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2 16:00:48

월인석보

파일:월인석보1.png

파일:월인석보2.png 파일:월인석보3.jpg

파일:비람감생.jpg
파일:월인석보 도솔래의상.jpg
월인석보 도솔래의상
파일:월인석보 유성출가상.jpg
월인석보 유성출가상

1. 개요2. 편찬 배경3. 구성4. 월인석보 목판5. 기타

1. 개요

月印釋譜. 세조 5년(1459)에 간행된 조선의 불경 언해서다.

석가모니의 생애를 다룬 일종의 불경으로, 세종대왕이 지은 《 월인천강지곡》과 세조가 지은 《 석보상절》을 증보하여 간행한 책이다. 《석보상절》에 해당되는 부분은 《월인석보》를 만들며 다시 썼기에 《석보상절》과 내용상 다소 차이가 있다.

훈민정음 창제 이후 최초로 나온 한국어 불교 경전이며 국내에서 최초이자 마지막으로 왕이 직접 저술한 불경으로, 조선 초기 불교 문화의 정수로 꼽힌다.

여담으로 중세 국어 문법을 배우는 국문학도들이 치를 떠는 작품이기도 한데, 15세기부터 시작하여 16세기, 17세기 등 시간에 따른 훈민정음의 변천을 공부할 때 필수로 나오는데다 자구 파악도 어려운 판에 생소한 불교 용어까지 나오기 때문에 공부하면서 머리를 부여잡게 된다.

서강대학교 도서관, 동국대학교 도서관, 삼성미술관 리움,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연세대학교 도서관, 수타사, 보림사 등에 소장되어 있다.

2. 편찬 배경

조선 세조는 스스로 호불(好佛)의 군주라고 선언할 정도로 왕자 시절부터 불교를 크게 숭상하였다. 이 때문에 세종 28년(1446)에 소헌왕후가 사망하자 어머니에게 갖은 효도를 다하던 세조는 크게 슬퍼하며 죽은 어머니의 명복을 빌기 위해 스스로 불교 서적을 공부한 후 한국어로 석보상절을 지어 바친다.

이후 세종 29년(1447) 세종이 둘째 아들이 지은 석보상절을 읽어본 뒤 크게 감동하여 석보상절에 대한 찬가인 월인천강지곡을 짓는다.

이후 세조가 즉위한 뒤 다시 월인천강지곡과 석보상절의 내용을 합한 후 증보, 수정하여 월인석보를 편찬하는데 그 배경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첫 번째는 세조 3년(1457) 세조의 장남인 의경세자가 죽자 이를 애통히 여기며 울던 세조가 죽은 아버지 세종 대왕에 대한 죄송스런 마음과 먼저 떠난 아들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근 2년 동안에 걸쳐 증보(增補) 수정하여 간행하였다는 것. 실제 표방한 편찬 배경이며 현재 정설이다.

두번째는 겉으로는 죽은 부모와 일찍 죽은 아들을 위해 만들었다고 되어 있지만, 실제론 어린 조카 단종을 몰아내 죽이고 왕위에 올라 사육신 등 많은 신하를 죽인 끝에 세조가 얻은 정신적인 고통, 회한과 두려움, 무상(無常)의 깊은 수렁에서 벗어나 죄를 씻고 구원을 얻기 위하여 추진된 것으로 보는 설이 있다.

3. 구성

원본 완질(完帙)은 원래 대략 24권 정도라고만 알려져 있었다. 그러던 중 25권이 보림사에서 발견되면서 전체 25권으로 편찬되었음이 밝혀졌다. 국가유산청에서 밝힌 현존하는 것은 총 18권이며 보물 제 745호와 935호로 지정되었다.

일단 현존하는 것 같은데 문화재청 홈페이지에서는 보이지 않는 월인석보는 다음과 같다.
  • 권4: 한국어 위키백과에 재간행본으로 4권이 존재한다고 되어 있으며, 위키 백과 월인석보 항목 이에 따라 총 19권이 현존하고 있다고 적혀있다.[1] 또한 1997년 7월 16일 경향신문, 동아일보, 한겨레 등의 신문에서 4권을 찾았다는 기사가 나온다. 하지만 문화재청 홈페이지에는 등록되어 있지 않으며 보물지정에서 빠져 있다.
  • 권19: 똑같이 한국어 위키 백과에는 초간본으로 19권이 존재한다고 되어 있고 1999년 경북대의 한 교수가 가야대학교에서 발견했다는 기사가 있다. # MBC 보도 KBS 보도 하지만 국가유산청 홈페이지에는 등록되지 않았고 보물 지정도 되지 않았다.

위 두 권을 합칠 경우 현재 총 25권 중 20권이 현존한다.

조선 초기의 불경이라는 상징적인 의미뿐만 아니라 당대 극도로 발달한 판각 기법이나 인출(印出) 방법 등에 대해 자세히 알 수 있고, 한글 창제 직후에 간행된 자료로 당시의 글자나 말을 그대로 보전했으므로 국어국문학 연구에 매우 귀중한 문헌이다. 특히, 권1 앞에 훈민정음 언해본(諺解本)이 실려서 가치가 더욱 크다. 그리고 조선 초기 불교 경전에 대한 포용성과 수용태도를 살필 수 있는 자료다.

기타 자세한 내용은 한국 민족 문화 대백과 사전을 참조.

4. 월인석보 목판

파일:월인석보 목판.jpg

선조 2년(1569)에 판각한 불교 대장경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한글 대장경이다. 보물 제745호와 935호로 지정된 월인석보 책들과는 별개로 대한민국 보물 제582호로 따로 지정되었다.
충청남도 공주시 갑사 소장

월인석보목판(月印釋譜木板)은『월인석보』를 새겨 책으로 찍어내던 판각으로서 우리 나라에 남아있는 것 중 유일한 판목이다. 『월인석보』는『월인천강지곡』과『석보상절』을 합하여 세조 5년(1459년)에 편찬한 불교 대장경이다. 석보는 석가모니불의 연보 즉 그의 일대기라는 뜻이다. 『석보상절』은 조선 세종 28년(1446년)에 소헌 왕후의 명복을 빌기 위해 수양 대군(후의 세조)이 불교 서적을 참고하여 지은 것이고, 『월인천강지곡』은 세종 29년(1447년)에 세종이 『석보상절』을 읽고 각각 2구절에 따라 찬가를 지은 것이다.

『월인석보』는 본래 57매 233장으로 모두 24권이었으나 현재는 21권 46매만 남아있다. 이 판목은 선조 2년(1569년) 충청도 한산에 사는 백개만(白介萬)이 시주하여 활자를 새기고, 충남 논산 불명산 쌍계사에 보관하였다. 현재 갑사에 소장되어 있는데 70여 년 전에 입수하였다고 한다. 계수나무에 돋을새김으로 새겼고, 판목의 오른쪽 아래에 시주자의 이름과 새긴 이의 이름이 있다. 내용 표기에 있어서는 방점과 글자획이 닳아 없어져 변모된 부분을 발견할 수 있다.

우리 나라 최초의 한글 불교 대장경이라 할 수 있는 것으로, 15세기 당시의 글자와 말을 그대로 보존하고 있어 국어 변천을 알 수 있는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5. 기타

파일:월인석보 부산저축은행 압수본.jpg
사진 출처
  • 부산저축은행 사태 당시 압수되어 국가 경매로 올라온 월인석보의 모습. 2015년 9월에 월인석보 권9, 권10이 경매장에 나왔으며 국립한글박물관이 7억 3천만원에 낙찰받았다. #1 #2 #3
  • 진품명품 597회에서 서강대가 소장한 보물 745호인 <월인석보>가 공개되었으며 감정가가 9,999,999,999원으로 나왔다. 이는 전광판에서 나올 수 있는 최대 금액이며 감정단들은 '이런 훌륭한 보물의 값을 측정할 수 없다'는 이야기를 했다. 이 금액은 감정 기준이 바뀌면서[2] 앞으로도 나오기 어렵다.
  • 월인석보에 대한 자세한 정보
  • 대전 성암미술관이 소장 중인 오대산 월정사판 월인석보 28권 전질을 공개하였다. #

[1] 위키 백과에는 권20이 빠져 있다. [2] 2010년대부터 이 정도 되는 보물이면 "0원"으로 처리한다. 말 그대로 범접할 수 없을 정도의 가치를 지닌다는 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