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9 12:32:47

필리핀 영어

타글리시에서 넘어옴
영어의 종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808080,#111><colcolor=white> 시대별 {{{#!wiki style="margin: -16px -11px" <tablewidth=100%> 고대 영어 중세 영어 근대 영어 현대 영어 }}}
지역별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식 영어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영어
파일:영국 국기.svg 용인발음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코크니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에스추어리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다문화 런던 영어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영어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영어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영어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북아일랜드 영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식 영어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영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남부 영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흑인 영어 파일:미국 국기.svg 치카노 영어 파일:미국 국기.svg 케이준 영어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영어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영어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영어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영어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영어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영어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영어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영어
파일:아프리카 연합 기.svg 아프리카 영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콩글리시 파일:일본 국기.svg 재플리시 파일:중국 국기.svg 칭글리시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영어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라이베리아 영어 }}}
기타 앵글리시 베이식 잉글리시 피진 잉글리시 브로큰 잉글리시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conic-gradient(from 240deg at 10.5% 50%, #fcd116 60deg, transparent 60deg), conic-gradient(from 240deg at 90% 50%, #fff 60deg, transparent 60deg), linear-gradient(to bottom, #0038a8 50%,#ce1126 50%)"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e1126><colcolor=#fff>상징 국가 · 국기 · 국장 · 필리핀수리
역사 역사 전반 · 필리핀 도독령 · 필리핀 제도 미국군정부 · 필리핀 제도 도민정부 · 필리핀 자치령 · 필리핀 행정위원회 · 필리핀 제1공화국 · 필리핀 제2공화국 · 필리핀 제3공화국 · 필리핀 제4공화국
정치 정치 전반 · 헌법 · 말라카냥궁 · 대통령 · 대통령 선거 · 부통령 · 필리핀 의회( 상원, 하원) · 에드사 혁명
외교 외교 전반 · ASEAN · APEC · IPEF · 미국-필리핀 상호방위조약 · 여권
경제 경제 전반 · 필리핀 페소 · 경제 성장 · 수빅경제특별구역 · 넥스트 일레븐
국방 필리핀군( 육군 · 해군 · 공군) · 호세 리잘급 호위함
문화 문화 전반 · 필리핀어 · 필리핀 영어 · 요리( 시니강 · 람바녹 · 산 미겔 · 탄두아이 · 레촌) · PBA · 필리핀 축구 국가대표팀 · 졸리비 · 공휴일 · 필리핀 무술
관광 관광 전반 · 보라카이 · 세부 · 비간 · 교회 · 지하 강
인물 호세 리잘 · 니노이 아키노 · 라몬 막사이사이 ·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 에밀리오 아기날도 · 라푸라푸 · 매니 파퀴아오
지리 말레이 제도( 루손섬 · 민다나오섬) · 메트로 마닐라 · 피나투보 화산 · 타알 화산
교통 교통 전반 · 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 · 필리핀항공 · 세부퍼시픽 · 지프니
교육 교육 전반 · UP 시스템
치안 필리핀 국가경찰
민족 필리핀인 · 필리핀계 미국인 · 필리핀계 호주인 · 중국계 필리핀인 · 스페인계 필리핀인
기타 마라위 전투 · SM 슈퍼몰 }}}}}}}}}

1. 개요2. 특징
2.1. 발음2.2. Conyo2.3. 어휘2.4. 문장

1. 개요

Philippine English

필리핀 영어를 말한다. 타글리시(Taglish) 또는 잉글로그(Englog)라고 하기도 하는데 필리핀 고유의 언어인 타갈로그(Tagalog) + 잉글리시(English)의 합성어이다. 그러나 필리핀의 토착 언어는 타갈로그어 외에도 여러가지 언어들이 있으므로 엄밀히 말하면 타글리시는 필리핀 영어 중 한 종류일 뿐 타글리시=필리핀 영어인 것은 아니다. 필리핀 영어에는 타글리시 말고도 비사야어 화자들이 쓰는 영어인 비슬리시(bislish) 등 여러가지가 있기 때문.

필리핀이 한국에서 영어 어학연수로 유명하다 보니 한국에도 간혹 필리핀 영어와 비스무리한 영어를 구사하는 사람들이 있다.

2. 특징

2.1. 발음

필리핀은 과거 미국 식민지였던 영향으로 영어 공용어이지만, 영어 발음이 필리핀어, 혹은 타갈로그에서 쓰이는 스페인어 단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예를 들어서 영단어 contact은 타갈로그에서는 스페인어의 영향을 받아 kontak이라고 쓰고 꼰딱이라고 읽는데 이 발음을 영단어 contact에도 그대로 적용한다든가 하는 경우가 있다.

필리핀어에는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F와 V발음이 없기 때문에 필리핀어 문장에서 F/V를 읽을 때는 P/B로 대체하기도 한다. ㄸ발음이 굉장히 강한데, 예를 들어 third 발음을 할 때 떠어얼드 하면서 심하게 혀가 꼬인다. 모음 발음도 영어보다 단순화되어 있는데, 타갈로그 발음을 심하게 쓰는 필리핀인의 영어는 외국인이 처음 들으면 웬만하면 알아듣지 못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doctor를 '독토르'[1][2], after를 '업데얼'[3][4]에 가깝게 발음하니 유의할 것.

영어 발음을 훌륭하게 구사하는 필리핀인을 만나면 좋겠지만, 대부분의 필리핀인이 그러듯이 필리핀어 발음을 심하게 섞어 쓰는 사람을 만나면 한마디도 못 알아듣게 될 것이다. 반면 고등 교육을 받은 사람들의 경우는 필리핀어 억양은 조금 남아있지만 영어 발음이 영어권 나라에 가깝다.

2.2. Conyo

타갈로그 문장 구조에 영어 단어를 섞어 쓰는 경우는 Taglish지만, 영어 문장 구조와 영어 발음에 타갈로그 어휘를 섞고 발음도 미국식 영어에 가깝게 흘려 말하는 경우는 Conyo라고 부른다.[5] Conyo는 주로 돈 많은 상류층들이 쓴다는 인식이 있어서, 일반 대중들에게는 굉장히 재수없게 들린다고 하니 주의가 필요하다.
타글리시 문장: Namimiss[6] kita. (네가 그리워)
꼬뇨 문장: I'm late na nga (이미 엄청 늦었어)

꼬뇨 구사자자는 대개 젊은 미국 여성들의 말투를 그대로 차용하는 경향이 있다. 이 외 애플 전자기기를 좋아하고, 자가용이나 우버로 등하교하며, 콘서트나 뮤직페스티벌 등의 행사를 즐겨 찾고, 해장을 할 때는 베로카(Berocca)[7], 애드빌(Advil)[8], 게토레이를 먹는다는 스테레오타입이 있다.
  • I can't even: 미국 백인 여성들의 말버릇에서 온 표현으로, 감정이 과잉되어 말문이 막힐 때 나오는 감탄사다. ' 대박'이나 ' 어떡해' 등의 의미로 쓰인다.
  • Can you just not?: '그러지 마(Please don't, that ain't right)'라는 뜻. 역시 미국 여성들의 말버릇이다.
  • I know, right?: '맞아, 그렇지?'라고 맞장구치는 표현.
  • Are you making me gago?: '지금 장난해?'(Are you making fun of me?)라는 뜻. gago는 스페인어로 ' 말더듬이'를 뜻하는 단어였으나 타갈로그 어휘로 편입되면서 '바보'라는 뜻이 되었다.
  • G: go의 두문자어. 한국어 와 용법이 같다.
  • hassle: 귀찮음, 짜증. 영어에도 있는 단어지만, 이 역시 꼬뇨 구사자의 중요한 스테레오타입 중 하나다. 일반적인 타갈로그 구사자라면 '마꿀릿(makulit)' 혹은 '부위싯(buwisit)'[9]을 더 많이 사용한다.

2.3. 어휘

자주 사용되는 단어나 표현 일부가 영미권과 다르다. 전반적으로 스페인어와 함께, 1970년대 이전 미국식 영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밤문화 범죄에 관한 독자적인 은어 표현이 많은 것도 특징이다.

그리고 스페인어, 민난어(호키엔어), 그리고 대만어 유래 어휘도 있다.
  • already: 필리핀 영어에서는 급하게 무언가를 하거나 어딘가로 갈 때에도 이 부사어를 쓴다. 미국식 영어에서도 이런 용법이 있으나[10], 미국보다는 필리핀에서 특히 더 많이 쓰인다. 일반적인 영어로는 very soon이나 right away 등으로 번역할 수 있다.
    Give me already! (빨리 주세요!)
  • attorney (Atty.): 이름 앞에 붙어서 변호사 혹은 공증인(notary public)을 가리키는 존칭으로 쓰인다. 미국에서는 Esquire (Esq.)를 변호사의 이름 뒤에 붙여서 표현하는 것과 비교된다.
  • awhile: 짧은 시간 동안(a short while). 일반적인 영어에서는 awhile이라고만 하면 꽤 오랜 시간을 뜻할 수도 있어 오해를 일으키기도 한다.
  • bottomless: (음료 등이) 리필 가능한(refillable). 현재는 미국보다는 영국에서 더 많이 사용하는 단어다.
  • by and by: 잠시 후(after a short while). 영미권에서는 20세기 중엽부터 잘 쓰이지 않는다.
  • carnapping: 자동차 강도 범죄(carjacking).
  • chancing: 이성에게 몸을 스치며 작업걸기(flirting, sexual advance).
  • Colgate: 치약. 역사가 오래된 미국제 치약 브랜드에서 유래했다.
  • come again: 다시 말해주다. 특히 의문문으로 많이 사용된다. 미국에서도 한때 많이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Say that again?이나 What was that?을 더 널리 사용한다.
  • comfort room, CR: 화장실. 미국식 영어에서는 한때 '휴게실'을 지칭하는 단어였다.
  • computer shop: 인터넷 카페. 영미권에서는 '컴퓨터 매장'.
  • Cutex: 매니큐어(nail polish).
  • dirty ice cream: 노점상에서 파는 아이스크림 콘. 소르베테스(sorbetes)라고도 한다. 원색으로 화려하게 꾸민 카트에 재료를 싣고 만들어서 팔며, 코코넛 밀크로 만드는 경우가 많아 독특한 풍미가 있다. 이름만큼 그렇게 더럽지는 않지만[11] 아무래도 길거리 음식이다 보니 불량식품 포지션이라 저런 이름이 붙었다.
  • disco: 나이트클럽. 어원은 discoteque이다.
  • eat-all-you-can: 뷔페(all-you-can-eat). 어순이 필리핀 사람들에게 자연스럽다고 느껴지는 방식으로 와전되어 알려졌다. 뭐든지 다 먹을 수 있는 곳 vs 먹을 수 있는 건 다 먹는 곳
  • estafa: 사기(fraud, con). 스페인어 차용어다.
  • extra service: 퇴폐 마사지 후 서비스로 해 주는 핸드잡.
  • fall in line: 줄을 서다(line up). 영미권에서는 '윗사람에게 순종하다'의 뜻으로 쓰인다.
  • go ahead: 자리를 뜨다. 영미권에서는 주로 자동사 leave나 go를 쓴다.
  • green-minded: 야한 생각을 하는(dirty-minded). 스페인어에서는 녹색(베르데(verde))이 자연의 생명력과 우거진 수풀 등과 연관되어 음란한 이미지를 갖는데,[12] 스페인 세력이 필리핀에서 물러가고 나서도 그 문화적 의미가 그대로 남아 영어화된 경우다.
  • hand carry: 기내 휴대용 수하물(carry-on luggage). 영미권에서는 '직접 송달'이라는 뜻으로 쓰인다.
  • high-blood: 매우 화가 난. 고혈압(high blood pressure)과 연관이 있는 듯하다.
  • holdupper: 총을 들이밀며 위협해 돈을 뜯는 강도. 영미권에서는 이러한 범죄 유형을 stick-up, hold-up이라고 표현하긴 하나 여기에 -er를 붙이지는 않는다.
  • hollow block: 시멘트 혹은 콘크리트.
  • Jeepney: 지프니. 지프와 지트니(jitney, 초기형 버스 겸 승합차)의 합성어다.
  • Kano: 미국인 혹은 백인. 스페인어 아메리카노(Ameri*cano*)가 어원이다.
  • kikay kit: 화장 키트(makeup kit). 키카이(kikay)는 타갈로그로 '잘 꾸미는 여자애'나 '남자 밝히는 여자애'를 뜻한다고 한다.
  • macho dancer: 게이바의 남성 스트리퍼.
  • main branch: 본사(main office).
  • Mcdo: 맥도날드.
  • nosebleed: 영어 울렁증. 희한하게도 필리핀에서는 ' 코피가 난다'는 식으로 표현한다. 필리핀인이 영어를 잘한다고는 해도 모어가 아니기 때문에( 공용어이기는 하다) 이런 표현이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전문용어가 잔뜩 섞인 영어문장을 읽을 때 Nosebleed ako(나 코피나) 하는 식으로 사용된다.
  • Number Two: 세컨드(mistress). 여담으로 미국 등지에서 넘버 투라고 하면 유아어로 대변을 의미하므로[13] 잘못 사용하면 상당히 묘한 오해를 야기할 수 있다.
  • officemate: 직장 동료(colleague). 영미권에서는 공유 오피스를 쓰는 타사 직원이라는 뜻으로도 쓰일 수 있다.
  • pagpag: 음식점에서 배출한 음식찌꺼기를 주워온 뒤, 물에 헹구고 조미료를 많이 쳐서 스튜 형태로 끓여내 만들어낸 먹을거리. 꿀꿀이죽과 사실상 거의 같은 음식이다. 필리핀의 빈곤 문제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슬픈 상징이기도 하다. 어원은 '먼지를 털어내기'라는 뜻의 타갈로그 단어에서 왔다.
  • parlor: 미용실(beauty salon). 옛 미국 영어에서는 지역 주민들의 사랑방 역할을 하는 공간을 이렇게 불렀다.
  • pass by: 들르다(drop by).
  • Pekpek shorts: 핫팬츠(short shorts). 펙펙(pekpek)은 타갈로그로 여성의 음문을 뜻한다. 자주 쓰이는 어휘치고는 굉장히 과감한 단어 선택인 셈.
  • Pentel pen: 마커를 뜻한다. 어원은 필기구 회사 펜텔.
  • Pinoy time: 필리핀 사람 특유의 시간 안 지키는 습관. 코리안 타임과 흡사하다.
  • red egg: 말 그대로 '빨간 달걀'. 타갈로그로 잇록 나 마알랏(itlog na maalat)이라고 부르는 필리핀 요리다. 중국 요리인 홍단(紅蛋)에서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음식으로, 껍데기가 붉은색으로 염색되어 있다. 소금에 절여 만들기 때문에 맛이 매우 짜다.
  • ref: 냉장고(fridge). 원어 refrigerator에서 앞부분만 가져온 것이다. 영미권에서는 주로 축구 경기의 심판을 뜻한다.
  • remembrance: 기념품(souvenir).
  • rubber shoes: 운동화(sneakers). 신발 밑창의 재질이 고무로 되어 있어 붙은 이름이다. 혹시나 고무신을 영어로 이거겠거니 하고 구글에 검색했다가 운동화 사진이 줄줄이 표시돼서 의아했던 적이 있다면 바로 이 용례 때문이다.
  • salvage: 즉결처분하다(kill extrajudicially). 스페인어 살바헤(salvaje(야만스러운))가 어원이다. 마르코스 독재 정권 아래에서 특히 성행했으며, 베니그노 아키노처럼 정치적 암살을 당한 경우도 salvage로 분류된다. 영어에도 이 단어가 있기는 하나 "(잔해를) 건져내다, 수습하다"로 뜻이 다르다.[14]
  • sari-sari store: 구멍가게. 사리사리(sari sari)는 타갈로그로 '잡동사니'를 뜻한다.
  • slippers: 슬리퍼(flip-flops).
  • stolen shot: 도촬된 사진(candid shot).
  • super-duper: 특별한(extraordinary). 미국에서는 1950년대까지나 많이 쓰였던 단어다. 디즈니의 2차 대전 당시 선전 애니메이션인 총통 각하의 낯짝에도 이 표현이 등장한다.
  • Supermall: 백화점. SM Supermalls이다. 영어 위키백과에도 Supermall 문서가 있다.
  • tasty: 식빵.
  • top-down: 컨버터블 차량.
  • unli: 무제한(unlimited). '안리'라고 읽는다.
  • vetsin: MSG. 중국계 조미료 회사인 티옌추베신(Tien-Chu Ve-Tsin(天厨味精))의 상표명에서 왔다. 원래 근대 일본어에서 MSG를 미세이(味精)라고 부르던 것을 그대로 취해서 중국식 한자 발음( 민남어)으로 읽은 것이다. 정작 일본에서는 아지노모도가 엄청난 인기를 끌면서 MSG를 뜻하는 일반명사가 되었고 '미세이'라는 어휘는 도태되었다.
  • videoke: 가라오케. 실제로 들어보면 구개음화가 일어나서 '비죠께'에 가깝게 발음한다. 세부와 필리핀 문화권에서만 이렇게 부른다. 이런 명칭이 생긴 이유는 노래방 기기에서 가사 표시를 위해 비디오를 함께 깔아주기 때문이라고 하는데, 실제로는 video와 orchestra의 합성어라는 걸 고객들에게 좀더 명시적으로 어필하기 위해 이런 이름을 따로 지어 퍼뜨린 듯하다.
  • Washday: 사복 데이(mufti day). 교복이나 제복을 세탁해야 하는 날에는 사복을 입는 걸 허락하기 때문에 이렇게 부른다.
  • Xerox: 복사하다(photocopy). 한때는 미국식 영어에서도 꽤 많이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약간 뜸해졌다. 이는 제록스 사 측에서 브랜드 이미지가 일반명사화되어 상표권이 상실되는 것을 우려한 끝에 사용을 자제해달라고 영어사전 출판사를 포함한 곳곳에 여러 차례 공문을 보냈기 때문이다.

2.4. 문장

  • 패러프레이징의 원칙을 영미권보다는 엄격하게 지키지 않아 중언부언하는 구어체 말투같은 느낌을 줄 수도 있다. 물론 영자신문 등 공식적인 문어체 매체에서는 칼같이 지키는 편이다.
  • 콜로케이션(collocation)을 영미권과 약간 다르게 사용할 때가 있으며, 특히 전치사 사용에서 이런 경향이 두드러진다. 사실 이는 대개 필리핀 내에서도 비문으로 취급된다. 이러한 경향은 구동사에서도 나타나는데, look into를 사용할 수 있는 자리에도 look at을 사용한다든가 하는 식이다.
  • '전깃불을 켜다/끄다'를 표현할 때 Open/Close the light(불을 열다/닫다)라고 표현한다. 이는 스페인어의 영향을 받은 표현으로 수문을 열거나 닫아서 물을 틀었다 잠그는 것처럼 전류 스위치도 비슷한 원리로 작동한다는 것이 이유다.[15]
  • 영어 문장을 말할 때 말미에 po를 붙인다. 타갈로그어는 문장 뒤에 po를 붙이면 존댓말이 되는데 이를 영어에도 적용하는 것. 물론 문어체 매체에서는 이런 표현을 볼 수 없으나, thank you po 라는 문장은 현지에서 정말 쉽게 들을 수 있다.


[1] /ɑ/가 /o̞/로 대체되어 발음된 경우다. 이 경우는 철자법에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기도 하다. [2] 미국식으로는 닥터, 영국식으로는 독터에 가깝게 읽는다. [3] 이는 /æ/가 /a/로, /ə/가 /ɛ/로 대체되어 발음되기 때문이다. [4] 미국식으로는 애프터, 영국식으로는 아프터라고 한다. [5] 스페인어 여성기를 뜻하는 비속어 "코뇨"(coño)를 음차한 단어로, 스페인의 식민지였던 나라들에서는 영어의 'damn/fuck/bastard', 한국어의 '씨발/개새끼' 같은 어감의 욕 내지는 스페인 본국인을 지칭하는 속어로 쓰였다. 식민통치자가 스페인에서 미국으로 바뀐 이후에도 이 표현은 '외국 출신 지배자들/부역자들' 혹은 '외국물 먹은 사람들'의 뜻으로 그대로 살아남은 것이다. [6] 영단어 miss를 어근으로 삼아 na+첫음절 반복을 해줘서 현재형 동사로 만든 형태. 즉 타글리시는 본질적으로 타갈로그에 가까워 영어 단어만 가져오고 이를 타갈로그어식으로 활용하는 모습을 보인다. [7] 발포비타민이다. 발포비타민을 이용한 해장은 미국과 호주에서 상당히 흔한 숙취 해소법이다. [8] 이부프로펜 계열의 진통제. 타이레놀과 달리 술과 함께 먹어도 간에 심한 손상을 주지 않는다. 한국에서는 드물지만 미국에서는 아스피린급으로 흔한 진통제이다. [9] 호키엔어로 '불운/박복함'을 뜻하는 부위싯(無衣食)에서 유래했다. [10] 예: Why don't you just die already?(아직도 안 죽었어?) [11] 그래도 면역력이 약한 사람이라면 조심해야 한다. 얼음이나 빙과류는 날달걀과 더불어 식중독의 대표적인 매개체로 손꼽힌다. [12] 중세 시대 유럽 종교화 중에서는 이런 의미에서 악마 드래곤 등이 초록색으로 색칠되어 있는 그림들이 많다. 녹색을 신성시하는 이슬람교에 대한 스페인 기독교인들의 반감 역시 이런 인식에 영향을 미쳤다고 한다. [13] 공공장소 등지에서 아이들과 부모 간에 사용하는 단어. 넘버 원은 소변이다. [14] 야만스럽다는 의미의 형용사는 savage인데, salvaje와 동계어이긴 하다. [15] 스페인어로 불을 켜다/끄다는 abrir/cerrar la luz라고 하는데 각각 열다/닫다라는 의미도 있다. 근데 그렇게 따지면 encender/apagar la luz라는 표현도 있는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4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49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