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解 散
Dismiss1. 모였던 사람이 흩어짐. 또는 흩어지게 함.
- 회의가 끝나자 회원들이 해산을 하였다.
- 일본 영사는 상해 시장에게 시장의 사과, 범인의 체포ㆍ처벌, 배일 단체의 즉각 해산 등 네 가지 항목을 시한부로 내밀었다.
- 훈련대가 해산에 불평을 품고 궐내에 뛰어들어 호소하기에 이르렀으나 곧 진압되었다는 것이다.
- 피청구인 통합진보당을 해산한다.
1.1. 법률 용어
1. 의회에서, 의원 전원에 대하여 임기 만료 전에 그 자격을 박탈하는 일. 또는 특정 정당에 대해서 법인격을 박탈하는 일.2. 민법이나 상법에서, 조직체가 폐지되는 일. 회사법상 회사인 법인이나 조합(민법)에 쓰인다. 정당해산심판도 이 용례이다.
- 회사의 경우 회사가 거래의 목적인 영업 활동을 중지하고 법인격을 잃는 상태가 되는 일을 뜻한다. 합병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재산 관계를 처리하고 조직을 폐지한다.
- 예를 들어 만일에 판사가 주식 회사 삼성에 대해서 해산 판결을 내린다면, 사옥(社屋)도 그대로 있고 대표 이사와 회계사, 변호사, 임직원도 계속 그 자리에 살아 있다. 당장 삼성은 그날부로 지구상에서 사라지는 것은 아니고, 해산한 법인이 잔무를 처리하고 재산을 정리하여 완전히 없어질 때까지의 그 권리의무 내에서 청산법인으로 기능한다. 청산이 종결되어야 완전히 법적 주체의 지위에서 박탈된다.
- 정당의 해산
- 통합진보당 해산
- 정당은 자진해산이나 헌법재판소의 해산결정 이외에도 '등록취소'되거나 '소멸'될 수도 있다.
- 문부과학성에서 통일교 종교법인에 대해 해산을 청구한 사례가 있다. #
2. 海 山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eee,#222> 하천 지형 | <colbgcolor=#fff,#000> 직류하천 | 자유곡류하천 | 감입곡류하천 | 망류하천 | 감조하천 | 샘( 옹달샘) | 폭포 | 계곡( V자곡) | 선상지 | 하안 단구 | 우각호 | 구하도 | 하중도 | 천정천 | 범람원( 자연제방 · 배후습지) | 삼각주 | 하구 | 돌개구멍 |
해안 지형 | 곶 | 만 | 사빈 | 석호 | 갯벌 ( 펄갯벌 · 모래갯벌) | 해안 사구 | 해안 단구 | 해식 동굴 | 해식애 | 해식 아치 | 육계도 | 시스택 | 파식대 | 사주 | 사취 | 리아스 해안 | |
해양 지형 | 군도 | 산호초 | 대륙붕 | 해곡 | 해저협곡 | 대륙 사면 | 대륙대 | 심해저 평원 | #s-2( 기요) | 해구 | 해령 | 블루홀 | |
건조 지형 | 사구 | 사막포도 | 와디 | 버섯 바위 | 삼릉석 | 오아시스 | |
빙하 지형 | 혼 | 피오르 | U자곡 | 빙하호 | 크레바스 | 빙하동굴 | 빙붕 | 빙상 | 빙산 | |
카르스트 지형 | 석회동굴( 석순 · 종유석 · 석주) | 카르스트 지형( 돌리네 · 우발레 · 폴리에) | 싱크홀 | |
화산 지형 | 칼데라 | 화구호 | 오름 | 단성 화산 | 성층 화산 | 온천 | 간헐천 | 열점 | 용암 동굴 | 주상절리 | 용암 대지 | |
구조 지형 | 분지(침식분지( 펀치볼 · 케스타) · 대찬정 분지) | 곡저평야 | 대평원 | 팜파스 | 지협 | 지층 | 탁상지( 테이블 산) | 순상지 | 고위평탄면 | 습곡산맥( 고기 습곡산맥 · 신기 습곡산맥) | 단층산맥 | 해령 | |
기타 | 잔류 암괴지형 | 풍화혈 | 풍화 암설지형 | 매스무브먼트 | }}}}}}}}} |
대양의 밑바닥에 원뿔 모양으로 우뚝 솟아오른 봉우리.
해산의 예로 독도 근처에 있는 안용복 해산, 심흥택 해산, 이사부 해산을 들 수 있다.
2.1. 평정해산
프랑스 지질학자 기요의 이름을 따서 기요(guyot)로도 불린다. 정상부가 평평한 것이 특징인데, 이것은 옛날에 해수면 위에 있을 때 침식된 후 침강하고 바다 속으로 내려가서 그렇다. 위의 안용복 해산, 이사부 해산도 여기 속한다. 독도도 평정해산에서 화산이 재차 작게 솟아 생겨났다. #3. 海産
자세한 내용은 해산물 문서 참고하십시오.4. 解産
자세한 내용은 출산 문서 참고하십시오.아이를 낳음.
출산이란 단어가 들어오기 전에 이 단어를 썼으며, 1907년 대한제국 군대해산 당시 대한제국군들이 일제에 의하여 강제로 해산( 解 散)되자 "우리더러 미역국을 먹으라는 것이냐?"고 반발한 데서 '미역국을 먹었다'라는 말이 생겼다고 하는데, 이는 '출산'을 뜻하는 해산(解産)과 '집단을 해체하다'를 뜻하는 해산(解散)이 같은 음성이기 때문이었다. 자세한 건 문서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