구 CI.svg
영도구
파일:부산진구 CI.svg
부산진구
파일:동래구 CI.svg
동래구
파일:남구(부산광역시) CI.svg
남구
파일:북구(부산광역시) CI.svg
북구
파일:해운대구 CI.svg
해운대구
파일:사하구 CI.svg
사하구
파일:금정구 CI.svg
금정구
파일:강서구(부산광역시) CI.svg
강서구
파일:연제구 CI.svg
[[부산광역시청|
시청
]] 연제구
파일:수영구 CI.svg
수영구
파일:사상구 CI.svg
사상구
파일:기장군 CI.svg
기장군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00a775><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a775>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반송동 반여동 석대동 송정동
우동 재송동 좌동
구청
중동
}}}}}} ||
부산광역시 자치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파일:해운대구 CI.svg
해운대구
海雲臺區
Haeundae-gu
}}}
<colbgcolor=#009b6b><colcolor=#fff> 구청 소재지 중동2로 11 (중동)
광역자치단체 부산광역시
하위 행정구역 18[1]
면적 51.5㎢
인구 376,448명[2]
인구밀도 7,313.02명/㎢[3]
구청장
김성수 (초선)
구의회
11석[4]

9석[5]
시의원
4석[6]
국회의원
<colbgcolor=#009b6b><colcolor=#fff>
주진우 (초선)

김미애 (재선)
상징 구화 동백꽃
구목 소나무
구조 갈매기
지역번호 051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톡 아이콘.svg

1. 개요2. 상징3. 역사4. 지리5. 인구6. 교통7. 경제
7.1. 금융
8. 관광/명소9. 교육10. 의료기관11. 정치12. 하위 행정구역13. 나무위키에 등록된 출신 인물14. 같이 보기

[clearfix]

1. 개요

부산광역시의 구. 해운대라는 이름의 어원은 신라 때의 문인 최치원 '해운'이다. 최치원이 지나가다가 해운대해수욕장 인근에서 경치가 너무 좋아서 자기 호를 따 '해운대'라고 새겨 놓은 게 어원이다.[7][8]

해운대 신시가지, 센텀시티, 마린시티, 달맞이고개, 엘시티 등의 신도시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많고 이 흐르고 바다가 있어서 내륙 분지와 해안가가 모두 있는 등 자연환경이 풍부하다. 또한 부촌 달동네가 모두 있어서 부산의 특징이 모여 있는 곳이다.

지방 부촌 중 가장 유명한 곳이 해운대구 우동에 있는 마린시티이며, 마린시티는 부산의 부촌인 동부산권(해운대구, 수영구, 남구) 중에서도 고층 건물이 가장 많이 밀집해 있다 보니 매우 화려한 스카이라인을 보유하고 있는 부촌이기도 하다. 마린시티 센텀시티에 위치한 초고층 고급 주상복합 아파트들 덕분에, 해운대구는 2023년 5월 전국 지역들 중 아파트 평당 가격 1위를 차지했다. 일례로 부산광역시의 실거래 아파트값 순위에서 상위권에 위치한 아파트들의 대부분은 해운대구에 포진해 있다.

2. 상징

해운대구의 CI
파일:해운대구 CI.svg
전체 모양은 원형으로, 국내 제일의 관광지 해운대만이 보유하고 있는 파도와 동백꽃 꽃잎, 일출의 3대 요소를 축약하여 사용함. 뭔가 마카오같은데...
해운대구의 브랜드 슬로건
파일:해운대구 브랜드슬로건.svg
• ‘Sun'은 작열하는 태양과 더불어 해운대의 상징인 바다를 표현하고, 넓은 의미로는 해운대의 아름다운 자연 환경을 대표함.
해운대구의 마스코트
파일:해운대구 마스코트 써니&퍼니.svg 써니와 퍼니
해운대구의 상징물
<colbgcolor=#fff,#1c1d1f> 구목
소나무
장산, 간비오산, 와우산 일대에 고르게 분포한 관광 명소인 송림공원 내 울창한 거목으로 서식하고 있으며, 항상 푸르고 곧은 수종으로 강인함을 잃지 않음으로써 새로운 미래를 향한 어려움을 극복하는 해운대 구민의 노력과 미래지향적인 정서를 내포하고 있음.
구화
동백꽃
관내 주요 관광지 중 하나인 동백섬을 비롯한 주요 공원 등에서 비교적 쉽게 접할 수 있는 꽃임. 낮은 기온에도 개화하며 잘 견디는 강인함과 붉은색 꽃잎은 정열을 상징하며 노란색의 수술을 중심으로 싸인 겹꽃의 모양은 구민 화합의 상징성을 내포하고 있음.
구조
갈매기
해운대구의 상징인 바다를 상징하며 관내 송정, 구덕포, 동백섬 등의 바닷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새. 고기잡이에 나선 어부에게 고기떼를 알려주는 길조의 새로 희망과 미래를 상징 하며, 동료 갈매기가 죽으면 쉽게 떠나지 않는 의리의 새로 구민의 애향심, 우정, 사랑, 선도적 의미를 상징하고 있음.

3. 역사

1963년 제3차 건설부고시 제352호로 정부직할시승격(1963.1.1)에 따른 도시계획구역 면적 확장에 따라 부산시에 편입되었다. 지금의 해운대구는 1942년 10월 1일 부산부에 편입하기 전에는 동래군 동래읍( 반여동, 반송동(부산), 석대동)과 남면( 좌동, 중동, 우동, 재송동), 기장읍(당시 기장면)( 송정동(해운대구))의 영역에 해당하며 편입과 동시에 동래출장소( 반여동, 반송동(부산), 석대동),수영출장소( 좌동, 중동, 우동, 재송동)로 전환되었다. 1953년 9월 17일에는 해운대출장소가 설치되었으며 현재 해운대구의 모태가 되었다. 1957년 1월 1일 구제가 실시되어 동래구에 속했으며, 1963년 1월 1일에는 동래군 기장면 송정리를 편입하였다. 1976년 4월 9일 해운대출장소가 직할시 산하로 승격되었으며, 1980년 4월 1일에 현재의 해운대구로 승격되었다.

참고로 구 동래군 남면의 영역에는 우동·재송동·좌동·중동과 더불어 옆의 수영구 전체까지 포함된다. 즉 오늘날 소위 ' 해운대'와 ' 광안리'로 알려진 지역을 전반적으로 말한다.

우1동은 비교적 좁은 가용 면적(실제 면적은 넓지만 대부분 산)에 비해 인구가 매우 많아서 2016년 1월 1일 부로 요트경기장을 중심으로 우1동 일부였던 마린시티 대우마리나아파트, 경동마리나아파트, 경남마리나아파트,대우동삼마리나아파트 등이 우3동으로 분리되었다. 분리될 때 우2동의 일부였던 해운대 엑소디움아파트와 그 주변 지역도 우3동에 함께 편입되었다. 즉 실질적인 해운대의 최대부촌역할은 우3동이 담당하는 셈이다.

4. 지리

파일:attachment/hwd_sat_naver_jpg.jpg
백문이 불여일견. 아래쪽의 행정동 일람과도 대조해 보자.

다른 자치구와 비교하면 면적이 꽤 넓은 편이지만, 구 중앙에 있는 장산이 전체 면적의 80%를 넘게 잡아먹는 바람에 실질적인 면적은 상당히 좁다. 때문에 시가지는 구의 가장자리를 따라 'C' 모양으로 가늘게 형성되어 있다. 대체로 원동IC에서 시작해 수영강과 해운대 해수욕장을 지나 송정해수욕장까지 나 있는 해운대로와 장산 북쪽에 동서로 나 있는 반송로, 이 두 큰 길을 중심으로 시가지가 몰려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자연스레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는데, 해운대로를 따라 재송동, 우동, 중동, 좌동, 송정동으로 구성된 남부(구 남면+기장면 일부 지역)와 반송로를 따라 반송동, 석대동, 반여동으로 구성된 북부(구 동래읍 지역)로 구분된다.

재송동은 남부 지역의 연장선과 같은 분위기이고, 재송동 남서단 일부는 센텀시티에도 속한다. 그리고 재송동 동쪽의 장산에 접한 시가지는 북쪽 구시가지와 비슷한 분위기이다.

송정동은 해운대구 내에서도 존재감이 없고, 심지어 해운대구 주민들 조차 송정동을 기장군으로 아는 경우가 많다. 해운대 도심과 산으로 단절되어 있어, 생활권도 해운대권이 아닌 기장권에 속하며 관할 소방서 또한 기장소방서가 관리하고 있다.[9]

5. 인구

파일:해운대구 CI.svg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인구 추이
(1980년~현재)
1976년 5월 1일 동래구 해운대출장소[10] → (정부직할)부산시 해운대출장소 승격
1978년 1월 1일 동래구 일부[11] → (정부직할)부산시 해운대출장소 이관
1980년 4월 1일 (정부직할)부산시 해운대출장소 → 해운대구 승격
1980년 196,653명
1985년 224,316명
1990년 250,304명
1995년 305,095명
2000년 408,842명
2005년 404,599명
2010년 426,729명
2015년 422,818명
2020년 402,169명
2024년 10월 376,62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5만 명
행정동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재송제1동 36,906명
반여제1동 34,488명
좌제2동 30,756명
우제2동 30,074명
우제3동 28,015명
중제1동 27,257명
재송제2동 22,872명
좌제4동 22,276명
우제1동 22,171명
반송제2동 21,613명
좌제1동 17,399명
좌제3동 15,368명
중제2동 15,190명
반여제4동 14,899명
반송제1동 12,700명
반여제2동 11,755명
송정동 9,397명
반여제3동 7,895명
2023년 11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 ||
법정동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좌동 85,522명
우동 80,034명
반여동 68,770명
재송동 59,513명
중동 42,430명
반송동 33,726명
송정동 9,378명
석대동 329명
2024년 2월 기준 행정안전부 법정동별(행정동 통반 단위) 성/연령별 주민등록 인구수, 그래프 최대 값은 8.5만 명
}}}}}}}}} ||

의외로 최근 인구 감소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동네이다. 저출산 및 청년층의 수도권 이주로 인한 인구 감소가 일차적인 원인이지만, 지역적으로는 부산에서도 높은 집값으로 인한 젊은 층의 이탈, 해운대신시가지의 노후화, 신규 입주 물량 부진 등이 원인으로 꼽힌다. 그러면서 평균 연령대도 계속 높아지고 있는 상태. 관련 기사

===# 행정동별 인구 #===
파일:해운대구 CI.svg 우제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일자미상 우동 → 우제1동, 우제2동 분동
1966년 6,198명
1970년 10,467명
1975년 18,408명
1980년 23,678명
1985년 24,441명
1990년 24,544명
1995년 37,477명
2000년 35,676명
2005년 34,056명
2010년 41,732명
2015년 50,272명
2016년 1월 1일 우제1동 일부 + 우제2동 일부 → 우제3동 분동
2020년 23,031명
2023년 8월 22,24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만 명
파일:해운대구 CI.svg 우제2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일자미상 우동 → 우제1동, 우제2동 분동
1966년 4,759명
1970년 7,470명
1975년 12,666명
1980년 15,669명
1985년 17,569명
1990년 19,702명
1995년 17,562명
2000년 23,422명
2005년 24,522명
2010년 27,265명
2015년 31,446명
2016년 1월 1일 우제1동 일부 + 우제2동 일부 → 우제3동 분동
2020년 31,196명
2023년 8월 30,13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25만 명
파일:해운대구 CI.svg 우제3동 인구 추이
(2016년~현재)
2016년 1월 1일 우제1동 일부 + 우제2동 일부 → 우제3동 분동
2016년 28,689명
2017년 28,629명
2018년 28,200명
2019년 28,380명
2020년 28,674명
2021년 28,855명
2022년 28,384명
2023년 8월 27,95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파일:해운대구 CI.svg 중제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일자미상 중동 → 중제1동, 중제2동 분동
1966년 7,920명
1970년 10,904명
1975년 17,989명
1980년 16,309명
1985년 18,116명
1990년 19,198명
1995년 18,171명
2000년 15,029명
2005년 17,002명
2010년 21,947명
2015년 24,030명
2020년 26,523명
2023년 8월 27,31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75만 명
파일:해운대구 CI.svg 중제2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일자미상 중동 → 중제1동, 중제2동 분동
1966년 732명
1970년 669명
1975년 869명
1980년 11,798명
1985년 12,201명
1990년 13,365명
1995년 16,037명
2000년 14,362명
2005년 15,716명
2010년 11,563명
2015년 13,485명
2020년 15,863명
2023년 8월 15,20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해운대구 CI.svg 좌제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일자미상 좌동(법정동) → 좌동(행정동)
1966년 1,028명
1970년 1,017명
1975년 1,340명
1980년 1,700명
1985년 2,397명
1990년 2,573명
1995년 1,409명
2000년 102,415명
2003년 12월 31일 좌동 → 좌제1동, 좌제2동, 좌제3동, 좌제4동 분동
2005년 18,409명
2010년 18,301명
2015년 19,697명
2020년 18,263명
2023년 8월 17,46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0만 명
파일:해운대구 CI.svg 좌제2동 인구 추이
(2005년~현재)
2003년 12월 31일 좌동 → 좌제1동, 좌제2동, 좌제3동, 좌제4동 분동
2005년 35,761명
2008년 36,062명
2009년 35,428명
2010년 35,184명
2011년 34,662명
2012년 34,571명
2013년 34,241명
2014년 33,930명
2015년 34,110명
2016년 33,831명
2017년 33,644명
2018년 33,147명
2019년 32,877명
2020년 32,243명
2021년 32,065명
2022년 31,270명
2023년 8월 30,90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75만 명
파일:해운대구 CI.svg 좌제3동 인구 추이
(2005년~현재)
2003년 12월 31일 좌동 → 좌제1동, 좌제2동, 좌제3동, 좌제4동 분동
2005년 19,863명
2008년 19,828명
2009년 19,689명
2010년 18,301명
2011년 19,394명
2012년 19,160명
2013년 18,790명
2014년 19,722명
2015년 18,102명
2016년 17,893명
2017년 17,576명
2018년 17,253명
2019년 16,950명
2020년 16,329명
2021년 16,150명
2022년 15,631명
2023년 8월 15,38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파일:해운대구 CI.svg 좌제4동 인구 추이
(2005년~현재)
2003년 12월 31일 좌동 → 좌제1동, 좌제2동, 좌제3동, 좌제4동 분동
2005년 27,236명
2008년 27,392명
2009년 27,045명
2010년 26,953명
2011년 26,599명
2012년 26,581명
2013년 26,186명
2014년 25,962명
2015년 25,641명
2016년 25,294명
2017년 24,827명
2018년 24,590명
2019년 24,145명
2020년 23,436명
2021년 23,142명
2022년 22,661명
2023년 8월 22,33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75만 명
파일:해운대구 CI.svg 송정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일자미상 송정동(법정동) → 송정동(행정동)
1966년 2,115명
1970년 2,919명
1975년 3,586명
1980년 4,427명
1985년 5,105명
1990년 6,212명
1995년 6,452명
2000년 5,575명
2005년 5,640명
2010년 9,609명
2015년 10,182명
2020년 9,984명
2023년 8월 9,45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파일:해운대구 CI.svg 반여제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일자미상 반여동(법정동) → 반여동(행정동)
1966년 5,626명
1970년 9,764명
1973년 4월 20일 반여동 → 반여제1동, 반여제2동 분동
1975년 18,018명
1980년 27,054명
1985년 31,576명
1990년 33,790명
1995년 32,394명
2000년 37,814명
2005년 9월 5일 반여제1동반여제1동,반여제4동 분동
2005년 38,751명
2010년 45,457명
2015년 43,150명
2017년 2월 1일 반여제1동 일부( 센텀시티 일부 지번) → 재송제1동 편입
2020년 35,333명
2023년 8월 34,49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5만 명
파일:해운대구 CI.svg 반여제2동 인구 추이
(1975년~현재)
1973년 4월 20일 반여동 → 반여제1동, 반여제2동 분동
1975년 19,996명
1979년 8월 8일 반여제2동반여제2동, 반여제3동 분동
1980년 17,483명
1985년 16,481명
1990년 17,859명
1995년 24,666명
2000년 23,008명
2005년 19,536명
2010년 17,924명
2015년 14,931명
2020년 13,306명
2023년 8월 11,92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파일:해운대구 CI.svg 반여제3동 인구 추이
(1980년~현재)
1979년 8월 8일 반여제2동 → 반여제2동, 반여제3동 분동
1980년 12,266명
1985년 12,291명
1990년 12,770명
1995년 17,976명
2000년 16,847명
2005년 13,807명
2010년 13,009명
2015년 11,009명
2020년 9,017명
2023년 8월 7,98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해운대구 CI.svg 반여제4동 인구 추이
(2005년~현재)
2005년 9월 5일 반여제1동반여제1동,반여제4동 분동
2005년 18,440명
2008년 18,390명
2009년 18,355명
2010년 18,201명
2011년 17,894명
2012년 17,625명
2013년 17,261명
2014년 17,032명
2015년 16,761명
2016년 16,508명
2017년 16,174명
2018년 15,867명
2019년 16,598명
2020년 16,489명
2021년 16,083명
2022년 15,270명
2023년 8월 14,97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파일:해운대구 CI.svg 반송제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일자미상 석대동, 반송동(법정동) → 석대동, 반송동(행정동)
1966년 1,655명(석대동 871명 + 반송동 784명)
1970년 19,615명(석대동 1,161명 + 반송동 18,454명)
1975년 10월 1일 반송동 → 반송제1동, 반송제2동 분동
1975년 27,116명(석대동 1,609명 + 반송제1동 25,507명)
1979년 8월 8일 반송제1동반송제1동, 반송제3동 분동
1980년 32,803명(석대동 1,533명 + 반송제1동 16,542명 +반송제3동 14,728명)
1985년 32,572명(석대동 1,698명 + 반송제1동 16,912명 +반송제3동 13,971명)
1990년 32,492명(석대동 1,830명 + 반송제1동 16,467명 +반송제3동 14,195명)
1995년 36,148명(석대동 1,425명 + 반송제1동 19,025명 +반송제3동 15,698명)
1998년 10월 1일 반송제1동 + 석대동 → 반송제1동 합동
2000년 30,033명(반송제1동 16,229명 +반송제3동 13,804명)
2005년 24,288명(반송제1동 12,847명 +반송제3동 11,441명)
2010년 21,493명(반송제1동 11,609명 +반송제3동 9,884명)
2015년 10월 1일 반송제1동 + 반송제3동 → 반송제1동 합동
2015년 17,958명
2020년 14,394명
2023년 8월 12,85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75만 명
파일:해운대구 CI.svg 반송제2동 인구 추이
(1975년~현재)
1975년 10월 1일 반송동 → 반송제1동, 반송제2동 분동
1975년 15,915명
1980년 22,083명
1985년 24,448명
1990년 25,984명
1995년 38,244명
2000년 40,232명
2005년 35,362명
2010년 32,128명
2015년 28,241명
2020년 24,250명
2023년 8월 21,77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파일:해운대구 CI.svg 재송제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일자미상 재송동(법정동) → 재송동(행정동)
1966년 1,497명
1970년 3,092명
1975년 4,676명
1980년 11,537명
1985년 27,382명
1990년 42,197명
1991년 9월 25일 재송동 → 재송제1동, 재송제2동 분동
1995년 17,336명
2000년 15,857명
2005년 13,891명
2010년 33,513명
2015년 33,851명
2017년 2월 1일 반여제1동 일부( 센텀시티 일부 지번) → 재송제1동 편입
2020년 38,404명
2023년 8월 36,95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25만 명
파일:해운대구 CI.svg 재송제2동 인구 추이
(1995년~현재)
1991년 9월 25일 재송동 → 재송제1동, 재송제2동 분동
1995년 37,710명
2000년 36,235명
2005년 31,438명
2010년 32,834명
2015년 29,951명
2020년 25,439명
2023년 8월 23,09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75만 명

6. 교통

{{{#!wiki style="margin:-10px" <tablebordercolor=#00a775><tablewidth=100%>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a775><colcolor=#fff> A APEC로
구남로 · 기장해안로
대천로 · 동백로
마린시티1로 · 마린시티2로 · 마린시티3로
반송로 · 반송순환로 · 반여로
삼어로 · 석대로 · 석대천로 · 선수촌로 · 세실로 · 센텀1로 · 센텀2로 · 센텀3로 · 센텀4로 · 센텀5로 · 센텀6로 · 센텀7로 · 센텀동로 · 센텀서로 · 센텀중앙로 · 송정1로 · 송정2로 · 송정광어골로 · 송정강변로 · 송정중앙로 · 송정해변로 · 신반송로
아랫반송로 · 양운로 · 우동1로 · 우동2로 · 우동3로 · 윗반송로
장산로 · 재반로 · 재송1로 · 재송2로 · 좌동로 · 좌동순환로 · 중동1로 · 중동2로
청사포로
해운대해변로
부산광역시의 도로 틀 둘러보기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해운대구/교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경제

센텀시티를 중심으로 영화,영상 산업이 발달해 있다. 영화의전당, 영상후반작업시설, 시청자미디어센터, 부산디자인진흥원, KNN, 동서대학교 등 영상산업과 관련된 업체들이 밀집해 있으며 요트경기장에는 부산영상위원회가 위치해있다.

반여동, 석대동을 중심으로 공업이 발달해 있다. 현재는 대부분 외곽으로 공장을 이전하고 그 자리에 아파트 단지들로 번화하였으며 당시 대우실업, 태광산업, 대우버스, 풍산금속, 스타리온 등 수 많은 공장들이 밀집해 있었다. 현재는 스타리온, 풍산금속만 남아있으나 풍산금속은 센텀2지구 사업에 포함이 되어 이전할 예정이다. 또한 2010년대 초반 석대동에 회동석대산단이 조성되었다.

마린시티는 비수도권에서 부촌으로 알려진 동네이며, 부산에서도 해운대구를 중심으로 외국인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다. 주로 마린시티 센텀시티에 거주하고 있어 실제로 지나가다보면 미국과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등등 외국인을 쉽게 마주칠수 있다.


7.1. 금융

해운대구에 위치한 금융기관[괄호]
제1금융권[괄호]
국가기관
해운대우체국 (15)
국책은행
중소기업은행 (4)
특수은행
수협은행 (2) 농협은행(중앙회) (6)
시중은행
신한은행 (6) 우리은행 (7)
SC제일은행 (3) 하나은행 (6)
국민은행 (5) 한국씨티은행 (1)
iM뱅크 (1)
지방은행
부산은행 (20) 경남은행 (1)
제2금융권(상호금융)[괄호]
농업협동조합
해운대농협 (8) 동래농협 (2) 부산우유농협 (1)
수산업협동조합
대형선망수협 (2) 경남정치망수협 (1) 대형기선저인망수협 (1)
산림조합
부산광역시산림조합 (1)
새마을금고
반여1.4동새마을금고 (4) 반여2.3동새마을금고 (2) 재송동새마을금고 (3) 동부산새마을금고 (2)
반송새마을금고 (1) 해운대중앙새마을금고 (3) 송정동새마을금고 (1) 장산새마을금고 (3)
우리새마을금고 (3) 해운대새마을금고 (3)
신용협동조합
남천천신용협동조합 (2) 해운대신용협동조합 (4) 반송신용협동조합 (1) 광안신용협동조합 (1)
상호저축은행(상호금고)
동원제일저축은행 (1) 대신저축은행 (1) BNK저축은행 (1) 고려저축은행 (1)
에큐온저축은행 (1)

8. 관광/명소

외지인들에게는 해운대해수욕장이 있는 하계 휴양지로 잘 알려져 있다. 부산에 어떤 곳들이 있는지는 잘 몰라도 해운대 하나는 아는 사람이 많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해운대' 지역은 해운대구의 일부일 뿐이다. 마치 소위 말하는 ' 강남'과 행정구역상의 ' 강남구'가 다른 것과 같다. 부산 사람들 사이에서 해운대의 대체재로 알려진 송정해수욕장도 행정구역상 해운대구에 있고 반송드립의 희생양으로 낙후지역의 대명사처럼 되어 버린 반송동도 해운대구에 있으며, 부산 도시철도 중 가장 수요가 적은 역인 석대역과 석대역이 위치한 석대동도 행정구역상으로는 해운대구 소속이다.[15]

해수욕장들 외에도 부산을 찾는 관광객들이 가 보면 좋을 관광지가 많이 있다. SEA LIFE 부산아쿠아리움, 동백섬( 누리마루), 센텀시티 등이 있다. 또한 풍광이 좋다 보니 장산에서 촬영하는 해운대와 광안대교 야경은 부산을 대표하는 풍경에 항상 끼어있을 정도로 경치가 좋다.

부산국제영화제의 주요 상영관이 밀집해 있으며, 영화의 도시답게 영화관이 매우 많다. CGV가 CGV 센텀시티[16][17] CGV 해운대[18]에, 롯데시네마 롯데백화점 센텀시티점[19]과 구 프리머스 자리( 롯데시네마 프리미엄해운대(장산역))에[20], 메가박스 NC백화점 해운대점 건물[21]에 있는 데다가 영화의전당이라는 영화 전문 시설까지 따로 있을 정도이다. 게다가 메가박스 장산점과 롯데시네마 장산점은 길 하나를 두고 양 옆에 위치해 있어서, 길 양쪽 옆으로 멀티플렉스가 약 20개 정도나 있는 진풍경이 펼쳐진다. 3대 영화관 체인이 모두 직영점을 보유하고 있는 지역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명절을 비롯한 피크 시즌에는 모든 영화관이 자리가 없다. 영화의 도시 부산이라는 표현이 빈말이 아님을 제대로 보여주는 현상이다. 영화의전당은 영상 복합 문화 공간으로, 센텀시티의 랜드마크로 부상했다. 부산 국제영화제의 전용관이기도 하다.

부산에서 백화점을 3개나 보유한 지역이기도 하다. 센텀시티 롯데백화점, 전 세계 최대규모의 백화점인 신세계백화점[22], 그리고 신시가지(좌동)에 NC백화점 해운대점까지 있다.

9. 교육

부산에서 학구열이 가장 높은 자치구이다. 원래 부산의 전통적인 교육 특구라고 불리는 곳은 동래구, 금정구 남구이지만, 해운대 신시가지가 개발되고 청년층이 많이 유입되면서 교육열이 굉장히 높아졌다. 2000년대 초반 해운대 신시가지의 학교들은 전국에서 순위권을 다툴 정도로 명성이 굉장히 대단했다. 센텀시티 지역 역시 학력 수준이 높지만, 학원이 많지는 않다. 센텀시티의 학원가는 신세계백화점 센텀시티점 벡스코에 인접한 빌딩가에 위치해 있다.

그러나 해운대 안에서도 동별로 학력 편차가 심한 편이다. 흔히 부촌 센텀시티, 마린시티로 말하는 우2동, 우3동과 중산층 가정이 많이 사는 해운대 신시가지인 좌동은 교육열이 매우 높다. 신시가지의 상업용 건물에는 골목 구석구석까지 학원이 가득 차 있을 정도이다. 그러나 더샵 센텀파크 뒤쪽의 재송동 지역과 반여동 일부, 반송동, 송정동은 낙후되어 있는 지역이 많기 때문에 교육열이 낮다. 소득에 따라 교육 기회에 제한이 있기 때문에 일어난 현상으로 보인다.

또한 아직까지 교육 특구는 동래구, 금정구, 남구라는 인식이 강하기 때문에 해운대의 상위권 학생들 중에는 이들 지역의 고등학교로 진학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 남구는 비교적 거리도 멀지 않아서 대연고등학교 예문여자고등학교 등의 학교로 통학하는 해운대 거주 학생들이 꽤 있다. 이러한 상위권 학생의 유출은 보완해야 할 문제로 보인다. 이는 상대적으로 사립학교를 선호하는 경향이 큰 부모들의 기대와 달리, 해운대에는 일반계 사립학교가 두 곳에 불과하여 해운대를 빠져나가기 때문으로 보인다.[23] 사립학교가 현저히 적은 이유는 해운대 지역이 원도심이 아니고 20~30년 사이에 개발되기 시작한 곳이기 때문이다. 시가지를 조성하면서 사립학교를 이전했다면 더 나아졌을지도 모르겠지만, 1990년대 후반 모 사학재단 사태[24]를 계기로 부산광역시에서 사립학교 이전에 규제를 많이 걸어서 최대한 억제하였기 때문이다. 구도심의 일부 사립 일반고와 부산외국어고등학교가 센텀시티나 해운대 신시가지로 이전을 추진하다가 포기한 적도 있다. 이제는 규제가 풀린다 해도 땅값이 너무 비싸서 이전이 불가능한 지경에 이르렀다.

사실 다른 지역과 달리, 부산은 서울 대치동, 목동이나 경기도 분당신도시, 대구 수성구 같은 학군 밀집 지역이 거의 전무하다. 그리고 그마저도 기존 강세 지역인 동래구, 금정구 지역과 해운대구, 남구가 나뉘었기 때문에 다른 지역에 비해서는 학교별 진학 실적과 같은 수치가 좋지 않게 나오기 마련이다. 이는 상대적으로 해운대를 포함한 부산의 학군이 타 지역에 비해 부실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경우이다.

그렇다고 해운대 지역 학생들의 학력이 낮은 것은 아니다. 분명 평균 이상의 학생들이 많이 포진해 있지만, 내로라하는 서울의 강남 8학군 지역에 비해 최상위권 학생들의 비율이 적을 뿐이다. 자사고나 특목고 지정 취소 시[25] 기존의 해운대 지역 고등학교에 상위권 학생들이 많이 들어오면서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하는 사람들도 많다.

사실 대입에서 수시 모집이 계속해서 확대되면서 학생들이 타 지역으로 빠져나가지 않고 해운대 안에서 학교를 다니려는 경향이 강해지면서 2017년 전후를 기점으로 해운대 지역 일반고들이 어느 정도 회복을 하게 되었고, 국제외고가 일반고로 전환하면서 그 경향은 더욱 강해졌다. 아마 해운대고가 일반고로 전환하게 되면 지역의 평균적인 학력은 더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2020학년도 대학 입시에서도 지역 학교들이 전년도 및 전전년도에 비해 상당히 괄목할 만한 실적을 냈다.

2019년 말을 기점으로 부산광역시가 부동산 조정대상지역에서 제외되면서 부산 전체적으로 집값이 폭등하게 되었다. 이는 수도권 거주자들의 투기도 있었으나, 적지 않은 부산 내 타 지역, 인접한 경남 동부 지역, 울산에 있는 거주자들의 부산 진입 실수요도 있었다. 특히 3040세대가 해운대구로 진입하려는 여러 이유 중 하나가 교육이기 때문에, 해운대구 내부의 교육열은 앞으로도 상당히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2020년대 들어서는 부산 지역의 학령 인구가 해운대구나 남구, 동래구, 수영구 등 학구열이 높은 지역으로 집중되는 경향이 더욱 강해지고 있다. 이는 특목고/자사고 진학 결과로도 볼수 있는데, 2024년 기준 부산 특목고/자사고 진학률 상위 5개 중학교가 해운대구 우동 2개교, 해운대구 재송동 1개교, 남구 용호동 1개교, 해운대구 좌동 1개교이었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해운대구/교육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의료기관

인제대학교 해운대백병원(899병상)이 좌동 동쪽 끝에 있다. 위치가 다소 아쉽지만 장산로에 접근하기가 워낙 편리하기 때문에 동부산권 주민들에게 굉장히 중요한 병원이다. 그 외 종합병원으로 해운대부민병원(357병상)이 있으며, 부산 최고의 부촌인 만큼 의료기관들은 잘 분포해 있다.

11.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해운대구/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하위 행정구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해운대구/행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 나무위키에 등록된 출신 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분류:해운대구 출신 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4. 같이 보기



[1] 8개 법정동, 18개 행정동 [2] 2024년 11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3] 2024년 10월 기준. [4] 해운대구 가선거구 (우1동, 중1동): 심윤정
해운대구 나선거구 (우2동, 우3동): 김경호, 최명진
해운대구 다선거구 (중2동, 좌2동, 송정동): 김상수, 유점자
해운대구 라선거구 (좌1동, 좌3동, 좌4동): 서창우
해운대구 마선거구 (재송1동): 박기훈
해운대구 바선거구 (반여2동, 반여3동, 재송2동): 장성철
해운대구 사선거구 (반여1동, 반여4동): 나근호
해운대구 아선거구 (반송1동, 반송2동): 송민우
해운대구 비례대표: 남지원
[5] 해운대구 가선거구 (우1동, 중1동): 문현신
해운대구 나선거구 (우2동, 우3동): 원영숙
해운대구 다선거구 (중2동, 좌2동, 송정동): 최은영
해운대구 라선거구 (좌1동, 좌3동, 좌4동): 김백철
해운대구 마선거구 (재송1동): 이상곤
해운대구 바선거구 (반여2동, 반여3동, 재송2동): 박성식
해운대구 사선거구 (반여1동, 반여4동): 박지해
해운대구 아선거구 (반송1동, 반송2동): 김성군
해운대구 비례대표: 김미희
[6] 해운대구 제1선거구 (우1동, 우2동, 우3동, 중1동): 신정철 (재선)
해운대구 제2선거구 (중2동, 좌1동, 좌2동, 좌3동, 좌4동, 송정동): 임말숙 (초선)
해운대구 제3선거구 (반여2동, 반여3동, 재송1동, 재송2동): 김태효 (초선)
해운대구 제4선거구 (반여1동, 반여4동, 반송1동, 반송2동): 강무길 (재선)
[7] 이 글씨는 지금도 동백섬에 있는데 하도 오래되었다 보니 가운데 雲 자가 풍화가 심해 많이 지워졌다. [8] 최치원이 중국에 있을 때 활동했던 양저우(揚州)시 웨이양구와 해운대구가 자매결연을 맺은 것도 최치원과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웨이양구에는 최치원 기념관도 있다. [9] 반대로 경찰은 부산해운대경찰서 소속이다. [10] 우제1동, 우제2동, 좌동, 중제1동, 중제2동, 송정동 [11] 재송동, 반여제1동, 반여제2동, 반송제1동, 반송제2동, 석대동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15] 반송동과 꽤 가깝다. [16] 직영점이자 부산국제영화제 상영관으로 늘 활용되며, CGV가 브랜드 이미지를 위해 전략적으로 관리하는 일명 플래그십 지점 가운데 하나이다. [17] 개점일부터 2024년 8월 4일까지 존치했던 스타리움관은 CGV가 해당 위치에 IMAX 도입을 추진하다 여러 사정으로 좌초되자 이곳에만 도입한 독특한 상영관 규격이다. 하지만 2024년 12월 CGV 센텀시티에 IMAX 도입이 확정되었다. [18] 이곳은 직영점이 아니며 해당 영화관이 위치한 건물 운영주체에서 관리한다. 전 좌석에 허리를 펴고 누울 수 있는 사제 리클라이너 좌석이 달려있어 1개 관당 입장 가능 인원수가 매우 적은 것이 특징이다. [19] 직영점 [20] 이곳은 주인이 따로 있어서 직영점이 아니다. 그래서 프리머스 시절의 인테리어가 많이 남아있으며 영사 시설도 거의 변화가 없다. [21] 이곳도 직영점이 아니다. 영화 시작 전 나오는 피난 안내나 브랜드 애니메이션이 직영점인 스펀지점에 비해 빈약하게 나온다. 이전에는 시너스였으며 시너스 체인이 망하면서 메가박스 소속이 되었다. [22] 세계에서 가장 큰 백화점으로 기네스북에 등재되었으며, 지하철 센텀시티역 안까지 점령하고 있다. 전국에서 가장 전기를 많이 소비하는 건물이다. [23] 물론 두 곳 모두 여고이므로 남학생은 해당사항이 없다. [24] 하필이면 이 사태가 해운대 신시가지가 조성되던 시기와 제대로 겹쳤다. 이 사태 이전까지만 해도 부산은 전국에서 사립학교 설립이나 이전이 가장 쉬웠던 도시였지만, 이 사태를 계기로 규제를 대폭 상향시켰다고 하며 비슷한 연유로 화명동의 신시가지나 정관신도시에도 사립학교가 이전한 적이 없다. [25] 당장 2021년부터 학교장 전형고인 장안고와 장안제일고가 평준화 일반고로 전환된다. 이 두 학교 학생들의 상당수가 해운대 지역 상위권 학생임을 고려하면 전환 후 그 수요의 일부분을 이 지역 학교들이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