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8 18:01:55

황기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식물에 대한 내용은 황기(식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중국의 기년법에 대한 내용은 황제기원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비디오 게임 카트라이더의 등장 요소에 대한 내용은 황금기사 9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또 다른 등장 요소에 대한 내용은 황금기사 X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기년법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A495><colcolor=#FFF> 종교기년 <tablebgcolor=#FFF,#1F2023> 불멸기원 | 서력기원 | 에티오피아력 | 우주력 | 원기 | 포덕 | 도기 | 콥트력 | 이슬람력 | 페르시아력 | 히브리력
건국기년 파일:조선 어기.svg 개국기년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단군기원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연호 | 파일:대만 국기.svg 민국기년 | 파일:일본 국기.svg 황기 | 파일:청나라 국기.svg 황제기원
즉위기년 연호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연호)
탄생기년 파일:북한 국기.svg 주체년호 † | 파일:팔라비 왕조 국기.svg 키루스 기원
태세기년법 육십갑자
기타 인류력
†: 폐지된 기년법 }}}}}}}}}

[[일본 황실|
파일:일본 황실 금색.svg
일본 황실
관련 문서 · 틀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001F, #BD0029 20%, #BD0029 80%, #AF001F); color: #DCA6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DCA600,#8C003B><colcolor=#FFF> 신위 천황 ( 역대 천황 · · 계보) · 황후 () · 황태후 · 태황태후 · 상황 () · 상황후 · 섭정 () · 황사 [황태자 · 황태손] · 황사비 \ 황태자비 · 황태손비] · 친왕 · 친왕비 · 내친왕 · 왕 · 왕비 · 여왕
칭호 어칭호 · 미야고(궁호)
분가 미야케(궁가) () · 구황족 ( · 가계도 · 계보 上 · · ) · 세습친왕가 ()
가계도 천황 계보 · 황실 가계도 · 구황족 계보 \ · · ] · 구황족 가계도 · 내정 가계도 · 아키시노노미야 가계도 · 미카사노미야 가계도 · 다카마도노미야 가계도 · 지묘인통과 다이카쿠지통
상징 십육엽팔중표국 · 니시키노미하타
거주 일본의 어소 () \ 황거 · 교토어소] · 일본의 이궁 ()
능묘 모즈·후루이치 고분군 · 쓰키노와능 · 후카쿠사 북릉 · 후시미모모야마능 · 무사시 능묘지
신화 신대 ( 역대 신 틀) \ [아마테라스 · 지신오대 · 히무카 삼대] · 아라히토가미 · 이세 신궁 · 천양무궁의 신칙
의식 · 행사 즉위의 예 · 대상제 · 가가쿠 · 일반참하 · 황기 2600년 봉축곡
보물 삼종신기 () · 정창원
축일 기원절 · 천황탄생일
기년법 연호 () · 황기
제도 황실전범 \ 구 황실전범] · 황적이탈 ()
조직 궁내청 ( 역대 장관 틀) · 내대신부 ( 역대 내대신 틀) · 추밀원 ( 역대 의장 틀) · 황궁경찰본부 · 황실회의 ( 의원 틀)
역사 결사팔대 · 남북조정윤론 · 다이카쿠지통 ( 계보) · 만세일계 · 북조 천황 () · 인세이 · 지묘인통 ( 계보) · 추존 천황 ()
교육 가쿠슈인 \ [가쿠슈인대학]
문제 후계자 대책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mperor_Jimmu.jpg
일본어 [ruby(神武天皇即位紀元, ruby=じんむてんのうそくいきげん)] [ruby(皇紀, ruby=こうき)]
한국어 진무 천황 즉위기원 황기

1. 개요2. 제정3. 사용4. 전후 사용
4.1. 일본 국내4.2. 인도네시아 독립선언문

1. 개요

서기 20[age(1999-12-31)]년은 황기 2[age(1339-12-31)]년이다.

초대 천황 진무 천황의 즉위년을 원년으로 하는 일본 기년법. 진무 천황 즉위기원(神武天皇即位紀元), 줄여서 진무 기원(神武紀元), 또는 황력(皇曆) 등으로 불렸다. 환산방법은 서기+660이다.

2. 제정

미토 번(水戸藩, 오늘날 이바라키현 미토시 일대)의 국학자 후지무라 토코(藤田東湖)가 1840년 지은 한시(漢詩)에서 그 해를 ( 진무 천황으로부터) 2500년이라고 설명하였다. 후지무라가 진무로부터 연도를 헤아려보긴 했지만, 딱히 기년법을 주장한 것은 아니었다.

츠와노 번[津和野藩, 오늘날 시마네현 카노아시군(鹿足郡)]의 국학자 오쿠니 타카마사(大国隆正)가 1855년 집필한 《본학거요(本學擧要)》에서 존황양이론에 입각하여 서양 그리스도교 국가들이 서력기원을 사용하듯, 일본도 진무 천황 즉위년을 원년으로 삼아 중흥기원(中興紀元)을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1872년 메이지 유신을 시작하고 역법을 전통적인 음력에서 그레고리력으로 바꾸고 일세일원제(一世一元制), 즉 임금이 즉위하여 한 번 연호를 정하면 죽을 때까지 바꾸지 않고 사용하는 제도를 도입했다. 이때 일본도 연호 대신 서력기원처럼 원년으로부터 계속 헤아리는 기년법을 사용하자며 황기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있었다. 하지만 일본 정부의 입장은 어중간하였다. 연호를 폐지하지는 않으면서도 진무 천황 즉위기원을 채택했고, 또 언제부터 황기가 발효되는지도 정하지 않았다. 또한 가장 격식을 갖춘 공문서에는 황기과 연호를 병용하되, 약식 공문서나 사적인 문서에서는 연호만 쓴다는 방침을 세웠다.

일본서기에 따르면 진무 천황은 45세 되던 기원전 667년(갑인년)에 규슈에서 동쪽으로 정벌에 나서서(진무동정) 나라를 세우고 52세 되던 기원전 660년(신유년) 설날 가시하라궁(橿原宮, 오늘날 가시하라 신궁 자리)에서 즉위하였다. 그래서 일본 정부는 서기 연도에 660을 더하여 '진무 천황 즉위기원'을 정하고 1872년(메이지 5년, 진무 기원 2532년)부터 처음으로 공적으로 사용했다.

3. 사용

황기 2600년 봉축곡들은 황기로 2600년이 되는 서기 1940년을 기념하여 작곡했기 때문에 저런 제목이 붙었다. 메이지 유신 이후부터 1945년 패전 이전까지 일본에서 그냥 기원(紀元)이라고 하면 바로 '황기'를 가리켰다. 당시 일본에서는 연호를 대부분 사용하되 교과서와 격식을 갖춘 공문서에서는 황기를 사용했으며[1] 또한 일본군에서도 무기의 제식명에 황기에서 따온 숫자를 붙이곤 했다.[2]

4. 전후 사용

4.1. 일본 국내

패전 이후로는 일본 사회가 연호 아니면 서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황기가 잘 쓰이진 않지만, 황기에 대한 법령은 아직 폐지되지 않았기 때문에 여전히 법적으로는 유효하다.

우익 성향이 강한 단체에서는 아직도 황기를 더 선호한다.

4.2. 인도네시아 독립선언문

인도네시아 독립선언문에는 연도가 '05년 8월 17일'로 표기되었는데, 여기서 05년은 독립을 선언한 황기 2605년(서기 1945년)을 뜻한다. # 바하루딘 유숩 하비비 당시 인도네시아 대통령도 독립선언문의 05년이 일본 황기 2605년을 의미한다고 설명하였다. #

[1] 저런 서류들만큼 격식을 갖출 필요가 없는 문서는 연호만 사용하였다. [2] 전후 창설된 자위대는 서기를 기반으로 제식명을 붙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