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0 21:52:30

업무지구

''' 도시지리학
Urban Geography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db0000><colcolor=#fff> 기본 이론 도시 모델 버제스의 동심원 모델 · 호이트의 선형모델 · 울만-해리스의 다핵심 모델
도시 구조 중심 업무 지구 · 도심 · 원도심 · 부도심 · 중간 지대 · 주거지역 · 슬럼( 게토 · 노고존) · 위성도시 · 교외 산업단지 · 근린(최근린비)
도심 생애 과정 주택여과과정 · 젠트리피케이션 · 스프롤 현상 · 교외화 · 도심 공동화 · 탈도시화 · Knox의 주거 단계 · 역도시화
분야 지리학 · 사회학 }}}}}}}}}


1. 개요

/ Business district

상권 가게가 모인 곳이라면 업무지구는 회사가 모인 곳이다. 업무지구로 볼 수 있는 지표 대기업, 중견기업, 벤처기업집단, 공유오피스, 벤처타워 들이 있는 곳이다. 업무지구에 상권까지 크게 발달해 있으면 도심, 부도심일 확률이 높다.

2. 정의

  • 부동산이나 법적으로나 업무지구에 대해 규정한것은 없다. 다만 사전적으로는 공공의 건축물이나 사무용 건물이 밀집해있을때 업무지구라고 한다.
  • 단순히 지역내 대형 오피스빌딩 1,2개 들어와있다고 업무지구라고 하진 않고 사업체가 연달아 들어와 있어야하며 대형지식산업센터 등 행정적으로 업무지구로 지정되어도 아직 미개발, 미입주한 상태면 업무지구로 보지 않는다.
  • 지구 지정으로 인한 인위적인 형태와 자연발생적인 형태가 있다.

3. 목록

현 작성시점의 업무지구를 나열합니다. 계획, 개발중인 업무지구는 다음 목록에 적습니다.

3.1. 서울특별시

  • 3대 지역 이후 가나다순
지역 설명 대표 기업 또는 시설
사대문 CBD[A]] 서울의 대표 도심인 종로구, 중구 광화문역 종각역, 을지로 인근의 중심업무지구이자 서울의 전통적인 업무지구로 여전히 대기업 기업집단의 본사와 외국계 기업, 주요은행 본사, 언론사들이 많이 위치하고 있으며 대사관, 시청, 청와대, 외교부 등 주요 행정기관이 밀집해있다. 대체로 이쪽을 통틀어 시내라고 표현 하기도 한다. 광화문, 서울역, 서대문역, 종로1가, 을지로1,2가 등에 업무지구가 발달되어 있고 종로3~6가, 충무로 일대는 옛날 느낌이 아직도 남은 곳이 많아 다소 낙후된 느낌이 있다. 최근에는 중단된 세운상가 일대의 재개발이 재개되어 업무지구가 동쪽으로 확장 중이다. 외교부/ 통일부/ 여성가족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금융정보분석원[정부서울청사][종로구]
헌법재판소[종로구]
감사원[종로구]
서울특별시교육청[종로구]
서울특별시경찰청[종로구]
서울지방국세청[종로구]
서울지방우정청[종로구]
SK그룹[종로구]
한화[종로구]
KT 광화문빌딩[종로구]
DL그룹[종로구]
LX그룹[종로구]
영풍그룹[종로구]
삼양그룹[종로구]
교보생명[종로구]
현대해상[종로구]
현대건설[종로구]
SC제일은행[종로구]
한국씨티은행[종로구]
라이나생명[종로구]
한국무역보험공사[종로구]
연합뉴스/ 연합뉴스TV[종로구]
동아일보[종로구]
서울특별시청[중구]
국가인권위원회[중구]
서울지방고용노동청[중구]
대한상공회의소[중구]
삼성물산/ 삼성카드[중구]
한화그룹[중구]
신세계그룹[중구]
CJ그룹[중구]
한진그룹[중구]
두산그룹[중구]
부영그룹[중구]
OCI그룹[중구]
금호석유화학그룹[중구]
동국제강그룹[중구]
KG그룹[중구]
하나금융그룹[중구]
신한금융그룹[중구]
우리금융그룹[중구]
미래에셋그룹[중구]
대신증권[중구]
농협중앙회[중구]
예금보험공사[중구]
중소기업은행[중구]
한국은행[중구]
조선일보[중구]
한국경제신문[중구]
매일경제신문[중구]
한국일보[중구]
경향신문[중구]
문화일보[중구]
경찰청[서대문구]
NH농협생명[서대문구]
여의도 YBD[]] 여의도 동측의 업무지구로 여의도공원 여의대로를 중심으로 주로 동쪽에 위치하고 있다. 물론 서쪽에도 꽤나 있어 국회의사당을 비롯하여 수출입은행, 산업은행 등이 있다. 전통적으로 방송업계와 금융업계가 집중되어 있었으나, 방송업계가 KBS를 제외하고 디지털미디어시티(MBC)나 목동(SBS)으로 이동한 이후로는 '여의도 증권맨' 이라는 고유명사가 지금도 쓰일 정도로 금융업계 위주로 자리하고 있다. 고소득 직장 수로는 광화문 못지않게 많다. 국회의사당
LG그룹
한국산업은행
한국수출입은행
KB금융그룹
한국투자금융그룹
현대카드/ 현대캐피탈
한화생명[63빌딩]
한화손해보험
HMM/ NH농협증권[파크원]
교보증권
삼천리그룹
금융감독원
한국거래소 서울사무소
한국교직원공제회[The-K타워]
사학연금 서울센터
한국전력공사 남서울본부
한국경제인협회[FKI타워]
서울국제금융센터
한국방송공사
국민일보
중소기업중앙회
강남 GBD[]] 테헤란로로 위시되는 업무지구가 대표적인 지역이다. 그 외 서초동의 대법원을 중심으로 모여있는 법률사무소들이 밀집되어 있고, 강남대로에도 상업지구 외에도 온갖 직종의 회사들이 많다. 대기업부터 중소기업을 가리지 않고 본사 소재지가 되고 있다. 3대 업무 지구중 평균 연봉은 가장 낮다. 왜냐하면 광화문, 여의도는 직장수는 강남에 비해 적지만 고연봉 직장은 다수 포진해있는 반면 강남은 현대자동차, GS, 현대백화점, KCC, 삼성금융 등 상당수 대기업들이 포진해 있지만 대다수가 중소~중견급 회사들이기 때문이다. 대법원[서초구]
서울고등법원/ 서울중앙지방법원[서초구]
서울행정법원/ 서울가정법원[서초구]
대검찰청[서초구]
서울고등검찰청/ 서울중앙지방검찰청[서초구]
국립외교원[서초구]
서울지방조달청[서초구]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서초구]
삼성글로벌리서치/ 삼성화재/ 삼성생명/ 삼성증권/ 삼성자산운용[삼성타운][서초구]
현대자동차그룹[서초구]
KCC그룹[서초구]
삼성전자 서울R&D캠퍼스[서초구]
LG전자 전자기술원[서초구]
KT 연구개발센터[서초구]
동원그룹[서초구]
호반건설/ 서울신문[서초구]
포스코센터[강남구]
GS그룹[강남구]
현대백화점그룹[강남구]
HDC그룹[강남구]
DB그룹[강남구]
메리츠금융그룹[강남구]
서울본부세관[강남구]
한국토지주택공사 서울지역본부[강남구]
한국은행 강남본부[강남구]
금융결제원[강남구]
새마을금고중앙회[강남구]
한국무역협회/ COEX[트레이드타워][강남구]
서울주택도시공사[강남구]
롯데그룹[송파구]
삼성SDS[송파구]
쿠팡[송파구]
우아한형제들[송파구]
서울동부지방법원[송파구]
서울동부지방검찰청[송파구]
대한체육회[송파구]
수협중앙회[송파구]
산림조합중앙회[송파구]
서울특별시농수산식품공사[송파구]
가산디지털단지 서울디지털산업단지로 과거 구로공단으로 불리던 서울의 대표적인 공업지구로, 현재는 중견, 중소규모의 IT 업체들과 의류회사가 밀집되어 있다. 이랜드그룹
롯데정보통신
LG전자 가산디지털센터
디지털미디어시티 방송업계가 밀집되어 있다. 여의도 방송가라는 표현이 상암동 방송가라는 표현으로 바뀔 정도의 집적도를 자랑하고 있다. 문화방송
JTBC/ 중앙일보
YTN
TBS
CJ ENM
SBS 프리즘타워
공영홈쇼핑
목동 신시가지 주거단지뿐만 아니라 서부권 중심축 일부로 개발되어 있으며 방송업계와 일부 IT 기업체들 중심으로 업무지구가 형성되어 있다. SBS
기독교방송
KT 목동IDC/ 케이뱅크 IT센터
오라클 클라우드 서울리전
서울남부지방법원
서울남부지방검찰청
서울출입국외국인청
중소기업유통센터
마곡지구 해당 지역은 서울의 사실상 마지막 대규모 택지개발 지구로 김포국제공항과 인접해 있는 업무지구이다. 주로 기업의 연구개발 센터가 입주하는 형태로 업무를 보고 있는 기업이 많다. SM그룹
LG 사이언스파크
롯데 중앙연구소
넥센타이어 중앙연구소
이랜드 글로벌 R&D센터
코오롱 one&only타워
오스템임플란트
대방건설
마포대로[105] 마포대로 연선에 조성된 업무지구로, 마포대교를 사이에 두고 여의도와 연결되고 있다. 공덕역이 교통의 중심지이나 상업·문화시설이 부족하여 부도심으로 부족한 편이다. 효성그룹
S-OIL
동서그룹
서울서부지방법원
서울서부지방검찰청
신용보증기금 투자금융센터
별정우체국 연금관리단
한국지방재정공제회
한겨레신문
불교방송
서교동 홍대거리가 흥하기 전부터 출판업이 많았으며 이후 파주출판도시로 많이 빠졌으나 홍대입구역이 환승역이 되어 교통이 편리해진 후로 대기업 및 공유오피스를 통해 입주업체가 늘고 있다. 애경그룹
세아그룹
성수동 과거에는 염천교 부근과 더불어 수제화거리로 유명했다. 현재는 IT, 바이오계열 등 스타트업 회사들이 많이 모여있다. 현대글로비스
SM엔터테인먼트
메가박스
KT 수도권강북본부
무신사
용산 용산역, 신용산역 용산전자상가 지역이다. 용산 전자상가 재개발 및 용산국제업무지구, 서울역북부역세권개발사업이 진행되면 서울의 부도심 급으로 성장이 예상된다. 대통령실
국방부
LS그룹
LG U+
아모레퍼시픽
삼일회계법인
HYBE
오리온그룹
세계일보

3.2. 부산광역시

지역 설명 대표 기업 또는 시설
중앙동 초량동 부산의 원도심으로 1990년대 이후 업무지구 기능이 서면과 센텀시티 등으로 분산되며 예전보다 못하지만 각종 해운회사를 비롯해 주요 기업의 동남권 지사 등이 밀집해 있다. 추후 바로 옆 북항 재개발로 업무지구 확장이 예정되어 있다. 부산본부세관
부산출입국외국인청
부산무역회관
부산항만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부산경남지역본부
한국교직원공제회 부산회관
사학연금 부산센터
KT 부산정보통신센터
LG U+ 부산사옥
SM상선
HMM 부산사무소
팬오션 부산사무소
CJ대한통운 부산사옥
아모레퍼시픽 부산사옥
HJ중공업 부산R&D센터
삼성화재 부산초량사옥
현대해상 부산사옥
흥국생명 부산사옥
부산일보
서면 문현금융단지 부산의 제1도심으로 부산의 중심 업무기능이 집중되어 다수의 금융기업과 주요기업 동남권 사업본부들이 밀집해 있다. 또한 서면 바로 옆에는 금융관련 부산 이전 공공기관이 집약되어 있는 문현금융단지가 조성되어 있어 비수도권 최대 금융 클러스터를 이루고 있다. 한국전력공사 부산울산본부
부산교통공사
부산도시공사
부산상공회의소
농협중앙회 부산지역본부
한화생명 부산사옥
교보생명 부산사옥
ABL생명 부산타워
한국거래소/ 한국자산관리공사/ 한국주택금융공사/ 주택도시보증공사/ 한국예탁결제원/ 한국남부발전[부산국제금융센터][문현금융단지]
기술보증기금[문현금융단지]
한국은행 부산본부[문현금융단지]
BNK금융그룹[문현금융단지]
센텀시티 혁신도시로 정보중심 업무지구로 개발된 신도시다. 부산 이전 공공기관과 정보산업 분야 중심으로 위치해 있다. 센텀 스카이비즈
SK텔레콤 부산데이터센터
KNN
부산극동방송
BEXCO
영화진흥위원회
영상물등급위원회
게임물관리위원회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APEC기후센터

3.3. 인천광역시

지역 설명 대표 기업 또는 시설
구월지구 기존 원도심이던 동인천역 일대를 밀어낸 인천 제1도심이다. 인천시청을 비롯해 지방행정기관과 주요 기업의 인천권 지사들 밀집해 있다. 인천광역시청
인천광역시교육청
인천광역시경찰청
인천지방국세청
한국씨티은행 경인영업부/전산센터
SK텔레콤 인천사옥
LG U+ 구월사옥
삼성생명 인천구월동빌딩
현대해상 인천사옥
농협중앙회 인천지역본부
부평대로 인천의 대표적인 부도심으로 부평역에서 부평구청역을 잇는 부평대로를 중심으로 형성된 업무지구이다. 주요 기업과 금융기관의 사옥들이 위치해 있다. 현대해상 부평사옥
한화생명 부평사옥
삼성생명 인천부평빌딩
KB국민 부평플라자
한국GM 디자인센터
송도신도시 인천의 연수구 앞 바다를 매워 생긴 신도시이다. 초반엔 기업입주가 지지부진해 공실이 매우 컸지만 2010년대 이후로 들어 기업과 기관 입주가 증가하였다. 주로 국제기구, 포스코 계열사, 바이오 기업위주로 입주해있다 포스코 글로벌 R&D센터
포스코이앤씨 송도사옥
포스코인터내셔널
셀트리온
셀트리온헬스케어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바이오에피스
SK바이오사이언스
미쓰비시엘리베이터
오티스 엘리베이터 R&D센터
송도컨벤시아
해양경찰청
재외동포청
녹색기후기금

3.4. 대구광역시

지역 설명 대표 기업 또는 시설
반월당 동성로 대구의 제1도심으로 북쪽으로 대구역으로 남쪽으로 달구벌대로 까지의 업무지구로 지방행정기관과 주요 기업의 대구권 지사들이 있다. 대구광역시청
한국수자원공사 낙동강유역본부
반월당 삼성생명빌딩
한화생명 대구사옥
ABL생명 대구타워
매일신문
동대구로 범어동 동대구역부터 범어네거리를 잇는 동대구로와 범어동 일대에 형성된 업무지구이다. 금융기관과 주요 기업의 대경권 지사들이 위치해 있다. iM뱅크
대구무역회관
대구고등법원/ 대구지방법원
대구고등검찰청/ 대구고등법원
대구광역시교육청
대구지방고용노동청
SK텔레콤 신천사옥
LG U+ 대구신천사옥
삼성화재 대구사옥
KB손해보험 대구빌딩
교보생명 대구사옥
화성산업
한국교직원공제회 대구회관
KBS대구방송총국
TBC
영남일보
신서혁신도시 대구 이전 공공기관과 의료 관련기업이 모여있는 혁신도시이다. 중앙병역판정검사소/ 대구경북지방병무청
항공교통본부
대구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대구출입국외국인사무소[나라키움대구통합청사]
한국가스공사
신용보증기금
한국부동산원
한국사학진흥재단
한국산업단지공단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한국뇌연구원

3.5. 대전광역시

지역 설명 대표 기업 또는 시설
둔산신도시 청 단위 중앙행정기관이 집약되어 있는 정부대전청사를 중심으로 정부 유관기관들과 지방행정기관들이 집약되어 있는 행정도시이자 대전 제1도심이다. 공공분야뿐만 아니라 주요 기업의 충청권 지사와 금융기관들도 모여 있다. 관세청/ 조달청/ 조달청/ 병무청/ 국가유산청/ 산림청/ 특허청/ 기상청/ 국가기록원/ 특허심판원[정부대전청사]
방위사업청
대전광역시청
대전고등법원/ 대전지방법원
특허법원/ 대전가정법원
대전고등검찰청/ 대전지방검찰청
대전광역시교육청
대전광역시경찰청
충청지방우정청
대전지방고용노동청
통계교육원/ 통계개발원/ 충청지방통계청/ 대전지방보훈청[통계센터]
대전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계룡건설산업
금성백조주택
KT 충남본부
SK텔레콤 대전사옥
아모레퍼시픽 대전사옥
삼성생명 대전둔산빌딩
한화생명 대전둔산사옥
현대해상 대전사옥
신협중앙회
대전무역회관
한국토지주택공사 대전충남지역본부
한국교직원공제회 대전회관
사학연금 대전센터
한국은행 대전세종충남본부
KBS대전방송총국
중앙로 대전의 원도심으로 1990년대 업무기능 대다수가 둔산신도시로 옮겨갔지만 일부 주요 기업 및 기관 충청권 지사와 정부 유관기관들이 자리 잡았다. 교보생명 대전사옥
KB손해보험 대전사옥
KT 충남충북코어운용센터
대전충남지방병무청
한국철도공사/ 국가철도공단/ 철도특별사법경찰대[철도기관공동사옥]
대전도시공사
농협중앙회 대전지역본부
대덕연구개발특구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대부분이 이곳에 위치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수많은 공기업 및 주요 민간기업 연구소와 벤처기업도 이곳에 집약되어 있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국가문화유산연구원
기초과학연구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한국한의학연구원
나노종합기술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한국연구재단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한국조폐공사
한전원자력연료
한국가스기술공사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설비진단처
한국수력원자력 중앙연구원
LG에너지솔루션/ LG화학 기술연구원
SK이노베이션 환경과학기술원
삼성중공업 대덕R&D샌터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전R&D센터
한화솔루션 중앙연구소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테크노돔
LIG넥스원 대전하우스

3.6. 광주광역시

지역 설명 대표 기업 또는 시설
충장로 금남로 광주의 원도심으로 2000년대 이후 일부 업무기능이 상무지구 등으로 분산되었지만 주요 기업의 호남권 지사와 금융기관들이 밀집해 있다. 광주은행
전일빌딩245
KT 전남본부
아모레퍼시픽 광주사옥
한화생명 광주사옥
교보생명 광주사옥
광주일보
상무지구 광주의 신도심으로 시청을 비롯해 지방행정기관과 주요 기업 호남권 지사가 위치해 있다. 광주광역시청
광주가정법원
전남지방우정청
영산강유역환경청
삼성화재 광주상무사옥
현대해상 광주사옥
한국토지주택공사 광주전남지역본부
한국은행 광주전남본부
광주광역시도시공사
광주교통공사
KBS광주방송총국

3.7. 울산광역시

지역 설명 대표 기업 또는 시설
삼산동/ 달동(울산)/ 신정동 울산의 제1도심으로 주요 기업과 금융기관의 울산권 지사들이 밀집해 있다. 울산광역시청
BNK경남은행 울산영업부
교보생명 울산사옥
한화생명 울산사옥
삼성생명 울산빌딩
현대해상 울산사옥
동양생명 울산사옥
울산상공회의소
한국은행 울산본부
KBS울산방송국
울산우정혁신도시 울산 이전 공공기관이 밀집해 있는 혁신도시이다. 일부 지방행정기관도 입주해 있다. 한국동서발전
한국석유공사
한국에너지공단
에너지경제연구원
근로복지공단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국립재난안전연구원
도로교통공단 운전면허본부
울산광역시교육청
울산출입국외국인사무소

3.8. 경기도

지역 설명 대표 기업 또는 업종
분당신도시 분당신도시 조성 당시부터 서울 도심내 있던 공공기관 일부가 이곳으로 이전하였고 2000년대 이후에 IT 기업과 대기업을 중심으로 자리잡으면서 업무지구가 형성되었다. 네이버
HD현대 글로벌R&D센터
KT
분당두산타워
SK C&C
국립국제교육원
한국토지주택공사 경기남부지역본부
금융결제원 분당센터
판교테크노밸리 2010년대 분당신도시 바로 옆에 판교테크노밸리가 조성되면서 국내 주요 IT기업들과 연구소들이 이곳으로 이전해 왔다. 카카오
삼성중공업 판교R&D센터
한화 미래기술연구소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판교R&D센터
삼양사 디스커버리센터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LIG넥스원 판교하우스
넥슨
엔씨소프트
안랩
NHN
네오위즈
동탄테크노밸리 인접해 있는 삼성전자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도시이기 때문에 반도체 제조업 관련 기업들이 많이 들어서는것이 특징이다. 현대트랜시스
한미약품
우남건설
KMW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광교신도시
일산신도시

3.9. 경상남도

창원시 중앙대로 일대
경남진주혁신도시

4. 계획 · 개발중인 업무지구



[A] 행정쪽 보다는 부동산 업계에서 쓰는 용어이다. 단, CBD는 명백하게 '중심업무지구'라는 학술적 용어이다 [정부서울청사] [종로구] [종로구] [종로구] [종로구] [종로구] [종로구] [종로구] [종로구] [종로구] [종로구] [종로구] [종로구] [종로구] [종로구] [종로구] [종로구] [종로구] [종로구] [종로구] [종로구] [종로구] [종로구] [종로구] [중구] [중구] [중구] [중구] [중구] [중구] [중구] [중구] [중구] [중구] [중구] [중구] [중구] [중구] [중구] [중구] [중구] [중구] [중구] [중구] [중구] [중구] [중구] [중구] [중구] [중구] [중구] [중구] [중구] [중구] [서대문구] [서대문구] [] [63빌딩] [파크원] [The-K타워] [FKI타워] [] [서초구] [서초구] [서초구] [서초구] [서초구] [서초구] [서초구] [서초구] [삼성타운] [서초구] [서초구] [서초구] [서초구] [서초구] [서초구] [서초구] [서초구] [강남구] [강남구] [강남구] [강남구] [강남구] [강남구] [강남구] [강남구] [강남구] [강남구] [강남구] [트레이드타워] [강남구] [강남구] [송파구] [송파구] [송파구] [송파구] [송파구] [송파구] [송파구] [송파구] [송파구] [송파구] [105] 공덕역 인근. 마포대교로 인하여 여의도와 가깝기 때문에, 업무용 빌딩시장에서는 여의도와 묶여서 여의도(•마포)권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부산국제금융센터] [문현금융단지] [문현금융단지] [문현금융단지] [문현금융단지] [나라키움대구통합청사] [정부대전청사] [통계센터] [철도기관공동사옥]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