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0년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1949년 | 1950년 | 1951년 | 1952년 |
1953년 | 1954년 | 1955년 | 1956년 | |
1957년 | 1958년 | 1959년 | 1960년 → | }}}}}}}}} |
서기 |
1951년 MCMLI 千九百五十一年 | 一九五一年 |
|||
← 1950년 | 1952년 → | |||
태세 |
신묘년 辛卯年 |
|||
← 1891년 | 2011년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기타 기년법에 따른 표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대한민국 | 33년 | ||
단기 | 4284년 | |||
불기 | 2495년 | |||
주체 | 40년 | |||
대만 | 민국 40년 | |||
일본 |
쇼와 26년 ( 황기 2611년) |
|||
이슬람력 | 1370년 ~ 1371년 | |||
히브리력 | 5711년 ~ 5712년 | |||
페르시아력 | 1329년 ~ 1330년 | |||
에티오피아력 | 1943년 ~ 1944년 | |||
인류세력 | 11951년 | }}}}}}}}} | ||
<colbgcolor=#dde7e7><colcolor=#000> 밀레니엄 | 제2천년기 | |||
세기 | 20세기 | |||
연대 | 1950년대 | |||
양력 1951년 |
음력
1950년 11월 24일 ~ 1951년 12월 4일 |
|||
음력 1951년 |
양력 1951년 2월 6일 ~ 1952년 1월 26일 |
|||
일수 | 365일( 평년) |
[clearfix]
1. 개요
중국 인민지원군의 전면적 참전으로 6.25 전쟁이 교착상태에 빠졌다. 치열한 공방 끝에 양측은 전쟁의 완전 승리를 포기하고 휴전을 논의하기 시작했다.1951년 4월부터 1952년 3월 사이에 태어난 사람들은[1] 중학교 입시에서 두 과목(국어/산수[2])만 시험보았다. 본래 전 과목을 시험보다가 "어린이들의 수험 부담을 덜어준다"는 명목으로 국어와 산수만 보는 것으로 바뀌었으나, 이듬해부터 다시 원상복구되었다. 그 배경은 이러하다.
미국에서는 수정헌법 제정으로 대통령의 3선을 금지했다.
2. 사건
2.1. 실제
- 1월 3일: 정부가 다시 부산으로 수도를 이전하였다.
- 1월 4일: 유엔군이 서울을 포기하고 남쪽으로 후퇴했다.
- 1월 11일: 삼성물산이 설립되었다.
- 1월 22일: 한국군이 중공군에 대해 전면 반격을 개시하였다.
- 2월 1일: 유엔 총회가 중국을 침략자로 규정했다.
- 2월 11일: 거창 양민 학살사건이 발생하였다.
- 2월 18일: 부산에서 전시 연합대학이 개강되었다.
- 3월 5일: 정부는 120만 소작인들에게 농지를 분배하도록 발표하였다.
- 3월 6일: 6-3-3-4 학제를 원칙으로 한 교육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였다.
- 3월 12일: 미국과 영국에서 개구쟁이 데니스라는 제목을 가진 별개의 두 만화가 연재를 시작했다.
- 3월 15일: 유엔군이 서울을 재탈환한다. 이후 서울은 휴전 때까지 계속 유엔군이 장악하게 된다.
- 3월 24일: 맥아더 원수는 38선 이북 지역 진격을 명령하여 다음날 38선을 넘었다.
- 3월 29일: 국회가 국민방위군 사건을 폭로하였다.
- 4월 11일: 해리 S. 트루먼 미국 대통령이 만주 폭격 및 핵무기 사용을 공공연히 주장하던 유엔군사령관 더글러스 맥아더 미 육군 원수를 해임했다. 후임에는 리지웨이 8군 사령관이 선임되었다.
- 4월 18일: 유럽 석탄철강공동체(ECSC)가 프랑스, 이탈리아, 베네룩스 3국, 독일(서독) 6개국에 의해 설립되었다. 이는 훗날 유럽연합의 기원이 된다.
- 5월 1일: 이란 제국의 모하마드 모사데크 총리가 석유산업 국영화 조치를 단행했다. 이는 앵글로 이란 석유 회사(AIOC)를 노린 것으로써 영국이 큰 타격을 입게 된다.
- 5월 8일: 국회는 임시의장에 해공 신익희, 부의장에 김동성과 죽산 조봉암이 임명되었다.
- 5월 9일: 성재 이시영이 이승만 정부에 환멸을 느끼고 부통령직을 사임하였다.
- 5월 15일: 국회는 새 부통령에 인촌 김성수를 선출하였다.
- 5월 22일: 중앙도매시장법이 제정되었다.
- 5월 23일: 중국과 티베트가 17개 항목의 조약을 체결했다. 말이 좋아 체결이지, 이로써 티베트는 중국의 통치를 받게 된다.
- 6월 23일: 야코프 말리크 소련 유엔대표가 휴전을 제의하였다. 그러나 이승만 대통령은 이틀 뒤 이를 거부하였다.
- 6월 29일: 트루먼 미국 대통령은 리지웨이 사령관에게 한국 정전 교섭을 지령하였다.
- 6월 30일: 리지웨이 사령관이 원산만 덴마크 함상에서의 휴전회담를 제의하였다.
- 7월 1일: 공산권 측이 휴점 회담장소 개설을 제의하였다.
- 7월 8일: 경기 개성에서 정전예비회담이 시작되었다.
- 7월 10일: 유엔과 중국, 북한 사이의 휴전회담 본회의가 개성에서 시작되었다.
- 8월 3일: 전국 각지에서 '정전반대 국민대회'가 개최되었다.
- 8월 30일: 미국과 필리핀 간 미국-필리핀 상호방위조약이 체결된다.
- 9월 1일: 미국이 호주, 뉴질랜드와 태평양 안전 보장 조약을 맺고 상호군사동맹관계를 형성했다.
- 9월 8일: 태평양 전쟁의 마무리를 위한 강화회담이 샌프란시스코에서 시작되었다. 그러나 일본에게 피해를 입은 한국과 중국, 대만은 일본과 영국 등의 반대로 참가는 무산되고 말았다. 당일 미일안전보장조약 또한 체결된다.
- 9월 20일: 이승만 대통령은 '휴전수락 4대 원칙'을 제시하였다.
- 10월 1일: 한국조폐공사가 설립되었다.
- 10월 6일: 일본 도쿄에서 한일예비회담이 개최되었다.
- 10월 17일: 국무회의는 대통령 직선제와 양원제 개헌안을 의결하였다. 이 법은 11월 28일에 국회로 제출되었다.
- 10월 20일: 일본 도쿄에서 GHQ의 주선으로 한일 간 외교 정상화를 위한 제1차 한일회담이 개최되었다. 그러나 이 회담은 일본측이 국내에 남은 일본인 재산의 반환을 요구하는 소위 '역청구권' 주장으로 2년도 못 가 회담이 결렬되었다.
- 10월 25일: 휴전회담 장소를 판문점으로 변경하였다.
- 10월 26일: 영국 보수당이 노동당을 다시 총선에서 이기면서 클레멘트 애틀리 총리가 물러나고 윈스턴 처칠이 영국의 총리로 재취임했다.
- 11월 6일: 국무총리서리에 허정 사회부장관을 임명하였다.
- 11월 27일: 휴전회담에서 30일 간의 잠정적 군사 경계선 확정에 합의하며 전 전선에 30일간 공격 중지령을 내렸다.
- 12월 1일
- 부산과 대구를 뺀 전국 각지에 비상계엄령이 선포되었다.
- 전남일보가 귀속재산 소유권 분규로 사옥과 시설을 뺏겨 정간되었다.
- 12월 2일: 서남지구 공비토벌 작전이 시작되었다. 이 작전은 다음해 3월 12일에 종료되었다.
- 12월 7일: 이날 열린 휴전회담에서 군사분계선이 최종 확정되었다.
- 12월 17일: 이범석을 중심으로 한 원내 자유당이 창당되었다.
- 12월 18일: 당일 열린 휴전회담에서 양측의 포로 명단이 교환되었다.
- 12월 23일: 자유당이 이승만을 중심으로 한 원외파와 이갑성, 김동성 중심의 원내파로 분열되었다.
2.1.1. 일자 불명
- 영국의 대입시험인 A Level이 만들어지고 소개되었다.
2.2. 가상
- 4월 10일: 주인공 비토 스칼레타가 징역 10년형 복역 중 형이 단축되어 수감된 지 6년 만에 출소하였다.[3] - 마피아 2
- 10월 31일: 라이히-5에서 아돌프 히틀러의 사후,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가 제2대 나치 독일 총통이 되었다. - 겁스 무한세계
3. 탄생
3.1. 실제
3.1.1. 1월
- 1월 4일 - 장마리 위르티제: 프랑스의 기업인
- 1월 5일
- 1월 9일 - 크리스탈 게일: 미국의 가수
- 1월 10일 - 나카노 유타카: 일본의 배우
- 1월 12일 - 커스티 앨리(~ 2022년): 미국의 배우, 방송인
- 1월 15일
- 1월 20일 - 이미배: 대한민국의 가수
- 1월 21일 - 우라사와 요시오: 일본의 방송작가
- 1월 22일 - 최창석: 대한민국의 교육인
- 1월 25일 - 방주연: 대한민국의 가수
- 1월 27일 - 한영숙(~ 2006년): 대한민국의 배우
- 1월 28일 - 고바야시 모토후미: 일본의 만화가
- 1월 30일 - 필 콜린스: 영국의 가수
- 1월 31일 - 원세훈: 대한민국의 정치인
3.1.2. 2월
- 2월 5일 - 나카오 류세이: 일본의 성우 및 가수
-
2월 9일 -
아다치 미츠루: 일본의
만화가
안달충 선생 - 2월 11일 - 나훈아: 대한민국의 가수
- 2월 14일 - 케빈 키건: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 2월 20일
- 2월 25일 - 허구연: 24대 한국야구위원회 총재
3.1.3. 3월
- 3월 2일 - 송지헌: KBS 5기 아나운서
- 3월 4일 - 케니 달글리시: 스코틀랜드의 축구 선수
- 3월 10일 - 박영지: 대한민국의 배우
- 3월 15일 - 노영하(~ 2024년):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前 KBS 바둑 해설가
- 3월 16일 - 이석현: 대한민국 제19대 후반기 국회부의장
- 3월 17일 - 커트 러셀: 미국의 배우
- 3월 19일 - 김태원: 대한민국의 정치인
- 3월 20일 - 유인촌: 대한민국의 배우, 44대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 3월 24일 - 김진태: 대한민국의 배우
- 3월 26일 - 김호곤: 60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3월 31일 - 레나 포르센: 스웨덴의 누드 사진 모델이자 컴퓨터 그래픽 업계의 유명인
3.1.4. 4월
- 4월 7일 - 올레크 말리시킨: 러시아의 운동선수이자 정치인
- 4월 13일 - 피터 데이비슨: 영국의 배우
- 4월 14일 - 마광수(~ 2017년): 한국의 소설가, 시인
- 4월 17일 - 올리비아 핫세(~ 2024년): 영국의 배우
- 4월 20일 - 루서 밴드로스(~ 2005년): 미국의 가수
- 4월 21일 - 김영애(~ 2017년): 대한민국의 배우
3.1.5. 5월
- 5월 5일 - 김호근: 대한민국의 교육인
- 5월 12일 - 유시춘: 대한민국의 소설가
- 5월 16일 - 이시즈카 운쇼(~ 2018년): 일본의 성우, 배우
- 5월 22일 - 고두심: 대한민국의 배우
- 5월 26일 - 샐리 라이드(~ 2012년): 미국 최초의 여성 우주 비행사, 최초의 LGBT 우주 비행사
3.1.6. 6월
- 6월 9일 - 마크 토마스 배럿(~ 1976년): 미국의 군인, 판문점 도끼만행사건의 희생자
- 6월 12일 - 오카자키 히로미: 일본의 정치인
- 6월 13일 - 스텔란 스카스가드: 스웨덴의 배우
- 6월 14일 - 알렉산드르 소쿠로프: 러시아의 영화감독
- 6월 19일 - 아이만 알자와히리(~ 2022년): 알카에다의 2대 수장
- 6월 27일 - 메리 매컬리스: 제8대 아일랜드 대통령.
3.1.7. 7월
- 7월 4일 - 백재현: 18대~20대 대한민국 국회의원
- 7월 6일 - 제프리 러시: 호주의 배우
- 7월 8일 - 안젤리카 휴스턴: 미국의 배우
- 7월 9일 - 크리스 쿠퍼: 미국의 배우
- 7월 17일 - 오세홍(~ 2015년): 대한민국의 성우
- 7월 21일 - 로빈 윌리엄스(~ 2014년): 미국의 배우
- 7월 22일 - 다니엘: 루마니아 정교회 제6대 총대주교
- 7월 23일
- 7월 24일 - 린다 카터: 미국의 배우, 가수
- 7월 25일 - 잭 톰슨: 미국의 전 변호사
- 7월 29일 - 가타야마 요시히로: 일본의 정치인
3.1.8. 8월
- 8월 5일 - 엄기영: 28대 MBC 사장
- 8월 8일 - 루이 판 할: 네덜란드의 축구감독
- 8월 10일 - 김종갑: 대한민국의 전 관료, 전 기업인, 전 한국전력공사 사장
- 8월 11일 - 쵸 카츠미: 일본의 성우
- 8월 19일 - 존 디콘: 영국의 록밴드 퀸의 전직 베이시스트
- 8월 20일
- 8월 25일 - 사와키 이쿠야: 일본의 성우
- 8월 27일 - 김문수: 한국의 정치인, 전 경기도지사
- 8월 30일 - 한민구: 한국의 전 군인, 국방장관
3.1.9. 9월
- 9월 1일 - 이시다 노리토시: 일본의 정치인
- 9월 2일
- 9월 10일 - 이영훈: 대한민국의 경제학자
- 9월 11일 - 이용섭: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제13대 광주광역시장.
- 9월 12일 - 조 판토리아노: 미국의 배우
- 9월 13일 - 이용훈 마티아 주교: 한국 가톨릭의 성직자
- 9월 15일 - 요한 네이스컨스(~ 2024년): 네덜란드의 축구 선수
- 9월 20일 - 김무성: 대한민국의 정치인
- 9월 24일 - 김준석: 대한민국의 방송인, 前 방송 기자
- 9월 25일
- 9월 30일
3.1.10. 10월
- 10월 2일 - 스팅: 영국의 가수
- 10월 10일 - 임보전[4]: 홍콩의 성우
- 10월 11일 - 김자옥(~ 2014년): 대한민국의 배우.
- 10월 23일 - 센 마사코: 일본의 前 황족.
- 10월 25일 - 정순균: 대한민국의 정치인
- 10월 27일 - 정몽준: 대한민국의 정치인, 기업인이자 前 FIFA 부회장.
- 10월 28일 - 클라우디오 라니에리: 이탈리아의 축구 감독.
- 10월 29일 - 이원형: 한국의 정치인.
- 10월 31일 - 타나카 히로후미: 일본의 성우.
3.1.11. 11월
- 11월 4일 - 귄터 리바르치크: 독일의 전 축구인.
- 11월 8일
- 11월 11일 - 킴 픽(~ 2009년): 미국의 인물, 서번트 증후군, FG 증후군 환자.
- 11월 16일 - 임수아: 대한민국의 성우.
- 11월 17일 - 유흥식 라자로 대주교: 천주교 대전교구 제4대 교구장. 교황청 성직자성 장관.
- 11월 21일 - 존 닐리 케네디: 미국의 정치인.
- 11월 26일 - 김초군: 대만의 배우.
- 11월 28일 - 캐스린 비글로: 미국의 영화감독.
3.1.12. 12월
- 12월 1일 - 트리트 윌리엄스(~ 2023년): 미국의 배우.
- 12월 4일 - 김영식: 대한민국의 기업인.
- 12월 6일 - 박맹우
- 12월 9일 - 이강수: 대한민국의 정치인.
- 12월 13일 - 임연심(~ 2012년): 케냐의 선교사.
- 12월 16일 - 야마시타 신지: 일본의 배우.
- 12월 18일 - 윤미라: 대한민국의 배우.
- 12월 20일
-
12월 22일 -
송도영: 대한민국의 성우.
메텔 - 12월 26일
- 12월 30일 - 장광: 대한민국의 성우.
3.1.13. 일자 불명
3.2. 가상
- 1월 30일: 필 콜린스 - GTA 바이스 시티 스토리즈[5]
- 2월 24일: 샤론 데이비스 -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 3월 1일: 토드 데이비스 -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 일자 불명
4. 사망
4.1. 실제
- 1월 5일
- 1월 27일 - 칼 구스타프 에밀 만네르헤임: 핀란드의 군사지도자, 정치인이자 핀란드의 국부
- 1월 30일 - 페르디난트 포르셰: 오스트리아의 공학박사 & 폭스바겐/ 포르쉐 창업주
- 2월 13일 - 로이드 C. 더글러스: 미국의 작가 및 교역자
- 3월 17일 - 카를 알브레히트 폰 합스부르크: 합스부르크 가문의 일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육군, 폴란드 육군의 대령
- 4월 7일 - 세르게이 보이체호프스키: 러시아 제국, 체코슬로바키아의 군인
- 4월 29일 -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독일의 철학자
- 5월 1일 - 나가이 다카시: 일본의 의사이자 < 나가사키의 종>의 작가, 나가사키 원폭 투하 당시 피폭자이자 천주교 신자
- 5월 17일 - 데이메이 황후: 다이쇼 덴노의 아내
- 5월 23일 - 에밀 카폰: 미국의 가톨릭 군종 신부
- 6월 26일 - 닐스 로시엔: 스웨덴의 전 축구 선수
- 7월 13일 - 아르놀트 쇤베르크: 오스트리아의 작곡가, 화가, 작가
- 7월 23일 - 필리프 페탱: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프랑스군의 원수이자 비시 프랑스의 수반
- 7월 24일 - 패디 무어: 아일랜드의 전 축구 감독
- 7월 26일 - 빌헬름 폰 프로이센: 독일 제국의 마지막 황태자
- 11월 23일 - 쥐정: 중화민국 2대 사법원장
- 일자 불명
4.2. 가상
- 1월 5일: 김영신 - 태극기 휘날리며
- 6월 15일: 마티 산토렐리 - 마피아 2
- 7월 28일: 사라도령 - 고스트 메신저
- 8월 30일: 이진태 - 태극기 휘날리며
- 9월 24일: 헨리 토마시노 - 마피아 2
- 9월 24일: 저원윙 - 마피아 2
- 9월 25일: 토마스 안젤로[6] - 마피아 2
- 10월 31일: 라이히-5의 아돌프 히틀러 - 겁스 무한세계
- 일자불명
- 헤르만 괴링 - 당신들의 조국
- 레오 알덴 - DEAD AHEAD
5. 데뷔
5.1. 만화계
- 정한기
- 후지코 F. 후지오
5.2. 가요계
6. 히트작
7. 달력
[1]
이들이 입학한 1958년도에는 4월 입학을 시행하던 시기였다.
[2]
6차 교육과정 시기에 수학으로 변경.
[3]
인게임 계절이 겨울에서 봄으로 바뀌는 전환시점이다.
마피아 2 본편의 세 번째 시대배경이자 메인 시대배경.
[4]
도라에몽
홍콩
더빙판의 도라에몽 역을 맡았던 성우
#,
#
[5]
실존인물을 직접 캐스팅해서 작중 생년월일도 실제와 동일하다. ~
바이스시티 주인공과 동갑이다~
[6]
마피아 1의 주인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