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e3f7f5,#203030><tablebgcolor=#e3f7f5,#203030>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e3f7f5,#203030><tablebgcolor=#e3f7f5,#203030> | }}}}}} |
{{{#ffffff,#dddddd {{{#!wiki style="min-height: 26px;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8879,#003324>
헌법 憲法 |
조문 | <colbgcolor=#fafafa,#1F2023> 전문 · 총강 · 기본권 · 통치구조 ( 국회 / 정부 / 법원 / 헌법재판소 / 선거관리 / 지방자치) · 경제 · 헌법개정 | |
주요 특별법 |
국적법 · 청원법 · 헌법재판소법 · 대통령직 인수에 관한 법률 · 국민투표법 · 공직선거법 · 정당법 · 정치자금법 · 국회법 · 국정감사 및 조사에 관한 법률 · 국회에서의 증언ㆍ감정 등에 관한 법률 · 인사청문회법 · 정부조직법 · 법원조직법 · 검찰청법 · 변호사법 · 출입국관리법 ·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 국가인권위원회법 · 사면법 · 범죄피해자보호법 · 감사원법 · 방송법 · 신문 등의 진흥에 관한 법률 · 언론중재 및 피해구제 등에 관한 법률 ·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 개인정보보호법 · 통신비밀보호법 · 주민소환에 관한 법률 · 국가재정법 · 군사법원법 · 계엄법 ·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 모자보건법 | |||
학자 | 유진오 · 김철수 · 계희열 · 권영성 · 허영 · 성낙인 · 정종섭 · 장영수 · 정회철 | |||
판례 | 주요 헌재결정례 · 노무현 탄핵 심판(2004헌나1) · 박근혜 탄핵 심판(2016헌나1) · 통진당 해산 심판(2013헌다1) · 군가산점 제도 위헌(98헌마363) · 게리맨더링 관련 판례 모음(95헌마224 등) | |||
행정법 法 |
조문 | 행정소송법 · 행정기본법 · 행정심판법 · 행정절차법 · 국가배상법 · 행정대집행법 · 행정규제기본법 | ||
주요 특별법 |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 개인정보보호법 · 지방자치법 ·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 · 경찰관직무집행법 · 국유재산법 | |||
학자 | 박균성 · 홍정선 · 정하중 · 하명호 · 박정훈 | |||
판례 | ||||
사회법 社會法 |
경제법 | 소비자기본법 ·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 약관의 규제에 관한 법률 · 할부거래에 관한 법률 · 방문판매 등에 관한 법률 | ||
노동법 | 근로기준법 ·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 남녀고용평등과 일ㆍ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 산업재해보상법 · 교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 · 공무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 | |||
조세법 | 국세기본법 · 소득세법 · 법인세법 · 부가가치세법 | |||
지적 재산권법 |
특허법 · 실용신안법 · 디자인보호법 · 상표법 · 저작권법 | |||
환경법 | 환경정책기본법 · 환경영향평가법 · 대기환경보전법 · 물환경보전법 · 폐기물관리법 · 토양환경보전법 · 자연환경보전법 · 소음ㆍ진동관리법 · 환경분쟁 조정법 | |||
기본육법 |
공법 |
민사법 |
형사법 |
행정법 |
현행 법률 [[틀:대한민국 헌법|{{{#!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3f7f5; font-size: .9em;" |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d4e1fd,#102041><tablebgcolor=#d4e1fd,#102041>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d4e1fd,#102041><tablebgcolor=#d4e1fd,#102041> | }}}}}} |
{{{#ffffff,#dddddd {{{#!wiki style="min-height: 26px;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행정기본법 行政基本法 |
조문 | <colbgcolor=#fafafa,#03202f> 조문 | |
주요 특별법 |
국가공무원법 · 지방자치법 · 경찰관 직무집행법 ·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 ·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 개인정보 보호법 · 부패방지 및 국민권익위원회의 설치와 운영에 관한 법률 · 질서위반행위규제법 · 도로교통법 · 식품위생법 | |||
학자 | 홍정선 · 박정훈 · 김연태 · 이일세 | |||
행정소송법 行政訴訟法 |
조문 | 조문 | ||
주요 특별법 |
행정절차법 · 행정심판법 · 행정대집행법 · 행정규제기본법 · 국가배상법 · 행정조사기본법 · 전자정부법 · 민원처리에 관한 법률 | |||
학자 | 김철용 · 박균성 · 정하중 · 홍준형 · 김성수 · 오준근 | |||
기본육법 |
공법 |
민사법 |
형사법 |
행정법 |
현행 법률 [[틀:대한민국 헌법|{{{#!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3f7f5; font-size: .9em;" |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1. 개요
제1조(목적)
이 법은 건축물의 대지·구조·설비 기준 및 용도 등을 정하여 건축물의 안전·기능·환경 및 미관을 향상시킴으로써 공공복리의 증진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법은 건축물의 대지·구조·설비 기준 및 용도 등을 정하여 건축물의 안전·기능·환경 및 미관을 향상시킴으로써 공공복리의 증진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 실생활에서
2.1. 시공
서울에 사는 가정주부 B씨는 단독주택을 신축했다. 시공업자는 건축주가 직접 시공한 것으로 서류를 제출하면 공사비를 깎아주겠다고 제안했다. 그런데 정화조 청소업체를 불렀다가 황당한 대답을 듣게 되었다. 설계도면상 마당에 있어야 할 정화조의 위치가 건물 지하층에 있어 청소하기 어렵다는 것이었다. 관할 구청에 찾아가 시공 책임을 물었지만 서류상 시공자가 자신으로 돼 있어 하소연 할 곳도 없었다. 건축사법 제20조 3항에 따르면 설계나 감리계약시 손해배상을 위한 보험증서가 있어야 책임을 물을 수 있지만 감리회사조차도 보험가입에 들지 않아 B씨는 손해를 감수할 수밖에 없었다. 이런 사기에 당할 수 있으니 주의하자.2.2. 매입
건축물을 매입했는데 해당 건축물이 건축법을 위반한 위반건축물일 경우, 건축물을 매입한 구매자에게 시정명령과 이행강제금이 부과될 수 있다. 알고 매입하든 모르고 매입하든, 자신이 건축법을 위반했든 이전 주인이 위반했든, 공인중개사나 이전 주인이 알려주지 않았든 간에 마찬가지이다.사실 건축법을 위반한 건축물은 전국 도처에 있다. 예산과 인력의 한계로 가가호호 방문해서 일일이 단속하지 못할 뿐이다. 일상생활에 불편해서, 생계를 위해서, 임대료 수입을 위해서 등 위반 이유도 다양하다. 시군구청에서 위반사항을 적발하는 경로는 대체로 항공사진촬영과 민원이다. 지방자치단체의 예산사정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서울과 부산 등 주요 대도시는 1년에 두 번 정도 항공기를 이용해 촬영한 사진으로 건축물의 위반사항을 판독한다. 그 외에, 이웃 간 분쟁을 하다가 기분 나쁜 이웃의 집에 대해 '건축법을 위반했다'면서 신고를 넣기도 한다. 위반사항이 경미하더라도, 위반이 확실하면 담당 공무원은 눈감아주지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