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계열사 | |
지주회사 | SK주식회사 (C&C | 홀딩스) | |
에너지 · 화학 | SK이노베이션 ( SK에너지 · SK지오센트릭 · SK인천석유화학 · SK루브리컨츠 · SKIET · SK온 · SK어스온) | SK E&S ( 강원도시가스 · 부산도시가스 · 코원에너지서비스) | SKC ( SK넥실리스 · SK텔레시스 · MCNS) | 대한송유관공사 | SK머티리얼즈 | SK바이오팜 | SK디스커버리( SK가스 · SK케미칼 · SK바이오사이언스) | |
정보통신 · 반도체 · 전자 | SK텔레콤 ( SK커뮤니케이션즈 · SK브로드밴드 ( 홈앤서비스) · SK텔링크 · SK스토아 · 원스토어 · SK쉴더스 · SK스퀘어 · 드림어스컴퍼니 ( FLO) · 11번가 · 티맵모빌리티) | SK하이닉스 | SK실트론 | 에센코어 | |
마케팅 · 서비스 | SK네트웍스 ( 호텔 그랜드 워커힐 서울 (더글라스 하우스) · 호텔 비스타 워커힐 서울 · 다락휴 · SK렌터카 · SK매직) | SK에코플랜트 | |
재단 | 행복나눔재단 | 한국고등교육재단 | SK미소금융재단 | |
스포츠단 | ||
제주 유나이티드 FC | 서울 SK 나이츠 | T1 | SK 호크스 | SK 슈가글라이더즈 | SK렌터카 위너스 |
|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folding [ SK㈜지분도 펼치기 · 접기 ] |
오너 | 최태원 SK그룹 회장 | ||||||||||||
구분 | 회사명 | 업종 | ||||||||||||
지주회사 | (유) SK㈜ (C&C | 홀딩스)(최태원 외 29.55%) | 지주회사 | ||||||||||||
↳
|
자회사 | (유) SK이노베이션(SK㈜ 33.4%) | 석유, 화학 및 자원개발 | |||||||||||
↳
|
손자회사 | (비) SK에너지(SK이노베이션㈜ 100%) | 석유제품 생산 및 판매 | |||||||||||
↳
|
증손자회사 | (비)내트럭(SK에너지㈜ 100%) | 운송 및 유류판매 | |||||||||||
(비) 제주유나이티드에프씨(SK에너지㈜ 100%) | 스포츠클럽운영 | |||||||||||||
(비)행복디딤(SK에너지㈜ 100%) | 서비스 | |||||||||||||
손자회사 | (비) SK종합화학(SK이노베이션㈜ 100%) | 석유화학 제품 생산 및 판매 | ||||||||||||
↳
|
증손자회사 | (비)행복모음(SK종합화학㈜ 100%) | 서비스 | |||||||||||
손자회사 | (비) SK인천석유화학(SK이노베이션㈜ 100%) | 석유화학 제품 생산 및 판매 | ||||||||||||
(비)SK트레이딩인터내셔널(SK이노베이션㈜ 100%) | 석유제품무역 | |||||||||||||
(비) SK루브리컨츠(SK이노베이션㈜ 100%) | 윤활기유 제조 및 판매 | |||||||||||||
↳
|
증손자회사 | (비)유베이스매뉴팩처링아시아(SK루브리컨츠㈜ 70%) | 윤활기유 제조 및 판매 | |||||||||||
손자회사 | (유) SK아이이테크놀로지(SK이노베이션㈜ 61.2%) | 플라스틱 필름 제조 | ||||||||||||
(비) SK온(SK이노베이션㈜ 100%) | 축전지 제조 | |||||||||||||
(비) SK어스온(SK이노베이션㈜ 100%) | 석유개발사업 | |||||||||||||
(비)행복키움(SK이노베이션㈜ 100%) | 서비스 | |||||||||||||
관계기업 | (비) 대한송유관공사(SK이노베이션㈜ 41%) | 파이프라인 운송업 | ||||||||||||
자회사 | (유) SK텔레콤(SK㈜ 26.78%) | 이동통신 | ||||||||||||
↳
|
손자회사 | (비)SK텔링크(SK텔레콤㈜ 100%) | 국제전화 및 MVNO사업 | |||||||||||
(비) SK브로드밴드(SK텔레콤㈜ 74.34%) | 유선전화 및 기타유선통신 | |||||||||||||
↳
|
증손자회사 | (비) Home&Service(SK브로드밴드㈜ 100%) | 정보통신시설 운영사업 | |||||||||||
손자회사 | (비)브로드밴드노원방송(SK텔레콤㈜ 55%) | 방송업 | ||||||||||||
(비) SK스토아(SK텔레콤㈜ 100%) | 통신기기 판매업 | |||||||||||||
(비)PS&Marketing(SK텔레콤㈜ 100%) | 통신기기 판매업 | |||||||||||||
(비)서비스에이스(SK텔레콤㈜ 100%) | 고객센터 관리 서비스 | |||||||||||||
(비)서비스탑(SK텔레콤㈜ 100%) | 고객센터 관리 서비스 | |||||||||||||
(비)SK ONS(SK텔레콤㈜ 100%) | 기지국 유지 보수 | |||||||||||||
(비) 원스토어(SK텔레콤㈜ 52.06%) | 통신 | |||||||||||||
(비) SK커뮤니케이션즈(SK텔레콤㈜ 100%) | 온라인정보제공 | |||||||||||||
(비) 11번가(SK텔레콤㈜ 98.10%) | 전자상거래업 | |||||||||||||
(비)SK인포섹(SK텔레콤㈜ 55%) | 정보보호서비스 | |||||||||||||
↳
|
증손자회사 | (비) ADT캡스(SK인포섹㈜ 100%) | 무인경비업 | |||||||||||
(비)캡스텍(SK인포섹㈜ 100%) | 인력경비업 | |||||||||||||
손자회사 | SK플래닛(SK텔레콤㈜ 98.65%) | 통신업 및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 ||||||||||||
↳
|
증손자회사 | (비)SK M&Service(SK플래닛㈜ 100%) | 데이터베이스 및 온라인정보 제공 | |||||||||||
손자회사 | (코) 드림어스컴퍼니(SK텔레콤㈜ 51.44%) | 영상 및 음향기기 제조 | ||||||||||||
(비)FSK L&S(SK텔레콤㈜ 60%) | 화물운송주선 및 물류 컨설팅사업 | |||||||||||||
(코)인크로스(SK텔레콤㈜ 34.60%) | 매체대행업 | |||||||||||||
↳
|
증손자회사 | (비)인프라커뮤니케이션즈(인크로스㈜ 100%) | 서비스 운영사업 | |||||||||||
(비)마인드노크(인크로스㈜ 100%) | 소프트웨어 개발 | |||||||||||||
손자회사 | (비)행복한울(SK텔레콤㈜ 100%) | 투자 | ||||||||||||
(비)티맵모빌리티(SK텔레콤㈜ 94.13%) | 데이터베이스 및 온라인정보 제공업 | |||||||||||||
관계기업 | (비) SK텔레콤 CS T1(SK텔레콤㈜ 54.9%) | 프로게임단 | ||||||||||||
(코)나노엔텍(SK텔레콤㈜ 28.4%) | 그 외 기타 의료용 기기 제조업 | |||||||||||||
(비) 콘텐츠웨이브(SK텔레콤㈜ 30%) | 영화, 비디오물 및 방송프로그램 배급업 | |||||||||||||
(비) 캐롯손해보험(SK텔레콤㈜ 21.4%) | 손해 보험업 | |||||||||||||
(비)헬로네이처(SK텔레콤㈜ 49.9%) | 기타 음ㆍ식료품 위주 종합 소매업 | |||||||||||||
(유) SK하이닉스(SK텔레콤㈜ 20.1%) | 종합 반도체 제조 및 판매 | |||||||||||||
↳
|
관계기업의 자회사 | (비)SK하이이엔지(SK하이닉스㈜ 100%) | 건설공사 및 서비스 | |||||||||||
(비)SK하이스텍(SK하이닉스㈜ 100%) | 사업지원 및 서비스 | |||||||||||||
(비)행복모아(SK하이닉스㈜ 100%) | 반도체 의류 제조 및 서비스 | |||||||||||||
(비)SK하이닉스시스템아이씨(SK하이닉스㈜ 100%) | 반도체 제조 및 판매(파운드리) | |||||||||||||
(비)행복나래(SK하이닉스㈜ 100%) | 산업자재 유통 | |||||||||||||
공동기업투자 | (비)핀크(SK 텔레콤㈜ 49%) | 그 외 기타 금융 지원 서비스업 | ||||||||||||
자회사 | (유) SK네트웍스(SK㈜ 39.14%) | 무역 및 유통 | ||||||||||||
↳
|
손자회사 | (비)SK네트웍스서비스(SK네트웍스㈜ 86.50%) | 통신장비수리 | |||||||||||
(비)SK핀크스(SK네트웍스㈜ 100%) | 골프장 운영 | |||||||||||||
(비) SK매직(SK네트웍스㈜ 100%) | 가전제품 제조, 판매 및 렌탈업 | |||||||||||||
↳
|
증손자회사 | (비)SK매직서비스(SK매직㈜ 100%) | 가전제품수리 등 | |||||||||||
손자회사 | (유) SK렌터카(SK네트웍스㈜ 72.95%) | 차량렌탈업 | ||||||||||||
↳
|
증손자회사 | (비)SK렌터카서비스(SK렌터카㈜ 100%) | 사업지원서비스업 | |||||||||||
손자회사 | (비)민팃(SK네트웍스㈜ 76%) | 통신기기 판매업 | ||||||||||||
자회사 | (유) SKC(SK㈜ 40.64%) | 석유화학제조 | ||||||||||||
↳
|
손자회사 | (비)우리화인켐(SKC㈜ 100%) | 화학제품제조 | |||||||||||
(비) SK텔레시스(SKC㈜ 81.4%) | 통신장비 제조 및 판매 | |||||||||||||
↳
|
증손자회사 | (비)SKC인프라서비스(SK텔레시스㈜ 100%) | 전기공사업, 정보통신공사업 | |||||||||||
손자회사 | (비) SKC솔믹스(SKC㈜ 100%) | 반도체 부품제조 | ||||||||||||
(비)SKC에코솔루션즈(SKC㈜ 100%) | 필름 제조 | |||||||||||||
(비)SKC하이테크&마케팅(SKC㈜ 100%) | 필름 제조 | |||||||||||||
(비)SKPIC글로벌(SKC㈜ 51%) | 화학제품 판매 | |||||||||||||
(비)SKCFT홀딩스(SKC㈜ 100%) | 화학제품 판매 | |||||||||||||
↳
|
증손자회사 | (비) SK넥실리스(SKCFT홀딩스㈜ 100%) | 기타 전자부품 제조업 | |||||||||||
공동기업투자 | (비) MCNS(SKC㈜ 50%) | 석유화학계 기초 화학물질 제조업 | ||||||||||||
자회사 | (비)SK E&S(SK㈜ 90%) | 석유화학제조 | ||||||||||||
↳
|
손자회사 | (비) 강원도시가스(SK E&S㈜ 100%) | 도시가스 | |||||||||||
(비)영남에너지서비스(SK E&S㈜ 100%) | 도시가스 | |||||||||||||
(비) 코원에너지서비스(SK E&S㈜ 100%) | 도시가스 | |||||||||||||
(비)나래에너지서비스(SK E&S㈜ 100%) | 집단에너지 | |||||||||||||
(유) 부산도시가스(SK E&S㈜ 67.32%%) | 도시가스 | |||||||||||||
(비)전북에너지서비스(SK E&S㈜ 100%) | 도시가스 | |||||||||||||
(비)전남도시가스(SK E&S㈜ 100%) | 도시가스 | |||||||||||||
(비)충청에너지서비스(SK E&S㈜ 100%) | 도시가스 | |||||||||||||
(비)파주에너지서비스(SK E&S㈜ 51%) | 전력사업 | |||||||||||||
(비)여주에너지서비스(SK E&S㈜ 100%) | 전력사업 | |||||||||||||
(비)신안증도태양광(SK E&S㈜ 100%) | 신재생사업 | |||||||||||||
(비)해쌀태양광(SK E&S㈜ 100%) | 신재생사업 | |||||||||||||
공동기업투자 | (비)보령LNG터미널(SK E&S㈜ 50%) | 연료용 가스 제조 및 배관공급업 | ||||||||||||
자회사 | (비) SK건설(SK㈜ 44.48%) | 건설 | ||||||||||||
↳
|
손자회사 | (비)서수원개발(SK건설㈜ 19.9%) | 부동산개발사업 및 공급업 | |||||||||||
(비)SK TNS(SK건설㈜ 100%) | 건설업 및 서비스업 | |||||||||||||
(비)디에코플랫폼(SK건설㈜ 100%) | 투자업 | |||||||||||||
↳
|
증손자회사 | (비)환경시설관리(디에코플랫폼㈜ 100%) | 하수처리장 운영 | |||||||||||
↳
|
현손자회사 | (비)매립지관리(환경시설관리㈜ 100%) | 투자업 | |||||||||||
(비)서남환경에너지(환경시설관리㈜ 100%) | 폐기물 재활용 | |||||||||||||
(비)호남환경에너지(환경시설관리㈜ 100%) | 폐수 수탁처리업 | |||||||||||||
(비)그린화순(환경시설관리㈜ 100%) | 하수처리장 운영 | |||||||||||||
(비)그린순창(환경시설관리㈜ 100%) | 하수처리장 운영 | |||||||||||||
(비)경산맑은물길(환경시설관리㈜ 65%) | 하수처리장 운영 | |||||||||||||
(비)달성맑은물길(환경시설관리㈜ 70%) | 하수처리장 운영 | |||||||||||||
(비)곡성환경(환경시설관리㈜ 100%) | 하수처리장 운영 | |||||||||||||
(비)환경에너지(환경시설관리㈜ 100%) | 전기발전 및 신재생에너지 발전 | |||||||||||||
↳
|
내손자회사 | (비)충청환경에너지(환경에너지㈜ 100%) | 폐기물 소각 | |||||||||||
(비)경기환경에너지(환경시설관리㈜ 100%) | 폐기물 소각 | |||||||||||||
(비)경북환경에너지(환경시설관리㈜ 100%) | 폐기물 소각 | |||||||||||||
(비)경인환경에너지(환경시설관리㈜ 100%) | 폐기물 소각 | |||||||||||||
자회사 | (코) SK머티리얼즈(SK㈜ 49.10%) | 특수가스 생산 및 판매 | ||||||||||||
↳
|
손자회사 | (비)SK머티리얼즈에어플러스(SK머티리얼즈㈜ 100%) | 산업용 가스 판매 | |||||||||||
(비)SK트리켐(SK머티리얼즈㈜ 65%) | 전구체 및 기타 제품개발 제조 및 판매 | |||||||||||||
(비)SK쇼와덴코(SK머티리얼즈㈜ 51%) | 반도체 및 전자 관련 화학재료 제조, 유통 및 판매 | |||||||||||||
(비)행복동행(SK머티리얼즈㈜ 100%) | 청소용역, 세탁, 서비스업 | |||||||||||||
(비)한유케미칼(SK머티리얼즈㈜ 80%) | 산업용 가스 제조업 | |||||||||||||
(비)SK머티리얼즈퍼포먼스(SK머티리얼즈㈜ 100%) | 반도체 소재 제조 및 판매 | |||||||||||||
(비)SK머티리얼즈제이엔씨(SK머티리얼즈㈜ 100%) |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재 제조 | |||||||||||||
자회사 | (비) SK실트론(SK㈜ 51%) | 전자산업용 규소박판 판매 | ||||||||||||
↳
|
손자회사 | (비)행복채움(SK실트론㈜ 100%) | 서비스 | |||||||||||
자회사 | (유) SK바이오팜(SK㈜ 64.02%) | 의약 및 생명과학 | ||||||||||||
자회사 | (비)SK바이오텍(SK㈜ 100%) | 의약품중간체 제조 | ||||||||||||
자회사 | (비)SK임업(SK㈜ 100%) | 조림 및 조경 | ||||||||||||
자회사 | (비) 휘찬(SK㈜ 100%) | 콘도, 리조트 운영업 | ||||||||||||
자회사 | (비) SK핀크스(SK㈜ 100%) | 골프장 운영 | ||||||||||||
자회사 | (코)에스엠코어(SK㈜ 26.6%) | 기타 물품 취급장비 제조업 | ||||||||||||
※ 틀 편집시 상장사의 경우 분기검토보고서(연결보고서 포함), 반기검토보고서(연결보고서 포함), 사업보고서(연결보고서 포함)을 참조하여주시기 바랍니다. ※ 비상장사의 경우 감사보고서 및 연결감사보고서를 참조하여주시기 바랍니다. (유)유가증권시장 (코)코스닥시장 (넥)코넥스시장 (비)비상장기업 (심)상장 심사기업 |
}}}}}}{{{#!wiki style="margin:0 5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SK디스커버리㈜ 지분도 펼치기 · 접기 ] |
오너 | 최창원 SK디스커버리 부회장 | |||||||||||
구분 | 회사명 | 업종 | ||||||||||||
지주회사 | (유) SK디스커버리㈜ (최창원 외 45.11%) | 지주회사 | ||||||||||||
↳
|
자회사 | (유) SK가스㈜ (SK디스커버리㈜ 69.11%) | 액화석유가스 판매업 | |||||||||||
↳
|
손자회사 | (비)울산GPS(SK가스㈜ 100%) | 복합화력(LNG/LPG)발전사업 | |||||||||||
자회사 | (비) SK플라즈마㈜ (SK디스커버리㈜ 72.1%) | 의약품 제조업 | ||||||||||||
공동기업투자 | (비)휴비스(SK디스커버리㈜ 25.5%) | 석유화학계 기초 화학물질 제조업 | ||||||||||||
(유)SK D&D(SK디스커버리㈜ 29.3%) | 비주거용 건물 개발 및 공급업 | |||||||||||||
(비)당진에코파워(SK디스커버리㈜ 66%) | 태양력 발전업 | |||||||||||||
(비)코리아에너지터미널(SK디스커버리㈜ 47.3%) | 탱크터미널의 건설및운영 | |||||||||||||
(비)빛고을에코에너지(SK디스커버리㈜ 29%) | 연료전지발전소건설및운영 | |||||||||||||
관계기업 | (비)TSK코퍼레이션(SK디스커버리㈜ 4.17%) | 하수 처리업 | ||||||||||||
(비)원일에너지(SK디스커버리㈜ 29%) | LPG충전소 | |||||||||||||
(비)SK어드밴스드(SK디스커버리㈜ 45%) | 석유화학계 기초 화학물질 제조업 | |||||||||||||
(비)그리드위즈(SK디스커버리㈜ 19.95%) | 전력수요관리및서비스 | |||||||||||||
(비)고성그린파워(SK디스커버리㈜ 0.73%) | 화력 발전업 | |||||||||||||
(유) SK케미칼(SK디스커버리㈜ 33.47%) | 합성수지 및 기타 플라스틱 물질 제조업 | |||||||||||||
↳
|
관계기업의 자회사 | (유) SK바이오사이언스(SK케미칼㈜ 68.43%) | 의약품 제조업 | |||||||||||
(비)SK케미칼대정(SK케미칼㈜ 100%) | 유기용매 제조업 | |||||||||||||
※ 틀 편집시 상장사의 경우 분기검토보고서(연결보고서 포함), 반기검토보고서(연결보고서 포함), 사업보고서(연결보고서 포함)을 참조하여주시기 바랍니다. ※ 비상장사의 경우 감사보고서 및 연결감사보고서를 참조하여주시기 바랍니다. (유)유가증권시장 (코)코스닥시장 (넥)코넥스시장 (비)비상장기업 (심)상장 심사기업 |
}}}}}} |
SK주식회사 SK Inc. |
|
|
|
정식 명칭 | 에스케이주식회사 |
영문 명칭 | SK Inc. |
설립일 | 1991년 4월 13일[1] |
업종명 | 지주회사 |
상장유무 | 상장기업 |
기업규모 | 대기업 |
본사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26 ( 서린동) |
대표이사 | 최태원, 장동현, 박성하 |
상장시장 | 유가증권시장 ( 2009년 ~ 현재) |
종목코드 | 034730 |
편입지수 |
코스피지수 KRX100 KOSPI200 |
홈페이지 |
SK주식회사 홀딩스 SK주식회사 C&C |
[clearfix]
1. 개요
SK그룹의 총괄 지주회사. 지주 부문인 SK주식회사 홀딩스와 사업 부문인 SK주식회사 C&C로 구성되어 있다. SK C&C가 존속 법인으로서 기존의 그룹지주사격이었던 (구)SK주식회사를 역으로 흡수 합병하고, 사명을 SK C&C에서 (신)SK주식회사로 변경하면서 출범했다.[2] 지주부문인 SK주식회사 홀딩스는 SK그룹의 지배구조 최상위에 위치하며, SK이노베이션, SK E&S, SK텔레콤, SKC, SK에코플랜트, SK네트웍스[3] 등 311개의 종속회사를 지배하고 있다. 사업부문인 SK주식회사 C&C는 국내 3위의 IT서비스 기업으로, 시스템통합(SI) 및 IT 아웃소싱(Outsourcing) 사업을 영위한다.2. 역사
구 법인은 1962년 설립된 국영기업 대한석유공사를 모태로 했다. 1980년 선경에 인수된 후 1982년 (주)유공, 1997년 SK(주)로 각각 바뀌었다가 2007년 에너지/화학사업부문이 (구)SK에너지로 분할되면서 총괄 지주사가 되었다. 이후 2015년 SK C&C에 역합병될 때 현 사명을 사용했고, 2016년 12월 21일, SK그룹 임원 인사를 단행하면서 전체적인 조직 개편이 함께 이루어졌다. 지주 부문(홀딩스)와 사업 부문(C&C)는 각자대표 체제로 운영된다. 사업 부문의 경우, 2018년에 SK엔카직영 부문을 한앤컴퍼니에 매각했다.3. 지배구조
2019년 6월 기준주주명 | 지분율 |
|
20.66% |
|
18.44% |
|
8.37% |
|
7.27% |
|
2.36% |
|
0.64% |
|
0.26% |
|
0.18% |
|
0.17% |
|
0.14% |
|
0.05% |
|
0.05% |
|
0.01% |
4. 지주 부문
그룹 본사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서린동에 위치한 SK서린빌딩에 위치하고 있다.
1980년 선경에 인수된 이래 지주회사 겸 에너지/화학업체 노릇을 해왔으며 그룹측이 2003년까지 순환출자를 써먹다가, 2003년에 소버린한테 마른 하늘에 날벼락 맞듯 경영권을 빼앗길 위기에 처하게 되자 2007년 에너지/화학부문을 SK에너지로 분리해내고 순수 지주회사로 업종 전환하였다. 이후 지주회사를 만들어놓고 지주회사 위에 SK C&C라는 회사를 하나 더 올려놓았었다. 이는 금산분리에 의해 SK증권 지배에 애로사항이 꽃펴서라고도 하지만 무엇보다도 합병이 되면 최태원 회장의 주식 보유비율이 희석되면서 경영권 방어에 문제가 생겼기 때문이다. 합병을 하기 어려웠던 이유는 다음과 같다.
- SK C&C와 SK가 합병해 버리게 되면 대한민국의 금산분리법에 의해 무조건 SK증권을 매각해야 하는 문제가 생긴다. SK그룹 입장에서는 SK증권을 계속 가지려 하고 있고.
- SK증권은 둘째 치더라도 SK C&C와 지주회사 SK가 합병하게 되면 오너 일가의 지분율이 반토막 가까이 나면서 경영권 방어에 적색경보가 발령된다. 만약 SK C&C가 지주회사 SK를 압도할 정도로 시총이 커지면서 SK C&C의 전체 자본에서 SK주식 가치 : SK C&C 순수 사업자본(총자본-SK주식 보유분)의 비에서 순수사업자본이 우위에 있는 시점에 합병을 한다면 모르겠지만 그렇지 않은 시점의 합병은 다른 재벌은 물론 외국계 자본에게 '나 좀 잡아 먹어주쇼'라고 광고하는 자살행위이기에 합병을 추진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 가장 큰 문제는 최태원 회장의 개인 부채다. 최태원 회장이 소버린 사태 때 경영권을 방어하느라 엄청난 자금을 금융권에서 융통하여 SK C&C 주식을 마련한 탓에 개인 부채가 천문학적인 규모[11]라 매년 나오는 배당금과 연봉의 대부분을 채무 변제에 투입하고 있다고 한다. 게다가 2011년경에 있었던 선물투자 사건 때문에 회사에 입힌 손실을 배상하느라 SK C&C 주식의 4.9퍼센트인 245만 주를 매각하면서 지분율이 더 낮아졌다. 만약 합병을 하게 되면 지주회사 특성 상 배당금이 적기 때문에 지금처럼 SK C&C에서 받는 만큼의 배당금은 그 날로 끝이다. 따라서 이것도 합병을 안 하는 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2015년 4월 20일에 SK와 SK C&C의 합병이 결의되었다. SK C&C도 삼성그룹의 제일모직처럼 시가총액만 높을 뿐이지 자산 가치는 주식회사 SK보다 훨씬 떨어졌지만, 제일모직과 삼성물산처럼 1 : 0.35 라는 얼토당토 않은 합병 비율이 아니라 1 : 0.74 라는 충분히 납득이 되는 합병 비율을 제시했기 때문에 합병이 순조롭게 이루어졌다. 합병으로 인해 SK증권 지분 10%를 2년 내에 매각해야 하는 사태가 재발하였다. 결국 SK주식회사가 J&W파트너스에 SK증권의 지분을 매각하면서 SK증권은 SK그룹에서 제외되었다.
5. 사업 부문
SK주식회사 C&C의 본사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성남대로343번길 9 (정자동 25-1) SK U-Tower[12]에 위치해 있으며, 판교신도시에도 사옥[13]를 보유하고 있다.
사업부의 모태는 3개로 나뉘는데, 첫 번째는 1990년 유공 정보통신부문이 독립한 'YC&C', 둘째는 같은 해 미국 CSC와 합작해 세운 '선경정보시스템', 셋째는 1991년 설립된 '선경텔레콤'이며 1992년 사명을 '대한텔레콤'으로 변경 후 제2이동통신 사업권을 따내려 했으나 실패했다. 1996년 YC&C가 선경정보시스템을 합병해 'SK컴퓨터통신'으로 바꿨다가 1998년 대한텔레콤에 역합병되어 'SK C&C'로 출범했고, 2013년 엔카네트워크를 합쳤다가 이듬해 'SK엔카닷컴'으로 재분사한 후, 2015년 (구)SK주식회사를 역합병해 C&C사업부로 개편했다.
2003년부터 내비게이션 시장을 양분하던 유명 내비게이션 맵 현대오토에버 맵피의 소프트웨어 개발 부분을 담당하여 공급(스카이 나비)해왔으나 2010년 결별하게 되었다. 그 후 오토아이시스템 로디맵의 소프트웨어를 공급하였으나 오토아이시스템의 경영악화로 2014년 단종되었다.
현재는 국내 최대 규모의 데이터 센터, 365일 상시 운영되고 있는 통합 고객 지원센터 운영 및 Global 수준의 IT 아웃소싱 서비스까지 제공하고 있다. 2018년 기준, 국내 IT서비스 업체 중 매출 순위로는 3위. 1위 삼성SDS, 2위 LG CNS와 더불어 SI Big 3로 불린다.
아래는 대표적인 제품 목록이다.
- 대표 브랜드
- 개발 솔루션/서비스 제품군
자세한 내용은 공식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1]
SK그룹이 아닌 SK C&C의 법인등록일이다.
[2]
따라서 해산법인 (구)SK주식회사(유공)의 설립일 1962년이 아닌 존속법인 SK C&C의 설립일 1991년이 법인등록일이다.
[3]
그룹의 모태가 되는 선경직물(est. 1953)의 법인체를 물려받음.
[4]
최태원 동생.
[5]
최태원 동생.
[6]
최신원 아들.
[7]
최신원 딸.
[8]
최신원 딸.
[9]
최종건의 손녀.
[10]
최종건의 손녀.
[11]
최소 수천억 원에서 최대 1조 원 이상이라고 한다.
[12]
SK하이닉스, SK인포섹, FSK L&S 등의 그룹 계열사들의 일부 부서가 함께 입주해있다.
[13]
SK주식회사 C&C 판교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