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명·지명 한자 약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대륙 | ||||
亞 | 歐 | 阿 | 美 · 米 | 濠 · 澳 | |
아시아 | 유럽(구라파) | 아프리카 | 아메리카 | 오스트레일리아 | |
국가 | |||||
南 · 韓 | 北 · 朝 |
中 ·
漢 唐[1] |
華 · 臺 · 台 |
日 和[2] |
|
남한(한국) | 북한(조선) | 중국 | 중화민국(대만)[3] | 일본 | |
蒙 | 美 · 米 | 英 | 加 | 濠 · 澳 | |
몽골(몽고) | 미국 | 영국 | 캐나다(가나다) | 오스트레일리아(호주) | |
佛 · 法 | 獨 · 德 | 墺 · 奥 | 伊 | 蘭 | |
프랑스(불란서) | 독일 | 오스트리아(오지리) | 이탈리아(이태리) | 네덜란드(화란) | |
西 | 葡 | 露 · 俄 | 印 | 印 尼 | |
스페인(서반아) | 포르투갈(포도아) | 러시아(노서아·아라사) | 인도 | 인도네시아(인니) | |
末 · 馬 · 馬 聯 | 泰 | 比 | 越 | 埃 | |
말레이시아 | 태국 | 필리핀(비율빈) | 베트남(월남) | 이집트(애급) | |
波 | 厓 · 愛 | 丁 | 瑞 | 那 · 諾 | |
폴란드(파란) | 아일랜드(애란) | 덴마크(정말) | 스웨덴(서전) | 노르웨이(나위·낙위) | |
希 | 芬 | 南 阿 共 | 白 | 匈 | |
그리스(희랍) | 핀란드(분란) | 남아프리카공화국 | 벨기에(백이의) | 헝가리(흉아리) | |
瑞 西 | 土 | ||||
스위스(서서) | 튀르키예(토이기) | ||||
고국(故國) | |||||
伽 | 高 · 麗 | 濟 | 羅 | 朝 | |
가야 | 고구려 · 고려 | 백제 | 신라 | 조선 | |
蘇 | 普 | 倭 | 琉 | ||
소련 | 프로이센 | 왜 | 류큐 | ||
지명 | |||||
亞 太 | 滿 | 加 州 | 羅 城 | 桑 港 | |
아시아태평양 | 만주 | 캘리포니아 | 로스앤젤레스 | 샌프란시스코 | |
琉 | |||||
류큐 |
韓 나라이름 한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韋, 8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7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カン
|
||||||
일본어 훈독
|
から
|
||||||
韩
|
|||||||
표준 중국어
|
hán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韓은 '나라이름 한'이라는 한자로, ' 한국(韓國)', ' 한씨(韓氏)'를 뜻한다.대한민국 또는 한민족을 뜻한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나라 이름 |
음 | 한 | |
중국어 | 표준어 | hán |
광동어 | hon4 | |
객가어 | hòn | |
민북어 | ǔing | |
민동어 | hàng | |
민남어 | hân | |
오어 | hhoe (T3) | |
일본어 | 음독 | カン |
훈독 | から | |
베트남어 | hàn |
유니코드에는 U+97D3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十十木一手(JJDMQ)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韋(가죽 위)와 소리를 나타내는 倝(아침해빛날 간)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원래 형태는 倝과 韋가 합쳐져 韋의 위에 人이 덧붙여진 모양이었는데, 지금의 자형에서는 생략되었다. 이체자 중에 옛 형태에 가까운 '𩏑'이 있다.
|
원래는 우물가를 에워싸는 ‘우물 난간’이라는 뜻이었다. 설문해자에서 井垣(우물 정, 담 원)으로 풀이한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또는 이런 해석도 있다. 그러나 선사 시대 이후로는 우물 난간이란 뜻으로 쓰는 경우는 거의 없고 고유명사, 특히 한국(韓國)을 뜻한다.[1] 더불어 한국에서는 한민족이나 한반도 지역을 의미하기도 하나 다른 한자문화권 국가에는 용례가 조금씩 다르다. 이 한자의 국명으로서의 유래에 대해서는 조선(동음이의어)이나 대한민국/국명 참고.
3. 용례
- 전국시대의 전국칠웅 가운데 하나인 한나라를 뜻하는 글자이다.
- 한반도 남부의 국가인 삼한의 이름으로 쓰였다. 삼한은 의미가 확장되어[2] 한반도 지역[3]을 뜻하는 말로 쓰이게 된다.
- 삼한에서 차용하여 대한제국의 국호가 되었다.
- 대한제국에서 차용하여 대한민국의 국호로 쓰이게 된다.
3.1. 인명
한국의 성씨 한자 상위 100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9em" |
100위까지 성씨는 내국인 인구의 99.1%임 (2015년 통계청 자료) 인구 비율이나 100위 아래의 성씨 등은
한국의 성씨별 인구 분포 문서 참고 |
||||||||||||||||||||||||||||||||||||||||||||||||||||||||||||||||||||||||||||||||||||||||||||||||||
## 🔶🔶 0는 정렬의 위한 배경색의 안보이는 0
|
}}}}}}}}} |
- 한씨 중국 백가성의 15위에 해당한다. 전국칠웅 한나라도 한씨가 세워서 한나라인 것이다. 한국의 한씨는 모두 한 집안이라는 말이 있는데, 1만 명 이하의 희귀한 성씨인 곡산 한씨를 제외한 한씨들은 청주 한씨의 분파라고 한다. 또한 한씨인 사람들 대부분 이 글자를 쓴다.
- 박성한( 朴 成韓)
- 도한세( 都韓 勢)
- 카라쿠니 히로타리(韓 国 広 足)
- 한경(韩 庚)
- 한재(韓 齎)
3.2. 지명
3.3. 기타
- 공한증( 恐韓 症)
- 구한말( 舊韓 末)
- 마한( 馬韓)
- 의치한( 醫 齒韓)
- 정한론( 征韓 論)
- 주한미군( 駐韓 美 軍)
- 친한( 親韓)
- 한과(韓 菓)
- 한류(韓 流)
- 한반도(韓 半 島)
- 한복(韓 服)
- 한식(韓 食)
- 한옥(韓 屋)
- 한우(韓 牛)
- 한의학(韓 醫 學)
- 한지(韓 紙)
- 한한령( 限韓 令)
- 혐한( 嫌韓)
4. 모양이 비슷한 한자
- 幹/ 榦(줄기 간, 우물 난간 한)
- 倝(햇빛이 빛나는 모양 간)
- 乾/ 乹(하늘 건)
- 戟(창 극)
- 斡(돌 알)
- 朝(아침 조)
- 䎐(털 많을 초)
- 㲦(갈기 한)
- 螒(베짱이 한)
- 鶾(붉은 닭 한)
- 䮧(털 긴 말 한)
- 翰(편지 한)
- 雗(흰 꿩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