淑 맑을 숙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水, 8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1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シュク
|
||||||
일본어 훈독
|
しと-やか, よ-い
|
||||||
-
|
|||||||
표준 중국어
|
shū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淑은 '맑을 숙'이라는 한자로, '맑다', '착하다', '정숙(貞淑)하다' 등을 뜻한다.2. 상세
유니코드는 U+6DD1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EYFE(水卜火水)로 입력한다.훈을 나타내는 水(물 수)와 음을 나타내는 叔(아재비 숙)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1950년대~1970년대 중반 출생자까지 여성의 이름으로 많이 쓰이던 글자이다. 그래서 흔히 ' 아줌마(👩🏻🦱) 이름'이라는 인식이 있다. 1970년대 후반~1980년대 초반 출생자에게도 다소 찾아볼 수 있으나, 이후 세대는 촌스러워져서 잘 쓰이지 않는다.
간혹 항렬자에도 있으나, 매우 여성적인 글자라 사용하는 빈도가 드물다.
3. 이체자
4. 용례
4.1. 단어
4.2. 고사성어/ 숙어
4.3. 인명
- 계은숙( 桂 銀淑)
- 권양숙( 權 良淑)
- 김면숙( 金 冕淑)
- 김정숙( 金 正淑)
- 김지숙( 金 智淑)
- 김창숙( 金 昌淑)
- 마나베 슈쿠로( 真 鍋 淑 郎)
- 명숙공주( 明淑 公 主)
- 박숙현( 朴淑 鉉)
- 송옥숙( 宋 玉淑)
- 숙경공주(淑 敬 公 主)[A]
- 숙녕옹주(淑 寧 翁 主)[2]
- 숙명공주(淑 明 公 主)[A]
- 숙신공주(淑 愼 公 主)[A]
- 숙안공주(淑 安 公 主)[A]
- 숙정공주(淑 靜 公 主)[A]
- 숙휘공주(淑 徽 公 主)[A]
- 순숙공주( 順淑 公 主)[8]
- 신일숙( 申 一淑)
- 심숙안( 沈淑 安)
- 야마구치 요시코( 山 口 淑 子)
- 오오타카 요시코( 大 鷹 淑 子)
- 와라쿠바미 스미카( 和 楽 喰 淑 光)
- 의숙공주( 懿淑 公 主)
- 이미숙( 李 美淑): 1960년생
- 임희숙( 任 喜淑)
- 장정숙( 張 貞淑)
- 정순숙의공주( 貞 順淑 儀 公 主)
- 팽현숙( 彭 賢淑)
- 황선숙( 黃 善淑)
- 휘발나랍 숙신( 辉 发 那 拉 淑 慎)
4.4. 지명
4.5. 기타
5. 유의자
- 㛃(맑을 결)
- 澃(맑을 경)
- 漌(맑을 근)
- 淡/ 澹(맑을 담)
- 洌/ 冽(맑을 렬)
- 瀏(맑을 류)
- 潾(맑을 린)
- 𣺀[⿰氵⿴囗㱑](맑을 모)
- 迉(맑을 서)
- 偰(맑을 설)
- 雅(맑을 아)
- 湛(맑을 잠)
- 渽(맑을 재)
- 泞(맑을 저)
- 漃(맑을 적)
- 晶/ 瀞(맑을 정)
- 𡈼(맑을 제)
- 澄(맑을 징)
- 澯(맑을 찬)
- 皟(맑을 책)
- 澈(맑을 철)
- 淸(맑을 청)
- 泚(맑을 체)
- 𣿓[⿰氵罪](맑을 최)
- 淏(맑을 호)
6. 상대자
- 𧹳[⿸倝赤](흐릴 간)
- 𣽌[⿰氵欿](흐릴 감)
- 淈(흐릴 굴)
- 灢(흐릴 낭)
- 湩(흐릴 동)
- 淰(흐릴 심)
- 涹(흐릴 와)
- 渨(흐릴 위)
- 𤁫[⿲氵兊頁](흐릴 찰)
- 濁(흐릴 탁)
- 𤁪[⿰氵頢](흐릴 할)
- 渾/ 惛/ 涽(흐릴 혼)
7. 모양이 비슷한 한자
- 婌(궁녀벼슬이름 숙)
- 埱(김오를 숙/축)
- 俶(비롯할 숙)
- 諔(속일 숙)
- 琡(옥이름 숙)
- 䱙(작은참다랑어 숙)
- 掓(주울 숙)
- 𠴫[⿰口叔](고요할 적)[9]
- 椒(산초나무 초)
- 踧(삼갈 축, 평평할 척)
- 𣥹[⿰止叔](이를 축)
- 𩜂[⿰𩙿叔](주식 치)
- 𭂑[⿰冫叔]
- 𡹧[⿰山叔]
- 𰐱[⿰彳叔]
- 𨺏[⿰⻖叔]
- 𢛼[⿰忄叔]
- 𬆷[⿰母叔]
- 𥚔[⿰示叔]
- 𥟧[⿰禾叔]
- 𭽭[⿰皮叔]
- 𮀣[⿰石叔]
- 𱰹[⿰田叔]
- 𥺱[⿰米叔]
- 𫃬[⿰糸叔]
- 𱹥[⿰粟叔]
- 𨧷[⿰金叔]
8.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蔋(말라죽을 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