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
민족 | |||
<colbgcolor=#fafafa,#1a1a1a> 핀우그 리아족 |
<colbgcolor=#fafafa,#1a1a1a> 핀페 름족 |
발트핀족 | 핀란드인 | 카렐인 | 잉그리아인 | 벱스인 | 크벤인 | 이조라인 | 에스토니아인( 버로인) | 세투인 | 리보니아인 | 보디인 | |
사미족 | 사미인 | |||
볼가핀족 | 모르드바인 | 마리인 | |||
페름족 | 우드무르트인 | 코미인 | |||
우고 르족 |
마자르족 | 헝가리인 | 세케이인 | ||
오브우 고르족 |
한티인 | 만시인 | |||
사모예드족 | 에네츠인 | 네네츠인 | 응가나산인 | 셀쿠프인 | |||
국가 및 지역 | ||||
독립국 | 헝가리 | 핀란드 | 에스토니아 | |||
자치 지역 | 카렐리야 공화국 | 모르도비야 공화국 | 네네츠 자치구 | 코미 공화국 | 마리 엘 공화국 | 한티-만시 자치구 | 우드무르티야 공화국 | 야말로-네네츠 자치구 | |||
다수 거주지 | 라플란드 | 세케이푈드 | |||
언어 및 문화 | ||||
언어 | 우랄어족 | |||
사상 | 범우랄주의 | 범투란주의 | |||
신화 | 핀란드 신화 | 에스토니아 신화 | 헝가리 신화 | }}}}}}}}} |
우랄어족 Uralic Languages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2px" |
사모예드어파 | 네네츠어 · 셀쿠프어 · 에네츠어 · 응가나산어 | |||
핀우그르어파 | 핀페름어파 | 발트핀어군 | 북 | 핀란드어 · 카렐어 · 루드어 · 크벤어 · 잉그리아어 · 벱스어 | |
남 | 에스토니아어 · 버로어 · 세토어 · 리보니아어 · 보트어 | ||||
사미어군 | 서 | 서남 사미어 ( 남부 사미어 · 우메 사미어) | |||
서북 사미어 ( 북부 사미어 · 피테 사미어 · 룰루 사미어) | |||||
동 | 본토 사미어 ( 이나리 사미어 · 아칼라 사미어† · 케미 사미어† · 스콜트 사미어 · 카이누 사미어†) | ||||
반도 사미어 ( 킬딘 사미어 · 테르 사미어) | |||||
마리어군 | 마리어 ( 산지 마리어 · 초지 마리어) | ||||
모르드바어군 | 모르드바어 ( 에르자어 · 목샤어) | ||||
페름어군 | 코미어 · 우드무르트어 | ||||
우그르어파 | 헝가리어 | ||||
오브우그르어군 | 한티어 · 만시어 | ||||
미분류 | 메랴어† · 메쇼라어† · 무롬어† | }}}}}}}}} |
컨트리볼로 표현한 우랄어족. 핀란드[1], 에스토니아, 헝가리를 배경으로 왼쪽부터 우드무르티야 공화국, 모르도비야 공화국, 카렐리야 공화국, 코미 공화국, 마리 엘 공화국, 한티-만시 자치구, 세케이인이다. |
[clearfix]
1. 개요
우랄어족 언어 및 민족 분포도. 헝가리를 제외하면 대부분이 북유럽 또는 시베리아에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
우랄어족에 속하는 언어의 화자는 대부분 북아시아 서부와 유럽에 살고 있으나 인도유럽어족에 속하지 않는다.
2. 기원과 역사
기원전 1900년경부터 원시 우랄어가 사모예드어파와 핀우그르어파로 분화되기 시작했는데 이 중에서 사모예드어파 계열의 민족들은 시베리아 동부로 이동했고 핀우그르어파 계열 민족들은 우랄 산맥을 넘어서 오늘날의 러시아의 유럽 지역으로 대거 이주했다.[4] 기원전 1300년경에 핀우그르어파가 핀페름어파와 우그르어파로 재차 분화되었다. 이 중에서 핀페름어파 화자들이 지금의 러시아 서부 지역 및 발트 해 연안, 스칸디나비아 반도로 진출하였고[5] 우그르어파 화자들이 오늘날의 우크라이나를 거쳐서 중부 유럽에 정착하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2.1. 핀우그르어파 기층설
주류 언어학계에서는 늦어도 서기 11세기경까지는 우랄어족 핀우그르어파 계열 언어들의 기층언어가 된 비(非) 인도유럽어족 및 비 우랄어족 계통의 언어가 잔존했으리라고 추정하는데 사미어의 각 방언들의 몇몇 어휘가 서로 유사성이 없다는 점을 근거로 이 미지의 기층언어를 재구하려는 시도가 있다.고 라플란드어는 핀란드인의 먼 친척뻘 민족인 사미인이 거주하는 지역인 오늘날의 핀란드의 라플란드 지방에서 서기 500년 경까지 쓰인 언어로, 이 지역에 사미인의 조상 민족이 도래하기 이전에 살았던 선주민들의 언어다. 인도유럽어족에도 우랄어족에도 속하지 않는 언어로 추정되며 우랄어족 계통 언어를 제외하면 북유럽 지역에서 쓰이던 최후의 비 인도유럽어족 계통 언어들 중 하나이다.
본래 주류 언어학계에서는 게르만어파 도래 이전의 언어나 선술한 핀우그르어파 도래 이전의 언어를 밝혀내기 위한 여러 가설이 제안되었는데, 고 라플란드어는 그런 언어의 존재가 입증된 첫 사례라서 학계의 관심이 지대하다. 하지만, 이 언어는 상술했듯이 인도유럽어족이나 우랄어족 중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제3의 어족이거니와 존재조차 제대로 알려지지 않은 선사 시대 유럽 제어의 흔적이라서 아직까지 밝혀진 부분은 많지 않다. 일단 이 언어는 1만 2900년 전에서 1만 1700년 전까지 오늘날의 독일과 폴란드 일대에서 번성했던 후기 구석기 시대 문화인 아렌스부르크 문화의 주민들 사이에서 쓰이던 언어가 역사 시대까지 남은 것이라고 추정한다.
봄을 뜻하는 사미어 단어인 ája가 고 라플란드어에서 차용한 단어라고 추정한다.
핀란드어 | 한국어 |
saari | 섬 |
niemi(니에미) | 곶 |
oja | 배수로 |
nummi | 황야 |
ilves | 스라소니 |
koipi | 새의 다리 |
nenä | 코 |
jänis(얘니스) | 산토끼[6] |
salakka | Bleak(물고기 종류) |
liha | 고기 |
핀우그르어파는 아니지만 우랄어족에서 기층이론으로 주목받는 또다른 사례를 뽑자면 사모예드계 언어 중 하나인 응가나산어를 들 수 있다. 핀란드의 언어학자인 유하 얀후넨에 따르면 여기에도 타이미르 반도 선주민들이 쓰던 미지의 언어가 남긴 기층어휘가 다수 포함돼 있다고 한다.
3. 특징
우랄어의 대부분은 언어유형학상 교착어이며, 음운론적으로 모음조화가 존재한다.[7] 언뜻 보면 튀르크어족과 비슷한 듯 해서 과거에 알타이 제어와 함께 우랄알타이어족으로 같이 분류하려는 시도도 있었다.공통적으로 격이 매우 많다. 사미어는 6격, 네네츠어는 7격, 에스토니아어는 14격[8], 핀란드어는 15격, 코미지랸어는 17격, 그리고 헝가리어는 무려 18격이다. 핀란드어엔 나타나진 않지만 경구개음화가 대개 존재한다.
다음은 우랄어족에 속하는 언어들의 여러 단어 비교 표.
핀란드어 | 에스토니아어 | 북부 사미어 | 에르자어 | 코미어 | 헝가리어 | 네네츠어 | |
물 | vesi | vesi | čáhci | ved´ | va | víz | i" |
불 | tuli | tuli | dolla | tol | tyl | tűz | tu |
손 | käsi | käsi | giehta | ked´ | ki | kéz | ŋuda |
언어 | kieli | keel | giella | keĺ | kyv | nyelv | vada |
얼음 | jää | jää | jiekŋa | ej | ji | jég | sėr" |
핀란드어와 에스토니아어는 기본적으로 파열음, 파찰음, 비음, 유음 모두 장단에 따른 구별만 있으며 유성파열음은 어두에 나타나지 않고 단어 중간에서 명사 동사가 변화할 때 제한적인 변이음으로 소리난다.
러시아어-핀우그리아어파 간의 기층설이 있다. 오늘날의 러시아의 유럽쪽 지역에는 이른바 볼가 핀족이라고 부르는 우랄어족의 핀우그르어파 계열 민족들이 적어도 13세기 경까지는 현대 러시아인의 직접적인 기원이 되는 동슬라브어군 계열 민족들과 공존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들 중 사멸한 메쇼라어나, 메랴어(메르야어), 무롬어(Muromian language) 등이 러시아어의 기층언어가 된 것으로 보고 이를 재구하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바스크어를 제외한 모든 언어가 사멸한데다, 사료도 극도로 부족해서 절망적일 정도로 재구가 지지부진한 고유럽 제어와는 달리, 볼가 핀족 제어들 중에서 21세기까지도 마리어, 코미어, 우드무르트어 등이 멀쩡히 존속하고 있는 데다 일국의 공용어로 쓰일 만큼 영향력이 큰 친척 언어인 핀란드어가 있으므로 재구에 대해 상당한 성과가 나타난다. 다만, 사료가 부족해서 완전한 재구는 어려운 상황이다.
게르만어파 기층설에 의하면, 고유럽 제어 계열 언어와 함께 핀우그리아어파 계열 언어가 게르만어파 계열 언어들의 기층언어가 되었다고 한다. 일단 게르만조어에는 비 인도유럽어족 계열 차용어는 그리 많지않다는 사실이 밝혀져있지만, 몇 안되는 차용어들의 대부분이 핀우그리아조어에서 온 것으로 추정되어 학계의 관심을 모으는 중이다.
4. 분류
우랄어족은 크게 핀우그르어파와 사모예드어파로 분류한다.
핀우그르어파는 사모예드어파를 제외한 우랄어족 언어들의 총칭이자 언어학에서 사용되는 전통적 분류이며,[9] 다시 핀란드어, 에스토니아어 등이 속한 핀페름어파와 헝가리어 등이 속한 우그르어파로 나뉜다.
사모예드어파는 원시 우랄어(Proto-Uralic language)에서 가장 먼저 갈라지기 시작한 데다 특정 상층언어로부터 강한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기초적인 수사조차 다른 우랄어들과의 유사점을 찾아볼 수 없다.
4.1. 우랄조어
우랄어족 언어들의 조상 언어이다.4.2. 핀우그르어파(Finno-Ugric)
4.2.1. 핀페름어파(Finno-Permic)
4.2.1.1. 발트핀어군(Baltic-Finnic)
4.2.1.2. 사미어군(Sami)
- 사미어
- 서부 사미어
- 서남 사미어
- 남부 사미어
- 우메 사미어
- 서북 사미어
- 피테 사미어
- 룰루 사미어
- 북부 사미어
- 동부 사미어
- 본토 사미어
- 이나리 사미어
- 아칼라 사미어(†)
- 케미 사미어(†)
- 스콜트 사미어
- 카이누 사미어(†)
- 반도 사미어
- 킬딘 사미어
- 테르 사미어
4.2.1.3. 마리어군(Mari)
- 마리어
- 산지 마리어
- 초지 마리어
4.2.1.4. 모르드바어군(Mordvinic)
- 모르드바어
- 에르자어
- 목샤어
4.2.1.5. 페름어군(Permic)
4.2.2. 우그르어파(Ugric)
4.2.3. 미분류
- 메랴어(메르야어)(†)
- 메쇼라어(†)
- 무롬어(Muromian language)(†)
4.3. 사모예드어파(Samoyedic)
5. 다른 어족과의 관계
19세기에 알타이어족 가설을 확장해서 우랄어족을 편입시킨 우랄알타이어족 가설이 제안되었으나, 기초어휘 단계에서 확연한 차이가 발견되어 폐기되었다. 알타이어족 가설을 지지하는 학자들도 더이상 우랄어족은 포함시키지 않는다.한때는 드라비다어족과 친연 관계가 있다는 설이 제안되었으나, 드라비다어족 연구자들과 우랄어족 연구자들의 맹렬한 비난을 받았다. 그 이외에는 인도유럽어족과 친연 관계를 이룬다는 인도우랄어족 가설이 제안된 바 있다.
6. 둘러보기
시베리아의 역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rowcolor=#FFF> | 서 시베리아 | 동·중앙 시베리아 | 극동 | ||
<rowcolor=#FFF> 북부
|
남부
|
남부
|
북부
|
|||
고대 | 고대 북유라시아인 | |||||
시베리아 원주민 | ||||||
우랄계 제족 | 튀르크 | 퉁구스 | 고시베리아인 | |||||
튀르크 | 퉁구스 | 니브흐 | 축치인 | |||||
중세 |
우랄 | 튀르크 |
|||||
{{{#!wiki style="margin: -16px -10px" | 킵차크 칸국 | 원 | ||
}}} |
근세 | 루스 차르국 | 시비르 칸국 | 오이라트 | 타타르 |
사하(야쿠트) 연맹 한갈라스 울루스 |
|||||||
루스 차르국
| 러시아의 시베리아 정복 약사 |
|||||||||||
근현대 | 제정 러시아 | ||||||||||
러시아 공화국 | |||||||||||
러시아 SFSR | 러시아 SFSR | ||||||||||
소련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0.85em; letter-spacing: -1.0px" |
}}} | ||||||||||
러시아 연방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0.85em; letter-spacing: -1.0px" |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00ff, #9966ff)" '''[[집단유전학|집단유전학 {{{#!wiki style="font-family: Times New Roman, serif; font-style: Italic; display: inline;"]]'''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tablewidth=100%> 기반 학문 | |||||
유기화학 · 생물학( 분자생물학 · 유전학 · 계통 생물학) · 수학( 선형대수학 · 미분적분학 · 수치 해석학 · 자료구조) · 통계학 | ||||||
<colcolor=#000,#fff> 기반 및 법칙 | ||||||
멘델 유전 법칙 · 자연 선택 · 유전적 부동( 유전자 병목현상 · 창시자 효과) · 유전자 흐름( 종분화 · 고리종) · 하디-바인베르크 법칙( 멘델 집단) · 집단구조 · F-통계량( FST · FIS · FIT) · 발룬드 효과 · 할데인의 딜레마 · 베르그만 법칙 · 알렌 법칙 · 볼프의 법칙 · 로지스틱 방정식 · 먹이사슬 · PCR · SNP( SSCP · AFLP · RFLP · RAPD ·) · STR · 인간 게놈 · 인간 게놈 프로젝트 · Fitness landscape · 피셔의 자연선택의 기본정리 · 무한 대립유전자 모델 · Ewens의 추출 공식 · Watterson 추정량 · 타이포스트로피 변형 · 힐-로버슨 간섭 | ||||||
현상 & 연구 | ||||||
진화( 수렴적 진화 생태적 지위 · 지위의 미세분화 · 공동진화 · 포괄 적합도) · 고고학( 고대인류 · ANE · 아나톨리아 수렵채집인 · ANS · WSHG · EHG · WHG) · 종분화- 생식적 격리( ) · 인류 분산 경로 · 어족( 우랄-알타이어족 · 알타이 제어 · 우랄어족) · 생활양식( 수렵채집인 · 반농반목 · 유목민 · 농경민) · 문화( 말타-뷰렛 문화) 상 염색체 다양성 · 베스터마르크 효과 · 형질( 어깨너비 · 키 · 피부색 · 두형) · 질병( 바이러스 · 암 · 정신질환 · 유전병) · 하플로그룹( 하플로그룹/집단 · 하플로그룹 지도) | ||||||
하플로그룹 | ||||||
Y-DNA (부계) | <colcolor=#000,#fff> 하플로그룹 A · 하플로그룹 BT( 하플로그룹 B · 하플로그룹 C · 하플로그룹 D · 하플로그룹 E · 하플로그룹 F · 하플로그룹 G · 하플로그룹 H · 하플로그룹 I · 하플로그룹 J · 하플로그룹 K (Y-DNA) · 하플로그룹 L) · 하플로그룹 M · 하플로그룹 NO( 하플로그룹 N · 하플로그룹 O) · 하플로그룹 P · 하플로그룹 Q · 하플로그룹 R | |||||
mt-DNA (모계) | 하플로그룹 D (mt-DNA) | |||||
관련 문서 & 개념 | ||||||
유전자( 유전체 · 성염색체) · 유전자 검사(23And me, 유후) · 인종( 북유럽인 · 북아시아인 · 동남아시아인 · 동유럽인 · 동아시아인 · 서유럽인 · 서아시아인 · 남유럽인 · 남아시아인 · 북아프리카인 · 아프리카인) · 민족( 에스니시티) · ISOGG |
[1]
핀란드 위의 컨트리볼은
라플란드 지역에 거주하는
사미족을 상징한다.
[2]
또는 Uralian languages
[3]
우랄어족 언어들 대부분이 우랄산맥 서쪽에 분포한 반면,
유카기르어는
우랄 산맥에서 동쪽으로 한참 떨어진
러시아 극동의
사하 공화국 또는
마가단에 분포한다.
[4]
핀우그르어파 계열 민족들은 이렇게
유럽 방향으로 이주하는 과정에서
알란족이나
슬라브계,
게르만계 등의
인도유럽어족 계통 민족들과 혼혈을 이루어서 외견 상으로는 유럽의 타민족들과 차이가 없게 되었으며 언어적으로도 인접한
독일어나
러시아어,
스웨덴어 등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5]
이때
스칸디나비아 반도에 진출한 핀페름어파 화자들이
고유럽 제어를 사용하는 선주민들과 혼혈을 이루고 융화하면서
핀인과
에스토니아인,
사미인의 시조가 되었으며, 다시 기원전 1000년 경에 스칸디나비아 반도에 진출한
원시 게르만인과 혼혈을 이루면서
게르만조어에
상당한 수의 차용어를 만들어냈다.
[6]
다만 일반적으로
토끼라는 단어로 자주 사용된다.
[7]
표준
에스토니아어,
리보니아어에는 모음조화가 없다.
[8]
핀란드어와 다르게 목적격(accusative)이 따로 없고, 소유격이나 부분격을 목적격으로 쓴다.
[9]
현대에 들어서는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분류:우랄어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