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순우리말
"낡음"을 의미하는 관형사이다. 기원적으로는 '헐다'의 관형사형 어미 '-ㄴ'가 결합한 것이다. "새로운 것"을 의미하는 관형사 ' 새'와 자주 대응된다.'헌신짝',[1] '헌옷'( 헌옷수거함), 헌책방 등의 합성어가 있다. 근래에는 새내기를 비틀어 만든 신조어로 헌내기라는 말이 생겼다.
한국의 어린이 놀이 중 하나인 두꺼비집짓기놀이를 할 때에는 "두껍아 두껍아 헌 집 줄 게 새 집 다오"라는 노래를 부른다.
2. 한자
한국 한자음 빈도 |
권 당 독 령 로 루 만 면 묘 병 송 승 심 약 어 요 음 저 절 차 체 추 태 피 향5 건 격 결 곡 광 괴 군 급 내 등 란 려 렬 록 류 맹 목 문 번 변 산 설 습 야 예 욕 용 운 작 점 좌 중 질 채 척 충 타 탁 탄 판 표 필 혼 홍 황 회 후 희4 검 국 궁 귀 규 극 노 담 답 두 락 랑 력 례 료 률 마 막 민 발 백 범 불 빈 술 실 앙 애 억 열 염 옥 은 일 임 준 직 착 참 책 철 촉 총 택 토 통 투 폭 함 헌 혜 확 효3 걸 겸 곤 균 난 남 뇌 다 돈 둔 람 략 뢰 륙 륜 림 맥 몽 묵 물 밀 벌 벽 붕 빙 삭 색 섭 손 쇄 악 암 압 액 언 옹 와 완 왕 외 월 육 윤 읍 응 익 잠 접 족 존 졸 집 징 찬 처 첨 촌 최 측 칠 탈 탐 패 평 풍 학 행 허 험 혈 협 혹 획 휘 휴 흉2 |
[1~10위]
[11~106위]
[107~308위]
[309~407위] * 위 숫자는 해당 음절에 배당된 교육용 한자 수이다. |
교육용 한자 중 '헌'이라 읽는 글자는 아래 3자이다. 그밖의 글자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일본 한자음은 모두 ケン( 켄)이며 모두 상용한자에 속한다. 단, 獻은 献이라는 자형을 쓴다. 중국에서는 각각 宪(憲), 献(獻), 轩(軒)이라는 자형을 쓰며, 앞의 2자는 xiàn( 셴),[2] 轩은 xuān(쉬안)이다. 轩는 중국 상용한자 2500자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3. 외국어
3.1. 영어
훈족을 의미하는 Hun은 영어식 발음이 [hʌn](헌)이다. # 종족명이다 보니 이 발음을 따라 '헌'이라고 적을 때는 거의 없다. 그밖에 hunt( 헌트), hundred( 헌드레드)처럼 'hun-'으로 시작하면서 [hʌn]이라고 읽는 단어들은 꽤 있는데 딱 '헌'으로만 끝나는 말은 거의 없다.3.2. 중국어
중국 상용한자 2500자 중 hen이라 읽는 글자는 痕(hén, 흔), 恨(hèn, 한), 狠(hěn, 한), 很(hěn, 흔)으로 4자뿐이다. 모두 艮가 들어가며 한국 한자음으로는 한, 흔에 대응된다. 이 중 很은 '아주', 영어의 very 같은 강조 부사라서 초급 중국어에서도 아주 처음부터 볼 수 있다.3.3. 광동어
韓(나라이름 한)을 광동어로는 '헌'(hon4)이라고 한다.4. 인명
한국인의 인명으로 종종 쓰인다. 외자로도 쓰이며( 이헌, 최헌 등) 인명의 글자로는 하명자(~헌)가 대다수이다. 이들 이름은 대개 남자 이름이다. '헌-'은 헌영, 헌재 정도의 예를 제외하면 용례가 그적은 듯하다. 닮은꼴 문자인 ' 현'이 더 대중적이기 때문에 '헌'이 들어간 이름의 소유자들은 '현'으로 오해받는 일이 다반사이다. 7월 17일에 태어난 사람에게는 재헌, 제헌 이라는 이름을 짓기도 한다. 다만 발음이 비슷한 '언'[3]보다는 흔해서 '헌' 이라는 이름은 간간히 보인다.
[1]
'헌신'(獻身), '헌신적'(獻身的)과 발음이 유사해 '헌신했더니 헌신짝' 등의 말장난이 있다.
#
[2]
先 (먼저 선) 역시 중국 한자음은 xiān이다. 때문에 憲의 간체자 宪에는 先이 들어간다.
[3]
'언' 의 경우 온, 원, 헌, 연, 현, 은 과 헷갈릴 정도로 진짜로 드물다. 그나마 '헌' 은 '언' 보다는 흔하고 '현' 과 발음이 약긴 차이가 있어 덜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