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324> |
League of Legends World Championship 역대 대회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0a42, #0264fb, #010a42); word-break: normal"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스웨덴| 2011 스웨덴 |
[[미국| 2012 미국 |
[[미국| 2013 미국 |
[[대만| 2014 대만 · 싱가포르 · 대한민국 |
[[유럽| 2015 유럽 |
|
<rowcolor=#fff> 6회 | 7회 | 8회 | 9회 | 10회 | |
[[미국| 2016 미국 |
[[중국| 2017 중국 |
[[대한민국| 2018 대한민국 |
[[유럽| 2019 유럽 |
[[중국| 2020 중국 |
|
<rowcolor=#fff> 11회 | 12회 | 13회 | 14회 | 15회 | |
[[아이슬란드| 2021 아이슬란드 |
[[멕시코| 2022 멕시코 · 미국 |
[[대한민국| 2023 대한민국 |
[[| 2024 유럽 |
[[| 2025 중국 |
|
<rowcolor=#fff> 16회 | 17회 | 18회 | 19회 | 20회 | |
[[| 2026 북미 |
[[대한민국| 2027 대한민국 |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 ||||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1 챔피언십 |
→ |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2 월드 챔피언십 |
→ |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3 월드 챔피언십 |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2 월드 챔피언십 우승팀 | ||||
Fnatic | → |
Taipei Assassins |
→ | SK telecom T1 |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2 월드 챔피언십 | |||||
<colbgcolor=#003161><colcolor=white> 대회 기간 | 2012년 10월 4일 ~ 10월 13일 | ||||
주최 | 라이엇 게임즈 | ||||
주관 | |||||
개최지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
참가팀 | 12팀 | ||||
패치 버전 | 1.0.0.147 | ||||
스폰서 | 플랜트로닉스 게이밍 | ||||
아주부TV | 에일리언웨어 | ||||
로지텍 | 인텔 | ||||
경기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경기장 | 그룹 스테이지/8강 |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로스앤젤레스 LA LIVE[1] |
|||||
4강/결승전 |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로스앤젤레스 게일런 센터 |
중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중계 플랫폼 | TV | |||
OGN | |||||
중계진 | 캐스터 | ||||
전용준 | |||||
해설자 | |||||
김동준, 강민 |
일정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그룹 스테이지 |
10월 4일 | |||
녹아웃 스테이지 |
8강 | ||||
10월 5일 / 10월 10일[2] | |||||
4강 | |||||
10월 10일 | |||||
결승 | |||||
10월 13일 |
결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우승 | Taipei Assassins | |||
준우승 | Azubu Frost |
[clearfix]
1. 개요
|
League of Legends: Season Two Finals Recap |
2. 선발전
리그 오브 레전드가 정식으로 서비스되는 지역들을 크게 6개의 지역으로 묶어, 각 지역에 쿼터를 배당하였다. 쿼터는 북미 3개 팀, 유럽 3개 팀, 중국 2개 팀, 한국 2개 팀, 대만/ 홍콩/ 마카오 1개 팀, 동남아 1개 팀으로 총 12개 팀으로 구성되어 있다.이 쿼터를 차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서킷 포인트로, 이 포인트는 각 지역에서 라이엇이 공인한 대회 성적으로 집계된다. 한국에는 온게임넷이 주관하는 LOL the Champions와 나이스게임TV 주관의 NLB가 있다. 이 서킷 포인트는 각 지역 대표 선발전 이전까지 집계되며, 서킷 포인트 순위대로 선발전에 진출할 수 있다.
각 지역에서 대표팀을 선발하는 방식에는 약간씩 차이가 있다.
- 3개 팀을 선발하는 북미/유럽 지역에서는 서킷 포인트 1~8위 간 토너먼트를 통해 선발한다.
- 2개 팀을 선발하는 중국/한국 지역에서는 서킷 포인트 1위 팀은 자동 진출, 2~5위 팀이 선발전을 통해 1팀을 뽑아 선발하게 된다.
- 대만/홍콩/마카오는 서킷 포인트 상위 32개 팀이 32강부터 토너먼트를 하여 1위 팀이 선발된다.
- 동남아 지역은 5개 나라( 말레이시아, 베트남, 싱가포르, 태국, 필리핀) 개별 국가 예선에서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경쟁하여 1위 팀을 선발하게 된다.
2.1. 중국
Team WE가 서킷 포인트 1위로 출전을 확정지었고, 7월 26일 상하이 차이나조이 게임쇼에서 진행된 중국 대표 선발전에서 Invictus Gaming이 진출권을 확보했다.2.2. 유럽
8월 16~19일, 독일 쾰른 게임스컴에서 열린 유럽 시즌2 지역 대회에서 M5, SK Gaming, CLG.EU가 출전을 확정지었다.2.3. 북미
8월 30일부터 9월 2일, 미국 시애틀 PAX 프라임에서 열린 북미 시즌2 지역 대회에서 TSM, Dignitas, CLG.Prime[4]이 출전을 확정지었다.2.4. 대만/홍콩/마카오
9월 1일,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G1에서 Taipei Assassins(TPA)이 최종적으로 출전을 확정지었다.2.5. 동남아
9월 9일 베트남 다낭에서 열린 동남아 시즌2 지역대회에서 Saigon Jokers가 출전을 확정지었다.2.6. 한국
한국 지역은 9월 12~21일, 온게임넷에서 한국 대표 선발전을 진행하였다. 선발전 이전에 서킷 포인트 집계를 통해 Azubu Frost가 서킷 포인트 1위로 출전을 확정했고, Azubu Blaze, Xenics Storm, LG-IM, CJ 엔투스, 나진 e-mFire Sword가 선발전에 참가하였다. 이후 선발전을 거쳐, 나진 e-mFire Sword가 진출권을 획득하였다. 자세한 항목은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2 월드 챔피언십/한국대표선발전 참조.3. 참가팀
녹아웃 스테이지 진출팀 | |||
유럽 | 북미 | 중국 | 대만/홍콩/마카오 |
Moscow 5 | Team SoloMid | Team WE | Taipei Assassins |
그룹 스테이지 진출팀 | |||
유럽 | 북미 | ||
SK Gaming | CLG.EU | Team Dignitas | CLG.Prime |
한국 | 중국 | 동남아 | |
Azubu Frost | NaJin Sword | Invictus Gaming | Saigon Jokers |
3.1. 로스터
자세한 내용은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2 월드 챔피언십/로스터 문서 참고하십시오.4. 일정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3161> |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2 월드 챔피언십 경기 일정 |
}}} | ||
그룹 (10/5) |
A조 | B조 | |||
녹아웃 | 8강 (10/6) | ||||
4강 (10/11) | |||||
결승 (10/14) |
5. 대회 진행
Worlds |
패치 버전 | 1.0.0.147 | ||
글로벌 밴 |
렝가 |
신드라 |
카직스 |
{{{#!folding [ 그룹 스테이지 펼치기 · 접기 ] | <table bgcolor=#fff,#1c1d1f><table bordercolor=#fff,#1c1d1f><tablealign=center> |
자세한 내용은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2 월드 챔피언십/그룹 스테이지/결과 및 분석 문서 참고하십시오. }}} ||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2 월드 챔피언십 녹아웃 스테이지 대진표 |
||
{{{#!wiki style="margin: -10px -5px" |
8강 1경기 (10/6)
|
|
|
2 |
|
|
0 | }}} | {{{#!wiki style="margin: -10px -5px" |
4강 1경기 (10/11)
|
<colbgcolor=#f5f5f5,#282828> ↘ |
|
1 |
↗ |
|
2 | }}} | {{{#!wiki style="margin: -10px -5px" |
결승 (10/14)
|
<colbgcolor=#f5f5f5,#282828> ↘ |
|
3 |
↗ |
|
1 | }}} |
{{{#!wiki style="margin: -10px -5px" |
8강 2경기 (10/6)
|
|
|
2 |
|
|
0 | }}} |
{{{#!wiki style="margin: -10px -5px" |
8강 3경기 (10/6)
|
|
|
0 |
|
|
2 | }}} | {{{#!wiki style="margin: -10px -5px" |
4강 2경기 (10/11)
|
<colbgcolor=#f5f5f5,#282828> ↘ |
|
2 |
↗ |
|
1 | }}} |
{{{#!wiki style="margin: -10px -5px" |
8강 4경기 (10/6, 11)
|
|
|
1 |
|
|
2 | }}} |
연두색: 다음 라운드 진출 | 노란색: 월드 챔피언십 우승
|
자세한 내용은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2 월드 챔피언십/본선 토너먼트 문서 참고하십시오.
6. 결과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003161> |
Worlds Season 2 챔피언 |
순위표 | |||||||
<rowcolor=#fff> 순위 | 팀 | 세트 | 승 | 패 | 득실 | 상금 | 비고 |
1 | Taipei Assassins | 9 | 7 | 2 | +5 | $1,000,000 | 우승 |
2 | Azubu Frost | 12 | 8 | 4 | +4 | $250,000 | 준우승 |
3 | Moscow Five | 5 | 3 | 2 | +1 | $150,000 | 4강 |
4 | CLG Europe | 9 | 5 | 4 | +1 | $150,000 | |
5 | NaJin Sword | 5 | 3 | 2 | +1 | $75,000 | 8강 |
6 | Invictus Gaming | 5 | 2 | 3 | -1 | $75,000 | |
7 | Team WE | 3 | 1 | 2 | -1 | $75,000 | |
8 | TSM | 2 | 0 | 2 | -2 | $75,000 | |
9 | CLG Prime | 3 | 1 | 2 | -1 | $50,000 | 그룹 스테이지 3위 |
Saigon Jokers | 3 | 1 | 2 | -1 | $50,000 | ||
11 | SK Gaming | 3 | 0 | 3 | -3 | $25,000 | 그룹 스테이지 4위 |
Dignitas | 3 | 0 | 3 | -3 | $25,000 |
- 총 상금: 200만 달러(약 20억 원)
7. 기념 스킨
7.1. 챔피언십 리븐(Championship Riven)
가격 |
975RP (한정판) |
동영상 | #[5] |
북미에서 개최된 2012 월드 챔피언십 기념 스킨. 최초의 챔피언십 스킨입니다.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2 월드 챔피언십 기념으로 2012년 10월 15일부터 딱 일주일 동안 판매된 스킨. 별명은 챔쁜이. 궁극기 사용시 칼의 모양에 호불호가 갈리지만 시즌 2 때 구입해야만 구할 수 있었던 희소성과 예쁜 인게임, 모든 스킬 이펙트가 파랗게 바뀌는 점 등으로 인해 상당히 가치 있는 스킨.
시즌 4 월드 챔피언십 즈음에 챔피언십 쓰레쉬는 재판매하는데 왜 챔피언십 리븐은 안 파냐고 유저들이 분노했다. 이후로는 수수께끼 상자로 얻는 수밖에 없었는데, 9월 24일 이후로 수수께끼 상자로도 챔피언십 리븐을 얻지 못하도록 잠수함 패치되었다. 이에 스킨을 구하기 위해 많은 돈을 질렀던 유저들은 분통을 터뜨렸고, # 결국 라이엇 코리아가 10월 8일 이를 인정했고 원하는 경우 수수료 없이 환불을 진행한다고 발표했다. #
시즌 4 롤드컵 결승전 때 챔피언십 쓰레쉬, 챔피언십 쉬바나와 함께 배포되었다. 간간히 고가에 거래되던 챔피언십 리븐 코드 가격은 곤두박질치다 못해 자취를 감췄으며 챔피언십 리븐은 이제 더 이상 희귀 스킨이라고 보기 어려울 정도로 게임에서 빈번하게 볼 수 있게 되었다. 해외에서도 매우 희귀한 챔피언십 리븐을 가지고 싶은 유저들이 많아 몇몇 유저들은 해외에 쿠폰을 판매하기도 했으며 그 가격은 국내에서 팔리는 가격과 비교해 적게는 몇 배, 많게는 수십 배가 차이날 정도로 비싼 가격에 판매되었다. 다만 예전 챔피언십 리븐 쿠폰은 아이콘까지 지급해 줬지만 이번 챔피언십 시리즈 쿠폰은 리븐 챔피언십 아이콘을 주지 않았다.
시즌 5 롤드컵 때도 쓰레쉬, 쉬바나만 파는 걸 보면 완전히 리미티드 스킨이 된 듯. 그 대신 '승부의 신' 이벤트에서 모든 경기의 승패를 맞추면 증정된다. 참고로 2014년 시즌 4 롤드컵 승자 예측 이벤트에선 30만 명 이상의 유저들이 참가했으나 단 10명만이 모든 경기의 승패를 정확히 맞췄다. 그리고 2015년 시즌 5 롤드컵 승부의 신 이벤트에선 전 세계 단 1명만이 결과를 모두 맞혔다.
2015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승패 결승전이 있기 전까지 조별 예선, 본선의 결과를 모두 맞추는 이벤트로 챔피언십 리븐을 받을 수 있는 사람이 한 사람으로 좁혀졌다. 4강까지는 5명이었으나 그 중 4명이나 프나틱을 지목해서 떨어져 나갔다. 참고로 이 사람은 SKT의 우승을 예상했고 결국 결승 결과 스킨을 받게 되었다.
2016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때 재판매를 할 계획이라고 한다.
결국 '2016 챔피언십 리븐'으로 기존 챔피언십 리븐과 다르게 출시했다.
7.2. Taipei Assassins 스킨
2012 시즌[6] | ||||
|
||||
Stanley |
Lilballz |
Toyz |
bebe |
MiSTakE |
쉔 | 문도 박사 | 오리아나 | 이즈리얼 | 누누와 윌럼프 |
8. 논란 및 사건 사고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2 월드 챔피언십 사건 사고 |
Azubu Frost 욕설 송출 사건 |
시즌2 월드 챔피언십 방송 송출 중단 사건 |
시즌2 월드 챔피언십 눈맵 사건 |
다른 문서는 보통 사건 사고를 모두 통합해 하나의 문서로 분리하는 반면, 시즌2 월드 챔피언십은 발생했던 3개의 사건 사고가 모두 대형 사고였던 탓에 3개 모두 개별 문서로 분리되었다.
8.1. Azubu Frost 욕설 송출 사건
자세한 내용은 Azubu Frost 욕설 송출 사건 문서 참고하십시오.8.2. 시즌2 월드 챔피언십 방송 송출 중단 사건
자세한 내용은 시즌2 월드 챔피언십 방송 송출 중단 사건 문서 참고하십시오.8.3. 시즌2 월드 챔피언십 눈맵 사건
자세한 내용은 시즌2 월드 챔피언십 눈맵 사건 문서 참고하십시오.9. 여담
- WCG 측에서 작년에 이어 공인 종목으로 LOL을 선정하려 하였으나, 라이엇 게임즈 측에서는 이 대회를 이유로 들어서 동시에 두 개의 대형 대회를 진행할 여력이 없다고 하여 종목 선정을 보류하였다.
-
처음에는 북미, 유럽, 한국, 중국 1위 팀에게만 8강 시드를 준다고 공지하였으나 어느새 대만까지 껴서 추첨을 하는 방식으로 바뀌었고,
Azubu Frost가 그 희생양이 되었다...
하지만 대만을 준 이유가 있었다
-
온게임넷은 이번에 월드 챔피언십을 현지에서 전 경기 위성 생중계할 예정이라고 한다. 중계진 모두 미국으로 가는 듯. 근데 이렇게 되면
MC 용준의 일정이
스타리그와 겹친다. MC 용준의 말로는 이 대회가 끝나자마자 한국으로 돌아와 스타리그에 합류한다고 한다.
보약 준비해라 온게임넷개막 당일 비행기를 타고 도착해서 해설진만 중계를 하는 상황이 벌어질 뻔하였으나 적절한 대회 지연으로 경기 시작 전에 도착, 1경기부터 중계를 할 수 있었다. 근데 오자마자 바로 뛰어 들어와서 중계하는 상황이었던지라 의도치 않게 용준좌의 일상의 모습 그대로 방송을 시작해버렸다. 머리도 빗겨지지 않고 그냥 미국 여행 온 아저씨 옷차림에 슬리퍼 콤보까지 그야말로 일상의 흔한 아저씨의 모습. 그리고 경기가 진행될수록 12시간 연속 중계에 점점 정신을 하나둘 놓는 해설진들을 볼 수 있었다.
-
모든 경기는
월드 챔피언십 긴급 패치 버전으로 진행되며
렝가,
신드라는 글로벌 밴이 된다. 즉 경기에서 아예 쓸 수 없다는 뜻이다.
막눈 및 다이아몬드 프록스 저격 밴 저격밴당한 막눈의 멘붕카직스는 해당 버전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역시 선택할 수 없다.
- 대회 기간 동안 출전하는 12개 팀의 엠블럼을 소환사 아이콘으로 달 수 있다.
- 경기와 경기 사이에 나왔던 노래는 Danny McCarthy 의 Silver Scrapes라는 덥스텝 계열의 곡이다. 원곡은 1분 50초의 짧은 곡이며 주요 간주 부분이 사용되었다. 그리고 현 시점에서 이 곡은 월즈를 포함한 5전제 매치에서 5꽉의 상징으로 자리잡았다.
* 넷플릭스에 공개된 다큐멘터리 "리그 오브 레전드, 전설의 시작"에서 8강 4경기에서 발생한 재경기 사건을 비중 있게 다루었다. 승승장구를 하고 있던 라이엇 게임즈와 롤의 e스포츠화가 이 경기 하나로 불안 요소들이 터져 나가며 사상 최악의 위기로 발전하고 만 것. 현장 분위기를 보면 오히려 라이엇의 보상 공세에 환호하는 모습이 보인다. 이 사건을 계기로 오프라인 서버를 구축하며 인터넷 이슈에 대처했다.
- 이 대회를 기점으로 LoL e스포츠의 중심이 서양에서 동양으로 완전히 넘어가게 되었다. TPA와 프로스트의 결승을 기점으로 기존의 강자라 불렸던 CLG EU와 M5 등이 서서히 몰락의 길을 걷기 시작하고, TPA가 드라마를 쓰며 대만 롤이 무시받을 이유가 없음을 증명해내기도 했다. 그리고 한국에서는 대회 이후, 기존 스타크래프트 시리즈 프로 팀들의 LOL팀 창단 러시를 시작으로 각종 팀들이 LOL 팀을 만들었다.
10.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fe3f9><tablebgcolor=#0fe3f9> |
LoL e스포츠 국제 대회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
|||
퍼스트 스탠드 토너먼트 | 미드-시즌 인비테이셔널 | 월드 챔피언십 | |
2025 |
2015
2016
2017
2018
2019
|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 |
기타 국제 대회 | 폐지된 대회 | 지역 리그 |
[1]
스테이플스 센터 건너편에 위치한 야외 공연장이다.
[2]
8강 4경기에 발생한 클라이언트 인터넷 접속 불량 문제로 인해 3세트 재경기만 진행.
[3]
이때부터 명칭에 'World'를 붙이기 시작했다.
[4]
CLG.NA의 새로운 이름.
[5]
빈티지(12년도 및 14년도)와 2016 에디션을 한번에 비교해서 볼 수 있는 버전이다.
[6]
처음으로 제작된 롤드컵 우승팀 헌정 스킨. 이후 프나틱 스킨이 제작되었다.
[7]
누누와 윌럼프, 문도 박사.
[8]
SK Gaming,
Team WE,
OK저축은행 브리온(전 나진),
Invictus Gaming
[9]
Dignitas는 해체 후 타 팀의 시드를 받아 재창단한 것이고
NRG KIA(전 CLG.Prime)는 LTA 탈퇴 후 행방이 묘연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