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단어
쑥을 '숙'이라고 하는 방언도 있다.숙(菽)이라는 콩의 한 종류도 있다.
2. 한자
한국 한자음 빈도 |
[11~106위] 부18 주17 계 조 지16 소 우15 고 비 위 제14 호13 서 연 자 적 전12 공 단 모 시 원 재11 가 방 선 성 신 오 의 진 화10 간 관 리 반 양 영 인 천9 강 개 거 교 대 동 무 미 배 복 순 역 이 초 한8 각 견 량 련 망 매 보 분 석 아 여 증 창 축 파 포 현7 감 과 근 금 명 박 봉 세 속 숙 식 안 종 청 취 치 침 편 폐 하 항 해 형 환6
|
[1~10위]
[11~106위]
[107~308위]
[309~407위] * 위 숫자는 해당 음절에 배당된 교육용 한자 수이다. |
교육용 한자로 '숙'이라 읽는 글자는 다음 6자이다.
- 叔 (아재비 숙): 친척의 호칭에 자주 쓰인다. 叔毛/叔父( 숙모/ 숙부), 外叔母/外叔( 외숙모/외숙) 등. 아저씨와 조카를 함께 이르는 말로 叔姪(숙질)이라는 말도 쓰인다.
- 宿 (묵을 숙): 주로 "묵다"의 의미로 쓰이나, "오래 묵은, 운명적인"의 의미로도 쓰인다. 1의 의미로는 宿泊( 숙박), 宿職(숙직), 寄宿舍( 기숙사), 宿主( 숙주), 宿所( 숙소), 露宿( 노숙), 合宿(합숙), 旅人宿( 여인숙) 등이 있고 2의 의미로는 宿題( 숙제), 宿命( 숙명), 宿敵( 숙적), 宿便( 숙변)이 있다.
- 淑 (맑을 숙): 淑女( 숙녀)가 대표적이다. 직접 배우진 않았으나 존경하여 따라감을 뜻하는 私淑(사숙)이란 표현도 있다. 한글 고전소설 淑香傳( 숙향전)도 이 글자를 쓴다.
- 孰 (누구 숙): 교육용 한자이나 한자어로 쓰이는 예는 거의 없다.
- 熟 (익을 숙): '익다, 익히다, 여물다'의 의미로 횔용되며 한자어로는 숙달(熟達), 원숙(圓熟) 등이 존재한다.
- 肅 (엄숙할 숙): "숙연함"을 뜻하는 글자. 한자어로는 靜肅(정숙), 自肅( 자숙), 嚴肅(엄숙), 肅淸( 숙청), 肅然(숙연) 인명/종족명으로는 肅宗( 숙종), 肅愼( 숙신)이 있다.
일본의 상용한자로는 孰이 없고 " 학원"의 의미로 쓰이는 塾이 들어가 있는 것만 빼면 위와 같다. 塾, 熟만 ジュク이고 나머지는 シュク로 음도 거의 동일하다.
그밖에 잘 쓰이지 않는 글자로 菽, 夙, 潚, 琡, 璹가 있다. 전산으로 등록된 '숙'으로 읽는 글자는 이들 5자를 포함하여 12자뿐이다.
3. 인명
주로 한국인 여자 이름에 '숙' 자가 자주 쓰인다. 한자는 대개 淑(맑을 숙)이 쓰이며, 간혹 肅(엄숙할 숙)을 쓰기도 한다.[1] 주로 1950년대 중후반~1980년대 초반, 특히 1960년대~1970년대 중반 태생 여성들의 이름에 자주 들어가고 1980년대 중반 출생자부터는 촌스러워진 탓에 잘 쓰이지 않는다. 요즘은 40~60대의 중년층~초기 노년층 여성의 대표격으로 여겨진다. 그래서 흔히 ' 아줌마(👩🏻🦱) 이름'으로 일컬어진다.자(뒷자)[2], 미, 아, 혜, 린, 예, 나, 라 등과 마찬가지로 매우 여성적인 글자로 여겨지므로 남성 이름에 쓰이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3] 아무리 남성적인 글자와 조합하더라도 거의 여성 이름이다. 심지어 상술했던 글자랑 비교해도 여성성이 더 강하다. '미' 는 순우리말 이지만 '미르' 가 남성 이름이고, '혜' 와 '예', '아' 는 성 또는 준으로 끝나는 이름을 가진다면 남성에게 많이 쓰인다.[4] '라' 와 '나', '린' 도 남성적인 글자와 조합한다면 남자에게도 볼 수 있다. 이 탓에 항렬자를 사용하는 사람이 많은 중장년층(1960년대~1980년대 초반 출생자)이나 노년층(1950년대 까지의 출생자)이라도 항렬자에 '숙' 이 있으면 항렬을 그냥 건너뛰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아주 옛날 사람 중에는 남자 중에도 '숙'이 들어가는 이름을 가진 이들이 좀 있다. 박근숙 앵커가 남자이다.
외자 이름 '숙'도 간간히 쓰이는 편이다.
4. 시호 肅
자세한 내용은 숙(시호) 문서 참고하십시오.
[1]
이게
항렬자로 들어가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안동 권씨와
연안 이씨.
[2]
앞자리가 '자' 인 경우는
능성 구씨 에서 남자 이름으로 보이며고, 그렇지 않아도 조합에 따라 남성 이름이 가능하다.
[3]
순은 남성 이름에도 꽤 쓰이지만 숙은 거의 없다.
[4]
'예준' 이라는 이름은 남자에겐 매우 흔하지만, 여자는 많이 쓰지 않는다. 가수
이예준 정도가 여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