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커\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상혁의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이상혁(동명이인) 문서, 다른 의미의 페이커에 대한 내용은
페이커(동음이의어)
문서
참고하십시오.{{{#!wiki style="margin:-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4002b><tablebgcolor=#e4002b>
|
T1 2023 시즌 로스터 |
}}}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wiki style="word-break:keep-all" |
<colbgcolor=#e4002b><colcolor=#fff>감독 |
[[배성웅|배성웅 Bengi ]]
|
||
코치 |
[[김하늘(프로게이머)|김하늘 Sky ]]|[[김강희|김강희 Roach ]]|[[임재현(프로게이머)|임재현 Tom ]]
|
|||
분석 |
[[강지문(e스포츠)|강지문 Gisepa ]]
|
|||
로스터 | ||||
TOP |
Zeus ]]
|
|||
JGL |
Oner ]]
|
|||
MID |
Faker ]]
|
|||
BOT |
Gumayusi ]]
|
|||
SPT |
Keria ]]
|
|||
LCK 참가팀 로스터 | }}}}}}}}}}}} |
이상혁 관련 틀 | |||||||||||||||||||||||||||||||||||||||||||||||||||||||||||||||||||||||||||||||||||||||||||||||||||||||||||||||||||||||||||||||||||||||||||||||||||||||||||||||||||||||||||||||||||||||||||||||||||||||||||||||||||||||||||||||||||||||||||||||||||||||||||||||||||||||||||||||||||||||||||||||||||||||||||||||||||||||||||||||||||||||||||||||||||||||||||||||||||||||||||||||||||||||||||||||||||||||||||||||||||||||||||||||||||||||||||||||||||||||||||||||||||||||||||||||||||||||||||||||||||||||||||||||||||||||||||||||||||||||||||||||||||||||||||||||||||||||||||||||||||||||||||||||||||||||||||||||||||||||||||||||||||||||||||||||||||||||||||||||||||||||||||||||||||||||||||||||||||||||||||||||||||||||||||||||||||||||||||||||||||||||||||||||||||||||||||||||||||||||||||||||||||||||||||||||||||||||||||||||||||||||||||||||||||||||||||||||||||||||||||||||||||||||||||||||||||||||||||||||||||||||||||||||||||||||||||||||||||||||||||||||||||||||||||||||||||||||||||||||||||||||||||||||||||||||||||||||||||||||
|
|
|
<colbgcolor=#e4002b><colcolor=#fff> '''T1 C Faker''' |
|
이상혁 (李相赫 | Lee Sang-hyeok) | |
출생 | 1996년 5월 7일 ([age(1996-05-07)]세) |
서울특별시 강서구 가양동[1] | |
국적 |
[[대한민국| ]] |
본관 | 경주 이씨 (慶州 李氏)[2] |
신체 | 176cm[3], 64kg, O형 |
가족 |
조모 권오윤[4] 아버지 이경준 남동생 이상훈[5] |
학력 |
등원중학교 (15회 / 졸업) 마포고등학교 (중퇴)[6] |
병역 | 전시근로역 (사회복무요원 장기대기)[7] |
종교 | 무종교[8] |
MBTI | INTP # |
ID | Hide on bush # |
포지션 | 미드 |
경력 상금 |
$1,434,271.14 USD (₩2,042,402,103.36)[9] |
데뷔 |
2013년
4월 3일 (데뷔일로부터 [dday(2013-04-02)]일째, [age(2013-04-03)]주년) |
소속 |
T1[10] (2013.02.13 ~ 2025.11.17예정) |
서명 |
|
국가대표 |
[[대한민국| ]] ( 2018) |
에이전시 | (주)페이커컴퍼니[11] |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現 LCK의 T1 소속 주장이자 미드 라이너 및 파트 오너.2. 플레이 스타일
|
|
3. 선수 경력
이상혁의 선수 경력 | |||
통합 선수 경력 : 이상혁/선수 경력 | |||
|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3.1. 대회 경력
- 통산 전적[15]: 1106전 747승 359패, 승률 67.5%, 총 킬 4012, 총 데스 2283, 총 어시 5965, K/M 3.6, D/M 2.1, A/M 5.4, KDA 4.4, 킬 관여율 65.4% (22.10.09 기준) 출처
- 월즈 우승 3회, MSI 우승 2회, LCK 우승 10회, IEM 우승 1회[16], 리프트 라이벌즈 우승 1회,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우승 5회, NLB 우승 1회
- Worlds MVP 1회, MSI MVP 1회, LCK 통합 MVP 2회, LCK 플레이오프 MVP 1회, All-Pro First team 1회
SKT T1에서 프로 데뷔를 했고, 다른 팀으로의 이적 없이 대부분의 시간 동안 주전을 꿰차면서[17] 해당 커리어들을 달성했다. 현재 세계 그 누구와 비교하더라도 이 정도의 경력을 가진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는 없으며, 최고의 선수라는 위상에 걸맞게 LoL e스포츠 최고의 대회인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과 4대 메이저 리그 중 하나인 LCK 커리어를 각각 떼어놓고 봐도 독보적인 기록[18]들을 보유하고 있다.[19]
우승 관련 기록
- 메이저 국제대회 최다(5회) 우승 선수.[20]
-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최다(3회) 우승 선수.[21]
-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최초 2회 연속 우승 선수.
-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로얄로더 우승 선수.
- Mid-Season Invitational 최초 2회 연속 우승 선수.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최다(10회) 우승 선수.[22]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최초 3회 연속 우승 선수.
- 라이엇 게임즈 주관 3대 메이저 대회 도합 15회 우승 선수.[23]
- 라이엇 게임즈 주관 모든 국제 대회를 우승한 최초이자 유일한 선수.[24]
선수 개인 관련 기록
- 메이저 국제대회 통산 100승을 달성한 유일한 선수.[25]
- 메이저 국제대회 모든 MVP를 받은 최초이자 유일한 선수.[26]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2500킬 기록을 달성한 최초이자 유일한 선수.[27]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최연소 및 최고령 우승자 기록을 달성한 미드라이너.[28]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최초로 700전과 500승을 달성한 선수.[29]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최다 경기 출전, 최다 승리, 최다 킬, 최다 데스, 최다 어시스트[30]
- 리그 오브 레전드 e스포츠 역사상 논 캘린더 그랜드 슬램을 최초로 달성한 선수[31]
그 외 팀 관련 기록들은
T1/리그 오브 레전드 문서로.
===# 주요 경력 #===
e-스포츠 명예의 전당 | ||||
2018 e-스포츠 명예의 전당 스타즈 | ||||
2019 e-스포츠 명예의 전당 스타즈 | ||||
2020 e-스포츠 명예의 전당 스타즈 | ||||
e-스포츠 명예의 전당 히어로즈 |
LCK All-Pro Team 선정 |
2020 LCK SPRING 3RD TEAM |
2022 LCK SPRING 1ST TEAM |
2022 LCK SUMMER 2ND TEAM |
LCK 어워드 선정 |
2021 LCK 어워드 카카오웹툰 나 혼자만 레벨업 상 |
2022 LCK 어워드 BBQ 베스트 이니시에이팅 플레이어 상 |
4. 평가
LoL e스포츠 역사상 가장 위대한 선수이자 역대 최고의 미드 라이너. 2015년 SKT T1 돌풍 당시부터[51] 지금까지 굳건한 리그 오브 레전드의 GOAT이다. 농구에 마이클 조던이 있고, 야구에 베이브 루스가 있고, 축구에 펠레, 리오넬 메시가 있다면 LoL e스포츠에는 페이커가 있다.- 2013년 16세의 나이에 데뷔해 2022년까지 현역으로 뛰고 있는 2세대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 MSi와 월즈라는 양대 국제대회 석권[52], 2015 서머-2015 월즈-2016 스프링-2016 MSI까지[53] 라이엇 게임즈 주관 공식 대회[54]를 기준으로 논-켈린더 및 커리어 그랜드슬램이라는 대업을 이룩하였으며, 이는 지금까지 몇몇 소수 인원 밖에 기록하지 못했다.[55]
- 전 세계 e스포츠 역사상 가장 많은 인기를 누리고 있는 선수이자 리그 오브 레전드와 LCK의 상징[56]
- T1의 유일한 원 클럽 맨이자 프랜차이즈 간판 스타[57]
- 월즈 3회 우승, MSI 2회 우승, LCK 10회 우승 커리어.
전 세계 선수들과 리그 오브 레전드와 관련된 해설진 및 캐스터진 그리고 자국 리그인 LCK 관계자들에게도 평판이 매우 높다.[58]
- 게임 해설가 김동준의 언급처럼 단 한 번도 자신의 실력에 대해서 자기 입으로 뽐낸 적은 없지만 이후 다른 사람이 내린 평가를 통해 역사상 최고 미드 라이너이자 역대 최고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로 불리게 되었다는 점을 근거로 들 수 있다.[59]
-
과거 LCK 1세대 프로게이머 선수였던
클템은 한 인터뷰에서 아예 페이커를 역대 최고 미드 라이너에서 배제하는 전문가가 만약 있다면 그 사람은 전문가 타이틀을 내려놓아야 한다고 언급했고[60] 지금까지 큰 무대에서 줄곧 증명해온 페이커에 대해 존중하는 모습을 보였다.
-
강승현 해설, 전 세계 리그 오브 레전드와 관련된 각 지역별 스타 플레이어를 비롯한 수많은 현역 선수들, 역사를 쓴 전설들 및 패널들을 포함한 각종 롤 관계자들, 특히 한국 e스포츠 분야에서 높은 관록을 지닌
전용준과
성승헌 캐스터 및 스타크래프트계의 전설적인 인물인
강민 역시 LCK에서 해설가로 활동했던 시절에는 앞선 이들과 비슷하게 역시 해설 도중 탄성을 자아내거나 좋은 평가가 포함된 언급을 아직도 하고 있다.
- 과거 한국 롤판의 슈퍼스타 계보를 논할 때 LCK 초창기 시절 롤판에 센세이션을 일으켰던 매드라이프[61]의 뒤를 이어 그 이상의 퍼포먼스를 자아내며 세계적인 일약 슈퍼스타가 되었으며, 이후부터 오랜 시간 동안 3대 슈퍼스타에게 그 지위를 물려주지 않고 있다.
특히 페이커는 아직까지도 새로운 역사를 써내려가고 있으며, 커리어상으로 서로 비교가 가능한 인물로는 T1의 초창기부터 페이커와 같은 팀으로 2016 시즌까지 활동했던 주전 파트너 정글러 벵기와 2019 시즌까지 페이커와 함께했던 김정균뿐이다. 물론 2018 시즌을 주요 분기점으로 LCK가 주춤하면서 더샤이, 루키, 도인비, 우지, 캡스, 퍽즈 등과 같은 LPL과 LEC를 비롯한 메이저 지역에서 뛰어난 포스를 뿜어내며 막강한 인기를 구가함과 동시에 엄청난 커리어를 쌓는 선수들이 다수 생겨났고, 국내 리그나 혹은 해외 리그로부터 계속해서 거론되는 국적을 막론한 여러 신인 선수들이 대거 등장하고 있고, 이외에도 이전 세대 프로게이머들 역시 많이 있어왔음에도 그 이상의 족적을 쌓아나가고 있는 선수라는 점이다.
2020년 2월 18일에는 3년 재계약을 체결함과 동시에 파트 오너 계약을 통해 T1의 지분을 일부 받게 되면서 프로게이머 은퇴 시 회사 임원 자격으로 경영에 참여한다고 밝혔다. 그리고 선수 은퇴 이후부터는 T1의 지도자가 되기로 합의했다. ESPN 기사 네이버 뉴스 이를 통해 이제 페이커는 팀 창단에 결정적인 초석 역할을 맡았던 임요환의 뒤를 이어 T1의 평생 레전드로 남게 되었으며, 프로 생활 시작부터 지속적으로 T1의 일원으로 남아있는 상태이며 2022년 스토브리그 프로게이머로선 고령인 27세의 나이에 T1과 3년 계약을 체결, 큰 이변이 없는 이상 앞으로도 쭉 남아있을 것으로 보인다는 점에서 말 그대로 T1 그 자체라고 봐도 크게 이상하지 않을 정도이다.[62][63]
또한 앞서 언급된 임요환을 비롯하여 스타크래프트 게이머로 한 시대를 풍미했던 브루드 워 e스포츠 명예 전당 헌액자들, 워크래프트 3의 장재호, 카트라이더의 문호준, 철권계의 '무릎' 배재민,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출신의 리치 등의 선수들과 더불어 한국 e스포츠계의 전설 중 한명이다.
라이엇 게임즈에서도 전성기가 지난 2020년까지 페이커를 최고 수준으로 치는데, 2020 월즈 주제곡인 Take Over 공식 MV에서도 다른 우승자 출신 선수들이 모두 주인공이 꺾고 올라가야 할 대상으로 그려진 반면 페이커는 주인공에게 처음 토큰을 던져주고 주인공이 페이커 해외 팬 별명인 "The Demon King (大魔王)"이란 간판이 달린 장소로 들어서게 한다. 이어 페이커는 게임에서 계속 패배하는 주인공에게 계속 기회를 제공하며 지켜보는 세계관 최강자급 역으로 등장했다. 영상에선 3분 45초 동안 6번이나 등장하고, 아웃트로 또한 페이커가 모바일 기기로 그를 지켜보는 장면으로 만들어졌다. 그리고 원래는 직전 시즌 우승팀 및 선수에게 스포트라이트가 더 많이 쏠리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64] 전 시즌 우승자인 티안의 리 신보다도 훨씬 자주 등장함으로서 사실상 "페이커 헌정 영상 아니냐"는 말이 나와도 전혀 이상하지 않을 정도였다.[65] 그리고 2021년 Burn It All Down 뮤비에서도, 전 시즌 월즈에 참여하지 않았음에도 "Eternal King of The LCK"[66]라는 칭호와 함께 초반부에 등장했다.
2022년에는 칭티안 페이커 솔로랭크 트롤링 사건에서의 발언으로 순식간에 많은 프로게이머 동료들의 동조와 트롤링을 저지른 선수 및 게임단 측의 빠른 피드백이 나오면서 선한 영향력에 대한 재평가를 받았고, 그 영향력 또한 엄청나다는 사실을 재각인시켰다.
5. 솔로 랭크
계정 | 시즌 | 최고 | 최종 |
SKT T1 Faker[67] | 2012 |
|
|
2013 |
|
|
|
2014 |
|
|
|
2015 |
|
|
|
Hide on bush | 2013 |
|
|
2014 |
|
|
|
2015 |
|
|
|
2016 |
|
|
|
2017 |
|
|
|
2018 |
|
|
|
2019 |
|
|
|
2020 |
|
|
|
2021 |
|
|
|
2022 |
|
|
월별 순위 (2012.07~2022.09)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rowcolor=#fff> 년월 | 소환사명 | 순위 | 티어 | 승 | 패 | 승률 |
2012.07. | 고전파 | 26 | 2327 | 169 | 104 | 61.90% | |
2012.08. | 고전파 | 6 | 2433 | 233 | 157 | 59.74% | |
2012.09. | 고전파 | 8 | 2502 | 245 | 165 | 59.76% | |
2012.10. | 고전파 | 4 | 2595 | 257 | 169 | 60.33% | |
2012.11. | 고전파 | 2 | 2704 | 277 | 178 | 60.88% | |
2012.12. | 고전파 | 1 | 2536 | 57 | 27 | 67.86% | |
2013.01. | 고전파 | 1 | 2583 | 61 | 27 | 69.32% | |
2013.02. | - | - | - | - | - | - | |
2013.03. | SKT T1 Faker | 38 | 챌린저 107LP | 156 | - | - | |
2013.04. | SKT T1 Faker | 21 | 챌린저 401LP | 181 | - | - | |
2013.05. | SKT T1 Faker | 13 | 챌린저 555LP | 210 | - | - | |
2013.06. | SKT T1 Faker | 15 | 챌린저 497LP | 281 | - | - | |
2013.07. | SKT T1 Faker | 4 | 챌린저 876LP | - | - | - | |
2013.08. | SKT T1 Faker | 2 | 챌린저 919LP | 362 | - | - | |
2013.09. | SKT T1 Faker | 315 | 다이아몬드 I 75LP | 364 | 272 | 57.23% | |
2013.10. | SKT T1 Faker | 28 | 챌린저 281LP | 397 | 296 | 57.29% | |
2013.11. | SKT T1 Faker | 1 | 챌린저 886LP | 431 | 315 | 57.77% | |
2013.12. | SKT T1 Faker | 4 | 챌린저 901LP | 472 | 358 | 56.87% | |
2014.01. | SKT T1 Faker | 199 | 챌린저 0LP | 31 | 16 | 65.96% | |
2014.02. | SKT T1 Faker | 4 | 챌린저 889LP | 109 | 62 | 63.74% | |
2014.03. | SKT T1 Faker | 1 | 챌린저 1121LP | 149 | 80 | 65.07% | |
2014.04. | SKT T1 Faker | 1 | 챌린저 1119LP | 158 | 87 | 64.49% | |
2014.05. | Hide on bush | 68 | 챌린저 528LP | 219 | 159 | 57.94% | |
2014.06. | Hide on bush | 21 | 챌린저 694LP | 332 | 263 | 55.80% | |
2014.07. | Hide on bush | 3 | 챌린저 974LP | 412 | 326 | 55.83% | |
2014.08. | SKT T1 Faker | 22 | 챌린저 711LP | 327 | 231 | 58.60% | |
2014.09. | SKT T1 Faker | 2 | 챌린저 1176LP | 369 | 260 | 58.66% | |
2014.10. | SKT T1 Faker | 2 | 챌린저 1211LP | 370 | 263 | 58.45% | |
2014.11. | SKT T1 Faker | 2 | 챌린저 1182LP | 380 | 269 | 58.55% | |
2014.12. | Hide on bush | 3 | 챌린저 1135LP | 693 | 592 | 53.93% | |
2015.01. | SKT T1 Faker | 2 | 챌린저 8LP | 43 | 22 | 66.15% | |
2015.02. | SKT T1 Faker | 1 | 챌린저 1251LP | 151 | 104 | 59.22% | |
2015.03. | SKT T1 Faker | 8 | 챌린저 1049LP | 271 | 226 | 54.53% | |
2015.04. | SKT T1 Faker | 1 | 챌린저 1309LP | 325 | 257 | 55.84% | |
2015.05. | SKT T1 Faker | 1 | 챌린저 1259LP | 325 | 257 | 55.84% | |
2015.06. | Hide on bush | 4 | 챌린저 1228LP | 233 | 137 | 62.97% | |
2015.07. | Hide on bush | 3 | 챌린저 1187LP | 233 | 140 | 62.47% | |
2015.08. | SKT T1 Faker | 2 | 챌린저 1251LP | 519 | 426 | 54.92% | |
2015.09. | SKT T1 Faker | 3 | 챌린저 1244LP | 521 | 427 | 54.96% | |
2015.10. | SKT T1 Faker | 1454 | 다이아몬드 I 25LP | 521 | 427 | 54.96% | |
2015.11. | SKT T1 Faker | 1604 | 다이아몬드 I 100LP | 532 | 436 | 54.96% | |
2015.12. | SKT T1 Faker | 1 | 챌린저 1290LP | 634 | 520 | 54.94% | |
2016.01. | Hide on bush | 403 | 다이아몬드 I 90LP | 33 | 17 | 66.00% | |
2016.02. | Hide on bush | 126 | 챌린저 505LP | 96 | 79 | 54.86% | |
2016.03. | Hide on bush | 18 | 챌린저 899LP | 210 | 164 | 56.15% | |
2016.04. | Hide on bush | 14 | 챌린저 1012LP | 281 | 222 | 55.86% | |
2016.05. | Hide on bush | 297 | 마스터 447LP | 324 | 256 | 55.86% | |
2016.06. | Hide on bush | 749 | 마스터 76LP | 383 | 332 | 53.57% | |
2016.07. | Hide on bush | 80 | 챌린저 767LP | 447 | 368 | 54.85% | |
2016.08. | Hide on bush | 64 | 챌린저 786LP | 478 | 397 | 54.63% | |
2016.09. | Hide on bush | 78 | 챌린저 637LP | 538 | 453 | 54.29% | |
2016.10. | Hide on bush | 1684 | 다이아몬드 I 25LP | 538 | 453 | 54.29% | |
2016.11. | Hide on bush | 2421 | 다이아몬드 II 92LP | 540 | 457 | 54.16% | |
2016.12. | Hide on bush | 64 | 챌린저 505LP | - | - | - | |
2017.01. | Hide on bush | 53 | 챌린저 643LP | - | - | - | |
2017.02. | Hide on bush | 28 | 챌린저 777LP | - | - | - | |
2017.03. | Hide on bush | 100 | 챌린저 574LP | - | - | - | |
2017.04. | Hide on bush | 116 | 챌린저 530LP | - | - | - | |
2017.05. | Hide on bush | 472 | 마스터 127LP | - | - | - | |
2017.06. | Hide on bush | 151 | 챌린저 422LP | - | - | - | |
2017.07. | Hide on bush | 49 | 챌린저 695LP | - | - | - | |
2017.08. | Hide on bush | 45 | 챌린저 744LP | - | - | - | |
2017.09. | Hide on bush | 6 | 챌린저 1163LP | 878 | 785 | 52.80% | |
2017.10. | Hide on bush | 394 | 마스터 115LP | 892 | 795 | 52.87% | |
2017.11. | Hide on bush | 1128 | 다이아몬드 I 50LP | 895 | 799 | 52.83% | |
2017.12. | Hide on bush | 116 | 챌린저 578LP | 1010 | 932 | 52.01% | |
2018.01. | Hide on bush | 259 | 마스터 144LP | 51 | 39 | 56.67% | |
2018.02. | Hide on bush | 86 | 챌린저 576LP | 94 | 75 | 55.62% | |
2018.03. | Hide on bush | 52 | 챌린저 785LP | 248 | 211 | 54.03% | |
2018.04. | Hide on bush | 82 | 챌린저 680LP | 322 | 284 | 53.14% | |
2018.05. | Hide on bush | 7 | 챌린저 1006LP | 467 | 416 | 52.89% | |
2018.06. | Hide on bush | 3 | 챌린저 1216LP | 549 | 477 | 53.51% | |
2018.07. | Hide on bush | 5 | 챌린저 1134LP | 714 | 631 | 53.09% | |
2018.08. | Hide on bush | 9 | 챌린저 1015LP | 721 | 638 | 53.05% | |
2018.09. | Hide on bush | 17 | 챌린저 864LP | 775 | 698 | 52.61% | |
2018.10. | Hide on bush | 277 | 마스터 275LP | - | - | - | |
2018.11. | Hide on bush | 202 | 마스터 473LP | - | - | - | |
2018.12. | Hide on bush | 60 | 챌린저 649LP | - | - | - | |
2019.01. | Hide on bush | - | 다이아몬드 I 54LP | - | - | - | |
2019.02. | Hide on bush | 386 | 그랜드마스터 354LP | - | - | - | |
2019.03. | Hide on bush | 597 | 그랜드마스터 157LP | - | - | - | |
2019.04. | Hide on bush | 85 | 챌린저 681LP | 184 | 188 | 49.46% | |
2019.05. | Hide on bush | 499 | 그랜드마스터 459LP | - | - | - | |
2019.06. | Hide on bush | 198 | 챌린저 707LP | 240 | 246 | 49.38% | |
2019.07. | Hide on bush | 124 | 챌린저 837LP | - | - | - | |
2019.08. | Hide on bush | 63 | 챌린저 966LP | 429 | 431 | 49.88% | |
2019.09. | Hide on bush | 4 | 챌린저 1340LP | - | - | - | |
2019.10. | Hide on bush | - | 다이아몬드 I 50LP | - | - | - | |
2019.11. | Hide on bush | 513 | 그랜드마스터 570LP | - | - | - | |
2019.12. | Hide on bush | 65 | 챌린저 1110LP | 623 | 611 | 50.49% | |
2020.01. | Hide on bush | 1177 | 다이아몬드 I 91LP | 24 | 26 | 48.00% | |
2020.02. | Hide on bush | 1387 | 마스터 10LP | 75 | 80 | 48.39% | |
2020.03. | Hide on bush | 391 | 그랜드마스터 466LP | - | - | - | |
2020.04. | Hide on bush | 350 | 그랜드마스터 582LP | 209 | 190 | 52.38% | |
2020.05. | Hide on bush | 132 | 챌린저 901LP | 275 | 242 | 53.19% | |
2020.06. | Hide on bush | 103 | 챌린저 895LP | 301 | 265 | 53.18% | |
2020.07. | Hide on bush | 84 | 챌린저 918LP | 380 | 338 | 52.92% | |
2020.08. | Hide on bush | 407 | 그랜드마스터 571LP | - | - | - | |
2020.09. | Hide on bush | 777 | 그랜드마스터 370LP | - | - | - | |
2020.10. | Hide on bush | 897 | 그랜드마스터 391LP | - | - | - | |
2020.11. | Hide on bush | 1567 | 마스터 169LP | 579 | 575 | 50.17% | |
2020.12. | Hide on bush | 559 | 그랜드마스터 631LP | - | - | - | |
2021.01. | Hide on bush | 320 | 마스터 162LP | - | - | - | |
2021.02. | Hide on bush | 386 | 그랜드마스터 378LP | 211 | 189 | 52.75% | |
2021.03. | Hide on bush | 426 | 그랜드마스터 457LP | - | - | - | |
2021.04. | Hide on bush | 719 | 그랜드마스터 342LP | - | - | - | |
2021.05. | Hide on bush | 335 | 그랜드마스터 681LP | 400 | 360 | 52.63% | |
2021.06. | Hide on bush | 200 | 챌린저 868LP | - | - | - | |
2021.07. | Hide on bush | 599 | 그랜드마스터 573LP | - | - | - | |
2021.08. | Hide on bush | 466 | 그랜드마스터 634LP | - | - | - | |
2021.09. | Hide on bush | 286 | 챌린저 750LP | - | - | - | |
2021.10. | Hide on bush | - | 다이아몬드 I 50LP | - | - | - | |
2021.11. | Hide on bush | 1309 | 마스터 351LP | - | - | - | |
2021.12. | Hide on bush | 226 | 챌린저 924LP | - | - | - | |
2022.01. | Hide on bush | 184 | 그랜드마스터 403LP | - | - | - | |
2022.02. | Hide on bush | 146 | 챌린저 622LP | - | - | - | |
2022.03. | Hide on bush | 235 | 챌린저 627LP | 184 | 164 | 52.87% | |
2022.04. | Hide on bush | 160 | 챌린저 721LP | - | - | - | |
2022.05. | Hide on bush | 142 | 챌린저 941LP | - | - | - | |
2022.06. | Hide on bush | 123 | 챌린저 1002LP | - | - | - | |
2022.07. | Hide on bush | 70 | 챌린저 1097LP | - | - | - | |
2022.08. | Hide on bush | 188 | 챌린저 900LP | - | - | - | |
2022.09. | Hide on bush | 128 | 챌린저 970LP | 524 | 465 | 52.98% | |
2022.10. | Hide on bush | 8175 | 다이아몬드 I 75LP | 524 | 465 | 52.98% |
데뷔 전부터 솔랭 패왕으로 유명했고 한동안 최상위권을 달렸으나 위 랭크 괄호에 적혀있듯이 월즈 출전 시즌에는 일정을 소화하느라 휴면 강등을 당해서 솔랭 상위권을 기대하긴 힘들다.
시즌 2부터 본격적으로 솔로 랭크에서 유명세를 탔으며, 최종 2위로 마무리했다. 원래 당시 솔로 랭크는 라일락과 건웅이 지배하고 있었다. 이 때 페이커가 급격히 떠오르며 최상위권을 유지했고, 한 때 1위를 찍기도 했다. 시즌 말미에 라일락과 마지막까지 접전을 벌였지만 결국 라일락이 1위를 차지했다.
시즌 3때는 한국 서버 1위를 달성했다. 시즌 내내 앰비션, 썸데이 등과 함께 최상위권을 유지했고 가장 유력한 1위 후보였다. 월즈를 다녀오느라 휴면 강등당했으나, 지금과 달리 이때는 월즈 개막이 한 달 정도 빨랐기 때문에 갔다오고 나서도 빡세게 돌리면 다시 올릴 시간이 되었다. 다만 세기말 마지막 게임에서 도파[81]가 페이커를 밀어준 일이 있었다. 당시 페이커와 도파가 적으로 만났는데, 페이커가 승리하면 썸데이를 제치고 최종 1위를 달성할 수 있었다. 그런데 도파 쪽 팀이 유리한 상황으로 흘러가 썸데이의 1위가 유력해졌는데, 잘 큰 도파가 '미드 라이너가 1위를 해야 한다'는 해괴한 동기로 고의 트롤링을 해서 페이커가 1위가 된 것.[82] 썸데이는 이 결과를 실시간으로 지켜본 뒤 크게 분노하며 '압도개새기'라는 외마디를 남겼다. 썸데이는 곧바로 1위 탈환을 위해 급하게 랭겜을 돌렸으나, 1시간이 넘게 큐가 잡히지 않아 결국 끝내 게임을 못해 페이커의 1위가 최종 확정되었다. 고의적인 밀어주기로 1위를 달성했다는 점에서 당시 상당한 화젯거리였으며 롤을 즐기는 플레이어들에게는 유명한 사건으로 남았다.
시즌 4 시작 후 치러진 배치 고사를 3승 7패로 시원하게 말아먹었다. 같은 팀원들이 "이럴 때 아니면 언제 페이커를 엿 먹여보겠나"라는 생각으로 게임을 던졌다고 한다. 물론 상대편도 '이럴 때 아니면 언제 페이커를 이겨보겠나' 하고 열심히 게임했다. 그리하여 플래티넘 1에 배치되는 놀라운 광경을 보여주었다.[83] 그리고 45게임 만에 챌린저에 입성했다. 이후엔 1위를 계속 유지하다가 막판 나그네의 엄청난 연승에 아쉽게 밀려 2위로 마쳤다. 데프트가 한때 무려 17주 연속 1위를 달성하기도 하고 페이커도 1위 후보였으나, 세기말에 나그네가 상승세를 타서 1위에 올랐다.
시즌 5는 다이아몬드로 마쳤다. 한때는 챌린저 1,325점까지 찍고, 뱅과 함께 1위~4위를 독점해서 사실상 뱅과 누가누가 솔랭 1등을 하나 싸움이었다. 그런데 월즈 때문에 랭을 돌리지 못한 사이 다이아 2티어 75포인트까지 휴면 강등되어버렸다. 이후 한국으로 복귀해서 다이아 1티어(마스터 승격전)까지 올렸으나, 결국 다이아 1티어로 시즌을 마감했다. 그런데 이때 월즈 종료 시점과 시즌 종료 텀이 너무 짧아서, 돌아오자마자 솔랭만 밤낮으로 돌리지 않는 이상 1위 탈환은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능했다. 거기다가 연이어서 케스파컵까지 열려서 더더욱 불가능한 미션이었다. 또한 매칭 기준 MMR은 변동이 없어서 매칭도 잘 안 되고 자신은 다이아 승급전인데 나머지가 죄다 챌린저라는 억울한 상황이라 더더욱 그렇다. 사실 1,325점까지 찍었던 시기도 이때 최초 챌린저 1,300점대 돌파를 했었는데, 그해 MSI를 갔다오는 바람에 천 점대로 한 번 하락했다.
이후 프리시즌에 기어코 본캐 1등, 부캐 4등으로 마무리했다. 재밌게도 이날 프리시즌 종료 마지막 날까지 프레이와의 계속된 1위 경쟁이 치열했는데, 시즌이 종료되기 전 마지막 게임에서 1위를 탈환하려는 프레이(2위)와 부캐를 돌리고 있던 페이커가 만났고(4위), 페이커 팀이 패배했다. 그렇게 프레이가 1등을 하나 싶었는데...
시즌 6 들어선 다인 랭크가 도입돼서 다인큐가 판을 치는 상황이라 서버 최상위권에 쉽게 이름을 올리지 못하고 있다. 페이커 본인은 다인큐보다는 솔큐를 훨씬 선호하기 때문에 시즌 초 다인큐를 몇번 돌린거 이외에는 전부 솔큐로만 돌리고 있다. 이런 상황 속에서도 결국 최대 1,209점까지 찍으며 상위 5위권 안에 들었지만, MSI를 갔다 오는 바람에 휴면 계정이 되어서 다시 한 번 다이아까지 떨어졌다. 다시 챌린저로 올렸으나, 계속된 패배 속에 마스터 69점까지 떨어지는 사태가 발생했다. 팀원 탓, 불운 탓 등 이에 대한 이유로 여러 말들이 나왔으나, 일단 1지망 미드, 2지망 상관없음으로 랭겜을 돌리면 서포터 유저 부족 때문에 본인이 서포터가 걸리는 상황이 대부분이었다. 거기다 본인 성격상 미드 양보 해달라는 채팅은 거의 안 하다 보니 서포터로 게임하는 판이 많았다. 참고로 페이커뿐 아니라 SKT 멤버들 전원이 이 당시에는 마스터를 전전하고 있었다. 이때 진지하게 다이아 미드를 방송에서 보게 되느냐는 소리도 나왔으나, 1지망 미드 - 2지망 정글(탑)으로 바꾼 뒤, 다시 한 번 챌린저로 복귀하는 데 성공했다.
월즈를 앞둔 시점에서 랭크 점수를 보면 폼이 떨어진 것이 아니냐는 말이 나올 정도로 좋지 않았다. 다만 랭크 점수에는 페이커의 즐겜 성향도 한몫했다. 이 문단에 서술된 캡틴잭과의 일화도 있고 다른 챌린저들 중에도 페이커에 대한 안 좋은 기억을 갖고 있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그들 말에 따르면 페이커는 나랑 같은편으로 걸리면 즐겜해서 지게 만들고 그 다음판에 상대편으로 만나면 빡겜해서 2연패하게 만든다고. 그러나 솔랭은 솔랭일 뿐이란 걸 증명하듯 귀신같이 월즈를 우승하고 그 와중에 북미 솔랭을 씹어먹으며 클래스를 입증했다. 특히 라이즈는 리메이크 후로도 26게임 승률 85%를 찍고 있다. 덕분에 고전파의 신드라와 월즈의 라이즈는 게임마다 칼밴 목록에서 해제되지 않았다.
시즌 7에는 1,215점까지 올라갔었으나 이후 월즈로 인해 다이아 1 25점까지 휴면 강등되고 월즈가 끝나고 한국으로 돌아온 후에는 피즈 1판을 플레이한 후 승리로 끝내 다이아 1 50점으로 시즌이 마감되었다.
그리고 시즌 8 6월 14일 기준으로 랭킹 1위를 달성했다.
시즌 9에서는 다이아에서 첼린저 및 서버 3등 이내까지 달성하였으나 결국 최종적으로 그랜드 마스터로 시즌이 마감되었다.
시즌 10 배치가 아쉽게 끝나며 다이아몬드에 배치되는 충격적인 결과가 발생했다. 스프링 종료까지 그랜드 마스터를 유지하다가 휴가 복귀 후 파죽의 13연승으로 챌린저 입성에 성공했다. 10월 15일 기준 휴가로 인해 휴면 강등되었으나 다시 그랜드 마스터까지 복구했다.
그러나 2020년 11월 5일, 솔로 랭크 마감일이 4일 남은 상황에서 챌린저는 무리고 잘해야 그랜드 마스터, 또는 마스터로 시즌을 마감할 가능성이 높다.
페이커는 노닷지, 노듀오, 노밴의 세 가지 규칙을 솔랭에서 유지해오고 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