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하학·
위상수학 Geometry· Topology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평면기하학에 대한 내용은 틀:평면기하학 참고. | ||
기본 대상 | |||
공리 | 유클리드 기하학 · 비유클리드 기하학 | ||
도형 | 기본 도형 | 평면 · 부피 · 꼬인 위치 · 각기둥 · 각뿔 · 원기둥 · 원뿔 · 구 ( 공 모양) · 전개도 · 겨냥도 · 다면체 ( 정다면체) · 정사영 | |
곡면 | 타원면 · 타원포물면 · 쌍곡포물면 · 원환면 | ||
프랙털 도형 | 시에르핀스키 삼각형 · 시에르핀스키 사각형( 멩거 스펀지) · 망델브로 집합 · 코흐 곡선 · 드래곤 커브 | ||
기타 | 다포체 · 초구 · 일각형 · 이각형 | ||
다루는 대상과 주요 토픽 | |||
위상수학 | 위상 공간 | 유계 · 옹골 집합 · 다양체 · 택시 거리 공간 · 연결 공간 · 위상수학자의 사인곡선 | |
위상도형 | 사영평면 · 뫼비우스의 띠 · 클라인의 병 · 매듭( 목록) | ||
대수적 위상수학 | 호몰로지 · 호모토피 | ||
미분기하학 | 미분다양체 · 측지선 · 곡률( 스칼라 곡률 · 리만-크리스토펠 곡률 텐서 · 리치 텐서) · 열률 · 텐서 · 쌍곡 공간( 쌍곡삼각형 · 푸앵카레 원반) · 타원 공간( 구면삼각형) · 아핀접속 | ||
기타 | 차원 · 좌표계 · 거리함수 | ||
정리·추측 | |||
실베스터-갈라이 정리 · 해안선 역설 · 바나흐-타르스키 역설 · 라이데마이스터 변환 · 오일러 지표 · 푸앵카레 정리 · 호지 추측미해결 | |||
분야 | |||
논증기하학 · 미분기하학 · 해석기하학 · 매듭이론 · 프랙털 이론 · 정보기하학 · 위상 데이터분석 | }}}}}}}}} |
1. 개요
sigmoid (function)기울어진 S자 형태의 곡선이다. sigmoid라는 말 자체가 S자 모양을 뜻한다.
거의 평탄한 기울기를 지닌(= 점근선이 있는)[1] 양 끝에서 중심으로 올수록 기울기가 가팔라지는 특징이 있다. 일부 개형은 홀함수이다.
계단꼴 함수와 개형이 비슷한데[2], 계단꼴 함수는 불연속임에 비해, 시그모이드 꼴의 함수는 매끄러운 연속이라는 차이가 있다.
2. 예시
|
시그모이드 개형의 두 함수 [math(bold{erf})]와 [math(bold{tanh})] |
위의 [math({\rm erf})], [math(\tanh)]를 비롯해서 [math(arctan)], [math({rm gd})]가 시그모이드 꼴의 함수이다. 결과값 범위가 0과 1 사이로 나오는, [math(1/(1+e^{-x}))]도 자주 쓴다.
3. 활용
정규분포의 해석[3], 로지스틱 방정식, 용량-반응 관계 등에서 시그모이드 개형의 함수를 자주 볼 수 있다.실생활에서 적용된 도구 중 하나로 미끄럼틀이 있다. 옆에서 봤을 때 딱 시그모이드 모양이다. 음향기기 업체인 젠하이저의 상표 역시 시그모이드 모양.
개체군 생태학에서, 환경저항을 받는 개체군(K-선택형 개체군)의 생장률 그래프가 시그모이드 곡선을 나타낸다. (K-선택형 개체군과 반대격조인 r-선택형 개체군은 그래프가 지수생장형 곡선을 나타낸다.)
ReLu와 함께 딥러닝에서 자주 쓰이는 함수이다.
4. 기타
평가원이 매우 좋아하는 함수다. 17학년도 6평(가) 21번, 18학년도 수능(가) 15번에 이를 활용하는 문제가 나왔다.
[1]
점근선은 없지만 시그모이드와 흡사한 개형의 함수도 있다.
[math(rm BR)]이 대표적이다.
[2]
실제로 시그모이드 함수 [math(f(x))]에 대해서 [math(\displaystyle \lim_{n \to \infty} f(nx))]의
극한을 취하면 계단함수로 근사할 수 있다.
[3]
위의 [math(\rm erf)] 함수가 정규분포 곡선의 역도함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