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9:35:26

한국어의 외래어/중국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한국어의 외래어
한국어 외래어
영어 일본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독일어 이탈리아어 중국어 네덜란드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라틴어 그리스어 아랍어 유대어 산스크리트어 페르시아어
기타

중국어 출신 단어
외래어 계열 한자어 계열


1. 개요2. 남한의 외래어3. 북한의 외래어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한국어의 외래어 중 중국어에서 온 어휘를 정리한 문서이다. 중국어라고 한국 한자음으로 읽는 것도 올렸다간 끝이 나지 않기 때문에, 중국 한자음( 한국 한자음과 다른 사투리 한자음도 가능)으로 읽는 것 또는 그 변형만 가나다순으로 올릴 수 있다. 원음을 짐작할 수 있도록 병음을 반드시 표기해야 한다.

분홍색: 광동어
민트색: 민남어||

1980~90년대까지 거의 다 한국 한자음으로 불렀지만 현대에 한자를 덜 사용하고 원음주의가 득세하며 중국 현지(표준)음대로 불러주는 예가 늘었다.

2. 남한의 외래어

2.1. 음식

2.1.1. 요리

중국 요리를 부르는 단어들은 대부분 중국어에서 수입되어 들어온 외래어이다. 그러나 표준 중국어 발음과 꽤 다른 음가를 갖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우리나라에 거주하고 있는 화교의 대부분이 하북성, 북경시, 천진시, 하남성 등의 표준어ㅇ에 가까운 관화를 구사하는 지역이 아니라 산동성 출신이 많아서 산동방언[1]이 섞였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鷄(닭 계)자를 'gī'(/kɪ˥˥/; 기, 산동방언병음방안)로 발음하는 것이 그 예이다. 단, 1990년대에 중국과 수교한 후부터 국내에 들어오는 중국인들은 동북 3성 출신, 특히 중국 조선족 한족 출신이 많은 편이라서 그들이 들여온 요리들은 표준중국어 발음 그대로 단어가 수입된 경우가 많다.

2.1.2. 주류/음료

2.1.3. 식재료

2.1.4. 요리 도구

2.2. 견종

2.3. 회사/제품명

2.3.1. 중화인민공화국

2.3.1.1. 중국 대륙
2.3.1.2. 홍콩 특별행정구 + 마카오 특별행정구

2.3.2. 대만

  • 겅호 工合?共和?[gōnghé][38]
  • 난바오 수지화학 南寳樹脂化學工廠股份有限公司 [Nánbǎo Shùzhīhuàxué Gōngchǎng Gǔfèn Yǒuxiàn Gōngsī]
  • 난야테크놀로지 南亞科技 [Nányáng Kējì]
  • 딘타이펑 鼎泰豐 [Dǐng Tài Fēng]
  • 딩신그룹 頂新國際集團 [Dǐngxīn Guójì Jítuán]
  • 라간 정밀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Dàlì Guāngdiàn Gǔfèn Yǒuxiàn Gōngsī]
  • 라디오 타이완 中央廣播電台 [Zhōngyāng Guǎngbò Diàntái]
  • 리얼텍 瑞昱半導體股份有限公司 [Ruìyù Bàndǎotǐ Gǔfèn Yǒuxiàn Gōngsī]
  • 메리다 美利達 [Měi-lì-dá]
  • 미디어텍 聯發科技 [Liánfā Kējì]
  • 시놀로지 群暉科技股份有限公司 [Qúnhuī Kējì Gǔfèn Yǒuxiàn Gōngsī]
  • 에바항공 長榮航空 [Chángróng Hángkōng]
  • 에버그린 그룹 長榮集團 [Chángróng Jítuán]
  • 유안타증권 元大證券[Yuanta Zhèngquàn]
  • 이노룩스 群創光電股份有限公司 [Qúnchuàng Guāngdiàn Gǔfèn Yǒuxiàn Gōngsī]
  • 인벤텍 英業達公司 [Yīngyèdá Gōngsī]
  • 자이언트 巨大機械 [jùdà jīxiè]
  • 중국 텔레비전 中國電視 [Zhōnggúo Diànshì]
  • 중국시보 中國時報 [Zhōngguó Shíbào]
  • 콤팔 컴퓨터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Rénbǎo Diànnǎo Gōngyè Gǔfèn Yǒuxiàn Gōngsī]
  • 퀀타 컴퓨터 廣達電腦 [Guǎngdá Diànnǎo]
  • 큐모모 愛桃子有限公司 [Àitáozǐ Yǒuxiàn Gōngsī]
  • 타이완모바일 台灣電信 [Táiwān diànxìn]
  • 타이완 시멘트 台灣水泥 [Táiwān Shuǐní]
  • 타이완 텔레비전 台灣電視 [Táiwān Diànshì]
  • 트랜센드 創見資訊股份有限公司 [Chuàngjiàn Zīxùn Gǔfèn Yǒuxiàn Gōngsī]
  • 퉁이 그룹 統一企業集團 [Tǒngyī Qǐyè Gōngsī]
  • 페가트론 和碩聯合 [Héshuò Liánhé]
  • 포모사 그룹 臺塑企業 [Tái Sù Jítuán]
  • 푸본 파이낸셜 홀딩스 富邦金融控股股份有限公司 [Fùbāng Jīnróng Kònggǔ Gǔfèn Yǒuxiàn Gōngsī]
  • 프로케넥스 肯尼士全球股份有限公司 [Kěnníshì Quánqiú Gǔfèn Yǒuxiàn Gōngsī]
  • 플렉스터 浦科特 [Pǔkētè]
  • ACER 宏碁股份有限公司[Hóngqí Gǔfèn Yǒuxiàn Gōngsī]
  • ADATA 威剛科技股份有限公司 [Wēigāngkējì Gǔfèn Yǒuxiàn Gōngsī]
  • ASE 그룹 日月光半導體製造股份有限公司 [Rìyuèguāng Bàndǎotǐ Zhìzào Gǔfèn Yǒuxiàn Gōngsī]
  • ASRock 華擎科技股份有限公司 [Huáqíng Kējì Gǔfèn Yǒuxiàn Gōngsī]
  • ASUS 華碩電腦 [Huáshuò Diànnǎo]
  • AUO 友達光電 [Yǒudáguāngdiàn]
  • BenQ 明基電通股份有限公司 [Míngjī Diàntōng Gǔfèn Yǒuxiàn Gōngsī]
  • BIOSTAR 映泰股份有限公司 [Yìngtài Gǔfèn Yǒuxiàn Gōngsī]
  • Delta 台達電子工業股份有限公司 [Táidá Diànzǐ Gōngyè Gǔfèn Yǒuxiàn Gōngsī]
  • Foxconn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Hónghǎi Jīngmì Gōngyè Gǔfèn Yǒuxiàn Gōngsī][39]
  • Getac 神基投資控股股份有限公司 [Shénjī tóuzīkònggǔ Gǔfèn Yǒuxiàn Gōngsī]
  • GIGABYTE 技嘉科技 [Jìjiā Kējì]
  • MAXXIS 正新橡膠工業股份有限公司 [Zhèngxīn Xiàngjiāo Gōngyè Gǔfèn Yǒuxiàn Gōngsī]
  • Micro-Star International 微星科技股份有限公司 [Wēixīng Kējì Gǔfèn Yǒuxiàn Gōngsī]
  • Himax 奇景光電股份有限公司 [Qíjǐng Guāngdiàn Gǔfèn Yǒuxiàn Gōngsī]
  • HTC 宏達國際電子股份有限公司 [Hóngdá Guójì Diànzǐ Gǔfèn Yǒuxiàn Gōngsī]
  • Lian Li 聯力工業股份有限公司 [Lián Lì Gōngyè Gǔfèn Yǒuxiàn Gōngsī]
  • PSMC 力晶科技 [Lìjīng Kējì]
  • Seasonic 海韻電子工業股份有限公司 [Hǎiyùn Diànzǐ Gōngyè Gǔfèn Yǒuxiàn Gōngsī]
  • SuperFlower 振華電腦有限公司 [Zhènhuá Diànnǎo Yǒuxiàn Gōngsī]
  • TSMC 台灣積體 [Táiwān Jītǐ]
  • UMC 聯華電子 [Liánhuá Diànzǐ]
  • Vieshow 威秀影城股份有限公司 [Wēixiùyǐngchéng Gǔfèn Yǒuxiàn Gōngsī]
  • VIS 世界先進積體電路 [Shìjiè Xiānjìn Jītǐ Diànlù]

2.3.3. 싱가포르

2.4. 무술

2.5. 애칭

판다 관련

2.6. 기타



[1] 표준 중국어 광동어 같은 먼 관계가 아니며, 지역마다 약간 달라 관화의 하위 방언인 중원관화, 기로관화, 교로관화로 나뉘어 분류된다. [2] 표준중국어로는 "diǎnxin"이다. 한국어 점심과는 다른 의미다. 중국어에서 낮에 먹는 식사는 점심이 아니라 午飯(wǔfàn)이라고 부른다. [3] 한국어 독음으로 마랄탕. [4] 마라 문서에 따르면 얼얼한 맛을 '痲(마)', 매운 맛을 '라(辣)'라고 한다. [5] 원래 빙탕후루(氷糖葫蘆)라고 한다. [6] 돈육 대퇴부 [7] 白乾兒(báigān, 바이간)이 얼화되었다. [8] 토하라어를 거쳐 유럽에 전래되었다. [9] 표준중국어로는 "(háo yóu)"이다. [10] 영어 lychee (litchi)를 거치면서 변형되었다. 현대에는 잘 안 쓰지만 이것을 한국식으로 읽은 '여지' 도 국어사전에 나온다. 실제로 조선시대 문헌에도 이 이름으로 종종 등장한다. [11] 표준중국어로는 "(huò)"이다. [12] 해당 견종이 狮子狗(shīzigǒu, 스쯔거우)라 불린 것에서 유래. [13] 중국 송나라 시대의 시에서 유래했다. [14] 설립자에 의하면 카우치 포테이토라는 미국 속어에서 유래했다. [15] 기술지원을 해 준 스위스에 본사를 둔 회사 Liebherr의 음차 利勃海爾(lìbóhǎi'ěr)의 끝 두자에서 유래했다. [16] 표준중국어로는 "(Wénhuá Dōngfāng Jiǔdiàn)"이다. [17] 표준중국어로는 "(Wéitā'nǎi Guójì Jítuán Yǒuxiàngōngsī)"이다. [18] 표준중국어로는 "(Píngguǒ Rìbào)"이다. [19] 표준중국어로는 "(Nánhuá Zǎobào)"이다. [20] 표준중국어로는 "(lánbǎokējì)"이다. [21] 표준중국어로는 "(Xīnhóngjī Dìchǎn)"이다. [22] 표준중국어로는 "(Tàigǔ Jítuán)"이다. [23] 표준중국어로는 "(Zhādǎ Yínháng Yǒuxiàn gōngsī)"이다. [24] 표준중국어로는 "(qūchénshì)"이다. [25] 표준중국어로는 "(xīnnéngyuán kējì yǒuxiàn gōngsī)"이다. [26] 표준중국어로는 "(Chéngtiān Jiāhé Yúlè Jítuán Gōngsī)"이다. [27] 표준중국어로는 "(Lǐ Jǐn jì yǒuxiàn gōngsī)"이다. [28] 표준중국어로는 "(Zuǒ dān nú)"이다. [29] 표준중국어로는 "(Chángjiāng Shíyè Jítuán Yǒuxiàn Gōngsī)"이다. [30] 표준중국어로는 "(Guótài Hángkōng gōngsī)"이다. [31] 표준중국어로는 "(Héjì Huángpǔ yǒuxiàn gōngsī)"이다. [32] 표준중국어로는 "(Héjì gǎngkǒu jítuán yǒuxiàn gōngsī)"이다. [33] 표준중국어로는 "(Xiānggǎng Yóuzhèng)"이다. [34] 표준중국어로는 "(Shàngchéng Shùkē)"이다. [35] 표준중국어로는 "(Xiānggǎng Shànghǎi Huìfēng Yínháng Yǒuxiàn gōngsī)"이다. [36] 표준중국어로는 "(Diànxùn Yíngkē Yǒuxiàngōngsī)"이다. [37] 표준중국어로는 "(Bǎinéng Jítuán)"이다. [38] 중국에서 쓰이던 일종의 구호. 이후 미국에 전래됐다. [39] 단 상표명은 富士康 (Fùshìkāng)으로 표기된다. [40] 표준중국어로는 "(Měizhēnxiāng)"이다. [41] 표준중국어로는 "(Dànmǎxī Kònggǔ)"이다. [42] 추정 [43] 한국한자음인 '홀륜'에서 변형된 것으로 볼 여지도 있으나, 중국어 발음 /hu.lun/ → /hul.ljuŋ/ [ɸulʎjũŋ] 으로 보는 것이 정설. 《우리말어원사전》(김민수·최호철·김무림 편찬, 태학사) 참조.

3. 북한의 외래어

북한은 대단히 폐쇄적인 국가이기에 중국이나 러시아와 교류 빈도도 남한에 밀린다. 그래서 오히려 남한보다 중국어 출신 외래어가 적다. 특이한 한자어를 써도 중국어 유래가 아니라 분단 전부터 있던 용례가 남한에서 사어화되고 북한에서 남아 있는 경우가 많다. '봉사'를 항상 서비스라는 뜻으로 쓴다든가[44] '설탕'을 옛 형태인 '사탕'으로 표기하는 것이 그 예다.
  • 교즈(餃子): 교자 만두. 표준중국어로는 자오쯔지만, 북한에서는 일본어 표기인 ギョーザ와 중국어 표기의 ~쯔를 조합한 특이한 명칭으로 부르고 있다.

북한 사전에 실린 표준어는 아니지만 뗀신(點心)이라고 하는 딤섬도 있다. 한자 표기는 같다. 한국에서는 한중수교 이전까지 중국 식문화가 주로 광동어를 사용하는 홍콩 마카오에서 유입된 관계로 광동어 발음인 딤섬이라고 표기하는 반면, 북한은 오랫동안 중국 본토와 영향을 주고받아 표준 중국어가 강세라 표준중국어 발음으로 소개되고 있다.


[44] 중국에서는 한국식으로 '복무'라고 읽히는 단어를 서비스라는 의미로 쓰지만 북한은 '봉사'를 많이 쓴다.

4. 관련 문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0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05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