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5 01:59:14

낙천정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성부
경모궁 계동궁 남별궁 누동궁 도정궁
명례궁 사동궁 선희궁 수진궁 순화궁
안동별궁 어의궁 연희궁 영수궁 영희전
용동궁 운현궁 이현궁 인경궁 인덕궁
자수궁 죽동궁 창성궁 창의궁 칠궁
태화궁
경기도
강화행궁 개성행궁 경덕궁 남한산성 행궁 낙생행궁
낙천이궁 노량행궁 목청전 수원행궁 수창궁
시흥행궁 안산행궁 안양행궁 양주행궁 용흥궁
월미행궁 이천행궁 이태조 행궁 진위행궁 파주행궁
풍덕행궁 풍양궁 포천이궁 화성행궁
충청도
노은리 행궁 목천행궁 보은행궁 신도안 대궐 온양행궁
전의행궁 직산행궁 초정행궁 천안행궁
전라도
격포행궁 경기전 무풍 명례궁 전주행궁
경상도
집경전
평안도
영변행궁 영숭전 영유행궁 의주행궁 평양행궁
풍경궁
황해도
배천행궁 평산행궁 해주행궁
강원도
고성행궁 분수령 행궁 상원사 행궁 춘천이궁
함경도
영흥본궁 함흥본궁
행정구역은 조선시대 당시 기준 }}}}}}}}}

한국 정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궁원 宮苑
누원 樓苑 임해전
성동동 전랑지
용강동 원지 유적
구황동 원지 유적
부여 궁남지
익산 금마저 왕궁 후원
안학궁 정원
경복궁 경회루
경복궁 향원정
창덕궁 서총대
원림 苑林 만월대 금원
경복궁 북원
창덕궁 비원
경희궁 후원
인경궁
자수궁
화계 花階 경복궁 아미산
창덕궁 낙선재
왕실누정 王室樓亭 망원정
용양봉저정
낙천정
탕춘대
관원 官苑
누원 樓苑 장대 將臺 촉석루
영보정
방화수류정
연광정
통군정
인풍루
수항루
객사 客舍
동헌 東軒
군영 軍營
세검정
환아정
영남루
군자정
한벽루
지수당
죽서루
백상루
강선루
육승정
칠보정
관덕정
감영 監營 영주관
부용당
오순정
명승 名勝 광한루
항미정
채미정
망양정
월송정
쌍수정
경포대
청간정
총석정
부벽루
칠성정
풍패루
해월정
사원 私苑
별서 別墅 정원 庭苑 석파정 · 옥호정 · 백석동 별서 · 성북동 별서 · 무계동 별서 ·
반계 윤웅렬 별서 · 운림산방 · 서석지 · 귀래정 · 독락당 ·
다산초당 · 함안 무진정 · 남간정사
원림 苑林 부용원 · 소쇄원 · 식영정 · 환벽당 · 면앙정 · 송강정 ·
명옥헌 · 독수정 · 임대정 · 부춘정 · 백운동원림 · 초연정 ·
용호정 · 요월정 · 심원정 · 초간정 · 용계정 · 만휴정
임천원 臨川苑 효사정 · 압구정 · 천일정 · 서벽정 · 농월정 ·
거연정 · 요수정 · 용암정 · 월연대 · 선몽대 ·
청암정 · 침수정 · 위양지 완재정
향원 鄕苑 영보정 · 무기연당 · 선교장 · 오죽헌 ·
방해정 · 쌍산재 · 진주 용호정원
사원 寺苑
정림사 연지 · 미륵사 쌍지 · 실상사 지당 · 송광사 계담 ·
수선사 정원 · 불국사 구품연지 · 청평사 고려선원 · 낙산사 의상대 ·
대흥사 무염지 · 통도사 구룡지 · 봉선사 화계 · 봉정사 영산암
기타
금장대 · 태화루
현대정원
진해루 · 월화원 · 외도 보타니아 · 별빛정원 · 황산불빛정원 · 39-17 마중 ·
발리정원 · 섬이정원 · 아름다운정원 화수목 · 생각하는 정원 · 남이섬 · 원생정원
수목원 · 국가정원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svg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 현존하지 않는 건축물
}}}}}}}}}
파일:낙천정.jpg
<colbgcolor=#bf1400> 낙천정의 모습[1]
1. 개요2. 위치3. 역사4. 용도

[clearfix]

1. 개요

태종의 별궁이자 조선 초기의 3대 이궁 중 하나였던 궁. 현재는 남아있지 않다.

이름은 《주역》 - 〈계사(繫辭)〉에 나온 ‘낙천지명고불우(樂天知命故不憂)’에서 따왔다. '하늘(天)을 즐기고(樂) 명(命)을 알면(知) 근심(憂)이 없다(不)'는 뜻이다. 건립 당시 상왕 태종의 명을 받아 좌의정이었던 박은이 지었다.

2. 위치

지금의 서울특별시 광진구 자양동에 위치했다. 한강변에 위치한 대산(臺山)이란 산 정상에 있었는데, 지금은 그 자리에 자양현대3차아파트가 들어섰고, 위치는 잠실대교 서편이다.

낙천정이 위치한 대산은 표고 42.8m로 시루를 엎어 놓은 모양과 비슷하다고 하여 ‘시리미’라고도 불렸다. 주변에 다른 높은 지형이 없어 아름다운 한강을 조망할 수 있었다.

3. 역사

1418년(태종 18년)에 세종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물러난 태종이 그 해 9월에 이궁으로 짓기 시작하여 이듬해인 1419년(세종 1년) 2월에 완공했다.[2] 변계량이 지은 《낙천정기(樂天亭記)》에 의하면 태종이 바람을 피해 언덕의 간방(艮方) 모퉁이에 이궁을 짓도록 했고, 언덕 위에 정자를 짓도록 했다고 한다. 여담으로 변계량이 지은 《낙천정기》는 판한성부사 권홍이 쓰고 판각하여 정자에 걸었다고 한다.

문종 중종 대에 수리했다. 인조 연간까지는 기록에 보이나 그 이후에는 등장하지 않는다. 이로 미루어 보아서는 낙천정 또한 조선 후기에 이르러 관리되지 못하고 방치되다가 자연스레 무너져 없어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낙천정 터는 1991년 12월 24일에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12호로 지정받았으나, 2009년 10월 22일에 지정 해제되었다. 현재 남아있는 정자는 1991년에 신축한 것이며 정확한 고증 없이 조선 전기 양식이 아닌 모습으로 지은 것인 데다가, 각종 사료에 남아 있는 낙천정의 원위치인 대산(臺山)이란 산의 정상과도 대략 200m 이상 떨어진 곳에 세운 것이라는 점이 확인되었기 때문에, 문화재로 보호할 가치가 없다는 이유였다.[3]

4. 용도

상왕 태종을 위해 지었기에 태종과 세종이 이곳에 자주 들러 매사냥을 즐기고 연회를 열었다. 세조 단종과 함께 낙천정에서 매사냥과 고기 잡는 모습을 보고 즐기기도 했다. 그리고 성종 또한 낙천정에서 열병과 활쏘기를 구경했다.

그 밖에도 조선시대의 왕들은 명나라 사신이 왔을 경우 이곳에서 연회를 베풀기도 했다.
[1] 현재 위 사진의 낙천정은 위치도 다르고 형태도 달라서 문화재적 가치가 없다. [2] 그무렵, 한성부 서쪽에 연희궁, 동쪽에 풍양궁, 남쪽에 낙천정을 건립합으로서 태종이 머물 3개의 이궁을 지었다. [3] 참조: 광진닷컴 - 낙천정 터 지정문화재 해제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