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7C97 0%, #00AFCA 20%, #00AFCA 80%, #007C97); color:#fec50c"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ec50c> 초대 | 제2대 |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 |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 }}}}}}}}}}}} |
카자흐스탄 공화국 제2대 대통령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Qasym-Jomart Toqaev / Касым-Жомарт Токаев Kassym-Jomart Tokayev |
|||
<colbgcolor=#00AFCA><colcolor=#FEC50C> 본명 |
카슴조마르트 케멜룰르 토카예프 Qasym-Jomart Kemelūly Toqaev Касы́м-Жома́рт Кеме́левич Тока́ев[1] |
||
출생 | 1953년 5월 17일 ([age(1953-05-17)]세) | ||
소련
카자흐 SSR
알마아타 (현 카자흐스탄 알마티) |
|||
재임기간 | 제4대 총리 | ||
1999년 10월 12일 ~ 2002년 2월 28일 | |||
제2대 대통령 | |||
2019년 3월 20일 ~ 현직 | |||
서명 |
|
||
링크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AFCA><colcolor=#FEC50C> 배우자 | <colcolor=#373a3c,#ddd> 나데즈다 토카예바 (이혼) | |
자녀 | 아들 티무르 토카예프 | ||
학력 |
모스크바 국립국제관계대학교 (
국제관계학 /
학사) 러시아 연방 외교 아카데미 (수료) |
||
병역 | 카자흐스탄군 최고사령관 (2019~) | ||
종교 | 이슬람 | ||
신체 | 180cm | ||
정당 |
[[무소속(정치)| 무소속 ]][2]
|
||
의원선수 | 2 (상원) | }}}}}}}}} |
[clearfix]
1. 개요
카자흐스탄의 정치인, 제6·7대 대통령이다.2. 약력
- 카자흐스탄 외교부 장관 (1994 ~ 1999)
- 카자흐스탄 부총리 (1999)
- 카자흐스탄 총리 (1999 ~ 2002)
- 카자흐스탄 국정고문 (2002 ~ 2003)
- 카자흐스탄 외교부 장관 (2002 ~ 2007)
- 카자흐스탄 상원의장 (2007 ~ 2011)
- 유엔 제네바 사무국 카자흐스탄 대사 (2011 ~ 2013)
- 카자흐스탄 상원의장 (2013 ~ 2019)
- 카자흐스탄 제2대 대통령 (2019 ~)
- 카자흐스탄 안전보장회의 의장 (2022 ~)
3. 생애
1953년 5월 17일 카자흐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수도 알마티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케멜 토카예프는 독소전쟁 참전용사였으며, 추리 소설로 소련과 카자흐스탄에서 유명한 작가였고, 어머니 투라르 샤바르바예바는 외국어 교육 강사였다고 한다.1975년 소련 외교부에 들어가 전문 외교관의 길을 걸었으며 싱가포르, 중국 주재 소련 대사관에서 근무했다. 소련 붕괴 이후 카자흐스탄 외교차관, 제1 외교차관을 거쳤으며 1994년부터 1999년까지 카자흐스탄 외교장관으로 재임했다.
이후로는 카자흐스탄 국무총리(2001년 ~ 2002년), 외교장관(2002년 ~ 2007년), 상원의장(2007년 ~ 2011년, 2013년 ~ 2019년 3월) 등을 역임했다.
3.1. 취임 후
2019년 3월 전임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가 사임할 때 권한대행을 지냈다. 2019년 카자흐스탄 조기 대선에서 70.96%로 당선되었다.1991년 카자흐스탄이 독립한 이후에 최초의 평화적인 집권자 교체였지만,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는 야당이 아닌 여당 누르 오탄 소속인데다가,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가 카자흐스탄 민족지도자(...)라는 직책으로 상왕 노릇을 하고 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었다. 사실상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의 정치적 허수아비로 보였다.
그런데 2022년 카자흐스탄 시위로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가 안전보장위원회 의장직에서 물러남에 따라 정치적 허수아비에서 벗어날 가능성도 생겼다.
|
2019년 한-카자흐 정상회담 당시 |
2021년 4월 6일에 카자흐스탄 측은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대통령이 스푸트니크 V를 접종받았다고 밝혔다. #
|
2021년 한-카자흐 정상회담 당시 |
3.2. 2022년 카자흐스탄 시위와 개혁 추진
2022년 카자흐스탄 시위에서 시위가 전국적으로 확산되자 내각을 총사퇴시켰다. 그러나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는 물러나지 않았으며, 집단안보 조약기구 회원국인 러시아에 지원을 요청하는 한편 카자흐스탄 최대 도시인 알마티의 시위대를 무력진압하여 카자흐스탄 민간인 209명[3]이 사망해서 논란이 되고 있다. 1월 11일 이후에 카자흐스탄 시위가 진압되면서 집권한 이후에 최대위기는 넘기게 되었다.이번 사건은 그에게 있어서 오히려 위기가 아닌 기회로서 작용했다고 평가받는다.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는 과거에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의 측근이었던 인사들을 대거 체포했으며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의 후광에 가려진 허수아비 대통령이었던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가 이번 사건을 계기로 권력을 강화해나갈 것으로 보인다.
2022년 1월 28일 실시된 전당대회로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는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가 가지고 있던 당총재직에 선출됐고, 누르 오탄이라는 당명도 아마나트로 개칭하는 등 빠르게 당권을 장악했다. 또한 대대적인 당내 개혁을 주문하기도 했다.
현지 시각으로 3월 16일, 대통령 권한의 축소, 헌법재판소 신설, 전현직 대통령의 집권여당 직위 겸직 금지, 대의원 권한의 확대 및 원로원 권한의 축소, 정당을 설립할 요건의 완화[4] 등 파격적인 헌법개정안을 제시했다. # 지방과의 소통 강화를 위해 통폐합했던 주 행정구역도 복구시키겠다고 했다. # 뿐만 아니라 국가인권위원회 신설, 선거제도의 개혁 및 외국의 참관 허용, 사형 폐지, 공정한 언론보도, 인터넷 검열의 철폐 등의 정치적 자유권 보장까지 제시했고, 간접적으로 그동안 러시아의 개입이 있었음을 인정했다. # 따라서 카자흐스탄 제2공화국이라고 내부적으로 정하고 있다. ## 그 뒤로 제2공화국 헌법 초안에도 참여하고 있다. # 또한, 4월 26일에는 탈당하여 무소속이 되었다.
9월 초에는 대통령의 임기를 현행 5년 중임제에서 7년 단임제로 변경하고, 대통령의 권한을 축소하는 파격적인 정치 개혁안을 발표했다. 이와 더불어 정계 개편을 위해 각각 2024년과 2025년으로 예정된 대선과 총선을 앞당겨 조기에 치르는 것을 제안했다. 또한 반정부 시위로 법적인 책임을 지게된 이들도 모두 사면한다는 뜻을 밝혔다. #
2022년 9월에 11월 조기 대선 실시를 발표하였으며 #, 원내 3당의 지지로 후보로 추대되었다. 다만 지나치게 갑작스런 조기 대통령선거의 실시는 장기간의 독재로 야권세력이 미미한 카자흐스탄에서 야권이 조직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라는 우려를 받기도 했다. # 우려대로 조기대선에서 등록한 후보 중에서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를 제외한 후보들은 정치적 무명인사였다. #
카자흐스탄 대통령선거후보 조건 때문에 후보 등록에 실패한 하이룰라 갑잘릴로프[5] #는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는 깨끗하지도 않고 부패도 많으며[6], 대통령선거후보 출마와 관련된 법률을 어겼음에도 출마를 했다면서 강하게 비판하였다.
11월 20일에 치러진 2022년 카자흐스탄 대통령 선거에서 81.3%라는 높은 득표율로 당선되었고, 2029년까지 재집권하게 되었다. #[7]
4. 기타
- 공개석상에서 푸틴으로부터 노골적인 멸시와 모욕을 한두 번을 당한 것이 아니다. 심지어 블라디미르 푸틴이 토카예프의 이름을 틀리게 부른 적도 있는데[8] 러시아 네티즌들은 '왕은 신하의 이름을 외울 필요가 없다'며 블라디미르 푸틴의 외교적 결례를 옹호하기도 했다.
- 위와 같은 이유 때문인지 한번은 블라디미르 푸틴이 카자흐스탄에 왔을때 의제 발언에 카자흐어로 이야기했다가 러시아어로 발언하기도 했다. # 카자흐어가 나오자 블라디미르 푸틴은 물론 우왕좌왕하면서 통역 이어폰을 끼는 외교장관과 대변인을 비롯한 러시아 관료들과 대비하여 평온한 카자흐스탄 관료들의 모습이 대비가 되었다. 그리고 이어폰을 끼자마자 바로 귀신같이 러시아어로 이야기를 한 것은 덤.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em;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아시아 ] |
* 의원내각제 하의 대통령 ** 아랍에미리트의 대통령은 아부다비의 아미르가 겸직하여 사실상 군주에 가깝다. *** 이란의 국가원수는 라흐바르이며, 대통령은 정부수반이다. **** 현직 장성급 장교들이 국회의원을 겸직하는 정당이라 사실상 미얀마군 소속에 가깝다. |
|||||
네팔* | 대만 | 대한민국 | ||||
[[무소속| 무소속 ]]
|
[[민주진보당| 민주진보당 ]]
|
[[국민의힘| 국민의힘 ]]
|
||||
람 찬드라 파우델 (초선) | 라이칭더 (초선) | 윤석열 | ||||
동티모르 | 레바논* | 몰디브 | ||||
[[티모르 재건국민회의| 티모르 재건국민회의 ]]
|
[[무소속| 무소속 ]]
|
[[인민민족회의| 인민민족회의 ]]
|
||||
조제 하무스오르타 (재선) | 나지브 미카티 (권한대행) | 모하메드 무이주 (초선) | ||||
몽골 | 미얀마*, **** | 방글라데시* | ||||
[[몽골 인민당| 몽골 인민당 ]]
|
[[무소속| 무소속 ]]
|
[[아와미 연맹| 아와미 연맹 ]]
|
||||
오흐나깅 후렐수흐 | 민 아웅 흘라잉 (권한대행) | 모하메드 샤하부딘 (초선) | ||||
스리랑카 | 시리아 | 싱가포르* | ||||
[[인민해방전선| 인민해방전선 ]]
|
[[바트당| 바트당 ]]
|
[[무소속| 무소속 ]]
|
||||
아누라 쿠마라 디사나야케 (초선) | 바샤르 알아사드 (4선) | 타르만 샨무가라트남 (초선) | ||||
아랍에미리트** | 예멘 | 우즈베키스탄 | ||||
[[무소속| 무소속 ]]
|
[[국민전체회의| 국민전체회의 ]]
|
[[우즈베키스탄 자유민주당| 우즈베키스탄 자유민주당 ]]
|
||||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나얀 |
라샤드 알알리미 (대통령 지도 위원회 의장) |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3선) | ||||
이라크* | 이란*** | 이스라엘* | ||||
[[쿠르디스탄 애국 연합| 쿠르디스탄 애국 연합 ]]
|
[[개혁파| 개혁파 ]]
|
[[민주당(이스라엘)| 민주당 ]]
|
||||
압둘 라티프 라시드 (초선) | 마수드 페제시키안 (초선) | 이츠하크 헤르초그 | ||||
인도* | 인도네시아 | 카자흐스탄 | ||||
[[인도 인민당| 인도 인민당 ]]
|
[[위대한 인도네시아 운동당| 위대한 인도네시아 운동당 ]]
|
[[무소속| 무소속 ]]
|
||||
드라우파디 무르무 (초선) | 프라보워 수비안토 (초선) |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재선) |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 ||||
[[메켄칠| 메켄칠 ]]
|
[[타지키스탄 인민민주당| 타지키스탄 인민민주당 ]]
|
[[투르크메니스탄 민주당| 투르크메니스탄 민주당 ]]
|
||||
사디르 자파로프 (초선) | 에모말리 라흐몬 (5선) | 세르다르 베르디무하메도프 (초선) | ||||
파키스탄* | 팔레스타인 | 필리핀 | ||||
[[파키스탄 무슬림 동맹| 파키스탄 인민당 ]]
|
[[파타| 파타 ]]
|
[[필리핀 연방당| 필리핀 연방당 ]]
|
||||
아시프 알리 자르다리 (재선) | 마흐무드 압바스 (초선) |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주니어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유럽 ] |
* 의원내각제 하의 대통령 ** 산마리노의 국가원수는 대통령이 아닌 두 명의 집정관이다. *** 오스트리아와 포르투갈은 헌법상 이원집정부제이나 사실상 의원내각제 국가이다. |
||
그리스* | 남오세티야 | 독일* | ||||
[[무소속| 무소속 ]]
|
[[느하스| 느하스 ]]
|
[[독일 사회민주당| 독일 사회민주당 ]]
|
||||
카테리나 사켈라로풀루 (초선) | 알란 가글로예프 (초선) |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 (재선) | ||||
라트비아* | 러시아 | 루마니아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
에드가르스 린케비치 (초선) | 블라디미르 푸틴 (5선) | 클라우스 요하니스 (재선) | ||||
리투아니아 | 몬테네그로* | 몰도바* | ||||
[[무소속| 무소속 ]]
|
[[지금 유럽!| 지금 유럽! ]]
|
[[무소속| 무소속 ]]
|
||||
기타나스 나우세다 (재선) | 야코브 밀라토비치 (초선) | 마이아 산두 (초선) | ||||
몰타* | 벨라루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
[[노동당(몰타)| 노동당 ]]
|
[[무소속| 무소속 ]]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회민주당| 사회민주당 ]][[독립사회민주연대| 독립사회민주연대 ]][[민주전선(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민주전선 ]]
|
||||
미리암 스피테리 데보노 |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6선) |
데니스 베치로비치 (초선) 젤카 츠비야노비치 (초선) 젤코 콤시치 (4선) |
||||
북마케도니아* | 북키프로스 | 불가리아* | ||||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마케도니아 국민통합민주당|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마케도니아 국민통합민주당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
고르다나 실랴노프스카다프코바 (초선) | 에르신 타타르 (초선) | 루멘 라데프 (재선) | ||||
산마리노* ** | 세르비아* | 스위스* | ||||
[[산마리노 기독교민주당| 산마리노 기독교민주당 ]][[자유 산마리노| 자유 산마리노 ]]
|
[[세르비아 진보당| 세르비아 진보당 ]]
|
[[중도당| 중도당 ]]
|
||||
프란체스카 치베르키아 (초선) 달리보르 리카르디 (초선) |
알렉산다르 부치치 (재선) | 비올라 암헤르트 (초선) | ||||
슬로바키아* | 슬로베니아* | 아르메니아*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
페테르 펠레그리니 (초선) | 나타샤 피르츠 무사르 (초선) | 바하근 하차투랸 | ||||
아이슬란드* | 아일랜드* | 아제르바이잔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신아제르바이잔당 ]]
|
||||
할라 토마스도티르 (초선) | 마이클 D. 히긴스 (재선) | 일함 알리예프 (5선) | ||||
알바니아* | 압하지야 | 에스토니아*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
바이람 베가이 (초선) | 아슬란 브자니야 (초선) | 알라르 카리스 (초선) | ||||
오스트리아*** | 우크라이나 | 이탈리아*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
알렉산더 판데어벨렌 (재선) |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초선) | 세르조 마타렐라 (재선) | ||||
조지아* | 체코* | 코소보*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
살로메 주라비슈빌리 (초선) | 페트르 파벨 (초선) | 비오사 오스마니 (초선) | ||||
크로아티아* | 키프로스 | 튀르키예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정의개발당| 정의개발당 ]]
|
||||
조란 밀라노비치 (초선) | 니코스 흐리스토둘리디스 (초선) |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3선) | ||||
트란스니스트리아 | 포르투갈*** | 폴란드 | ||||
[[무소속| 무소속 ]]
|
[[사회민주당(포르투갈)| 사회민주당 ]]
|
[[무소속| 무소속 ]]
|
||||
바딤 크라스노셀스키 (재선) | 마르셀루 헤벨루 드 소자 (재선) | 안제이 두다 (재선) | ||||
프랑스 | 핀란드* | 헝가리* | ||||
[[르네상스(정당)| 르네상스 ]]
|
[[국민연합당| 국민연합당 ]]
|
[[청년민주동맹| 청년민주동맹 ]]
|
||||
에마뉘엘 마크롱 (재선) | 알렉산데르 스투브 (초선) | 슈요크 터마시 (초선)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아메리카 ] |
* 의원내각제 하의 대통령 | ||
가이아나 | 과테말라 | 니카라과 | ||||
[[인민진보당| 인민진보당 ]]
|
[[풀뿌리운동| 풀뿌리운동 ]]
|
[[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 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 ]]
|
||||
이르판 알리 (초선) | 베르나르도 아레발로 | 다니엘 오르테가 (5선) | ||||
도미니카 공화국 | 도미니카 연방* | 멕시코 | ||||
[[현대혁명당| 현대혁명당 ]]
|
[[무소속| 무소속 ]]
|
[[국가재건운동| 국가재건운동 ]]
|
||||
루이스 아비나데르 (재선) | 실바니 버튼 (초선) |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파르도 | ||||
미국 | 바베이도스* | 베네수엘라 | ||||
[[민주당(미국)| 민주당 ]]
|
[[무소속| 무소속 ]]
|
[[베네수엘라 연합사회당| 베네수엘라 연합사회당 ]]
|
||||
조 바이든 (초선) | 샌드라 메이슨 (초선) | 니콜라스 마두로 (재선) | ||||
볼리비아 | 브라질 | 수리남 | ||||
[[사회주의 운동| 사회주의 운동 ]]
|
[[노동자당| 노동자당 ]]
|
[[진보개혁당| 진보개혁당 ]]
|
||||
루이스 아르세 (초선) |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3선) | 찬 산토키 (초선) | ||||
아르헨티나 | 아이티 | 에콰도르 | ||||
[[자유당(아르헨티나)| 자유당 ]]
|
[[무소속| 무소속 ]]
|
[[국민민주행동| 국민민주행동 ]]
|
||||
하비에르 밀레이 (초선) | 에드가르 르블랑 피스 (과도위원회 의장) | 다니엘 노보아 (초선) | ||||
엘살바도르 | 온두라스 | 우루과이 | ||||
[[새로운 생각| 새로운 생각 ]]
|
[[자유재건당| 자유재건당 ]]
|
[[국민당(우루과이)| 국민당 ]]
|
||||
나이브 부켈레 (재선) | 시오마라 카스트로 (초선) | 루이스 라카예 포우 (초선) | ||||
칠레 | 코스타리카 | 콜롬비아 | ||||
[[사회융합당| 사회융합당 ]]
|
[[사회민주진보당| 사회민주진보당 ]]
|
[[인간적인 콜롬비아| 인간적인 콜롬비아 ]]
|
||||
가브리엘 보리치 (초선) | 로드리고 차베스 로블레스 (초선) | 구스타보 페트로 | ||||
트리니다드 토바고* | 파나마 | 파라과이 | ||||
[[무소속| 무소속 ]]
|
[[목표 실현| 목표 실현 ]]
|
[[콜로라도당| 콜로라도당 ]]
|
||||
크리스틴 캉갈루 (초선) | 호세 라울 물리노 (초선) | 산티아고 페냐 | ||||
페루 | ||||||
[[무소속| 무소속 ]]
|
||||||
디나 볼루아르테 (초선)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아프리카 ] |
* 의원내각제 하의 대통령 ** 현재 군사정권이거나 혹은 사실상 해당 국가의 군 소속 |
||||
가나 | 가봉** | 감비아 | ||||
[[신애국당| 신애국당 ]]
|
[[가봉군| 가봉군 ]]
|
[[국가인민당(감비아)| 국가인민당 ]]
|
||||
나나 아쿠포아도 (재선) | 브리스 클로테르 올리기 응게마(권한대행) | 아다마 배로 (재선) | ||||
기니** | 기니비사우 | 나미비아 | ||||
[[기니군| 기니군 ]]
|
[[마뎀 G15| 마뎀 G15 ]]
|
[[남서아프리카 인민기구| 남서아프리카 인민기구 ]]
|
||||
마마디 둠부야 (권한대행) | 우마로 시소코 엠발로 (초선) | 난골로 음붐바 (초선) | ||||
나이지리아 | 남수단 | 남아프리카 공화국 | ||||
[[전진보회의| 전진보회의 ]]
|
[[수단 인민해방군| 수단 인민해방운동 ]]
|
[[아프리카 국민회의| 아프리카 국민회의 ]]
|
||||
볼라 티누부 (초선) | 살바 키르 마야르디트 (초선) | 시릴 라마포사 (3선) | ||||
니제르** | 라이베리아 | 르완다 | ||||
[[니제르군| 니제르군 ]]
|
[[통일당(라이베리아)| 통일당 ]]
|
[[르완다 애국전선| 르완다 애국전선 ]]
|
||||
압두라하마네 치아니 (권한대행) | 조셉 보아카이 (초선) | 폴 카가메 (4선) | ||||
리비아 | 마다가스카르 | 말라위 | ||||
[[무소속| 무소속 ]]
|
[[단호한 말라가시 청년들| 단호한 말라가시 청년들 ]]
|
[[말라위 의회당| 말라위 의회당 ]]
|
||||
모하메드 알 멘피 (대통령위원회 의장) | 안드리 라조엘리나 (재선) | 라자루스 차퀘라 (초선) | ||||
말리** | 모리셔스* | 모리타니 | ||||
[[말리군| 말리군 ]]
|
[[투쟁 사회주의운동| 투쟁 사회주의운동 ]]
|
[[공정당| 공정당 ]]
|
||||
아시미 고이타 (권한대행) | 프리트비라즈싱 루푼 (초선) | 모하메드 울드 가주아니 (초선) | ||||
모잠비크 | 베냉 | 보츠와나 | ||||
[[모잠비크 해방전선| 모잠비크 해방전선 ]]
|
[[무소속| 무소속 ]]
|
[[보츠와나 국민전선| 보츠와나 국민전선 ]]
|
||||
필리프 뉴시 (재선) | 파트리스 탈롱 (재선) | 두마 보코 (초선) | ||||
부룬디 | 부르키나파소** |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 ||||
[[민주방위국민회의 - 민주방위세력| 민주방위국민회의 - 민주방위세력 ]]
|
[[부르키나파소군| 부르키나파소군 ]]
|
[[폴리사리오 전선| 폴리사리오 전선 ]]
|
||||
에바리스트 은다이시미예 (초선) | 이브라힘 트라오레 (권한대행) | 브라힘 갈리 | ||||
상투메 프린시페 | 세네갈 | 세이셸 | ||||
[[독립민주행동당| 독립민주행동당 ]]
|
파스테프당
|
[[세이셸민주동맹| 세이셸민주동맹 ]]
|
||||
카를루스 빌라 노바 (초선) | 바시루 디오마이 파이 (초선) | 와벨 람칼라완 (초선) | ||||
소말리아 | 소말릴란드 | 수단** | ||||
[[평화개발연합당| 평화개발연합당 ]]
|
[[쿨미예 평화통일개발당| 쿨미예 평화통일개발당 ]]
|
[[수단군| 수단군 ]]
|
||||
하산 셰흐 마하무드 (재선) | 무세 비히 압디 (초선) | 압델파타흐 알부르한 (주권위원회 의장) | ||||
시에라리온 | 알제리 | 앙골라 | ||||
[[시에라리온 인민당| 시에라리온 인민당 ]]
|
[[민족해방전선(알제리)| 민족해방전선 ]]
|
[[앙골라 인민해방운동| 앙골라 인민해방운동 ]]
|
||||
줄리어스 마다 바이오 (3선) | 압델마지드 테분 (재선) | 주앙 로렌수 (재선) | ||||
에리트레아 | 에티오피아* | 우간다 | ||||
[[민주정의인민전선| 민주정의인민전선 ]]
|
[[무소속| 무소속 ]]
|
[[민족저항운동| 민족저항운동 ]]
|
||||
이사이아스 아페웨르키 (초선) | 테이 아스케슬라시 (초선) | 요웨리 무세베니 (6선) | ||||
이집트** | 잠비아 | 적도 기니 | ||||
[[무소속| 무소속 ]]
|
[[국가개발통일당| 국가개발통일당 ]]
|
[[민주당(적도 기니)| 민주당 ]]
|
||||
압델 파타 엘 시시 (3선) | 해케인드 히칠리마 (초선) | 테오도로 오비앙 응게마 음바소고 (7선) |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지부티 | 짐바브웨 | ||||
[[연합마음운동| 연합마음운동 ]]
|
[[진보인민연합| 진보인민연합 ]]
|
[[짐바브웨 아프리카 국민연합 - 애국전선| 짐바브웨 아프리카 국민연합 - 애국전선 ]]
|
||||
포스탱아르샹주 투아데라 (재선) | 이스마일 오마르 겔레 (5선) | 에머슨 음낭가과 (재선) | ||||
차드** | 카메룬 | 카보베르데 | ||||
[[애국구원운동| 애국구원운동 ]]
|
[[카메룬 인민민주운동| 카메룬 인민민주운동 ]]
|
[[카보베르데 독립아프리카당| 카보베르데 독립아프리카당 ]]
|
||||
마하마트 데비 이트노 (초선) | 폴 비야 (7선) | 조제 마리아 네베스 (초선) | ||||
케냐 | 코모로 | 코트디부아르 | ||||
[[통합민주연대| 통합민주연대 ]]
|
[[코모로의 부흥을 위한 대회| 코모로의 부흥을 위한 대회 ]]
|
[[공화주의자의 집회| 공화주의자의 집회 ]]
|
||||
윌리엄 루토 (초선) | 아잘리 아소우마니 (5선) | 알라산 와타라 (3선) | ||||
콩고 공화국 | 콩고민주공화국 | 탄자니아 | ||||
[[콩고 노동당| 콩고 노동당 ]]
|
[[민주사회진보연합| 민주사회진보연합 ]]
|
[[탄자니아 혁명당| 탄자니아 혁명당 ]]
|
||||
드니 사수 응게소 (7선) | 펠릭스 치세케디 (재선) | 사미아 술루후 하산 (초선) | ||||
토고 | 튀니지 | |||||
[[공화국을 위한 연합| 공화국을 위한 연합 ]]
|
[[무소속| 무소속 ]]
|
|||||
포르 냐싱베 (4선) | 카이스 사이에드 (재선)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오세아니아 ] |
* 의원내각제 하의 대통령 ** 2027년 독립 예정 *** 대통령이 아닌 군주로 보는 의견도 있다 |
|||
나우루 | 마셜 제도 | 미크로네시아 연방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
데이비드 아데앙 (초선) | 힐다 하이네 (재선) | 웨슬리 시미나 (초선) | ||||
바누아투* | 부건빌** | 사모아*** | ||||
[[무소속| 무소속 ]]
|
[[부건빌 인민동맹당| 부건빌 인민동맹당 ]]
|
[[무소속| 무소속 ]]
|
||||
니케니케 부로바라부 (초선) | 이스마엘 토로아마 (초선) | 바알레토아 수알루비 2세 (재선) | ||||
키리바시 | 팔라우 | 피지* | ||||
[[키리바시 포용당| 키리바시 포용당 ]]
|
[[무소속| 무소속 ]]
|
[[피지퍼스트| 피지퍼스트 ]]
|
||||
타네티 마마우 (재선) | 수량겔 휩스 주니어 (초선) | 윌리암 카토니베레 (초선) | }}}}}}}}} | |||
재위 중인 군주 ·
집권 중인 공산국가 지도부 재임 중인 총리 및 수상 |
[1]
러시아어식 표기로 '카심조마르트 케멜레비치 토카예프'라고 읽으며,
한국어로 옮길 땐 보통 해당 표기가 많이 사용된다.
[2]
카자흐스탄 헌법상 대통령은 임기기간 동안은 당적을 가질 수 없다. 원 소속정당은 .
[3]
경찰, 카자흐스탄 보안군 사망자까지 포함하면 225명이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12920418.
[4]
창당에 20,000명 필요하던 것을 5,000명으로 완화하겠다고 한다.
[5]
출생 당시 카자흐스탄 본토 출신이 아닌 점이랑 공무원 경력이 없어서 떨어졌다고 한다.
파티마 비자코바 역시 공무원 경력이 없는 이유로 탈락했으며,
탈가트 예르갈리예프는 공직 경력이 있지만 5년을 채우지 못했기 때문에 탈락했다고 한다.
[6]
전임 독재자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의 측근으로 활동했으며, 2022년 카자흐스탄 민주화 시위에서 강경진압을 한 것도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이다. 다만 이 당시는 전임 대통령이 상왕으로 집권 중이었다는 것을 감안해야 한다.
[7]
해당 링크에 토카예프의 독재 행각이 자세히 나온다
[8]
이게 한 두번이 아니라 아예 Путин не понял токаев(푸틴은 토카예프를 기억 못함)이 자동 완성 될 정도로 자주 틀리게 이야기하거나 아예 버벅거리며 이름을 언급도 안 한적이 빈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