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8 22:46:16

복류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음이의어 강에 대한 내용은 강(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eee,#222> 하천 지형 <colbgcolor=#fff,#000> 직류하천 | 자유곡류하천 | 감입곡류하천 | 망류하천 | 감조하천 | ( 옹달샘) | 폭포 | 계곡( V자곡) | 선상지 | 하안 단구 | 우각호 | 구하도 | 하중도 | 천정천 | 범람원( 자연제방 · 배후습지) | 삼각주 | 하구 | 돌개구멍
해안 지형 | | 사빈 | 석호 | 갯벌 ( 펄갯벌 · 모래갯벌) | 해안 사구 | 해안 단구 | 해식 동굴 | 해식애 | 해식 아치 | 육계도 | 시스택 | 파식대 | 사주 | 사취 | 리아스 해안
해양 지형 군도 | 산호초 | 대륙붕 | 해곡 | 해저협곡 | 대륙 사면 | 대륙대 | 심해저 평원 | 해산( 기요) | 해구 | 해령 | 블루홀
건조 지형 사구 | 사막포도 | 와디 | 버섯 바위 | 삼릉석 | 오아시스
빙하 지형 | 피오르 | U자곡 | 빙하호 | 크레바스 | 빙하동굴 | 빙붕 | 빙상 | 빙산
카르스트 지형 석회동굴( 석순 · 종유석 · 석주) | 카르스트 지형( 돌리네 · 우발레 · 폴리에) | 싱크홀
화산 지형 칼데라 | 화구호 | 오름 | 단성 화산 | 성층 화산 | 온천 | 간헐천 | 열점 | 용암 동굴 | 주상절리 | 용암 대지
구조 지형 분지(침식분지( 펀치볼 · 케스타) · 대찬정 분지) | 곡저평야 | 대평원 | 팜파스 | 지협 | 지층 | 탁상지( 테이블 산) | 순상지 | 고위평탄면 | 습곡산맥( 고기 습곡산맥 · 신기 습곡산맥) | 단층산맥 | 해령
기타 잔류 암괴지형 | 풍화혈 | 풍화 암설지형 | 매스무브먼트 }}}}}}}}}


파일:지구 아이콘_White.svg 세계의 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한반도 ]
{{{#!wiki style="margin: -5px 0 -5px"
한반도
갑천 · 경안천 · 고덕천 · 공릉천 · 광주천 · 굴포천 · 금강 · 금호강 · 길안천 · 남강 · 남대천 · 남한강 · 낙동강 · 내성천 · 논산천 · 달천 · 대동강 · 대령강 · 대전천 · 대종천 · 동강 · 동진강 · 두만강 · 례성강 · 만경강 · 미호강 · 무심천 · 밀양강 · 반포천 · 병성천 · 보성강 · 보통강 · 복하천 · 북한강 · 산지천 · 삽교천 · 서강 · 섬강 · 성천강 · 소양강 · 서낙동강 · 섬진강 · 수영강 · 수원천 · 신천 · 안성천 · 안양천 · 압록강 · 양산천 · 양재천 · 영산강 · 예성강 · 온천천 · 요천 · 왕숙천 · 왕피천 · 임진강 · 임천강 · 장자강 · 재령강 · 정안천 · 주천강 · 창릉천 · 천안천 · 청계천 · 청미천 · 청천강 · 탄천 · 탐진강 · 태화강 · 팔거천 · 평창강 · 한강 · 한탄강 · 형산강 · 흑림강 · 홍제천 · 홍천강 · 황강 · 황룡강 · 황구지천 · 회야강 · 회천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아시아 ]
{{{#!wiki style="margin: -5px 0 -5px"
<colbgcolor=#006fb9><colcolor=#fff> 아시아
중국 황하 · 황수이강 · 웨이허강 · 펀허강 · 호타하 · 장강 · 야룽강 · 민강 · 자링강 · 한수 · 회하 · 황푸강 · 주강 · 타림강 · 하이허강 · 요하 · 송화강 · 눈강 · 목단강 · 헤이룽강
일본 지쿠고강 · 요시노강 · 도톤보리강 · 요도가와강 · 나가라강 · 기소강 · 덴류강 · 후지강 · 사가미강 · 아라카와강 · 도네강 · 시나노강 · 모가미강 · 기타카미강 · 테시오가와 · 이시카리강 · 사로베쓰강 · 쿠즈류가와
대만 지룽 강 · 아이허
동남아시아 다강 · 카강 · 마강 · 홍강 · 메콩강 · 바싹강 · 세콩강 · 세레뽁강 · 살윈강 · 에야와디강 · 똔레쌉 · 똔레산강 · 카푸아스강 · 솔로 강 · 마하캄강 · 무시강 · 맘베라모강 · 바리토강 · 칠리웅강 · 바탕하리강 · 캄파르강 · 미미카강 · 타리쿠강 · 모요강 · 모마츠강 · 와아포강
남아시아 갠지스강 · 인더스강 · 카베리강 · 브라마푸트라강 · 고다바리강 · 나르마다강 · 크리슈나강 · 마하나디강 · 크시프라강 · 만잘라르강 · 야무나강 · 참발강 · 간다키강 · 비야스강 · 코시강 · 페니강 · 바나스강 · 바그마티강 ·
서아시아 그레이트자브강 · 베이루트강 · 바라다강 · 요르단강 · 티그리스강 · 유프라테스강 · 자얀데강 · 자이루드강 · 카르케흐강 · 세피드강 · 아라스강 · 무라트강 · 크즐으르막강 · 예실으르막강 · 하부르강 · 리타니강 · 오론테스강 · 디얄라강 · 카지르강 · 헬만드강
중앙아시아 추강 · 일리강
카프카스
쿠라강 · 테차강 · 알라자니강 · 엔구리강 · 리오니 강
북아시아 · 몽골 예니세이강 · 아무다리야 강 · 시르다리야 강 · 출림강 · 포로나이강 · 투라강 · 토볼강 · 타즈강 · 콜리마강 · 캄차카강 · 칸강 · 오논강 · 레나강 · 카툰강 · 아무르강 · 제야강 · 뉴야강 · 니즈나야퉁구스카강 · 바르구진강 · 실카강 · 인디기르카강 · 안가라강 · 오브강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유럽 ]
{{{#!wiki style="margin: -5px 0 -5px"
유럽
다뉴브강 · 드네스트르강 · 라인강 · 뫼즈강 · 마른강 · 마인강 · 암스텔강 · 엠스강 · 볼가강 · 센강 · 루아르강 · 론강 · 가론강 · 에브로강 · 템스강 · 에덴강 · 테이강 · 에이번강 · 웰랜드강 · 디강 · 스페이강 · 아디제강 · 엘베강 · 오데르강 · 비스와강 · 이손초강 · 부크강 · 테베레강 · 돈강 · 과달키비르강 · 다우가바강 · 드니프로강 · 네바강 · 모스크바강 · 바트강 · 베저강 · 포강 · 하펠강 · 피아그돈강 · 피사강 · 프루트강 · 프레골랴강 · 폰탄카강 · 포노이강 · 페초라강 · 파흐라강 · 테레크강 · 클랴지마강 · 쿠반강 · 쿠마강 · 쿠디마강 · 코토로슬강 · 케티강 · 카마강 · 츠나강 · 쳅차강 · 나라강 · 나르바강 · 네만강 · 니바강 · 데스나강 · 라마강 · 로바티강 · 메자강 · 소지강 · 스비리강 · 옴강 · 레크 강 · 인달스벤강 · 달라벤강 · 토르네강 · 클리어강 · 미뉴 강 · 제제레강 · 도우루강 · 할리아크몬강 · 에우로타스강 · 스트루마강 · 네스토스강 · 바르다르강 · 남부크강 · 사바강 · 이르티시강 · 산강 · 우아즈강 · 엔강 · 우랄강 · 무어 강 · 블타바 강 · 빌렌 강 · 피아베강 · 시베르스키도네츠강 · 티서강 · 마리차강 · 머지강 · 메드웨이강 · 세번강 · 트렌트강 · 네카어강 · 모젤강 · 타구스 강 · 과디아나강 · 도루강 · 후카르강 · 알리에 강 · 도르도뉴강 · 샤랑트강 · 드라바강 · 타인강 · 비그강 · 부옥시강 · 탈리아멘토강 · 솜강 · 루비콘강 · 볼호프강 · 아켈루스강 · 라우마강 · 누메달강 · 오트라강 · 포스강 · 그레이트우즈강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아프리카 ]
{{{#!wiki style="margin: -5px 0 -5px"
아프리카
나일강 · 오렌지 강 · 나이저강 · 산카라니강 · 바니강 · 잠베지강 · 콩고강 · 투겔라강 · 오카방고강 · 메제르다강 · 인키시강 · 산쿠루강 · 카사이 강 · 움폴로지 강 · 움짐쿨루 강 · 아와시강 · 제네일강 · 소바트강 · 마레브강 · 웨비 주바강 · 흑나일강 · 청나일강 · 백나일강 · 바니강 · 감비아 강 · 세네갈강 · 쉐벨강 · 바로강 · 림포포강 · 쿠네네강 · 유멘지강 · 베시보카강 · 베누에강 · 마남볼로강 · 마니아강 · 망고키강 · 마하지로강 · 음타타강 · 우방기 강 · 웨드몰우야강 · 사나가 강 · 샤리강 · 로곤강 · 팬데강 · 오순강 · 이모강 · 베냉강 · 이호시강 · 쿠안자 강 · 크로스강 · 크왕고강 · 아바강 · 세이브강 · 볼타강 · 사비강 · 카제라강 · 올리펀츠강 · 레드 볼타강 · 코모에강 · 루앙와강 · 코마티강 · 오구에강 · 그루트강 · 유엘르강 · 조만다오강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아메리카 ]
{{{#!wiki style="margin: -5px 0 -5px"
아메리카
세인트로렌스강 · 세인트모리스강 · 미시시피강 · 미주리강 · 아칸소강 · 허드슨 강 · 애서배스카강 · 포위니고우강 · 비버강 · 가즈강 · 콜링강 · 매켄지강 · 스네이크강 · 서스캐처원강 · 서스쿼해나강 · 포토맥강 · 델라웨어강 · 해리슨강 · 프레이저강 · 콜로라도강 · 콜럼비아강 · 유콘강 · 리오그란데강 · 아마존강 · 벨리제강 · 오리노코강 · 마그달레나강 · 마데이라강 · 상프란시스쿠강 · 아푸레강 · 카로니강 · 카우카강 · 아라우카강 · 토칸틴스강 · 네그루강 · 혼도강 · 발사스강 · 코아토사코알코스강 · 믹스테코강 · 옐로스톤강 · 사말라강 · 칙소이강 · 우수미친타강 · 메타강 · 비오비오강 · 마라논강 · 마이포강 · 마포초강 · 이타타강 · 우카얄리강 · 라플라타 강 · 트루폴트루폴강 · 톨텐강 · 마울레강 · 파라나강 · 친치페강 · 파라과이강 · 레르마 강 · 스와니 강 · 로아강 · 샌페드로강 · 베르가라강 · 부에노강 · 도라도강 · 필코마유강 · 살라도강 · 둘체강 · 페티코디악강 · 리메이강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오세아니아 · 남극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오세아니아
머레이강 · 달링강 · 허트강 · 머럼비지강 · 브리즈번강 · 와레고강 · 랑가티케이강 · 왕가누이강 · 통가리로강 · 와이아푸강 · 카와라우강 · 카와티리강 · 마타우강 · 와이로아강 · 와이아우강 · 와이마카리리강 · 와이카토강 · 침부강 · 투아강 · 키코리강 · 라무강 · 호키티카강 · 히피 강 · 벌러강 · 폭스강 · 핀콜강 · 야테강 · 푸리나강 · 푸라리강 · 와투트강 · 애들러강
남극
오닉스강 · 알프강 }}}}}}}}}}}}
<colcolor=#fff>
파일:ㅎㄱ ㅌㅅㅌㄹ.jpg
대한민국 한강
파일:ㅇㅁㅈㄱ.jpg
세계에서 가장 큰 강인 브라질 아마존강
<colbgcolor=#f5f5f5,#2d2f34>
유니코드 AC15
완성형 수록 여부 O
구성 ㄱ+ㅏ+ㅇ
두벌식- QWERTY rkd
세벌식 최종-QWERTY kfa
현행 로마자 표기 gang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kang/gang

1. 개요2. 강과 인간
2.1. 교통2.2. 군사2.3. 생명 활동2.4. 관념
3. 지형4. 강 건너기
4.1. 맨몸4.2. 다리4.3. 배
5. 국제 하천6. 한국의 강7. 나무위키에 문서가 있는 강
7.1. 한반도7.2. 해외7.3. 관련 문서
8. 강이 없는 나라
8.1. 아시아8.2. 아프리카8.3. 아메리카8.4. 오세아니아8.5. 유럽
9. 언어별 명칭10.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은 내륙을 흐르는 하천() 중에 규모가 제법 크고 뚜렷한 물줄기로, 강보다 작거나 강으로 합류하는 상류의 시냇물은 '천(川)' 또는 '내'라고 부른다.[1]

시냇물이 모여 강을 이루고 강은 바다와 연결되어 바다에서 증발한 물이 다시 육지로 가는 물의 순환을 이룬다. 단 오카방고 강 처럼 바다까지 가지 못하고 내륙에 거대한 삼각주 늪지대 혹은 호수를 형성하며 끝나는 경우도 있다.

강의 순우리말은 ' 가람'이며, 한자어원인 강 강()자는 본래 중국 장강(양쯔강)을 가리키던 글자였으나 의미가 확대되어 지금의 모든 강을 지칭하는 단어가 되었다.

2. 강과 인간

강은 단절과 함께 교통의 기능을 지니고 있다. 인간은 배나 다리 등의 장비가 없으면 강을 건널 수 없으므로, 강의 한편과 다른편을 서로 단절된 공간으로 인식한 한편, 수로를 이용한 대량 운송도 매우 활발히 이루어졌다.

2.1. 교통

육로운송이 미흡하던 시절에는 강을 따라 배가 돌아다니며 물자 운송에 중요한 역할을 했기 때문에, 많은 내륙 상업도시가 강을 끼고 발전했고, 때로는 운하까지 파가면서 강을 교통로로 쓰기도 했다.

2.2. 군사

군사적으로도 강은 매우 중요하다. 아무리 시대가 발전해서 수륙양용장갑차, 교량전차 등 하천을 건너는데 효율적인 수단도 나오고 미사일로 건너편을 요격할 수도 있지만, 그렇다고 해도 대규모로 병력이 이동하는 상황에서 강을 건너는데 시간이 지체되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과거에도 전시에는 산과 더불어 강이 후퇴선의 기준이 되는 경우도 매우 많았고 이는 적이 강을 건너는데에 준비해야 하는 시간이 걸린다. 건너는 동안에도 육상으로 진군하는 것 보다는 느리기 때문에 수비하는 측에서 준비만 제대로 갖추면 최대한 많은 타격을 입힐수 있었다.

때문에 세계 곳곳에는 하천 국경이 많다. 다만 강은 흐름이 자주 변하는 편이라 확고한 국경으로 삼기에는 썩 좋지 못하다. 특히 범람원은 큰 홍수가 한번 났다 하면 물길이 바뀌는 경우가 태반이다. 근대에 들어 측량 기술이 발달한 이후 '어 강줄기가 바뀌었었네' 하면서 온갖 분쟁이 일어나기도 한다.[2] 그래서 가능하다면 강의 양편을 모두 점거하는 쪽이 유리하다. 강의 중하류에 펼쳐진 평야는 중요한 성장 거점이 되기 때문이다. 일례로 중국의 경우 흔히 강남 강북으로 지리를 구분하지만 실제로는 장강 연안 전체를 확보하는 것이 생존에 유리하기 때문에 어지간한 남조 국가들은 더 북쪽의 회수를 경계로 삼으려 했다.

배수진처럼 퇴로를 없애는 경우도 있다.

2.3. 생명 활동

강에는 여러 생물들이 번식하고 있다. 상기한대로 강의 물은 바다의 물과 성질이 많이 다르므로, 강에 서식하는 생물들과 바다에 서식하는 생물들은 비슷하면서도 서로 성질이 매우 다르다. 하지만 바다와 강을 오고가며 살 수 있는 생물들도 있다. 예를 들자면 상어는 대부분이 바다에서만 살지만 그러한 상어들 중에서도 황소상어와 같이 바다와 강을 모두 오고 갈 수가 있는 생물들도 있으며 갠지스강의 경우는 흉상어목 흉상어과 강상어속에 속하는 갠지스상어란 진성담수상어가 산다. 또한 연어 은어도 바다와 강을 모두 오고가는 생물 중에 하나이다.

인류 역시 오랜 역사 동안 강에 의존하여 생활해왔다. 염분이 많아 인류가 직접 사용하기엔 부적합한 바다와는 달리[3] 염분이 적어서, 인류가 생존하는 데 이상적인 조건을 갖추고 있는 담수이다. 먹고 쓸 수 있는 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공간인 것이다. 앞서 언급했듯 강에는 다양한 생물이 살기에 인간 역시 이들을 잡아 먹거리로 삼을 수 있었다. 그밖에 빨래, 농사에도 강물을 썼음은 물론이다. 강이 있음으로써 기온이 낮아져 기후도 온화해지고, 폭염기에는 피서지로도 활용할 수 있다. 괜히 세계 4대 문명이 전부 큰 강을 중점으로 번영한 것이 아니다. 아주 오래전부터 인류는 강을 중심으로 모여 살았으며, 오래된 도시들은 대부분 강을 중심으로 건설되었다.

그러나 현대에는 강의 중요성이 조금 낮아졌다. 정수, 배수 기술의 발전으로 강가가 아니어도 수자원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이 역시 국가 내에 있는 강을 활용하는 것이고, 강이 하나도 없으면 국가 발전에는 매우 큰 지장을 받는다.

오늘날에 현대의 강들은 대부분 산업화 혹은 무차별적인 활용으로 그 줄기가 말라가고 있거나, 혹은 심하게 오염되어서 바로 사용할 수 없는 수준으로 더럽혀진 경우가 많다. 강은 자연 생태계의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소인 데다가 인간이 강의 수원을 1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만들어서 나쁠 것이 없으므로, 각국은 최대한 강을 오염 이전의 수준으로 되돌리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2.4. 관념

위에서 보듯 강은 인간 생활에 매우 중요하기에 문화적으로도 여러 상징을 지녔다. 세계의 신화를 보면 요르단 강이나 스틱스, 삼도천처럼 삶과 죽음의 경계에 강이 있다는 전승이 많다. 루비콘 강처럼 강을 건너는 행위가 돌이킬 수 없는 결정을 상징하는 경우도 있다.

3. 지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하천 지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강 건너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강 건너기 문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1. 맨몸

그냥 말 그대로 걸어서 건너는 것이다. 깊이가 인간의 키의 절반 가량을 넘지 않는 얕은 강에서만 가능한 방법이다.

전시에는 생각보다 종종 이루어지는 방법이었다. 아래 다리 문단에서 보듯 어지간한 교량은 방어 측이 부숴버리기 때문이다. 기후마다 차이는 있지만 비가 아직 오지 않았다면 대개 여름에는 수심이 평소보다 얕았고 상류나 중류 쪽을 잘 찾으면 걸어서도 건널 수 있는 구간을 찾을 수 있었다. 특히 말을 탄 기사의 경우는 말이 알아서 잘 건너주었고 어쩌다가 살짝 깊은 곳에 빠져도 말은 헤엄을 잘 치기 때문에 그런 경우에도 건널 수 있었다.

하지만 단점도 명백했는데, 이런 경우 보통 수심이 허리나 가슴까지 차오르는 경우가 많았고, 때문의 군대의 절대다수를 차지하는 보병의 전투력과 기동력이 크게 하락되었다. 그러니까 만약 도하 중인 것을 적이 알아채고 강을 건너는 도중에 공격해서 화살을 퍼붓거나, 기사들을 앞세워서 치면, 그날 강은 시체와 피로 가득 차는 일이 비일비재했다. 원래 강을 건너는 도중에는 군대가 취약해지므로 비밀리에 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특히 걸어서 가는 경우에는 보안이 더 중요했다. 또한 강이 항상 얕은 것만은 아닌 데다 도중에 물살이 거세지는 곳도 있고 비가 온 뒤에는 물이 탁해지고 깊이를 알 수 없어지는 데다 물살이 세져서 건너다가 익사하는 경우도 비일비재하다. 대표적인 전투가 바로 살수대첩.

강이 얕거나 매우 추운 경우 강이 얼어붙기도 했는데 그러면 언 강 위를 수상 보행하듯 걸어서 이동할 수 있다. 네덜란드는 역사적으로 강을 방어선으로 활용해왔는데, 종종 강이 얼어 군사적으로 불리해지는 경우가 생기곤 했다. 심지어 타타르 해협 같은 곳은 강이 아니라 바다인데도 겨울에 얼어붙어 현지 원주민들은 겨울에 걸어서 혹은 썰매를 타고 해협을 오가곤 한다.

드물게 수영을 해서 건너기도 한다. 다만 수영 경기에서도 보듯 100m를 쉬지 않고 수영하는 것만 해도 수영을 꽤 잘하는 사람이고, 수영복 등 수영을 위한 준비가 필요하기에 일상적으로 이루어지기는 어렵다. 군사적으로는 무기와 갑옷을 입은 군인이 수영을 한다는 것은 거의 기대하기 어려운 일이었다.

만약 기술이 발전하여 수상 보행이 가능해진다면 매우 손쉽게 강을 건널 수 있을 것이다. 수면은 극도로 평평한 곳으로 어지간한 언덕 평지보다도 걷는 데 힘은 덜 들 것이다. 다만 21세기 초반까지도 수상 보행 기술의 실현은 아직 요원한 상태이다.

4.2. 다리

다리로 건너는 것은 오늘날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다. 어지간히 깊고 큰 강이 아니고서야 교통 수요가 있으면 대체로 다리를 건설하여 강을 건넌다. 일례로 대한민국 서울에는 한강을 건너는 다리가 30개를 넘는다. 오늘날 하천 교량에는 기술적 제약이 거의 없다고 보아도 무방한데, 홍콩 마카오를 잇는 강주아오 대교는 50km 가까이에 달하며 강이 아니라 거의 바다를 가로지를 지경이다. 강이 아무리 깊고 커봤자 바다에 비할 바는 되지 못하니, 지구상의 거의 모든 강은 기술적으로 다리를 짓는 것이 가능해졌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군사적으로는 다리를 새로 지어서 건너야 할 때가 많았다. 요충지에는 대체로 다리가 이미 건설되어있기 마련이지만 수비측에서 이를 곧잘 파괴했기 때문이다. 한강 인도교 폭파가 대표적이다. 공격 측으로서는 제대로 된 다리를 지어서 건너기에는 그럴 이유도, 여유도 없으므로 임시로 부교를 짓게 된다. 보통 작은 배를[4] 묶어서 그 위에 판자 같은 것들을 얹어서 다리를 만들었다. 2차세계대전 이후로는 장간조립교 교량전차를 가져와서 순식간에 다리를 만들어버리곤 한다. 이런 다리들은 수십톤에 달하는 기갑장비들이 건너다녀야 하기에 임시로 신속하게 만든 것 치곤 꽤나 튼튼해서 전후에도 계속 쓰이는 경우가 많다.

4.3.

주로 나룻배 등을 이용한다. 이러한 나룻배를 조종하는 이를 뱃사공이라고 했다. 갯배 줄배처럼 탑승자가 알아서 줄을 끌고 가는 배도 있었다. 관광을 목적으로 하천을 건너는 유람선을 운영하기도 한다.

양쯔강 같이 폭이 넓은 강에서는 군함에 가까운 커다란 배를 이용해 강을 건너기도 했으며 강에서 전투도 벌어지곤 했다.

위에서 보듯 오늘날에는 어지간한 강에 다리를 놓을 수 있도록 기술이 발달했기 때문에 배로 강을 건너는 일은 크게 줄어들었다.

5. 국제 하천

길이가 긴 강은 국경을 가로지르면서 여러 국가를 지나곤 한다. 위에서 보듯 강 자체가 국경인 경우가 있다.

, 바다를 공유하는 경우와 달리 강을 공유하는 것은 여러 국제적 문제를 더 많이 발생시키는 편이다. 이유인즉 강은 상류와 하류의 순서가 있기 때문이다. 상류 측에서 을 짓거나 오염수를 배출하는 식으로 해버리면 하류 측에서는 속수무책이기 때문에 상류 지역이 상당한 발언력을 얻게 된다.[5] 대개 하류 쪽에 사람이 더 많이 사는 편이라 하류 측이 좀 더 대국이라면 어찌저찌 저항이 가능하지만 상류 쪽이 강대국이기까지하면 더욱 답이 없어진다. 일례로 동남아시아의 많은 강은 중국에서 발원하는데, 중국이 동남아 각국보다 압도적으로 강한 강대국이기에 하천 수자원 관련으로 갈등을 많이 빚는다.

한반도에는 그런 강이 많지는 않다. 남북한관계를 생각하면 다행으로, 북한강 하나만으로도 북한에서 금강산댐 수공 운운하여 평화의 댐을 건설해야 했다. 더 거대한 강이 북한에서 남한으로 흘렀다면 더욱 문제가 많이 생겼을 것이다.

아래는 국제 하천과 이들 하천을 낀 국가들이다. 가급적 하류 → 상류 순으로 적는다.

6. 한국의 강

한국의 거의 모든 시와 군소재지는 강, 적어도 냇가를 중심으로 남북 또는 동서로 나뉜 형태를 띄고 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라도 적어도 소재지에서 가까운 곳에 강이 있고 그것을 경계로 읍내와 변두리가 형성되곤 한다. 이는 바닷가 근처도 예외가 아니며 심지어 제주시 서귀포시에도 소규모 하천은 여러 개 흐르고 있다.[6][7]

한반도의 하천들은 하상계수가 매우 큰 것으로 악명이 높다. 어느정도냐면 중동권의 와디[8]에서 물이 넘치고 줄어드는 계절만 정반대로 바꾼 수준. 그래서 치수 사업을 굉장히 자주 하는 편이다. 반대로 난류 덕에 1년 내내 수량이 일정한 유럽 국가들에서는 지은 댐과 보를 도로 뜯어내고 자연상태로 복원하는 사업이 진행 중이다.

법률상으로는 하천법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 크게 국가하천과 지방하천으로 나누어서 관리하고 있는데, 이는 강의 중요도를 기준으로 관리주체가 누구인지에 따라 구별한 것이다. 간단히 설명하면 국가하천은 국가(환경부)가 직접 관리하는 하천이고, 지방하천은 시·도지사가 관리하는 하천이다.

국가하천의 경우 2020년 현재는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안성천, 아라천 굴포천이 국가하천으로 국토교통부에서 고시되어 있다. # 물론 이들은 규모가 큰 하천이거나 국가가 직접 관리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이는 중요도가 높은 하천이기는 하지만, 실제 대한민국의 하천은 당연하게도 이보다는 훨씬 많기 때문에 주변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 중소규모의 하천은 거진 지방하천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지방하천의 경우 2008년 4월 이전에는 지방하천을 1급과 2급으로 더 세분화해서 구별했지만, 지방 1급 하천과 지방 2급 하천의 하천 관리청이 특별시장·광역시장·도지사로 동일하고 지방 2급 하천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구분할 실익이 크지 아니하다는 이유로 명칭이 지방 하천으로 통합되었다. 구분기준을 보면 충분히 그럴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이전 구분 기준에 의하면 1급은 지방의 공공이해에 밀접한 관계가 있는 하천으로서 시·도지사가 관리하는 하천이고, 2급은 국가하천 또는 지방 1급하천에 유입하거나 이에서 분기되는 수류로서 국가하천 또는 지방 1급 하천에 준하여 시·도지사가 관리하는 하천이었기 때문이다.

7. 나무위키에 문서가 있는 강

7.1. 한반도

7.2. 해외

7.3. 관련 문서

8. 강이 없는 나라

이런 나라들은 특징적으로 사막이거나 영토가 매우 좁은 나라들이다.

8.1. 아시아

8.2. 아프리카

8.3. 아메리카

8.4. 오세아니아

8.5. 유럽

9. 언어별 명칭

<colbgcolor=#bbf0f0,#2d2f34> 언어별 명칭
한국어 강(),[A] 가람[10], [11][12]
그리스어 ποτάμι(potámi), ποταμός(포타모스, potamós)
ποταμός(포타모스, potamós)[13]( 고전 그리스어)
네팔어, 산스크리트어 नदी(nadī, 나디)
라틴어 amnis(암니스), ăqua(아콰), fluctus(플룩투스), flumen(플루멘)
러시아어 ре́чка(réčka)(큰 강), река́(reká, 리까)[14](작은 강)
마인어 sungai/سوڠاي, alur/الور, alir/الير, batang/باتڠ, bengawan/بڠاون
kali/کالي, wai/واءي, ci/چي, sei(세이)/سإيي
만주어 ᡠᠯᠠ(ula, 우라)(큰 강), ᠪᡳᡵᠠ(bira, 비라)(작은 강)
ᡤᠣᠣᠯ(gool)( 몽골어 차용), ᡩᠠᡵᡳᠶᠠ(dariya, 다리야)( 위구르어 차용)
몽골어 гол(gol)/ᠭᠣᠤᠯ(ɣoul): 작은 강, мөрөн(mörön)/ᠮᠥᠷᠡᠨ(mören): 큰 강
스페인어 río(리오)
아랍어 نَهْر(nahr, 나흐르), أَنْهَار(ʔanhār)(복수), أَنْهُر(ʔanhur)(복수)
아르메니아어 գետ(get, 겟)
에스페란토 rivero(리베로)
영어 river(리버)
일본어 [ruby(川, ruby=かわ)](카와)[A]
중국어 (hé), (jiāng)[A]
케추아어 mayu(마유)
포르투갈어 rio(리우)
프랑스어 fleuve(바다로 흘러가는 강), rivière(이외의 강)
힌디어 नदी(nadī, 나디), दरिया(dariyā), नद(nad), नहर(nahar)
نَدی(nadī, 나디), دَرْیا(daryā)( 우르두어)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기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colbgcolor=#bbf0f0,#bbf0f0> 갈리아어 rēnos
고전 이집트어 jtrw(iteru)
과라니어 ysyry
나와틀어 atoyatl
네오 flumen
노비알 rivere
니브흐어 эри(eri, 에리)
마오리어 awa
볼라퓌크 flumed
소말리어 webi
아이마라어 jawira
아이누어 pet(펫), nay(나이)[17]
아일랜드어 sruth
알라바마어 pahnichoba
우가리트어 𐎐𐎅𐎗(nhr, naharu, 나하루)
위구르어 دەريا(derya)
이누이트어 ᑰᒃ(kook)
kuuk(이누피아크, 칼라흘리수트(그린란드어))
인테르링구아 fluvio
체로키어 ᎤᏪᏴ(uweyv)
콥트어 ⲉⲓⲟⲟⲣ(eioor)(사이드 방언)
ⲓⲟⲣ(ior)(보하이라 방언)
타히티어 ʻānāvai, pape
태국어 แม่น้ำ(mɛ̂ɛ-náam)
토하라어 cake( 토하라어 B: 쿠처 방언)
튀르키예어 ırmak(으르막), nehir
페르시아어 رود(rud, 루드), رودْخانِه(rudxâne), نَهْر(nahr, 나흐르), دَرْیا(daryâ, 다르야)
rautaʰ(고대 페르시아어)
폴란드어 rzeka, strumień
하와이어 kahawai
하우사어 kogi(코기)
히브리어 נָהָר(nahár, 나하르) }}}}}}}}}

10. 관련 문서



[1] 백두산 부근의 내는 '수(水)'라고 하는데 서두수(西頭水), 소홍단수(小紅端水), 이명수(鯉明水), 구운수(九雲水) 등이 있다. [2] 심지어 이 흐름이 바뀌면서 강 건너편 땅이 월경지가 되는 경우도 있다. 황금평 같은 경우가 대표적. [3] 바닷물을 마실 경우, 오히려 염분이 체내 수분을 빨아들이는 삼투압 현상 때문에, 탈수 증상이 일어난다. [4] 드물지만 거대한 배를 쓰기도 했다. [5] 사실 이런 문제는 국내에서도 벌어지곤 한다. 한국에서는 대표적으로 낙동강을 둘러싼 대구광역시 부산광역시의 분쟁이 있었다. 그래도 이런 경우 같은 나라이므로 어찌저찌 조정이 가능하다. [6] 한천이나 광령천 같이 소규모 수준이 아닌 18km이상 넘어가는 하천도 존재한다. [7] 이유는 한반도는 깔때기 역할을 하는 산이 많아 계곡들을 위주로 강이 형성되었는데, 하필 물이 모이는 곳이 도시나 마을이 생기는 지역인 평원지역이다. [8] 이쪽은 여름에 물이 없어지고 겨울에 넘쳐난다. [A] (강), (천), (하) 셋 다 한자문화권에서 강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쓰였으며, 현대에도 어느 정도 통용이 된다. 다만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는 표현이 3국에서 다를 뿐이다. [10] 원형은 ᄀᆞᄅᆞᆷ이다. 월인석보에 다음과 같은 문장이 있다.
부톄 百億世界예 化身ᄒᆞ야 敎化ᄒᆞ샤미 ᄃᆞ리 즈믄 ᄀᆞᄅᆞ매 비취요미 ᄀᆞᆮᄒᆞ니라
[11] 원형은 나리이다. 경주 알천(閼川)은 아리나례(阿利那禮)로도 불렸다. 또한 향가 찬기파랑가에서는 '川理'라는 표기가 등장하는데, 川( 천)은 뜻을 표기한 것이고 理(다스릴 리)는 나리의 끝음절 '리'를 표기한 것이다. 이후 ㄹ이 탈락되어 내가 되었다. [12] 현대어에서는 강보다 규모가 작은 하천을 뜻하는 말로 쓰이고 있으나 옛말에서는 크기와 관계없이 내수(內水)에 대해 쓰인 기록이 있다. [13] 메소포타미아, 하마를 뜻하는 영단어 hippopotamus 등 여러가지 단어의 어원이다. [14] 강세 모음이 앞이나 뒤에 온다면 '이'처럼 발음한다. [A] [A] [17] 일본에서 아이누어 발음과 비슷한 한자를 끼워넣어 지명으로 만들 때에는 別, 内 등을 쓰고 각각 베츠, 나이라고 읽는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