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19-10-30 07:36:49

보컬 순위



1. 개요2. 유래
2.1. 어원2.2. 동아시아에서의 의미 변화2.3. 발음 및 표기
3. 한국 아이돌4. 문제점5. 아이돌 목록6. 가상매체에서의 아이돌7. 관련 문서

1. 개요

Idol

10대 혹은 20대를 대상으로 높은 인기를 얻는 연예인. 주로 가수를 가리킨다.

2. 유래

2.1. 어원

아이돌(Idol)의 기본적인 의미는 우상(偶像), 즉 우상적인 존재라는 뜻이고, 여기에서 의미가 확장되어 '매우 인기 있는 사람'이라는 뜻도 있다. 영단어 idol의 어원은 고전 그리스어 유령, 형상을 뜻하는 εἴδωλον이고, 라틴어 단어 idola로 변형되어서 최종적으로 idol로 변천되었으며 역사적으로도 중요한 단어로서 십계명에서 말하는 " 우상숭배하지 말라."로 자주 언급된다. 또한 동로마 황제의 성상파괴운동 및 교회의 동서 대분열의 단초가 되기도 했다.

이 우상(idol)이란 단어가 원래의 종교적 의미가 아닌 대중문화계의 스타에게도 쓰이게 된 건 1940년대 미국 영화배우 겸 가수 프랭크 시나트라가 당시 청소년들에게 받았던 하늘을 찌를 듯한 인기를 표현하기 위해서였다. 전성기 프랭크 시나트라가 받았던 마치 종교의 대접을 받는 듯 할 정도로 숭배적이고 열광적인 인기를 묘사하기 위해 ' 여학생들의 우상(the idol of the bobby soxers)[1]'이라는 표현을 언론이 쓴 것이 청소년들의 스타라는 의미로 idol이란 단어가 사용된 첫 사례가 된다.

다만 지금은 영어권에서 유래한 개념임에도 미국, 영국 등 서구의 대중문화에서 idol이란 말은 별로 쓰이지 않는다. 10대의 우상이란 뜻인 '틴 아이돌(teen idol)'이란 단어는 종종 쓰이고 있지만 이것도 동아시아에 쓰는 것 만큼 많이 쓰이진 않으며 한국에서 아이돌이란 단어 대신 걸그룹, 보이그룹이란 단어도 많이 쓰듯이 춤과 노래를 겸하는 그룹이든 악기를 연주하는 그룹이든 관계 없이 걸밴드, 보이밴드 하는 식으로 band라는 단어를 쓴다.

2.2. 동아시아에서의 의미 변화

베일에 싸인 스타의 신비주의를 보기만 하는 것도 지친다. 팬들은 멀리 떨어진 별이 아니라 손에 잡히는 예쁜 돌을 바란다.
그렇게 등장한다.
외모는 팝스타처럼 아름다운 데다, 노래하고 춤도 추며, 믿을 수 없을 만큼 투철한 팬서비스 정신을 갖춘 뮤지션.
아이돌.
그룹을 상징하는 각양각색의 형광봉을 든 팬들이 이전 시대의 관객들을 몰아낸다. 마치 군대 혹은 광신도를 연상시키는 열렬한 환호가 아이돌을 천상의 별로 박아 넣는다.
그러나 아이돌은 하늘에 있지 않다.
그 신적인 아우라에도 불구하고 언제나 스스로를 낮추며 팬에게 사랑을 속삭인다. 비록 그것이 거짓일지라도, 팬들은 그들을 사랑할 수밖에 없다.
자본과 산업이 탄생시킨, 모두가 바라는 만인의 연인. 인간이 가질 수 있는 모든 욕망과 소망을 쑤셔 박은 우상.
후회 안 하는 프로듀서』 895화

상술했듯 가수, 배우, 연예인 등 선망의 대상을 가리키는 의미의 아이돌 개념 자체는 서양에서 유래하였으나 현재 대중음악계에서 통용되는 의미의 아이돌은 동아시아에서 일부 변화를 맞이하고 발전했으며 첫 시작은 일본 아이돌에서부터였다. 기업의 철저한 기획하에 만들어진 우상, 과거와 달리 친근함과 팬서비스 정신으로 승부하는 연예인이 탄생한 것이다.

일본에서는 1960년대부터 초기 아이돌 산업이 등장했고 70~80년대 공중파 방송을 통해 대중문화의 일부가 되면서 아이돌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특히 80년대는 일본 아이돌 산업의 황금기로 불리며 이들은 각종 상업적 수요 해소를 위해 공중파 드라마, 광고 등 종합 엔터테인먼트 분야로 진출하게 된다. 이후 주변 동아시아 국가에서도 이러한 사업 방식을 참고하여 아이돌 산업에 뛰어들며 한국 아이돌, 중국 아이돌 등이 발생했고 음악, 댄스, 스타일링 등의 세부적인 사항과는 별개로 이들의 사업상, 마케팅상 초기 롤모델은 당시 선두주자였던 일본의 사례를 자주 참고하였다.[2]

국내에서는 80년대부터 인기 댄스 그룹, 하이틴 스타, 틴 아이돌 스타( 뉴 키즈 온 더 블록, 듀란 듀란, H.O.T., 전영록 등) 등이 잡지 면을 장식했고 아이돌 가수라 불리었으나, 2000년초(인터넷이 활성화되는 시점)부터 10대들에게 인기를 얻는 가수를 지칭하는 단독 용어로 기사, 기사 문구에 다량으로 쓰이게 되며 청소년에게 인기를 끌만한 그룹들이 대거 등장하면서 이들을 짧게 줄여서 부르는 경향이나 젊은이들에게 인기 얻는 그룹들을 아이돌이라고 부르면서 국내에도 현재와 같은 용어가 정착되었다.

그러므로 동아시아의 대중문화에 대해 잘 모르는 영미권 사람들에게 "저 가수는 아이돌이다"라고 말한다면 잘 이해를 못하고 "가수가 종교적인 우상이라고?" 하며 어리둥절해 할 가능성도 있다. 그러나 이건 좀 고지식한 사람의 경우이고, 애초에 영어에서도 idol이 종교적 우상이란 뜻 뿐 아니라 인기있는 사람이란 뜻도 되기 때문에 '인기 있는 가수'라는 의미구나 라고 이해할 수 있겠고, 더 나아가 영미권 대중문화계에서도 동아시아보다 적게 사용할 뿐이지 'teen idol'이란 단어 사례에서 보듯 아이돌이란 말을 아예 안 쓰는건 아니기 때문에 여기서 유추해서 눈치빠른 사람은 '10대에게 인기있는 가수구나' 라고 대충 파악하긴 할 것이다. 비록 한국에서 아이돌 가수 하면 떠올리는 정형화된 이미지와 의미까지 자세히 알지는 못할 수도 있겠지만 말이다. 물론 외국인이라도 한국에서 거주하거나 동양의 대중문화와 용어에 대해 익숙한 한류 팬이라면 여기서 말하는 아이돌이란 뜻을 좀 더 구체적으로 알 수도 있다.

빠르게 변화하고 유행하는 대중문화 용어이기 때문에 언제 어떻게 발생했느냐에 따라 받아들여지는 의미가 조금씩 달라지기도 한다. 한국의 경우 아이돌의 첫 단추였던 서태지와 아이들은 당시 아이돌이라 칭하지 않고 우상이라 불렸다. H.O.T.가 대중가요계를 강타하면서 한국의 1020 대상의 젊고 예쁘고 잘생긴 '아이돌' 개념이 정의내려지게 되었다. 그리고 SM DSP 동서 대분열이 이루어졌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

그렇기 때문에 동아시아 문화권이라도 한국, 중국, 일본에서 아이돌의 의미는 조금씩 다르다. 한국에서 아이돌은 '거대 연예기획사가 기획하고 무대나 음악 방송 등에서 여러 명이 노래하고 춤추는 어린 가수 혹은 배우의 개념이다. 중국에서는 어우샹(偶像, 우상)이라 번역하고 의미는 '청춘 스타'에 가까우며, 가수든 배우든 모델이든 '젊은' 연예인이면 어우샹이 되며 그나마 가장 원래의미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일본에서 아이돌은 가수나 배우라기 보단 종합적인 엔터테이너에 훨씬 가까우며, 일본 대중문화계는 크게 아이돌vs아티스트로 구분하는 경향이 한국보다 짙다. 일본 방송가에서는 보아도 아티스트로 나온다.

그래서 이 문서에서 설명하는 '아이돌'은 주로 동아시아 관점에서 서술되어 있다. 아이돌이란 단어와 개념은 원래 영어에서 유래하긴 했지만 동시에 다소 현지화 된 콩글리시 내지 재플리시로서의 뜻 또한 포함하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

2.3. 발음 및 표기

영어 발음은 /ˈaɪd(ə)l/로, 굳이 따지자면 아이'들'에 가깝다. '게으른'이란 뜻의 영단어 Idle과 발음이 같다. 즉 idol과 idle은 동음이의어이다. 그래서 외래어 표기법에 의하면 '아이들'로 표기해야 하며, 실제로 1990년대, 2000년대에 일부 언론이 표기법을 지킨답시고 '아이들'이라고 표기했다가 실제 발음을 모르는 사람들로부터 한국어 단어와 영단어를 혼동하는 기자라고 핀잔을 들었던 사례가 있다.

위에 상술되었다시피 한국에서 쓰는 '아이돌'이란 단어는 영단어 idol과는 의미와 용법이 많이 달라져서 사실상 영어단어라기 보단 신조어 내지 한국화된 외래어로 정착해버린 지 오래이기 때문에 영어단어 표기법과는 무관하게 되어버렸다. 국립국어원에서도 관용적 표기를 인정하는 등 비교적 포기 상태이며 사실상 영어가 아니라 새로 만들어진 한국어 단어인 거나 마찬가지라서 아예 다른 단어로 대체되지 않는 한에는 표기가 변하기는 힘들 것이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동아시아 등지에서 일부 새 의미를 부여받은 단어이기 때문에 해당 의미로 쓸 때는 아예 변형된 발음으로 쓰기도 한다. 원래 영어 단어 애니메이션(animation)을 가져와 사용하던 일본이 일본 애니메이션(アニメーション)으로 유명해지자 영미권에서 이를 따로 anime(アニメ)라고 부르는 것처럼 일본 아이돌을 한정해서 말하기 위해 민간에서는 aidoru(アイドル)라고 쓰는 경우도 드물게 존재한다. 그러나 언론 등 공식 번역에서는 당연히 원래 단어인 idol을 사용한다.

3. 한국 아이돌

본인들이 소속된 연예 기획사의 요청대로 노래와 무용, 연기 등을 하게 된다. 화려함을 중시, 극대화하는 마케팅 전략을 가진다. 음악계에 종사하는 여타 아티스트들이 자신이 갈고 닦은 음악성을 회사가 사가는 형태라면, 아이돌의 경우 회사가 정해놓은 음악성에 부합할 수 있는 인재를 오디션을 통해 선출한 뒤 그 수준까지 키워내는 형태다. 한마디로 ' 상품'. '인기가 있는 사람을 연예인으로 만든다'가 아닌 '연예인을 만들어 인기를 얻는다'는 구조가 특징이며, 예컨대 노래를 잘 한다면 기획사가 거기에 맞춰서 '노래 잘하는 우상'을 연기[3]하게 되는 식이다. 다르게 표현하면 취미로 하다가 스타가 되는 것이다.

한국에서는 음악 활동의 비중이 주라고 여겨지는 편이나 아이돌은 복합 엔터테이너다.

희곡 파우스트에서, 재능을 갖춘 주인공이 자신과는 대척적 자산을 보유한 청년에게 건네는 메피스토펠레스의 제안은 현실 그 자체다.
넌 잘생겼어. 잡지에 나오는 너희들의 우상들처럼 말이야. 난 널 그렇게 만들어줄 수 있어. 네가 원하기만 한다면 말이지.
메피스토펠레스
부와 명예를 거부할 아티스트가 세상에 얼마나 될까. 이후의 전개는 그야말로 전형적이다. 노래와 춤은 물론이고, 매너와 에티켓까지 주입하여 완전히 새로운 페르소나로 거듭나도록 만드는 일. 그것은 작품의 창작 과정이라기보다는 예술성 작품이었고, 예술적 혼합이다. 그 속에서 직능별 전문가들의 역할이 다시금 중요해졌다.

일반적인 배우, 가수는 그 연예인과 엔터테이먼트 사장님들이 평가하는 음악과 춤으로 대중들에게 보여준다.
그렉 쇼는 "압도적인 수준이라고 할 정도로, 틴 아이돌의 시대였던 1959년부터 1963년 사이의 기간에, 본래는 밴드라는 이름이었으나 앞에 (보이)BOY가 붙음으로써 보이밴드 이다"라고 정의했다. 이미 이름조차 잊혀진 50~60년대의 단발 가수들과 70년대의 레이프 개릿(Leif Garrett)을 위시한 외모 위주의 틴 아이돌들로 인해 문제가 엄청나게 확산된 지 오래였다.

아이돌의 시초는 83년 데뷔한 뉴에디션이라는 6인조 보이그룹이다. 토끼춤으로 일세를 풍미했던 바비 브라운이 바로 여기 멤버로 활동했다.

이 뉴에디션을 기획한 모리스 스타라는 흑인 프로듀서가 뉴에디션의 백인 버전으로 좀 더 구매력 있는 백인 중산층의 10대를 타깃으로 하여 1984년에 내놓은 게 바로 ' 뉴 키즈 온 더 블록(New Kids on the Block)'이다. 조던 나이트, 조너선 나이트(이 둘은 형제), 도니 월버그, 조지프 맥킨타이어, 대니 우드로 구성된 5인조며 이 뉴에디션과 뉴 키즈 온 더 블록이 현재는 아이돌의 일반적인 형태가 된 아이돌의 제 1세대이자 원조이다. 뉴 키즈 온 더 블록은 국내 콘서트 내한공연 때에 한 명이 사고로 사망한 사례가 있을 정도로 굉장히 인기있었다. 물론 아무리 인기가 있더라도 사고 자체는 정원 이상의 관객을 무리하게 받아들인 것이 원인이었다.

이 팀 이전에도 보이밴드는 존재했으나, 뉴 키즈 온 더 블록은 엄청난 인기를 몰아쳤고 전 세계에 아이돌 보이그룹의 열풍을 확산시켰다. 이 광풍 이후에 또 다른 팀이 만들어 졌다. 이전과 달리 전혀 인기가 없어서 모리스 스타는 엔터테이먼트을 그만두게 되었다. 그리고 그 자리는 냉큼 백스트리트 보이즈가 채갔다.

뉴키즈의 초기모습- ( 노래, , 구사가능, 외모 중요, 개성은 필수!) 이와 같은 오디션 문구로 뉴키즈의 역사는 시작되었는데. 초기에 결성한 그룹은 나이누크(NYNUK)라는 그룹으로 학교나 이벤트성 행사 등에 활동하였다. 최종 5인조로 최종 선발되어서 본격적인 활동을 하게 된다. 이 당시 뉴키즈는 미국에서 심지어 OVA까지 나올 정도였다.

국내에서는 1995년 설립된 SM엔터테인먼트 이수만 사장이 이러한 사람들의 우상으로 H.O.T.를 성공시킨 것을 시발점으로 대한민국에서도 이와 같은 시스템이 널리 자리잡게 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그럭저럭 아이돌이면 대중적인 인지도도 있다고 봐도 되지만, 일본에서는 아이돌 데뷔가 스타가 되기 위한 여정의 시작으로 받아들여져서 어린나이에 데뷔 후 끊임 없이 노력해야 20대 중반에 스타가 될 수 있다. 그룹도 워낙 많고 졸업한 사람도 있어서 한 그룹이 유명하다고 해서 거기 속한 개인이 유명한 것도 아니고 그 반대도 아니다. 그래서 무명일때부터 지켜보며 마치 부모같은 스타들에게 주목하는 팬들이 많은 편이다.

4. 문제점

시간이 곧 생명이다. 공백기 없이 빡빡하게 움직여야 인기를 유지할 수 있다. 같은 가수라고 해도 아이돌은 뮤지션과는 다른 것이다. 일례로 아이돌인 TWICE와 록밴드 뮤지션인 라 오레하 데 반 고흐는 구조부터가 아예 다르기 때문에 TWICE는 꾸준히 활동하고 음반도 꾸준히 내줘야 하는 반면 라 오레하 데 반 고흐는 음반 하나로 2~3년 동안 활약하는 게 정석이다.

그렇기 때문에 공백기를 줄이기 위해 음반 하나를 내면 그 음반의 인기가 식어갈 무렵이 언제인지를 계산해서 그 시기가 도달하기 직전 정도에 새 음반을 내야 하며 활동 역시 최대한 왕성하게 해야 한다. 이 때문에 데뷔 초반에는 이름을 알리기 위해서 닥치는 대로 투입된다. 이런 이유로 인해 아이돌은 다른 가수들에 비해 음반을 내는 주기가 짧으며 같은 기간동안 활동하면서 내는 음반의 수는 다른 가수들보다 훨씬 많다. 솔로 가수들도 주로 음반을 1년~2년 간격으로 하나씩 내는 반면 어지간한 아이돌들은 1년이면 2~3개 정도의 음반을 낸다.[4]

노래의 질적 수준에만 집중하는 가수 뮤지션과는 달리 아이돌은 멤버의 외모관리에도 신경을 써야만 하기 때문에 이름을 알리면서도 외모에 최대한 투자를 한다. 일단 멤버들의 얼굴이 팬들의 마음에 들어야 하고 그러고 나서 노래가 좋아야 한다.[5] 게다가 이 '외모'에서도 키도 중요한데 걸그룹은 150대 후반 ~ 170대 초반에 거의 다 몰려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155cm 미만이거나 175cm를 초과하면 아이돌을 하기 많이 힘들어진다. 가장 많이 보이는 키는 160대 중후반. 보이그룹은 170대 중반 ~ 180대 초중반에 거의 다 몰려있다.[6] 180cm 전후인 경우가 가장 흔하며, 170cm 미만이거나 190cm를 초과하면 아이돌을 하기 많이 힘들어진다.[7] 키가 지나치게 작거나 크면 안 된다. 걸그룹의 경우 나인뮤지스 이유애린, 이샘, 여자친구 출신 소원 혹은 IVE 장원영 그리고 EVERGLOW 아샤보다 큰 멤버가 드물고[8] 보이그룹의 경우 세븐틴 우지보다 작은 멤버가 드물다.

요약하자면 뛰어난 비주얼을 요구하는 것이 아이돌이며 아이돌은 활동 기간이 뮤지션보다 훨씬 짧다는 것이다. 즉, 활동이 짧고 굵다.

직업 수명이 상당히 짧다. 젊고, 건강하고, 미모가 빛나는 20대가 끝나는 순간 아이돌로서는 직업 생명을 잃는다. 20대가 끝나기 전에 모든 역량을 보여줘야 하는 직업. 비주류 인디밴드가 아닌 이상 30살만 지나면 바로 퇴물 취급받는다.[9]또한 트렌드 그 자체인 직업이라 활동기간도 아무리 길어봐야 10년이 될까말까 하며, 1~2년 유행한 뒤 대중의 관심이 사라져서 은퇴하는 경우도 부지기수다. 안정성과는 상당히 거리가 있는 직업. 이 때문에 아이돌 7년 징크스라는 것도 있다. 대부분의 아이돌 그룹이 7년차를 넘기지 못하고 해체된다는 것이다. 과거 80~90년대 시절 20대 초중반에 데뷔하는 게 일반적이었던 솔로 가수[10]나 1세대 아이돌과는 달리 2~3세대 아이돌은 10대 중반부터, 어쩌면 초등학생이나 유치원생 때부터 연습생 생활해서 10대 중후반이나 20대 초에 데뷔하여 서른이 지나자마자 사라지는 게 아이돌의 수명이다.[11][12] 때문에 과로는 기본으로 깔고 들어가고 철저히 '소비되기 위해' 활동하므로 개개인의 권리나 자율이 보장받기 힘든 편이다. 아이돌의 1주일 스케쥴

하지만 최근에는 20대 초반만 되어도 아이돌 데뷔를 하기에는 늦은 나이라는 소리를 듣는 추세이다. 2002~2003년생이 2022~2023년 기준으로 아이돌 연습생을 준비하거나 데뷔를 하기에는 늦은 나이라는 소리를 듣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13] 게다가 오직 아이돌에만 전념하기 위해 의무교육을 무시하고 다니던 중학교 고등학교 자퇴하고 오직 아이돌만 들고 파는 인원들이 생겨나는 추세이다.[14] 물론 "학업은 스타덤에 오르고 나서 검정고시"로 하고 잠시 미뤄둔다. 예외 사례가 딱 2번 나왔는데 god의 32살 박준형(1969년생)과 애프터스쿨의 29살 가희(1980년생)이다.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는, 아이돌이라는 시스템 자체가 소비되기 위해 연출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유행이 지나면 옷이 버려지고, 물건이 낡으면 새 것으로 구매해 교체하듯이 자본주의 시장 경제의 원리가 그대로 적용된다. 아이돌에 '세대' 가 존재하는 것도 그런 연유이다. 단적으로 비교해보면, 클래식 음악이 현재에도 공연이 이루어지고 여러 연주자의 음원이 팔리고 있는 것은 단순히 소비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예술성을 추구했기 때문이고 따라서 '작품'의 개념으로 계승되고 있는 것이다. 반면 아이돌은 필연적으로 그렇지 않을 수밖에 없고 뮤지션(전문적인 음악가)이라기보다는 하나의 기획된 스타로 보아야 한다.

아이돌이 되기 위해 준비하는 연습생 기간도 긴 편이다. 몇 년간 뼈를 깎는 수행 끝에[15] 겨우 데뷔한 케이스도 흔하다. 모든 연예계 직업이 그렇듯이 스포트라이트에 비춰진 모습만을 보고 아이돌이란 직업을 판단하면 절대로 안된다. 스포트라이트에 비춰지는 몇 분 혹은 몇 시간을 위해 그 외의 시간들을 전부 투자하는 직업이다. 또한 비춰진 사람을 제외한 '안 비춰진' 사람들이 압도적으로 많은 직업이다. 아이돌의 데뷔 비율은 지망생 대비 0.1%정도로 추산되고 있으며, 이는 아이돌 지망생이 약 100만 명이고 한 해에 데뷔한 아이돌의 인원이 약 1000명이기 때문이다. 즉 경쟁률이 1000:1인 회사에 채용되기 위해 입사 지원서를 넣는 셈이다. 그 비율을 뚫을 확실한 무기가 없다면 진지하게 심사숙고해야 한다.

아이돌은 덕분에 먹고 사는 직업이다. 다만 아이돌은 팬들의 호응과 매력 어필을 위해 사랑 노래를 자주 부르는 편인데, 여기에 과몰입해서 비뚤어진 팬심을 보이는 팬들도 생긴다. 팬들의 나잇대가 어릴수록 더 그렇다.[16] 아이돌의 패러다임이 바뀌지 않는 한 아이돌들이 짊어져야 할 십자가인 셈이며 아이돌 중에는 혼성 그룹이 적고, 갈수록 수가 줄어들고 있는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또한 연예계 업종이 다 그렇듯, 스타가 되었다가 은퇴하게 되면 탈력감 및 평범한 일상의 괴리감을 겪기 쉽다. 특히 한 순간에 스타가 되었다가 순식간에 잊혀지는 직업이므로 더욱.

보통 국내 아이돌들은 평균적으로 얼마 만큼의 수익을 버는가?

5. 아이돌 목록

5.1. 대한민국 아이돌


5.2. 일본 아이돌


5.3. 중화권 아이돌

5.4. 동남아시아 아이돌

  • SGO48 - 베트남 호치민을 중심으로 하는 아이돌
  • CGM48 - 태국 치앙마이를 중심으로 하는 아이돌
  • BNK48 - 태국 방콕을 중심으로 하는 아이돌
  • MNL48 - 필리핀 마닐라를 중심으로 하는 아이돌
  • 9x9(9by9) ( 나인바이나인)- 2018년 2월에 데뷔해 2019년 3월 9일에 해체한 태국의 프로젝트 9인조 댄스 보이그룹
  • Alamat (알라맛) - 2021년 2월 데뷔한 필리핀의 6인조 보이그룹
  • HORI7ON(호라이즌)- MLD엔터테인먼트 필리핀 현지화 7인조 보이그룹.서바이벌 프로그램 드림메이커로 만들어졌다.
  • SBFIVE(에스비파이브) - 태국의 5인조 댄스 보이그룹 이며 한국 팬미팅을 한 적이 있다.
  • TEMPT(템트) - 태국의 4인조 아이돌 남성 밴드그룹. 한국 팬미팅을 한 적이 있다.
  • TRINITY(트리니티) - 태국의 3인조 댄스 보이그룹. 나인바이나인 멤버 출신인 세 명이 멤버다.초창기에는 4인조였으나 리더인 제임스(티라돈 수파퍼핀요)가 탈퇴하였다.
  • Hi-U(하이유) - 태국의 3인조 댄스 걸그룹.
  • V.R.P (브이알피 )- 태국의 3인조 댄스 보이그룹. 2017년부터 해체 상태
  • K-OTIC(케이오틱) - 태국의 보이그룹. 특이하게 한국인, 일본인 멤버가 있었던 그룹이며, 2012년부터 해체상태
  • LAZ1(라즈원)- 태국의 보이그룹,서바이벌 프로그램 LAZ iCON의 데뷔조이다.
  • LYKN(라이켄)-태국의 보이그룹, 서바이벌 프로그램 Project Alpha(프로젝트 알파)로 만들어진 정규 그룹.
  • ATLAS(아틀라스)-태국의 보이그룹.
  • DVI(디브이아이)-태국의 보이그룹. TRINITY(트리니티)의 직속 후배이다.
  • bXd(비엑스디)-태국의 걸그룹.포놀로그의 첫 걸그룹이자 TRINITY(트리니티)의 직속 후배이다.
  • FLI:P(플립)-태국의 혼성그룹. Z-GIRLS 1기 멤버 출신 이 멤버로 있으며 3인조이다.
  • 4EVE(포이브)-태국의 7인조 걸그룹. 예능 전문 채널 '워크포인트 TV'의 걸그룹 서바이벌 프로그램로 만들어진 그룹.

5.5. 인도네시아 아이돌

아시아에서 한국, 일본 말고도 아이돌 산업이 흥한 나라가 바로 인도네시아다. 예전부터 동남아에서 태국과 함께 대중음악 산업이 발전한 나라인데 2010년대에 들어서 인도네시아에 아이돌이 생겨나고 있고 하나의 산업으로까지 발전 중이다.

이미지와 스타일은 일본식 '귀여움'보다는 한국식 '멋짐'에 가까우며 K-POP의 영향이 크게 느껴지는 팀들이 많다. 아직 초창기라 뭔가 풋풋하고 촌스러운 부분이 많지만 차츰 정교한 시스템( 연습생, 마케팅, 이미지 전략 등)을 갖춰가는 상태로 보인다. 생각 외로 많은 아이돌 그룹이 다양한 컨셉으로 경쟁하는 중이다. 일본의 AKB48 소속사에서 같은 컨셉의 현지화 버전으로 만든 그룹이 인도네시아의 JKT48이다.

대표적인 그룹으로 Cherry Belle, JKT48, S.O.S, Super Girlies, 7 Icons, BE5T, BLINK, 6STARZ 등이 있다. 모두 여성 아이돌 그룹인데 인도네시아에서는 보통 걸 밴드라 부른다고.[19] 물론 S4 등의 남성 아이돌 그룹도 많다.

김정남 피살 사건의 피의자 2명도 한 때 인도네시아에서 아이돌 지망생을 한 적이 있다.

5.6. 남아시아 아이돌

5.7. 인도 아이돌

  • DEL48 - 뉴델리를 중심으로 하는 아이돌
  • MUB48 - 뭄바이를 중심으로 하는 아이돌

5.8. 러시아 중앙아시아 아이돌

5.8.1. 러시아

5.8.2. 카자흐스탄

  • Ninety One - 2015년 데뷔한 중앙아시아 최초의 아이돌. 구소련권 일대에 한국식 팬덤을 최초로 도입하며 음악산업의 판도를 뒤바꿨다.
  • Mad Men
  • JUZIM[20]
  • Crystalz[21]
  • Ayanat
  • Ziruza - 솔로가수이다. 본명은 지루자 타스마감베토바(Ziruza Tasmagambetova).
  • ALBA - 솔로가수이다. 본명은 알비나 나자르바예바(Albina Nazarvayeva).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 초대 대통령의 조카로 잘 알려져 있다.
  • Malika Yes - 솔로가수이다. 본명은 말리카 예스무한베토바(Malika Yesmukhanbetova).
  • DNA
  • IMZ1

5.8.3. 키르기스스탄

  • BirAi
  • Love IZ

5.9. 중동 아이돌

5.10. 서양 아이돌

  • 프랭크 시나트라 - 1940년대에 '여학생들의 우상'(the idol of the bobby soxers)이라는 별명이 붙음으로써 대중문화계에서 최초로 '아이돌'이라는 명칭이 붙여진 연예인이 되었다. 작은 체구에 귀여운 얼굴로 10대 소녀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던 가수. 스탠다드 팝의 왕으로 군림해서 40-50년대 초반 최전성기 이후에도 총 합산 1,000여곡 56장의 정규 음반을 남겼고 영화배우로서도 인기를 누리며 활발히 활동했다. 1998년 사망했다.
  • YE-YE GIRL - 순진하면서도 순수한 사랑과 실연의 아픔을 주로 노래하는 20대 미만의 어린 가수들로 여성 아이돌 가수의 원조격이라 할 수 있다. 유명한 가수로는 YE-YE 4대 디바라고 한다면 프랑스 갈, 실비 바르탕, 상탈 고야, 프랑수아즈 아르디 정도가 있다. 그 외 칸초네 가수들이 있겠다. 이 중 아르디는 이미 60년대 중반부터 예예걸을 벗어나 아티스트의 길을 걸었다. 일본 아이돌들의 에티튜트와 컨셉에 가장 큰 영향을 준 가수들이다.
  • 엘비스 프레슬리 - 50년대 중후반 로큰롤 열풍을 일으키며 영미권 음악계의 판도를 바꿔버린 주인공. 지금은 단순한 아이돌이 아닌 대중음악 역사에 한 획을 그은 중요한 아이콘으로 인정받지만 전성기였던 50 - 60년대 당시엔 10 - 20대에게 열광받는 아이돌과 같은 포지션 또한 갖추고 있었다.
  • 비틀즈 - 정확히는 please please me ~ Help! 까지의 비틀즈가 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그 당시 순회공연마다 엄청난 소녀팬들을 몰고 다녔다. 이런 굉장한 인기는 ' 비틀매니아'라는 용어까지 탄생시켰다. 이후 영, 미 록계에서 엄청 유행하게 되는 그루피족의 시초라고도 할 수 있는 사생팬들도 많았는데 애비 로드 수록곡 중 'She Came In Through The Bathroom Window'라는 곡이 그와 관련된 일화를 다룬 곡이다. 이 곡의 작곡 계기는 사생팬이 화장실 창문을 뚫고 폴 매카트니의 집에서 물건을 훔쳐가던 일 때문이었다고 한다. 비틀즈 해체 후 조지 해리슨은 이런 모여 있던 팬들을 위해서 'Apple Scruffs[22]'라는 곡을 만들기도 했다. 로버트 저메키스의 장편 데뷔작인 I Wanna Hold Your Hand (1978)(토요명화 제목은 비틀즈 대소동)을 봐도 이 시절 팬들의 적극성이 장난아님을 보여준다. 영화에서 비틀즈 집 벽지라든지, 그들이 서 있다는 이유만으로 카펫을 뜯어가는데 이게 실화를 모티브로 묘사한 거다.
  • 비치 보이스 - 비치 보이스도 1965년경까지는 아이돌 스타적인 면모가 강했다. 당시 비치 보이스의 공연 실황 영상을 보면 소녀팬들의 괴성과 몸부림이 장난아니다.
  • 롤링 스톤즈 - 오늘날 아이돌 하면 떠오르는 전형적인 이미지와는 거리가 있어보이지만, 어쨌든 롤링 스톤즈 역시 적지 않은 소녀팬들의 광적인 추종과 구애를 받는 존재였다. 이들 열성 소녀 사생팬들이 60년대 후반경부터는 아예 멤버들과 관계를 가질 정도로 과감해지는데 이들을 가리켜 '그루피족'이라는 신조어가 만들어지기도 했다.
  • 마이클 잭슨 - 5살 때부터 경력을 쌓았다. 가족을 중심으로 결성되어서 아버지나 어머니가 백업 매니저의 역할을 맡는 '패밀리 아이돌'의 시초인 잭슨 파이브 출신이다. 그룹 활동을 하면서 솔로로도 상당한 인기를 얻었고 형제나 자매들 역시 빌보드 차트 상위권을 차지해본 적이 있다. 재닛 잭슨은 80년대 후반부터 90년대 중반까지 포스트 마돈나 세대의 탑 중 한 명이었으며, 형인 저메인 잭슨은 80년대 초반까지는 마이클 잭슨에 버금가는 인기를 가지고 있었다. 누나인 라토야 잭슨도 누드사진집도 내고 앨범차트 top10에 올라보기도 했다. 마이클 잭슨도 엄연히 아이돌 맞다. 국내에서 사용되는 아이돌의 의미와 차이가 있고 북미 팝 역사에 끼친 영향이 어마어마해서 그렇지, 영화 '마이클 잭슨의 This is it'을 보면 전 세계 댄서에게 마이클은 우상이자 신이다.
  • 뉴에디션 - 모리스 스타가 발굴한 흑인 아이돌의 원조. 팀 내 메인이었던 바비 브라운만 솔로로 전향하여 잘 됐다.
  • 뉴 키즈 온 더 블록(New Kids On The Block) - 스텝빠이스텝~. 1980~90년대를 평정했던 아이돌. 보이밴드의 원조로 불린다.
  • TLC - R&B 걸그룹이자 1990년대 미국 대중음악계를 대표하는 그룹이다.
  • Destiny's Child - 1990년대 말부터 2000년대 초까지 미국을 대표하는 세계적인 걸그룹이다.
  • 스파이스 걸스 - 1996년 혜성처럼 등장해 5년간 침체기이던 틴 팝 장르를 부활시킨 주인공. 역사상 가장 성공한 걸그룹으로 꼽히며, 90년대 후반까지 상상을 초월하는 인기를 누렸다. 역대 걸그룹 음반 판매량 1위였다.
  • 백스트리트 보이즈(Backstreet Boys) - 말이 필요없는 세계구급 아이돌. 가장 성공한 보이밴드로 꼽힌다. 90년대 말 2000년대 중반까지 세계를 가히 휩쓸었다. 세번째 앨범의 곡인 'I Want It That Way'는 MTV에서 1990년대를 대표하는 팝송 1위로 뽑히기도 했다. 놀랍게도 해체 하지않고 현역으로 활동중인데 지금은 멤버들의 나이가 나이인 지라 미국 현지에서도 백스트리즈 엉클즈로 불러야 하는 거 아니냐고 한다.
  • 엔싱크(N'sync) - 팝을 잘 모르는 사람에게도 묘하게 친숙한 저스틴 팀버레이크가 소속돼있던 그룹. 동시대에 활동한 백스트리트 보이즈와 라이벌로 유명했으며 2002년에 해체했다.
  • MENUDO - 77년 푸에르토리코에서 결성. 밴드적 개념을 상업화시킨 졸업시스템의 원조로 리키 마틴이 MENUDO출신으로 유명하다. Menudo - Persecucion
  • PAQUITAS(여성판 MENUDO) - 10~15세에 입단해서 17~21세 일정 나이가 지나면 탈퇴해야 하며 주기적으로 로테이션을 거치는 그룹. Sem Medo
  • 브리트니 스피어스 - 아이돌의 전설, Princess of pop으로 불리며 라이벌이었던 크리스티나 아길레라와 함께 90년대 후반부터 00년대 중반을 휩쓸었다. 90년대 이후 데뷔한 아이돌 가수 중 가장 많은 음반을 판매했다. 물론 지금은 활동도 뜸하고 화력도 줄었지만 현역 당시엔 온갖 기록이란 기록은[23] 다 세우고 2000년대의 아이콘이라 불린다. 국내에도 영향을 받은 아이돌이나 섹시가수가 많다.
  • 크리스티나 아길레라 - 아이돌은 1집 한정이다. 브리트니 스피어스[24]와 함께 90~00년대를 휩쓸었으며 바비인형같은 비주얼과 비율, 폭발적인 가창력으로 유명하다. 2000년대 가장 성공한 가수 중 한 명이다. 2000년대 초반 브리트니와 함께 한국에서도 엄청난 인기를 자랑했다.[25]
  • 조나스 브라더스 - 2000년대 중후반 미국에서 높은 인기를 누렸던 형제그룹. 미국에 진출한 원더걸스가 이들의 오프닝 무대를 맡아서 한국에 널리 알려진다.
  • 저스틴 비버
  • 아리아나 그란데
  • 마일리 사이러스 - 한나 몬타나로 90년대생부터 2000년대 초반에 태어난 사람들이 어릴 때에 인기가 많았다. 학부모들도 그녀를 좋아했었다. 하지만 마일리는 어린이들이 보면 안될 것 같은 망나니 같은 행동을 해서 힉부모들이랑 어린이들이 점차 떠나갔다. 하지만 2013년에는 틴팝스러운 모습을 벗어던지고 으른느낌이 나는 컨셉으로 컴백해 다시 인기를 찾아왔다.
  • 테이크 댓 - 91년 데뷔, 영국을 휩쓸었지만 96년에 해체, 그리고 11년 뒤인 2006년 재결합해 다시금 최정상급의 인기를 얻은 영국의 국민 그룹. 테이크 댓 항목 참조.
  • 5 세컨즈 오브 서머 - 추구하는 지향점이나 음악적 성향 상 보이밴드가 아닌 록 밴드로 칭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으나 세간의 인식으로는 어쩔 수 없는 보이밴드였다. 실제로 아이돌과 같은 팬들의 인기를 누린다.
  • The Wanted - 영국 및 아일랜드 출신 보이밴드며 이후 활동 중단.
  • 피프스 하모니 - 미국에서 제2의 푸시캣 돌스라 불리며 활동했던 아이돌 보컬 그룹.
  • Little Mix - 이쪽은 영국의 걸그룹으로, 제2의 스파이스걸스라는 칭호를 갖기도 했다. 동시대에 원디렉션 같이 활동을 많이 했고 여자 원디렉션 정도로 유명했다. 영국의 대표 남녀그룹이였다. 초창기에는 소녀팬들이 많았고 거의 마지막 활동기에는 성인 여성팬들이 많다. 왜냐하면 그 소녀팬들이 컸고 성인 여성들이 많이 유입됐다.
  • 테일러 스위프트 - 미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음악 장르인 컨트리 뮤직 계열의 음악을 주로 하며, 예쁜 외모와 큰 키, 수려한 작사 능력[26]으로 호평받았고, 1집 앨범과 2집 앨범을 거치며 미국의 10대 소녀들의 우상이 되었다. 타임지에서 꼽은 20세기에 태어난 인플루언서[27] 뮤지션 100인 중 한명에 꼽히기도 했고, 완전히 팝 음악으로 음악 장르를 전향한 5집부터는 미국 뿐만 아니라 전세계로 영향력을 넓히며 빌보드 1위를 1년에 2번씩 달성하는 등 최고 전성기를 누렸다. 2019년 현재까지도 2년 주기로 앨범을 출시하며 빌보드 Top 100에서 내려갈 듯 하면 다시 신곡을 내서 리드 싱글로 1위를 달성하는 등 활약하고 있지만, 이후 내리막길 중이다.
  • PRETTYMUCH - 미국 5인조 보이밴드. 세계적인 보이밴드 원디렉션을 만든 기획자이자 해외 오디션 프로그램을 봤다면 한 번쯤은 봤을 사이먼 코웰이 2017년에 새로 만든 그룹이다.
  • Citizen Queen - 2018년 데뷔한 미국의 4인조 걸그룹. 데뷔 초에는 5인조였으나, 2022년 멤버 중 한 명이 탈퇴하면서 현재는 4인조로 활동하고 있다. 데뷔 초에는 여러 가수들의 커버 영상을 업로드 하면서 대중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기 시작했고, 그 중 역대 서양 걸그룹의 히트곡 메들리 커버 영상이 많은 조회수를 얻게 되면서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했으나 그 이후로는 딱히 성과를 내지 못하면서 대중들의 유입이 현저하게 줄어들고 있다.
  • Boys World - 2019년 4월 데뷔한 미국의 5인조 다국적 걸그룹. 그룹명만 언뜻 보면 의아해 할 수 있겠지만, 그룹명의 Boys는 Best of Your Self를 의미한다. 데뷔서부터 지금까지 꾸준하게 음반을 내며 활동하고 있지만, 그에 비해 여러모로 주목을 받고 있진 못하고 있다.
  • FLO - 영국의 3인조 걸그룹. 리틀 믹스가 활동 휴식기를 갖겠다고 선언하였던 시기에 데뷔하면서 당시 리틀 믹스의 팬덤인 믹서들에게 많은 관심을 받았으며, 영국 내 언론에서도 리틀 믹스의 계보를 이을 수 있을지 언급하며 많은 이목을 집중시켰다.

6. 가상매체에서의 아이돌


7. 관련 문서

  • 걸그룹, 보이밴드, 혼성그룹
  • 연예 기획사
  • 걸그룹/포지션, 보이그룹/포지션, 아이돌/그룹 변경
  • K-POP
  • J-POP
  • 학교의 아이돌
  • 지하 아이돌
  • 사이버 가수
  • 리패키지 앨범
  • 소속사 안티
  • 직캠, 안무 영상
  • 포토 카드
  • [1] 'bobby soxers'란 미국에서 40년대에 유행했던 속어로서 대중문화와 스타에 적극적으로 관심을 갖는 여학생이나 젊은 여성들이라는 뜻이었다. 그런 여성들은 당시 조신한 보통 여학생들이 대부분 신었던 긴 양말이 아니라 치마 밑 다리 아래 부분이 노출되는 'Bobby socks'라고 불렀던 짧은 양말을 많이 신었기 때문에 bobby soxers라고 표현했던 것. 즉 당시로선 과감한 옷차림을 하고 대중문화에 적극적으로 열광하는 까진 여자들이라는 느낌의 별명이었다. [2] 한류 산업이 성장하고 상황이 바뀐 지금은 오히려 일본을 포함한 동아시아 각국에서 한국의 사례를 롤모델로 가장 많이 참고하고 있다. [3] 실제로 노래와 춤 외에 연기까지 배운다. 대중에게 노출되는 모든 순간에 연기를 하기 위함이다. 힘들어도 기운이 넘치는 연기를, 기분이 나빠도 기분이 좋은 연기를 해야 한다. 때문에 미디어를 통해 볼 수 있는 성격과 실제 성격이 판이하게 다른 경우가 많다. [4] 물론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음반 발매를 위해 필요한 웬만한 작업은 본인들 주도로 하는 일반 가수들과 달리 아이돌은 음반 작업은 전문 작곡, 작사가가, 안무는 안무가가 다 해주고 아이돌은 연습만 하는 식으로 역할 분담이 철저히 되어있기 때문이다. [5] 이 때문에 가요 시장의 음악 수준이 매너리즘에 빠지고 퇴보한다는 비판적 시각도 존재한다. 대형 기획사들이 제작한 아이돌 댄스곡들만 인기를 얻어 차트를 석권하게 되니 장르 편중 현상이 일어나 시장이 경직된다. 그럼 인기를 얻을 수 있는 아이돌 댄스곡 장르만이 계속해서 재생산되므로 다른 음악은 마이너한 입지로 굳어져버린다. [6] 실제로 성장판이 늦게 닫히는 남자 아이돌 중에서도 키가 186cm까지는 널려있지만 187cm 이상부터는 생각보다 드물다. [7] 물론 키가 160대이거나 190대인 경우도 드물지만 있긴 있다. [8] 물론 과거 L.P.G. 한영이 180을 넘었다고 알려져 있고, 지하 아이돌까지 포함하면 178cm까지가 마지노선이다. [9] 사실 아이돌이 아닌 일반 가수나 싱어송라이터 등도 전성기가 20대, 늦어도 30대 초반까지임은 변함이 없다. 다만 30대를 넘어버리면 아이돌 자체의 생명이 끝인 아이돌과 달리 이들은 전성기에 비해 못할 뿐 가수로서의 인기를 유지할 동력이 어느 정도 남는다. [10] 물론 80년대의 경우는 데뷔 자체는 빠르지만 그 데뷔가 보통 지역 무대인 경우가 다반수였기에 중앙까지 올라와 앨범을 내는게 스무살 쯤 되었다는 소리다. 이미 70년대부터 이은하, 김완선, 김연자, 하춘화, 문주란 등 어린 나이에 데뷔한 가수는 한가득이었다. [11] 서른 넘어서도 해체 없이 활동하는 아이돌도 많다만 이들은 대부분 예능 활동이나 개인 활동에 집중하지 실질적으로 아이돌 밴드 활동은 거의 안하므로 실질적으로는 서른 넘자마자 가수로서나 방송인으로서는 몰라도 아이돌로서는 퇴물 취급받는게 한국 아이돌의 실정이다. [12] 다만 지나치게 어린 나이를 추구했다 여론의 철퇴를 두들겨 맞은 전적 때문인지 3, 4세대 아이돌부터는 데뷔 연령이 10대 중후반~20대 초반 정도로 다소 늦어졌다. [13] 다만 해당 나이대는 2022~2023년에 4세대 아이돌로 데뷔를 하더라도 무조건 팀 내에서 가장 나이가 많은 맏형/맏언니 롤로 가는 나이대인 것은 사실이다. [14] 중학교까지는 의무교육이라 자퇴가 불가능하므로 일정 출석률 미만이면 정원외로 관리되어 유급당하게 된다. [15] 사람에 따라선 진짜로 깎기도 한다. [16] 10대 초중반들은 대개 현실과 가상의 경계가 불투명한 편이기에( 사춘기) 아이돌이 캐릭터이자 엔터테인먼트이자 컨텐츠라는 것을 받아들이기 힘들어한다. 아이돌들이 자신을 응원해주고 좋아해주는 팬들을 사랑하는 것은 100% 맞으나, 그것이 사적인 애정관계까지 의미하진 않는다. 성인들도 받아들이기 힘들어 하는 일인데 10대들이 쉬울 리 없다. 하지만 그어야 할 선은 긋고 건전한 팬덤 문화를 유지하는 것이 팬들의 의무다. [17] 이 셋은 前 나인퍼센트 멤버이다. [18] 이름이 비슷한 과 아무런 연관이 없다. [19] 사실 영어권에서도 이렇게 부르는 경우가 많다. [20] 2019년 9월 해체 [21] 2021년 1월 해체 [22] 비틀매니아 이후의 팬들을 일컫는 말 [23] 당시 2집은 초동 130만장으로 여가수 초동 1위를 기록했었다. 그 기록은 아델이 깼다. [24] 둘 다 미키마우스클럽 출신이다. [25] 80~90년대 초반생들에게 학창시절 유명했던 팝스타가 누구냐고 물어보면 적어도 반 이상은 이 둘을 넣을것이다. [26] 주로 사랑, 이별과 관련된 통속적인 소재이지만 20대부터비유나 풍부한 어휘 선택 능력을 발휘하였고, 데뷔했을 당시가 17살로 10대 미국 소녀들의 정서에 딱 알맞는 가사 내용과 뮤직비디오로 데뷔 직후 많은 노래들이 장기적으로 인기를 얻으며 앨범 발매가 계속될 수록 인기를 누적했다. [27] 영향력있는 인물에게 부여되는 이름



1. 개요2. 보이 밴드3. 특징
3.1. 데뷔 연령3.2. 군복무
4. 역사5. 멤버별 포지션6. 국가
6.1. 한국
6.1.1. 지상파 음악방송 1위 당시의 일차6.1.2. 보이그룹 히트곡
6.1.2.1. 2004년 이전 데뷔 보이그룹6.1.2.2. 2005~2007년 데뷔 보이그룹6.1.2.3. 2008~2012년 데뷔 보이그룹6.1.2.4. 2013~2017년 데뷔 보이그룹6.1.2.5. 2018년 이후 데뷔 보이그룹
6.2. 일본6.3. 중국6.4. 서양
7. 관련 문서

1. 개요

한국에서 보이그룹(Boy Group)은 그룹형 남자 아이돌 가수들을 지칭한다.[1]

2. 보이 밴드

'보이그룹'이라는 단어는 완벽한 콩글리쉬다. 영어로 '보이 밴드(Boy Band)'라는 단어가 바른 표현이다. 원래 \' 밴드'라는 단어는 악기를 연주하는 사람뿐만 아니라 음악 무대를 구성하는 단체를 총칭하는 단어인데, 영어를 잘 모르는 한국에서는 록 밴드 같은 악기 연주자를 지칭하는 단어로 착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남자친구', '여자친구'와 비슷하게 의미가 축소된 예. 서구권에서는 '보이그룹'이라고만 말하면 못 알아듣거나 다른 뜻으로 알아듣는 경우가 많은데, 뭘 하는 그룹인지 정확히 알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도 외국의 K-POP 팬들 사이에서도 '보이그룹'이라는 콩글리쉬 단어가 꽤 퍼져가고 있다.

외국 K-POP 팬들은 대한민국의 연예기사나 한국어 유행어에도 상당히 친숙한데, 대한민국의 연예기사 등에서 보이그룹이라는 단어를 자주 쓰기 때문에 따라쓰는 경향이 있는 것이다. 외국의 한류 팬들이 ' 파이팅'이라는 콩글리쉬를 거리낌없이 사용하는 것과 비슷한 경우이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외국 K-POP 팬들 내에서의 한정된 이야기일 뿐이며 서구권 방송이나 공식석상에서는 당연히 '보이 밴드'로 표현한다.

보이밴드라는 말은 대한민국, 일본에서는 핸슨이나 FT아일랜드, CNBLUE 엔플라잉, DAY6, 원위 같은 밴드 형식의 아이돌 가수만을 한정하는 의미로 자주 사용되나 서구권에서는 One Direction과 같이 대한민국에서 '보이그룹'이라고 불리는 팀들만을 가리킨다.[2] 핸슨은 현지에서도 보이밴드로 불린다. 여성으로 구성된 음악 집단은 걸밴드[3]라고 하기도 한다.

대한민국의 경우 일본의 영향을 받아 보컬그룹이라는 말이 사용되다가[4] 이후에 다시 꼬리만 잘라서 그룹이라고 쓰고 있다. 대중적 인지도가 높고 매우 빈번하게 사용되는 걸그룹과는 다르게 보이밴드라는 단어는 사실 많이 사용되지 않는 단어다. 이 문서의 표제어가 보이그룹이 된 것도 그러한 이유에서다.

기본적인 구조상으로도 영미권 보이밴드와 대한민국의 보이그룹은 상대적으로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일단 영미권은 메인 보컬 + 백업 보컬 구조가 대부분으로, 다시 말해 메인 보컬이 노래의 흐름을 주도하면 나머지 멤버들은 코러스만 넣는 보조로 조화를 이루는 경우의 구조가 흔히 많다.[5] 반면 대한민국은 최소 한 소절씩이라도 멤버별로 각자의 솔로 파트를 분배하고, 노래를 못하면 최소 파트나 댄스 브레이크라도 넣어서 역할 분담을 한다.

3. 특징

연예기획사의 캐시카우로 대부분의 아이돌 기획사들의 주요 버팀목으로 불리는 것답게 일반적으로 걸그룹에 비해 기대 매출이 월등히 높으며 잘만하면 군백기에도 불구하고 10년 이상 롱런할 수 있다. 중소규모의 소속사들이 어느 정도 입지가 잡히면 서둘러 보이그룹을 데뷔시키려는 이유가 이 때문이다.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가 프로듀스 101 프로듀스 101 시즌2. 걸그룹을 양성한 시즌1보다 보이그룹을 양성한 시즌2가 전시즌 대비 2~3배 가까이 시청률과 광고 수입이 높았고, 투표 수도 비교가 안 됐다. 왜냐하면 아이돌 시장의 큰 손은 여성이 압도적으로 많기 때문이다. 남성들은 대체로 여행 등 밖에서 노는 것을 좋아하므로 아이돌을 덕질할 시간이 많지 않지만, 여성들은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아서 덕질을 하기 좋기 때문.

남성들도 물론 예쁜 아이돌을 좋아하지만 이쪽은 굿즈를 사거나 앨범을 사는 등의 금전적인 소비로 이어지는 경우는 드물다. 하지만 여성들은 아이돌에게 유사연애 감정을 가져서 앨범도 나올 때마다 꼬박꼬박 사 모으고 굿즈 발매일도 기다렸다가 사는 등 엄청난 금액을 소비하는 열성팬의 비율이 높다. 아이돌에게 과도하게 빠져 있는 극성팬, 사생팬들도 여성의 비율이 앞도적이다.

대국민 오디션으로 걸그룹, 보이그룹을 다 만들어본 프로듀스 101 시리즈의 성적을 비교하면 대강 체감할 수 있다. 시즌1의 센터(1위) 전소미의 최종회 투표수가 858,333표였는데, 시즌2의 최종회에서는 9위 황민현부터가 862,719표를 받아 전 시즌 1위의 득표수를 넘어버렸고, 시즌1에서 11위로 데뷔한 유연정의 최종 득표수는 136,780표였으나 시즌2에서 이 득표수는 생방송 최하위였던 20위 최민기의 득표수였던 277,106표의 절반도 되지 않는다. 더불어 시즌2 1위인 강다니엘의 득표수는 유연정의 10배인 1,578,837표였다. 뿐만 아니라 이전 시즌보다 월등히 큰 팬덤의 형성으로 1차 순위 발표식을 통과한 연습생 대부분의 단독 지하철 광고가 걸리고 생일서포트 등 서포트가 이루어졌으며, 파생 그룹 또한 I.B.I 하나였던 지난 시즌과는 달리 JBJ RAINZ로 총 두 팀이 생겼다. 최종 데뷔조도 아이오아이보다 Wanna One이 스케줄, 수입 면에서는 2배가 된다고 한다. #

1세대~2세대 보이그룹은 가수로써의 음악성을 중시하여 대중성도 어느정도 고려했지만 2010년대 중후반부터는 대부분 음악성보다는 뛰어난 외모와 화려한 퍼포먼스로 이성(異性)적인 호감, 유사연애 감정을 유도하여 열성 팬덤의 규모로 인지도와 수익을 얻고 있다.[6] 그래서 대중성보다는 팬덤 공략을 일차 목표로 삼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대중성이 부족해 팬덤 형성이 제대로 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걸그룹과 달리 행사⁵를 돌리기도 어려워서 오히려 수익성이 떨어지지만 강력한 팬덤이 구축된다면 대중성 부족이라는 단점을 상쇄하고도 남는다. 그리고 소위 말하는 뜬 보이그룹들의 주 수입원은 단연코 콘서트 투어다. 걸그룹들이 예능계, 광고계, 각종 행사에서 날고 기어도 보이그룹의 수입을 이기지 못하는 이유가 바로 이 투어 때문으로 탄탄한 팬덤을 바탕으로 하는 티켓 파워, 콘서트 현장의 굿즈 수익이 어마어마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 술 더 떠서 솔로로 일정 규모 이상의 투어를 돌 수 있는 멤버들이 존재한다면 더욱 많은 수익을 얻을 수 있다.

그러다보니 보이그룹은 걸그룹에 비해 데뷔 초 고정팬덤 형성이 매우 중요하다. 이 팬덤 형성에는 회사의 기획력이 크게 작용하는데 보이그룹 팬덤의 경우 멤버들이나 팬들과의 관계와 같은 정서적인 부분의 비중이 상당수를 차지하는 만큼 멤버의 캐릭터성이 중요하게 작용한다. 걸그룹의 경우 곡이 좋다면 브레이브걸스 AOA처럼 데뷔 3년차가 넘은 후에도 대중들의 주목을 바탕으로 팬덤을 다시 형성할 수 있다. 하지만 보이그룹은 기본적으로 그 기반이 되어야 할 대중들의 주목이 상대적으로 떨어져 보이그룹 중 어느 정도 팬덤과 인지도가 있던 그룹이 인기를 키워나가는 경우는 있어도, 데뷔 2년차까지 아예 무명이었다가 그 이후에 인기를 늘려나간 케이스가 드물다. 특히 노래로 주목받는 경우는 사실상 전무해 2017년 프로듀스 101 시즌2를 통해 재발굴된 뉴이스트가 데뷔 6년차에 1위를 차지했지만 노래가 대중에게 주목받았다기보단 서바이벌 프로그램을 통한 이미지 형성으로 충성도 높은 팬덤을 양성해 거둔 성과다.

이런 특징으로 인해 남자 아이돌의 팬층은 여성의 비중이 압도적이다. H.O.T. 등의 과거 1세대~2세대 보이그룹들의 경우 춤도 잘 추고 카리스마도 있는 보이그룹들을 동경해서, 혹은 노래 자체가 좋아서 보이그룹들을 좋아하는 남성 팬들도 있었다. 그래서 1세대 아이돌들이 재결합을 했을 때 활동 당시 조용했던 남팬들이 하나씩 나왔으며 BIGBANG을 필두로 하는 2세대 보이그룹들도 남팬이 그렇게 적지는 않은 편이었다. 그러나 2010년대 후반에 들어서는 보이그룹의 음악이나 컨셉이 지나치게 난해해져 음악이 좋아 관심을 가지는 것으로 시작하는 경우가 많은 남성 팬들은 스포츠, 게임, 힙합, 발라드 같은 타 예술 분야, 스트리머 유튜버, BJ 같은 인터넷 방송인으로의 이탈이 증가하고 있다.[7]

그래서 수익성을 중시하는 기획상품인데다가 청취자도 팬덤의 비중이 높아 아티스트로서의 아이덴티티를 인정받지 못하고 음원이나 음반 등 음악적 결과물 또한 진지한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는 편이다. 이를 탈피하기 위해서 작곡 멤버를 두거나 솔로 아티스트의 영역을 도전하는 경우가 부지기수이며 그룹에서 타이틀로 내세우는 것과 다른 장르의 곡도 자주 들고 나온다.

3.1. 데뷔 연령

데뷔 연령의 경우 연하남 콘셉트였던 SHINee나 청소년 연합팀이 목적이었던 NCT DREAM와 같이 몇몇 예외를 제외하면 전반적으로 걸그룹보다 평균 연령이 높고 성인인 멤버들의 비중도 크다. 이는 곡의 콘셉트에 따라 캐릭터성이 극적으로 변하는 걸그룹에 비해 아무리 부드러운 분위기의 곡이라도 자신의 호감을 적극적으로 드러내는 가사가 많은 만큼 어떤 컨셉이더라도 기본적으로 남성적, 마초적인 이미지를 어느 정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남성의 2차 성징은 여성에 비해 늦은 편인데다가 또한 이러한 과정 중 하나인 변성기에는 남자의 경우 목소리의 변화가 두드러져 노래를 부르는 아이돌 입장에선 성대가 바뀌는 만큼 세심한 관리를 필요로 한다. 실제로 변성기가 찾아와 활동에 지장이 갔던 보이그룹 멤버도 상당수 있었으며, LOUD: 라우드에서 데뷔조에 들었던 참가자 중 초등학생이었던 고키는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이유로 데뷔가 무산되었다.

물론 1PUNCH 사무엘[8], 쌍둥이 그룹 량현량하 같이 초등학생 때 데뷔한 케이스가 이미 있었지만, 이런 남성성을 기반으로 한 유사연애 마케팅과 변성기 문제로 인해 어린 나이에 데뷔하는 경우는 드물고, 소속사에서도 2차 성징이 어느정도 끝난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 또는 중반의 멤버 위주로 구성하며 멤버 전원이 20대에 데뷔한 경우도 있다.[9] 또한 데뷔 당시 멤버 전원이 미성년자거나 그 비중이 높은 그룹[10]은 일반적으로 다수의 멤버가 동갑이거나 나이 차이가 거의 나지 않는 편이다. 그러다 보니 2022년~2023년 기준 90년대 중~후반에 출생한 걸그룹 멤버들은 대부분 연차가 쌓인 베테랑이거나 7년 계약기간을 마치고 재계약 여부를 논의하는데 비해 보이그룹은 신인으로 데뷔하거나 나아가 군대를 전역하고 데뷔한 케이스도 있다.[11] 그래서 걸그룹은 2022년~2023년 기준 만 14~15세(중2~중3)가 된 2000년대 후반 출생한 멤버가 등장하는데 비해, 보이그룹은 아직까지도 90년대 중반 출생자들이 멤버로 있는 그룹이 데뷔하는 것을 자주 볼 수 있다. 특히 2022년 말에 데뷔한 XEED는 1992 ~ 1996년생으로 구성되어, 90년대 초중반생 멤버로만 구성되어 있을 뿐 아니라 4세대 아이돌들 중 데뷔 평균 나이가 세번째로 높고,[12] 연장자 도하는 데뷔 당시 이미 30살이 되었다.

또한 충성도 높은 팬층으로 구성된 만큼 보통 보이그룹의 매출은 걸그룹들을 압도하기 때문에 팬덤이 단단한 보이그룹은 수명도 걸그룹들에 비해 길어서 군백기를 거친 30대 뿐만 아니라 중년의 나이에도 왕성하게 활동하는 그룹도 제법 있는 편이다.[13] 이 때문에 2020년대에 군백기가 끝난 2 ~ 2.5세대 30대 보이그룹들이 음악 방송에서 00년대생 위주로 구성된 4세대 걸그룹과 1위 후보로 경쟁하는 것을 볼 수 있어 2022년 4월에 컴백한 2세대 보이그룹인 BIGBANG의 경우 전원 80년대생[14]으로 이루어져 있음에도 멤버 전원 2000년대생인 데뷔 4개월 차 신인 걸그룹 IVE와 1위 후보로 경쟁했다. 또한 SUPER JUNIOR는 가장 연장자인 희철 이특 1983년생으로 2022년 기준 40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룹 앨범을 꾸준히 발매하며 현역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서 [age(1998-03-24)]년간 활동한 1세대 아이돌 신화는 2022년 말 평균 데뷔나이 43세의 신화 WDJ이라는 유닛을 런칭했다. 그러다 보니 2021년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즈에선 여성 MC는 2004년생이었던 그룹 IVE의 장원영이 MC로 이름을 올린 것에 비해 남성 MC는 2005년에 데뷔한 SUPER JUNIOR의 멤버 이특으로 걸그룹 멤버의 나이가 보이그룹의 활동 연차와 비슷한 사례도 등장했다.[15]

2023년에 들어서는 보이그룹의 연령대도 점점 낮아지는 편이다. 2022년 말까지만 해도 최연소 보이그룹 멤버는 ENHYPEN 니키가 2005년생으로 2006~2008년생까지 데뷔한 4세대 걸그룹들과 상술한 내용 때문에 나이 차가 상당히 높은 편이었는데, 2023년 1월부터 5월까지 8TURN 승헌, 더윈드 최한빈, 박하유찬, 안찬원, 장현준, BOYNEXTDOOR 운학 등 2006~2008년생 보이그룹 멤버들이 줄줄히 데뷔했다. 보이즈플래닛의 데뷔그룹 ZEROBASEONE의 막내 멤버 한유진도 2007년생이며, 방과후 설렘 2 소년판타지의 데뷔조 FANTASY BOYS에는 2009년생 멤버가 김규래 케이단으로 무려 2명이나 있으며, 2016년 NCT DREAM에 이어 7년만에 보이그룹이 현역 아이돌 최연소 멤버를 배출하게 됨으로써 2023년에는 2006~2009년생 보이그룹 멤버들도 줄줄히 데뷔를 알리고 있다.

3.2. 군복무

대한민국 보이그룹의 경우 활동에 있어 일명 군백기라 불리는 대한민국의 병역의무로 인한 공백기가 존재한다. 보통 병역의무를 미룰 수 있는 나이인 29세, 30세까지 활동하다가 멤버들의 나이 순서로 입대하는 게 보통이기 때문에 슈퍼주니어, 세븐틴처럼 다인원인 보이그룹은 그만큼 군백기가 길어지게 되며 이 기간 동안 팬덤의 이탈이 잦다. 아예 한번에 다 같이 입대하고 같이 전역하면 더 빨리 완전체로 돌아올 수 있지 않느냐는 말도 있지만 연예인은 공백 기간이 길 경우 잊혀지기 마련이라 남은 멤버들이 한 명이라도 있어야 그 그룹의 공백 기간을 조금이나마 메울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시간이 지나 많이 줄어들긴 했어도 징병제 특성상 한국에서는 워낙에 병역비리에 민감하게 반응해 연예인이 현역병이냐 보충역이냐로 항상 반응이 엇갈렸다. 그러다보니 2010년대부터는 큰 문제가 없는 한 보이그룹은 대부분 현역으로 입대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면제가 아닌 보충역으로라도 군 복무를 이행하고 있다. SUPER JUNIOR 멤버들 중 교통 사고로 왼다리 뼈가 통째로 박살났고 지체 장애 4급 판정을 받은 희철과 골반뼈 골절 및 기흉이 발생했던 규현같은 경우도 예외는 아니어서 당시 연예인 병역비리로 예민했던 사회 반응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보충역으로 다녀왔다.[16]

2020년 들어서는 병역기간이 줄어듦에 따라 군백기를 줄이기 위해 남은 멤버들을 동시에 입대시키거나 아예 그룹 전체가 비슷한 시기에 입대하는 사례가 나오기 시작했다. 대표적으로 온앤오프의 경우 멤버들이 1994~1995년생인 것을 이용해 일본인 를 제외하고 전부 비슷한 시기에 입대했다.

최근에는 외국인 멤버들도 많아지고 있긴 하지만 대만, 태국처럼 징병제가 존재하는 국가 출신 멤버일 경우 그 멤버 또한 병역 문제를 따로 해결해야 한다.

4. 역사


5. 멤버별 포지션

6. 국가

6.1. 한국


6.1.1. 지상파 음악방송 1위 당시의 일차


지상파 음악 방송은 뮤직뱅크, 쇼! 음악중심, SBS 인기가요 한정이다. 더 쇼는 한때 지상파로 재방송을 했었지만 2017년 4월을 끝으로 SBS MTV SBS funE 두 채널에만 나가고 있다. 1위를 했을 때 당시의 일차는 dday 함수 기준 +1한 날짜를 서술한다.
<rowcolor=#fff> 그룹명 곡명 일수 현역 비고
WINNER 공허해 6일 O [17]
하이라이트 얼굴 찌푸리지 말아요 9일 O [18]
X1 FLASH 11일
NCT 도재정 Perfume 11일 O
iKON 취향저격 12일 O
Wanna One 에너제틱 12일
CNBLUE 외톨이야 16일 O
TWS 첫 만남은 계획대로 되지 않아 33일 O
동방신기 Hug 51일 O
FTISLAND 사랑앓이 53일 O
jtL A Better Day 57일
원타임 1TYM 58일
H.O.T. 캔디(Candy) 100일 O
JBJ 꽃이야 101일
Y2K 헤어진 후에 116일
SHINee 산소같은 너 120일 O
EVNNE UGLY 137일 O
RIIZE Love 119 140일 O
ENHYPEN Drunk-Dazed 159일 O
태사자 Time 181일
슈퍼주니어 U 232일 O
젝스키스 기사도 237일 O [재결합]
2PM Again & Again 249일 O
BOYNEXTDOOR Earth, Wind & Fire 332일 O
비스트 358일
god 사랑해 그리고 기억해 362일 O [재결합]
PLAVE WAY 4 LUV 364일 O
BIGBANG 거짓말 385일 O
UN 파도 397일
EXO 늑대와 미녀 433일 O
신화 T.O.P 442일 O
인피니트 Paradise 488일 O
VIXX 저주인형 562일 O
SS501 4Chance 564일
TREASURE 직진 568일 O
세븐틴 붐붐 571일 O
틴탑 미치겠어 574일 O
TEMPEST Vroom Vroom 576일 O
2AM 죽어도 못 보내 577일 O
클릭비 백전무패 680일
방탄소년단 I NEED U 695일 O
B.A.P 1004 750일
B1A4 이게 무슨 일이야 757일 O
GOT7 Fly 807일 O
투모로우바이투게더 0X1=LOVESONG 831일 O
NCT 127 Regular 842일 O
블락비 Very Good 913일 O
NCT U Make A Wish 927일 O
플라이 투 더 스카이 Sea Of Love 967일 O [재결합]
SF9 Good Guy 1200일 O
P1Harmony 때깔 (Killin' It) 1207일 O
Stray Kids 소리꾼 1259일 O
몬스타엑스 Shoot Out 1269일 O
원어스 Same Scent 1346일 O
NCT DREAM Ridin' 1353일 O
더보이즈 THRILL RIDE 1354일 O
ATEEZ Guerrilla 1382일 O
엔플라잉 옥탑방 1397일 O
VERIVERY Tap Tap 1417일 O
CRAVITY Love or Die 1424일 O
비투비 봄날의 기억 1480일 O
부석순[SVT] 파이팅 해야지 (Feat. 이영지) 1795일 O
펜타곤 Feelin' Like 1944일 O
NRG Hit Song 1971일 [23]
ASTRO After Midnight 1999일 O
뉴이스트 W WHERE YOU AT 2046일
뉴이스트 BET BET 2613일

6.1.2. 보이그룹 히트곡

이 문단에서 서술하는 히트곡은
6.1.2.1. 2004년 이전 데뷔 보이그룹
<rowcolor=#fff> 가수 노래 발표 앨범 연간 차트 순위
신화 Once In A Lifetime 2006.05.11 State Of The Art 67위
이 앨범을 통해 21회 골든디스크어워즈 본상을 수상했다.
god 보통날 2004.12.08 보통날 32위
KBS 가요대상 올해의 가수상을 수상했다.
미운오리새끼 2014.07.08 Chapter 8 51위
재결합 후 발매한 곡으로 멜론 연간 차트 51위, 멜론 뮤직 어워드 올해의 앨범상을 수상했다.
동방신기 Rising Sun (순수) 2005.09.12 Rising Sun 88위
본격적으로 인지도를 알리기 시작한 곡으로 음악 방송 트리플 크라운을 수상했다.
주문-MIROTIC 2008.09.19 MIROTIC 33위
일본 활동 후 발매한 곡으로 멜론 연간 차트 33위, 2008년 골든디스크어워즈 대상을 수상했다.

6.1.2.2. 2005~2007년 데뷔 보이그룹
<rowcolor=#fff> 가수 노래 발표 앨범 연간 차트 순위
SS501 Love Like This (네게로) 2009.10.20 REBIRTH 80위
각각 뮤직뱅크와 인기가요에서 1위를 차지했다.
SUPER JUNIOR Sorry, Sorry 2009.03.12 Sorry, Sorry 9위
SUPER JUNIOR 최고의 대표곡이자 SUPER JUNIOR에게 한류아이돌이란 칭호를 붙여준 메가 히트곡이다.
Mr. Simple 2011.08.02 Mr. Simple 56위
SUPER JUNIOR의 최전성기 곡이자 2010년 대 초반 SUPER JUNIOR 열풍을 이어간 곡이다.
BIGBANG 하루하루 2008.08.08 Stand Up 2위
서울가요대상 대상을 수상했으며, 앨범의 전곡이 멜론 연간 차트에 랭크되었다.
뱅뱅뱅 2015.06.01 A 1위
대한민국 보이그룹 최초로 연간 순위 1위, 1억 스트리밍을 기록하였다.
FTISLAND 사랑앓이 2007.06.05 Cheerful Sensibility 22위
FTISLAND의 데뷔곡.
사랑사랑사랑 2010.08.25 Beautiful Journey 49위
FTISLAND의 전성기를 일으킨 노래
6.1.2.3. 2008~2012년 데뷔 보이그룹
<rowcolor=#fff> 가수 노래 발표 앨범 연간 차트 순위
SHINee 누난 너무 예뻐 (Replay) 2008.05.25 누난 너무 예뻐 28위
샤이니의 데뷔곡이자 신인상 그랜드슬램을 달성하게 만들어준곡.
Ring Ding Dong 2009.10.14 2009, Year Of Us 38위
대중들에게 가장 유명한 샤이니의 노래이자 수능금지곡으로서 엄청난 인기를 끌었던 노래
유키스 만만하니 2009.11.06 Conti UKiss 99위
천하무적 야구단으로 막내인 동호가 인지도를 쌓으면서 곡도 연간차트에 들게 되었다.
2PM Again & Again 2009.04.16 2:00PM Time For Change 5위
2PM 전성기의 시작을 알리는 노래이자 짐승돌로서의 이미지를 굳힌 노래 또한 마지막 7인조 2PM으로서의 활동이다
Hands Up 2011.06.20 HANDS UP 14위
슬픈 사랑노래가아닌 신나는 노래로 다시 엄청난 인기를 끌었다.
2AM 죽어도 못 보내 2010.01.21 죽어도 못 보내 5위
2AM을 대표하는 노래이자 엄청난 음원강자들 사이에서도 1위를 차지한 노래
이노래 2008.07.11 이노래 14위
데뷔곡부터 큰 화제를 일으켰으며 하반기에 나왔음에도 연간차트에서 준수한 성적을 거두었다.
엠블랙 Y 2010.05.17 Y 53위
비가 프로듀싱에 참여했던 보이그룹으로 멜론 연간 차트 53위, 가온 연간 디지털 차트 57위에 들었다.
비스트[26] 비가 오는 날엔 2011.05.12. 비가 오는 날엔 4위
Fiction And Fact 앨범의 선공개곡으로 발매됐으며, 비가 올 때마다 역주행하여 '장마연금'이라는 별칭도 갖게 되었다.
Fiction 2011.05.17. Fiction And Fact 24위
음악 방송 1위는 물론, 멜론 뮤직 어워드 아티스트상, KBS 가요대축제 올해의 노래상을 수상했다.
CNBLUE 외톨이야 2010.01.14. Bluetory 14위
첫 앨범부터 엄청난 히트를 쳤으며, 15일만에 음악방송 1위를 차지했다.
Love 2010.05.19. Bluelove 18위
데뷔곡의 인기를 그대로 이어간 노래라고 할 수 있다.
인피니트 내꺼하자 2011.07.21. Over The Top 70위
인피니트에게 음악방송 첫 1위를 안겨준 곡이자 전성기의 시작을 알린 히트곡이다.
추격자 2012.05.15. INFINITIZE 83위
빌보드 K-pop 차트 1위를 달성했으며, 인피니트가 음악방송에서 가장 많은 1위를 차지한 곡이다.
틴탑 미치겠어 2012.01.05. It’s 94위
첫 음악방송 1위를 안겨 준 곡이자, 당시 틴탑의 전성기를 구가했던 곡이다.
B1A4 Lonely 2014.01.13. Who Am I 93위
동기간에 활동했던 걸스데이, 동방신기 등을 꺾고 여러 번의 1위를 차지했으며, 음원성적 또한 전작보다 훨씬 좋았었다.
블락비 HER 2014.07.24. HER 29위
이 곡으로 전성기를 맞게 됐다. 같은 앨범 수록곡 ‘JACKPOT’과 함께 굉장히 대중적으로 인식된 히트곡이다.
Toy 2016.04.11. Blooming Period 54위
보컬을 강조한 발라드 성격의 곡으로, 꽤나 긴 공백에도 불구하고 준수한 성적을 거뒀다.
EXO 으르렁 (Growl) 2013.08.05. The 1st Album ‘XOXO’ Repackage 2013년 12위
2014년 65위
EXO를 대표하는 히트곡이자 EXO의 전성기를 구가했던 곡으로 2013년 당시 보이그룹 중에선 가장 큰 팬덤 화력을 보여주었다. 이를 기점으로 남자 아이돌 3세대가 시작되었다.
CALL ME BABY 2015.03.30. The 2nd Album ‘EXODUS’ 22위
음악방송 18관왕을 기록했다.
비투비 그리워하다 2017.10.16. Brother Act. 2017년 91위
2018년 30위
비투비를 대표하는 히트곡이며, 멜론차트 1위는 물론 차트인 1억 스트리밍을 돌파하기도 했다.
너 없인 안 된다 2018.06.18. THIS IS US 48위
당시 BLACKPINK 최고 히트곡에 밀려 이전만큼의 성적을 거두진 못했지만, 나름 선방했다.
6.1.2.4. 2013~2017년 데뷔 보이그룹
<rowcolor=#fff> 가수 노래 발표 앨범 연간 차트 순위
방탄소년단 봄날 2017.02.13. YOU NEVER WALK ALONE 2017년 12위
2018년 19위
2019년 36위
2020년 38위
2021년 41위
2022년 61위
보이그룹 최초이자 유일하게 3억 스트리밍을 돌파했으며, 200주 넘게 차트인 하고 있는 멜론 역사상 가장 롱런한 곡이다. 2022년 미국 롤링스톤지가 발표한 방탄소년단(BTS) 곡 BEST TOP 100에서 1위에 선정되었다.
Dynamite 2020.08.21. Dynamite, BE, Proof 2020년 12위
2021년 3위[27]
2022년 31위
한국 가수 최초 빌보드 Hot 100 1위 곡이며 멜론 일간차트 75회 1위, 주간차트 11주 1위, 월간차트 3회 1위를 기록하여 멜론 역사상 최장기간 1위를 달성했고, 글로벌 음원사이트 애플뮤직에서 아시아 최초로 연간 1위를 달성했다. 아이차트에서 퍼펙트 올킬(PK) 610회로 역대 최다 기록을 달성했다.
WINNER 공허해 2014.08.12. 2014 S/S 21위
위너의 데뷔곡으로, 현재 남자 아이돌 중 최단 기간에 음악방송 1위를 차지했다.
REALLY REALLY 2017.04.04. FATE NUMBER FOR 2017년 11위
2018년 77위
위너를 대표하는 최고의 히트곡이자, 남자 아이돌 최초 차트인 1억 스트리밍 달성 곡이다.
엔플라잉 옥탑방 2019.01.02 FLY HIGH PROJECT #2 `옥탑방` 15위
2월부터 역주행을 시작해 가온 디지털 차트 12위, 멜론 연간 차트 15위에 랭크 되면서, FNC엔터테인먼트 소속 밴드 아이돌은 전부 멜론 연간 차트에 곡을 올렸다.
세븐틴 손오공 2023.04.24 FML 29위
이 곡을 통해 데뷔 9년 만에 처음으로 멜론 연간 차트 인을 하였으며 2024 골든디스크어워즈 음원 부문 본상, 음반 부문 대상을 수상했다.
iKON 취향저격 2015.09.15. WELCOME BACK 2015년 29위
2016년 90위
아이콘의 데뷔곡으로, 후술할 노래의 발매 전에는 '리듬타'와 함께 아이콘의 상징적 노래였다.
사랑을 했다 2018.01.25. Return 1위
초등학생들의 엄청난 떼창을 불러일으킨 노래로, 아이콘에게 초통령이라는 타이틀까지 안겨준 히트곡. 멜론차트 6주 1위를 달성했으며, 빅뱅 뱅뱅뱅 이후 두번째로 연간 1위를 달성한 보이그룹의 곡이다.
NCT DREAM Candy 2022.12.16 Candy 25위
H.O.T의 캔디를 리메이크한 곡으로 멜론 연간 차트 25위를 달성했다.
하이라이트[28] 얼굴 찌푸리지 말아요 2017.03.23. CAN YOU FEEL IT? 48위
비스트의 멤버들이 재데뷔한 뒤 낸 첫 타이틀곡으로 멜론 연간 차트 47위, 뮤직뱅크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했다.
Wanna One 에너제틱 2017.08.07. 1X1=1(TO BE ONE) 2017년 56위
2018년 36위
프로듀스 101 시즌2을 통해 데뷔한 워너원의 데뷔곡. 음악방송 15관왕을 달성했다.
Beautiful 2017.11.13. 1-1=0(NOTHING WITHOUT YOU) 33위
데뷔곡의 인기를 그대로 이어간 리패키지 앨범. 멜론 차트 개편 이후 최초로 진입 이용자 수가 10만 명을 넘겼다.
6.1.2.5. 2018년 이후 데뷔 보이그룹
<rowcolor=#fff> 가수 노래 발표 앨범 연간 차트 순위
부석순[SVT] 파이팅 해야지 (Feat. 이영지) 2023.02.06 SECOND WIND 15위
멜론 월간차트 TOP10에 플레디스 보이그룹 처음으로 진입했으며, 연간차트는 15위를 기록했다. 이외에도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즈 퍼포먼스 부문 대상, 골든디스크어워즈 음원 본상을 수상했다.

6.2. 일본

6.3. 중국

6.4. 서양

어린 여성들이 소리 지르며 열광하는 젊은 인기 밴드를 죄다 보이밴드로 친다면 여성 관객들의 인기를 휩쓸고 다녔던 비틀즈, 비치 보이스, 롤링 스톤즈 등 1960년대 초반의 로큰롤 밴드들까지 기원이 내려가지만, 보이 밴드의 의미에 보다 부합하는 최초의 예를 찾자면1966년에 데뷔한 최초의 기획형 밴드인 몽키즈를 보이밴드의 원형으로 보는 의견이 많다. 하지만 잭슨 5와 오스몬즈같이 몽키즈 이전부터 먼저 인기를 누리던 보이밴드도 존재했기 때문에 어느게 최초인지가 꼭 명확한 답이 있는 것은 아니다.[30] 그 후로 미국에서는 뉴에디션, 뉴 키즈 온 더 블록, 백스트리트 보이즈 등의 인기 보이밴드들이 꾸준히 존재해왔지만, 2000년대 후반 이후로는 수요에 비해선 스타급 보이밴드가 거의 등장하질 않아 백스트리트 보이즈, NSYNC를 마지막으로 사실상 계보가 끊기다시피 했으며 그나마 나온 보이밴드들도 대중음악계에서의 영향력이 없다시피 해왔다. 이런 공백은 2020년대 오늘날까지도 계속 되어, 미국 젊은 대중들의 보이밴드에 대한 수요를 주로 바다건너 수입으로 메워오곤 했었다. 영국 원 디렉션, 대한민국 방탄소년단이 그 대표적인 주인공들이다.

아래는 서구권의 주요 보이밴드들이다.

7. 관련 문서



[1] 반대로 그룹형 여자 아이돌 가수는 걸그룹이라고 한다. [2] 영미권의 보이밴드는 대한민국의 아이돌 그룹과 취급이 비슷한데, 따지고 보면 오히려 더 취급이 좋지 않다. 대부분의 남성들에게 '음악성은 없으면서 얼굴로 인기를 얻는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며 보수적인 영미권 남성들은 마초성이 강하기 때문에 그들의 입장에서 ‘게이 같은’ 이런 보이밴드들을 싫어하는 것이 더욱 두드러진다. 그래서 아래 서양 보이밴드 목록에 분류되어있던 5 세컨즈 오브 서머의 팬들은 팀을 보이밴드라 칭하는 것을 굉장히 싫어한다. [3] 미국 MTV 등을 보다 보면 자주 들을 수 있다. 하지만 보이밴드의 경우 보이그룹이라는 말은 영미권에서 거의 사용하지 않는 반면 걸그룹의 경우에는 위키피디아 영문판 등에서는 'Girl Group'으로 설명하고 있는 등 걸그룹과 걸밴드가 혼용된다. [4] 과거에는 머리만 잘라서 보컬이라 하면 보이밴드 혹은 밴드를 뜻했었던 시절이 있었다. [5] 빌리지 피플, 엔싱크, 보이존 등이 이런 케이스로, 특히 보이존의 전성기 때를 보면 알 수 있다. 한국형 보이그룹의 프로토타입 서태지와 아이들도 이런 메인+서포트 형태 구조를 가지고 있다. [6] 2010년대 중후반부터는 한국 아이돌 산업 자체가 대중성과 멀어지고 열성팬 위주가 되면서 걸그룹들도 대중성보다는 팬덤으로 수익을 얻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대중성을 아예 등한시하지는 않았고, 대중성과 팬덤 확보 양측에서 성공한 걸그룹도 생겼다. [7] 이 때문에 현재 걸그룹 여성팬들이 레즈라고 비하당하는 경우는 거의 없지만, 보이그룹 남성팬들은 게이 소리를 자주 듣는 편이다. 이는 외국도 비슷하다. 당장 일본만 해도 쟈니스 좋아하는 남자가 게이 같냐고 물어보는 질문글은 꾸준히 올라오고, 그것을 게이 같다고 여기는 사람도 꽤 있다. [8] 펀치라는 이름으로 활동했다. [9] 대표적인 경우가 에이스. 그리고 혼성 그룹인 A SIX에서도 결성 당시 나이는 19.8세지만, 남성 멤버들은 99~02년생으로 전부 성인이다. [10] 동방신기, FTISLAND, 뉴이스트, TRCNG, 더윈드 [11] OnlyOneOf 규빈, UNB 의진, XEED 도하 [12] 1위는 신화 WDJ의 42.6세. [13] 2012년에 데뷔한 EXO도 2022년 기준 평균 나이대가 30세를 넘어갔으며, 3세대인 방탄소년단도 데뷔 당시엔 평균 나이가 만 18세였지만 2022년엔 데뷔 9년차로 대부분의 멤버들이 20대 후반이 되었다. [14] 유일한 1990년생이었던 승리 버닝썬 게이트로 연예계에서 완전히 퇴출되었다. [15] 뮤직뱅크에서 장원영이 MC직을 맡았을 때, 남성 MC는 2002년생 정도 되는 남자 아이돌 가수로 그나마 적당하게 차이 나는 편으로, 이는 상당히 특이한 케이스다. [16] 희철은 본인이 직접 공개한 내용으로 병무청 관계자가 스티브 유 때문에 온 나라가 연예인 병역 문제에 예민하니 보충역으로라도 다녀오라고 권유해서 사회복무요원으로 복무했다. [17] 아이돌그룹 최단 기록. [18] 구 비스트 [재결합] [재결합] [재결합] [SVT] 세븐틴 유닛 그룹 [23] 전신인 하모하모 시절은 카운트하지 않는다. [24] 가온차트의 성적을 인용할 경우 각주로 해당 순위가 가온 차트 인용임을 표기한다. [25] 각 방송사마다 점수 집계의 기준이 다르며, 점수의 신빙성도 부족하기 때문이다. [26] 하이라이트 [27] 빌보드 HOT 100 연간차트 2020년 38위. 2021년 연간차트 41위. [28] 비스트 [SVT] [30] 결성 시기 자체로만 따지면 잭슨 5나 오스먼즈가 더 이르지만, 이 둘이 부모의 주도 하에 결성된 가족 밴드였던 반면에 몽키즈는 밥 라펠슨, 버트 슈나이더라는 거물 프로듀서들이 컬럼비아 레코드, NBC라는 대기업을 배경으로 두고 철저한 오디션으로 캐스팅한 현대적인 결성 과정을 통해 데뷔했다. 둘 중 어느 쪽이 최초인지는 관점에 따라 다르다. [31] 정확히는 마이클 잭슨이 없이 1989년까지 활동함.



1. 개요2. 역사3. 목록
3.1. 주요 그룹
4. 히트곡
4.1. 2006~2008년4.2. 2009년4.3. 2010~2011년4.4. 2012~2013년4.5. 2014~2015년4.6. 2016~2019년4.7. 2020~2023년
4.7.1. 유닛4.7.2. 프로젝트성 그룹4.7.3. 연간 종합차트 10위권4.7.4. 여성 듀오
4.8. 음반 관련 기록4.9. 지상파 음악 방송 1위 당시 일차4.10. 지상파 음악 방송 1위 횟수 순위
5. 포지션6. 각종 기록7. 콘셉트8. 해외
8.1. 영미권8.2. 일본8.3. 중화권
8.3.1. 중국8.3.2. 대만8.3.3. 홍콩
8.4. 동남아
8.4.1. 태국8.4.2. 베트남8.4.3. 필리핀8.4.4. 인도네시아

1. 개요

영어: Girl Group

여성으로 구성된 그룹 아이돌 가수.

남성 아이돌 그룹을 일컫는 보이그룹(Boy Group)과 함께 주로 외적인 퍼포먼스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그룹을 뜻하는 용어다. 한국 음반 시장의 한 축을 차지하고 있는 음악 장르이기도 하다.

현재 걸그룹의 모태는 1990년대 영국의 걸그룹 스파이스 걸스 베이스로[1] 하는 형태이지만 정작 영국의 위시한 서구권, 중남미보다 동아시아 국가에서 크게 히트치는 기이한 현상이 있다.

비슷한 용어로 걸 밴드(girl band)가 있다. 일반적으로 걸그룹이 안무와 노래까지만 할 수 있는 그룹을 뜻하고 걸밴드는 작곡이나 악기 연주까지 할 수 있는 그룹을 뜻한다. 사실 이 두 용어가 항상 이렇게 명확히 구분되는 것은 아니다. 한국에서의 '걸밴드'의 예로는 한스밴드, AOA의 밴드 유닛인 AOA BLACK, 비밥, 선예 안소희의 탈퇴 이후로 선미를 재영입한 4인조 걸밴드 원더걸스가 있다.

일본에서는 걸그룹이라는 용어가 잘 쓰이지 않는다. 일본에서는 '걸즈 유닛(ガールズユニット)'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고, '여성 아이돌'이라는 직관적인 단어도 자주 사용된다. 전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아티스트'적 성격이 강한 그룹을 지칭할 때 자주 쓰이며[2], 후자는 말 그대로 '여성 멤버로 구성된 아이돌 그룹' 전반을 지칭할 때 쓴다. 그래서 한국이든 일본이든 걸그룹 하면 대부분 한국 쪽의 걸그룹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걸그룹으로는 스파이스 걸스, TLC, 데스티니스 차일드, 푸시캣 돌스, 피프스 하모니 등이 있다. X Factor UK 시즌 8 우승자인 리틀 믹스도 빼놓을 수 없고 최근에는 K-pop 걸그룹들도 각기 나름대로의 영역을 확장해가고 있다.

2. 역사


3. 목록


2022년 7월 기준으로, 현재 활동중인 걸그룹은 무려 180여팀에 이른다.[3][4]

3.1. 주요 그룹

1997~2005년 데뷔 걸그룹은 이미 해체했지만 당시 영향력이 있었던 걸그룹이거나 활동이 미약해도 오래 지속 중인 걸그룹만 작성되었다. 2002~2004년 데뷔 걸그룹들은 상대적으로 오래 지속되지 못하거나 인지도가 낮아서 생략되었다.
<colbgcolor=#ff7799><colcolor=#fff> 1997 베이비복스, 디바, S.E.S.
1998 핑클, 한스밴드
1999 클레오, 티티마
2000 샤크라, 파파야
2001 쥬얼리, 투야, M.I.L.K., 슈가
2003 빅마마
2005 가비엔제이, 천상지희 더 그레이스

2006년 이후 데뷔한 걸그룹들은 해체하지 않고 활동 중이면서 어느 정도 인지도를 유지하고 있는 걸그룹들을 기준으로 작성되었다.

(예외사항) 불법 및 편법적인 방법을 통해서 등재 기준에 부합하는 순위를 기록한 경우 등재 요건을 갖추더라도 예외사항으로 판단하고 해당 표 및 걸그룹 내용 일람에 등재 시키지 않는다.
<colbgcolor=#47c83e><colcolor=#fff> 데뷔년도 활동 중 해체 및 활동 중단[5]
2006 브라운아이드걸스[6] 씨야[7]
2007 카라[8], 소녀시대[9], 써니힐[10][11] 원더걸스[12]
2009 티아라[13] 애프터스쿨[14], 2NE1[15], 4minute[16], f(x)[17], 시크릿[18], 레인보우[19]
2010 씨스타[20], 미쓰에이[21], 걸스데이[22]
2011 Apink 달샤벳[23], 파이브돌스
2012 EXID[24] 크레용팝[25], AOA[26]
2013 레이디스 코드[27]
2014 마마무, Red Velvet 라붐, 러블리즈[28]
2015 오마이걸, TWICE 여자친구[29]
2016 BLACKPINK, 브레이브걸스[30][31] 아이오아이[32], 모모랜드[33]
2018 프로미스나인, (여자)아이들 IZ*ONE[34]
2019 ITZY
2020 STAYC, aespa
2021 IVE
2022 Kep1er, H1-KEY, VIVIZ, NMIXX, LE SSERAFIM, NewJeans, FIFTY FIFTY
2023 QWER
2024 ILLIT, BABYMONSTER
유닛 씨스타 19[35][36], 레드벨벳-아이린&슬기[37] 오렌지캬라멜[38], 소녀시대-태티서[39]
프로젝트성 걸그룹 언니쓰, 환불원정대, GOT the beat, WSG 워너비

4. 히트곡

4.1. 2006~2008년

<rowcolor=#fff> 가수 노래 발표 음반 연간 순위
브라운아이드걸스 L.O.V.E 2008.1.17. With L.O.V.E 3위
브아걸 사상 첫 1위 곡이며 원더걸스와 빅뱅에 밀려 연간 1위를 놓친 만큼 대히트 한 곡이다. 굉장한 롱런한 곡.
어쩌다 2008.9.16. My Style 18위
Abracadabra 2009.7.21. Sound-G 3위
시건방춤으로 메가히트했으며 2009년 하반기를 휩쓸었다. 이 노래로 그 해 100억 원 수익을 거둔다. 걸그룹 최초로 2년 연속 연간차트 TOP3를 기록하였다.
씨야 여인의 향기 2006.2.24. The First Mind 3위
데뷔 앨범임에도 10만 장 이상의 판매고를 올리며 성공적인 데뷔를 치렀다. 당시 10만 이상 팔린 앨범이 매우 드물게 나오던 시기였다.
미친 사랑의 노래 2006.7.18. 투명인간 최장수 OST 26위
사랑의 인사 2007.5.25. Lovely Sweetheart 24위
씨야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곡으로 각종 음악 방송 1위를 차지하며 전성기를 이끈 곡. 같은 앨범의 미워요도 연간 4위에 랭크되었다.
원더걸스 Tell Me 2007.9.5. The Wonder Years 26위
전국적으로 Tell Me 열풍이 불었으며, 한국 아이돌은 Tell Me 전후로 나뉜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걸그룹 및 후크송 열풍이 일었다.
So Hot 2008.5.22. So Hot 1위
텔미-쏘핫-노바디까지 대히트를 쳤다.
Nobody 2008.9.22. The Wonder Years - Trilogy 4위
이후에도 음원 성적은 꾸준히 초대박이었다.
카라 미스터 2009.7.30. Revolution 23위
명실상부 카라의 대표곡이자 일본에서 한류 열풍의 주역으로 인기를 얻게 해준 곡. 심지어 비타이틀곡이었다.[41]
루팡 (Lupin) 2010.2.17. 루팡 (Lupin) 11위
미스터의 상승세를 그대로 이어받은 곡으로 역대 활동곡 중 멜론 연간차트 최고점을 기록했다.
STEP 2011.9.6. STEP 52위
가온 앨범 차트 2011년 9월 월간 1위, 엠 카운트다운 차트 뮤직뱅크 K-차트 컴백 1위 수상 등을 기록했다.
소녀시대 Gee 2009.1.5. Gee 1위
멜론 연간 1위 및 2000년대 종합 차트 1위, 뮤직뱅크 9주 연속 1위 달성[42], 시상식에서 대상을 포함한 온갖 상을 휩쓸며 소녀시대를 최고의 자리에 오르게 한 곡. 당시 ‘TV만 틀면 소녀시대가 나온다’는 말도 있었을 정도로 굉장한 파급력을 자랑했다.
Oh! 2010.1.28. Oh! 6위
당시 네이버 서버가 터질 정도로 폭발력이 대단했고, 음원차트 올킬, 뮤직뱅크 5주 1위, 음반 대상 수상[43][44] 등 소녀시대의 커리어에 큰 획을 남긴 대히트곡.
써니힐 두근두근 2011.5.18. 최고의 사랑 OST Part.3 미진입
멜론 연간에는 들지 못했지만 써니힐의 곡 중 가장 높은 가온 연간 순위를 기록한 곡. 드라마 '최고의 사랑'이 대박을 치면서 이로 인해 상당한 인지도를 얻었다.
Goodbye To Romance 2012.12.14. Antique romance 2012년 연말
2013년 100위
써니힐의 곡 중 가장 좋은 음원 추이를 보인 곡이지만 연말에 나온 만큼 차트 순위에서는 손해를 본 편.

4.2. 2009년

<rowcolor=#fff> 가수 노래 발표 음반 연간 순위
애프터스쿨 Diva 2009.4.9. Diva 22위
명실상부 애프터스쿨의 대표곡.
Bang! 2010.3.25. Bang! 21위
애프터스쿨 최고의 히트곡으로 마칭밴드 콘셉트에 맞춰 드럼 퍼포먼스까지 선보였으나 활동 기간이 천안함 피격 사건과 겹치며 제대로 활동을 못한 불운의 곡이다.
2NE1 I Don't Care 2009.7.8. 2NE1 1st Minl Album 2위
명실상부 2NE1의 대표곡. 한국에서의 2NE1의 대표곡을 떠올리면 단연 이곡이다.
내가 제일 잘 나가 2011.6.24. 2NE1 2nd Minl Album 3위
2NE1 최고의 히트곡 중 하나. 곡 제목이 유행어로 자주 쓰였다.
포미닛 Hot Issue 2009.8.28. Hot Issue 20위
후렴구가 크게 유명한 곡으로 음원 차트 성적도 준수하다.
이름이 뭐예요? 2013.4.26. Name Is 4minute 7위
포미닛 데뷔 5년만에 생긴 대표곡. 대히트를 치면서 포미닛의 자리를 굳힌 곡이다.
티아라 Roly-Poly 2011.6.29. 존트라볼타 워너비 1위
2011년 최고의 히트곡. 티아라는 이 곡을 시작으로 전성기가 시작되면서 1군 걸그룹으로 자리를 잡았다.
Lovey-Dovey 2012.1.3. Funky Town 7위[가온]
2012년 상반기 1위 곡. <Bo Peep Bo Peep>, <Roly-Poly>를 잇는 대표곡들 중 하나로 이 곡 역시 크게 히트하며 대세 걸그룹으로 자리매김 했다. 이 곡으로 음악 방송 13관왕을 달성했다.
f(x) 피노키오 2011.4.20. 피노키오 6위[가온]
f(x)의 첫 음악 방송 1위곡으로 한국대중음악상 최우수 댄스&일렉트로닉 앨범부문 후보로 선정되기도 했다.
Hot Summer 2011.6.14. Hot Summer 16위
연타석 홈런을 치며 f(x)에게 대중성까지 잡아준 곡. 250만 다운로드를 달성하며 크게 히트했다. 현재도 여름이 되면 음원 순위가 상승하곤 한다.
시크릿 Shy Boy 2011.1.6. Shy Boy 27위
시크릿에게 최초로 음악 방송 1위를 안겨준 곡이자 가장 많은 횟수의 1위를 기록한 곡으로 1군급 걸그룹으로 성장하게 되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별빛달빛 2011.6.1. 별빛달빛 15위
곡 자체의 성적은 대박이었으나 동시기에 티아라와 더불어 SUPER JUNIOR까지 컴백한 바람에 1위는 얼마 하지 못 했다.
레인보우 A 2010.8.12. A 63위
레인보우의 인지도 상승과 대표 걸그룹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기여한 대표곡.
To Me (내게로..) 2011.4.7. So 女 96위
미니 2집 타이틀 곡으로 멜론 실시간 차트 1위를 기록하며 A에 이어 레인보우의 인지도를 높여준 곡.
Tell Me Tell Me 2013.2.13. Rainbow Syndrome 미진입
1년 이상의 공백기에도 뮤직뱅크 K-차트 3위, 엠 카운트다운 차트 4위를 기록하는 등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4.3. 2010~2011년

<rowcolor=#fff> 가수 노래 발표 음반 연간 순위
씨스타 나혼자 (Alone) 2012.4.12. ALONE 2위
씨스타를 음원깡패로 굳힌 곡 1. 학다리춤이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연간차트 2위지만 1위가 강남스타일인 것을 감안하면 엄청난 성적.
Loving U (러빙유) 2012.6.28. Summer Special 'Loving U' 4위
연달아 발매하여 씨스타를 음원깡패로 굳힌 곡 2. 명실상부한 여름 시즌송.[47]
미쓰에이 Bad Girl Good Girl 2010.7.1. Bad But Good 1위
데뷔 곡으로 연간차트 1위 기록 및 대상을 수상했다. 당시엔 그야말로 괴물신인.
다른 남자 말고 너 2015.3.30. Colors 23위
월간차트 1위를 기록했으나 같은 소속사의 박진영과 엑소와 활동이 겹치며 음악 방송 1위는 수상하지 못했다.
걸스데이 기대해 2013.3.14. 기대 22위[가온]
더 나은 성적의 곡들이 있으나 파격적인 퍼포먼스로 성적과 상관없이 회자되는 걸스데이의 출세작.
Something 2014.1.3. Everyday Ⅲ 9위
2014년 새해 벽두부터 발매, 1위를 휩쓸면서 대히트.
달샤벳 Supa Dupa Diva 2011.1.4. Supa Dupa Diva 95위
2011년 신인 걸그룹 중엔 최고 성적이었다. 멜론 월간차트 4개월 연속 차트인을 달성했다.
Apink NoNoNo 2013.7.5. Secret Garden 3위
Apink의 전성기를 시작한 곡이자 Mr.Chu랑 LUV와 함께 Apink를 상징하는 곡. 그 해 걸그룹 곡들 중에서는 최고로 높은 멜론 순위를 기록했다.
Mr. Chu 2014.3.31. Pink Blossom 7위
NoNoNo의 인기를 그대로 이어받은 곡.

4.4. 2012~2013년

<rowcolor=#fff> 가수 노래 발표 음반 연간 순위
EXID 위아래 2014.8.27. 위아래 2014년 미진입
2015년 17위
활동 종료 3개월 후 직캠 영상이 뜨면서 대히트한 곡으로 음원차트 역주행이라는 단어를 만들어낸 곡이다. 멜론 월간 1위까지 달성한 EXID의 대표곡.
아예 2015.4.13. AH YEAH 36위
위아래의 인기를 그대로 이어간 히트곡이다.
크레용팝 빠빠빠 2013.6.20. 빠빠빠 22위
코믹한 의상과 댄스로 대유행한 크레용팝 최고의 히트곡으로 지상파 음악 방송 1위도 수상했다.
꾸리스마스 2013.11.26. 꾸리스마스 미진입
2013년 아이돌이 부른 크리스마스 시즌송 중에서 엑소와 더불어 지상파 음악 방송 1위 후보에 올랐다.
AOA 짧은 치마 2014.1.16. 짧은 치마 15위
청담동 111과 주간 아이돌에 출연하면서 인지도가 갑자기 수직상승했고 이 곡으로 지상파 음악 방송 1위를 수상하였다. AOA의 위상을 올려준 대히트곡.
심쿵해 (Heart Attack) 2015.6.22. Heart Attack 18위
씨스타의 'Shake It' 과 함께 치열했던 2015년 걸그룹 대전에서 크게 히트한 곡이자 AOA의 대세 행진을 굳힌 곡이다.
레이디스 코드 예뻐 예뻐 2013.9.5. Code#02 PRETTY PRETTY 83위
2013년 데뷔 걸그룹 중에서는 유일하게 2013년도 멜론 연간차트에 진입했으며 "예뻐 예뻐 머리부터 발 끝까지~" 후렴구 한소절만 들어도 알 정도로 엄청난 히트를 친 곡, 이 곡을 바탕으로 동명의 개그콘서트 코너가 생겼을 정도.
I'm Fine Thank You 2013.9.5. Code#02 PRETTY PRETTY 미진입
발표 당시에는 잘 알려지지 않았던 곡이지만, 레이디스 코드 교통사고 직후 팬들의 성원에 힘입어 9개 음원 사이트에서 1위에 오르며 '음원 차트 그랜드슬램'을 기록했다.

4.5. 2014~2015년

<rowcolor=#fff> 가수 노래 발표 음반 연간 순위
마마무 넌 is 뭔들 2016.2.26. Melting 15위
정규 1집 Melting의 타이틀곡으로 발표 직후 주요 음원사이트 5위권에 진입했으며 대중들의 관심을 끌어모았다. 곧 이어 2월 28일엔 대부분의 음악사이트 1위를 차지했으며 2월 29일 2시경 iChart 퍼펙트 올킬을 달성했다. 그리고 최초의 음악 방송 1위도 달성하게 된 곡이다.
별이 빛나는 밤 2018.3.7. Yellow Flower 13위
마마무 포시즌 프로젝트의 첫 음반으로, 가온 월간 1위 및 음악 방송 9관왕을 달성했다. 이후로도 롱런하며 1억 스트리밍까지 달성한 히트곡.
Red Velvet 빨간 맛 2017.7.9. The Red Summer 25위
레드벨벳 첫 썸머 스페셜 앨범 타이틀 곡이자 첫 일간 1위 곡이다. 계절에 맞는 시원시원한 노래와 중독성 있는 후렴구로 대박이 났다.
Psycho 2019.12.23. ‘The ReVe Festival’ Finale 2019년 연말
2020년 9위[가온]
한 멤버의 불의의 사고로 음악 방송에 불참했음에도 9관왕을 차지했다. 음원에서도 롱런하여 1억 스트리밍을 달성하였으며, 레드벨벳의 곡들 중 최초로 연간차트 TOP10에 진입하였다.
라붐 상상더하기 2016.4.6. Fresh Adventure 2021년 62위
라붐의 노래 중에서 유일하게 연간차트인을 한곡으로 놀면 뭐하니? 방송을 타고 역주행이 가속화되어 발매 5년이 지나 연간차트에 진입하였다.
러블리즈 안녕 2015.3.3. Hi~ 미진입
러블리즈의 곡들 중 두 번째로 차트에서 롱런한 곡으로 중위권에서 좋은 추이를 유지했다. 팬들 사이에서도 러블리즈 최고 명곡으로 손꼽힌다.
Ah-Choo 2015.10.1. Lovelyz8 2015년 미진입
2016년 70위
8인 완전체로 발표한 첫 번째 미니 앨범 타이틀곡. 활동 종료 이후 여러 방송에서 BGM으로 쓰이고 입소문을 타면서 차트에서 반등을 하며 러블리즈의 상징이자 대표곡으로 자리잡았다.
여자친구 오늘부터 우리는 (Me gustas tu) 2015.7.23. Flower Bud 2015년 37위
2016년 20위
여자친구 하면 떠오르는 곡. 발표 후 꾸준한 롱런을 보여주다가 인제 직캠 덕분에 역주행하였고 이후에도 롱런하여 걸그룹 최초로 1억 스트리밍 및 200만 다운로드를 기록하는 등 꾸준한 인기를 기록했다.
시간을 달려서 (Rough) 2016.1.25. SNOWFLAKE 2위
"오늘부터 우리는"의 인기를 그대로 이어받은 여자친구의 대표 히트곡이다. 2016년 2월 음원 사이트 그랜드슬램, 2016년 멜론 연간차트 2위, 음악 방송에서 모두 1위를 수상하며 15관왕을 기록했다.
오마이걸 살짝 설렜어 (Nonstop) 2020.4.27. NONSTOP 16위
데뷔 이후 최초로 멜론 실시간 1위를 한 곡이자, 역대 오마이걸 곡 중에서 가장 높은 일간 순위를 달성한 곡. 지상파 3사 포함 음악 방송 8관왕을 달성하였고 활동 종료 이후로도 차트 상위권에서 롱런하고 있으며 꾸준히 음악 방송 1위 후보에 오르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명실상부 오마이걸의 대표 히트곡으로 자리매김했다.
Dun Dun Dance 2021.5.10. Dear OHMYGIRL 19위
<살짝 설렜어>의 인기를 그대로 이어갔으며 방탄소년단의 아성에 눌려 일간 1위는 기록하지 못했지만 실시간 차트에서 1위를 하는 데에 성공했으며, 일간 2위로 살짝 설렜어와 일간 순위 타이 기록을 달성했다.
TWICE CHEER UP 2016.4.25. PAGE TWO 1위
중독성 있는 포인트가 많은 노래로 음원과, 유튜브 등에서 엄청난 반응을 얻으며 TWICE에게 처음으로 지상파 음악 방송 1위와 각종 모든 대상을 안겨줬다. 멜론과 가온 2016년 연간차트 1위를 차지하였다. 멜론 68주, 가온 68주동안 주간차트인하며 걸그룹 역대 최장 주간 연속 차트인을 기록하였다.
TT 2016.10.24. TWICEcoaster : LANE 1 2016년 36위
2017년 28위
<CHEER UP>의 기세를 그대로 이어간 곡. 자체 기록을 경신하며 국내뿐만 아니라 일본에서도 TT포즈 유행을 일으켜 이 곡으로 일본진출을 하게 되었다. 유튜브 조회수도 TWICE의 곡 중 가장 높았었다.

4.6. 2016~2019년

<rowcolor=#fff> 가수 노래 발표 음반 연간 순위
브레이브걸스[50] 롤린 2017.3.7. Rollin' 2021년 2위
2021년 유튜버 비디터의 댓글 모음 영상 덕분에 역주행하여 전 음원 사이트 그랜드슬램을 달성했다. 아이차트 PAK 걸그룹 1위, 종합 4위라는 대기록을 썼다.
운전만해 2020.8.14. We Ride 2021년 18위
Rollin'이 역주행하면서 함께 주목받은 곡으로 멜론 24Hits 차트에서 4위까지 기록했다.
아이오아이 너무너무너무 2016.10.17. miss me? 64위
한터 차트 기준 초동 50,400장으로 2016년에 데뷔한 걸그룹 초동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10월 17일 발매되어 대부분의 음원사이트에서 1위를 차지하였고 10월 19일 오후 3시 30분에는 iChart 퍼펙트 올킬을 달성하는 등 훌륭한 음원성적을 기록했다.
소나기 (Downpour) 2017.1.18. 소나기 (Downpour) 80위
아이오아이의 마지막 음반이자 디지털 싱글. 사람들에게 많은 감동을 주고서 헤어졌으며 프로듀스101 시즌2 때 남자 참가자들이 이 곡을 리메이크하여 부르면서 차트에서 역주행을 하기도 하였다. 덕분에 2017년에 그룹은 사라졌지만 무려 2곡이나 연간차트에 차트인을 하게 되었다.
BLACKPINK 뚜두뚜두 (DDU-DU DDU-DU) 2018.6.15. SQUARE UP 6위
24시간 이용자수 걸그룹 최초 100만명 달성[51], PK 횟수 걸그룹 1위[52], 일간 차트 연속 30일 1위, 갤럽 2018년 올해의 노래, 가온 역사상 최초이자 유일무이한 월간지수 3억 돌파 등 1년만의 컴백이 뮤비와[53] 함께 큰 성공을 거두며 최정상의 걸그룹으로 우뚝섰다.
How You Like That 2020.6.26. How You Like That 15위
멜론 실시간 진입 이용자수 걸그룹 역대 1위, 멜론 7월 월간차트 1위, 가온 7월 월간차트 1위, 아이차트 2번의 PAK(퍼펙올킬)[54] 달성, 유튜브,[55] 해외 차트[56]에서 자신들이 세웠던 걸그룹 역대 기록을 자체 경신했다.
모모랜드 뿜뿜 2018.1.3. GREAT! 5위
유사성 논란 속에서도 모모랜드에게 첫 음악 방송 1위 및 7관왕을 가져다 준 곡이자 대세 아이돌 반열에 올려준 곡으로 2018년 걸그룹 노래들 중에서 가장 높은 연간 순위를 기록하였다.
BAAM 2018.6.26. Fun to The World 미진입
롱런을 하면서 뿜뿜의 인기를 이어간 곡. 중반추이에 비해 뒷심이 부족해 연간 차트에는 들지 못하였으나 해외에서 좋은 반응을 이끌어내서 유튜브 조회수는 2억 뷰 이상을 기록하였다.
(여자)아이들 TOMBOY 2022.3.14. I NEVER DIE 2022년 2위
2023년 36위
수진이 논란 때문에 탈퇴하여 5인조가 되며 휘청거리던 (여자)아이들을 다시 정상궤도로 올려놓은 곡으로 음반 판매량 커리어 하이를 기록하였으며, 음원에서는 처음으로 일간 1위를 달성하였다.
퀸카 (Queencard) 2023.5.15. I feel 7위
멜론 6월 월간차트에서 데뷔 후 첫 월간 1위를 차지했으며, 음악 방송에서는 총 13관왕을 달성해 2023년 가장 많은 음악 방송 1위를 기록 중이다.
IZ*ONE 라비앙로즈 (La Vie en Rose) 2018.10.29. COLOR*IZ 미진입
8만 장 이상의 초동을 기록하며 당시 역대 걸그룹 데뷔 음반 중에서 가장 높은 초동을 기록하였다.
FIESTA 2020.2.17. BLOOM*IZ 54위
전작들의 성적을 뛰어넘어 걸그룹 중 최초로 초동 20만 장과 30만 장을 돌파한 앨범이고 음원 차트 실시간 1위로 기록하였다.
ITZY 달라달라 2019.2.12. IT'z Different 16위
데뷔 9일 만에 ITZY에게 첫 음악 방송 1위를 안겨 준 곡으로, 뮤직비디오 공개후 1일만에 조회수 3000만회를 돌파했다. 2월 23일 쇼! 음악중심 1위를 수상해 단 11일 만에 지상파 1위를 차지, 데뷔 곡으로 음악 방송 9관왕이라는 대기록을 세웠다. 또한 역대 걸그룹 최단기간 지상파 1위 기록도 갈아치웠다.
WANNABE 2020.3.9. IT'z ME 62위
음원 차트에서 롱런하며 전작 의 부진을 씻어버린 곡[57]. 음악 방송에서 8관왕을 달성했으며, 뮤직비디오 또한 공개 44일만에 1억뷰를 돌파하였다.

4.7. 2020~2023년

<rowcolor=#fff> 가수 노래 발표 음반 연간 순위
STAYC ASAP 2021.4.8. STAYDOM 33위
발매 초기엔 이전 곡에 비해 아쉽다는 평이 많았지만, 실시간 차트에 바로 진입하는 데에 성공했고 중독성 강한 후렴구 및 꾹꾹이춤 덕분에 다시 화제가 되어 차트 성적이 꾸준히 올라 멜론 24Hits 차트 8위까지 기록하며, 대중들 사이에서 그룹의 존재감을 제대로 드러냈다.
Teddy Bear 2023.2.14. Teddy Bear 21위
음반 초동 판매량 30만 장을 돌파하고 첫 지상파 3사 음악 방송 1위를 모두 석권했고 멜론 실시간차트 1위까지 달성하였다. 위처럼 음원 성적도 전작의 부진을 씻고 커리어하이를 달성하며 반등에 성공했다.
aespa Next Level 2021.5.17. Next Level 5위
발매후 꾸준한 순위 상승을 하며 멜론 24Hits 차트 1위를 기록, 2021년도에 컴백한 걸그룹 곡 중 가장 좋은 성적임과 동시에 역대 걸그룹 노래 최장기간 멜론 TOP10 연속 차트인 1위 기록을 갱신하였다. 이 곡으로 4세대를 열었다.
Spicy 2023.5.8. MY WORLD 11위
에스파로서 3번째 일간, 주간 1위곡이다.[58] 초동 169만장을 돌파해 걸그룹 초동 1위에 이름을 올렸다.
IVE LOVE DIVE 2022.4.5. LOVE DIVE 2022년 1위
2023년 13위
초동 30만장을 돌파하였으며 발매 후 2개월 넘게 2~3위권에 있다가 6월에 처음 주간 1위를 찍고 10월까지 TOP 10을 유지하여 전년도 Next Level의 최장기간 TOP 10 진입 기록을 경신했다. 이 노래로 2016년 TWICE - CHEER UP 이후 6년 만에 멜론 뮤직 어워드, 마마 어워즈, 골든디스크어워즈에서 모두 대상을 수상했고, 걸그룹 노래로 음원 연간차트 1위를 차지했다.
I AM 2023.04.10 I've IVE 3위
LE SSERAFIM ANTIFRAGILE 2022.10.17. ANTIFRAGILE 2022년 90위
2023년 12위
5인조 개편 후 발매한 첫 음반이며 10월에 발매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연간순위에 이름을 올리는 등 음원과 음반 모두 커리어 하이를 달성하였다.
UNFORGIVEN 2023.5.1. UNFORGIVEN 16위
NewJeans Hype Boy 2022.8.1. New Jeans 2022년 16위
2023년 2위
역대 걸그룹 데뷔 음반 초동 1위를 경신하였고 역대 가장 장기간 멜론 주간차트 TOP 10을 유지하여 음원차트 상위권을 장기집권하였다.
Ditto 2022.12.19. OMG 2022년 연말
2023년 1위
멜론 일간 99일 연속 1위, 주간 14주 연속 1위라는 역대 최장 기록을 세웠으며, 2023년 연간 1위도 가장 유력하다.

4.7.1. 유닛

그룹당 최대 2개만 기재.
<rowcolor=#fff> 가수 노래 발표 음반 연간 순위
소녀시대-태티서 Twinkle 2012.4.30. 'Twinkle' mini album 12위[A]
씨스타 19 있다 없으니까 (Gone Not Around Any Longer) 2013.1.31. 있다 없으니까 10위[A]
오렌지캬라멜 까탈레나 2014.3.12. 까탈레나 (Catallena) 38위

가희 유이를 제외하곤 멤버 개인별 인지도가 낮았던 애프터 스쿨의 당시 막내 멤버 셋의 인지도를 많이 올려준 오렌지캬라멜, 좋은 음원 성적과 인기 멤버 둘을 구축한 씨스타19, 기존 보컬라인을 재조합하여 펑키한 댄스 장르를 시도해 대히트를 친 소녀시대-태티서 정도가 성공한 사례로 뽑힌다.

4.7.2. 프로젝트성 그룹

가수당 곡 1개만 기재.
<rowcolor=#fff> 가수 노래 발표 음반 연간 순위
언니쓰 맞지? 2017.5.12. 언니들의 슬램덩크 시즌2 64위
환불원정대 DON'T TOUCH ME 2020.10.10. DON'T TOUCH ME 71위
GOT the beat Step Back 2022.1.3. Step Back 53위
WSG 워너비 그때 그 순간 그대로 (그그그) ( 가야G) 2022.7.9. WSG 워너비 1집 21위

4.7.3. 연간 종합차트 10위권

이 중에 연간 종합차트 10위 안에 들어갔던 가수/곡은 다음과 같다.
순위 멜론 차트 써클 차트[61]
1위 원더걸스 - So hot(2008)
소녀시대 - Gee(2009)[62]
미쓰에이 - Bad Girl Good Girl(2010)
티아라 - Roly-Poly(2011)
TWICE - CHEER UP(2016)
IVE - LOVE DIVE(2022)
NewJeans - Ditto(2023)
미쓰에이 - Bad Girl Good Girl(2010)
티아라 - Roly-Poly(2011)
TWICE - CHEER UP(2016)
IVE - LOVE DIVE(2022)
NewJeans - Ditto(2023)
2위 2NE1 - I don't care(2009)
씨스타 - 나 혼자(2012)
여자친구 - 시간을 달려서(2016)
브레이브걸스 - 롤린 (Rollin')(2021)
(여자)아이들 - TOMBOY(2022)
NewJeans - Hype Boy(2023)
브레이브걸스 - 롤린 (Rollin')(2021)
(여자)아이들 - TOMBOY(2022)
NewJeans - Hype Boy(2023)
3위 씨야 - 여인의 향기(2006)
브라운아이드걸스 - L.O.V.E(2008), Abracadabra (2009)
2NE1 - 내가 제일 잘 나가(2011)
Apink - NoNoNo(2013)
IVE - I AM(2023)
씨스타 - 나 혼자(2012)
씨스타19 - 있다 없으니까(2013)
여자친구 - 시간을 달려서(2016)
IVE - I AM(2023)
4위 씨야 - 미워요(2007)
원더걸스 - Nobody(2008)
씨스타 - Loving U(2012)
NewJeans - OMG(2023)
2NE1 - Go Away(2010), Lonely(2011)
씨스타 - Loving U(2012)
모모랜드 - 뿜뿜(2018)
NewJeans - OMG(2023)
5위 모모랜드 - 뿜뿜(2018)
aespa - Next Level(2021)
소녀시대 - Oh!(2010)
BLACKPINK - 뚜두뚜두(2018)
aespa - Next Level(2021)
6위 브라운아이드걸스 - Hold The line(2006)
소녀시대 - Oh!(2010)
씨스타 - So cool(2011), Give it to me(2013)
2NE1 - I Love You(2012)
BLACKPINK - 뚜두뚜두(2018)
IVE - ELEVEN(2022), Kitsch(2023)
원더걸스 - 2 Different tears(2010)
f(x) - 피노키오(2011)
2NE1 - I Love You(2012)
4minute - 이름이 뭐에요?(2013)
IVE - ELEVEN(2022), Kitsch(2023)
7위 원더걸스 - 2 Different tears(2010)
2NE1 - Ugly(2011)
4minute - 이름이 뭐에요?(2013)
Apink - Mr.Chu(2014)
(여자)아이들 - 퀸카 (Queencard)(2023)
2NE1 - 내가 제일 잘 나가(2011)
티아라 - Lovey-Dovey(2012)
(여자)아이들 - 퀸카 (Queencard)(2023)
8위 2NE1 - Fire(2009)
티아라 - 너 때문에 미쳐(2010)
NewJeans - Attention(2023)
Apink - Mr.Chu(2014)
TWICE - KNOCK KNOCK(2017)
9위 걸스데이 - Something(2014)
TWICE - OOH-AHH하게(2016)
씨스타 - Give it to me(2013)
Red Velvet - Psycho(2020)
NewJeans - Attention(2023)
10위 2NE1 - Go Away(2010)
씨스타19 - 있다 없으니까(2013)
Red Velvet - Psycho(2020)
IVE - After LIKE(2023)
소녀시대 - 훗(2010)
IVE - After LIKE(2023)

총 21팀(및 유닛 1팀)의 45곡이 연간 10위권에 진입했다. 브라운아이드걸스, 씨야, 원더걸스, 소녀시대, 티아라, 2NE1, 씨스타, Apink, TWICE, (여자)아이들, IVE, NewJeans 등 12팀은 2곡 이상 중복 진입했으며 2NE1이 7곡으로 최다 랭크, 씨스타는 완전체 4곡 및 유닛 1곡을 랭크.

4.7.4. 여성 듀오

2인으로 구성된 여성 듀오의 경우 댄스 퍼포먼스보다는 발라드 곡 위주의 보컬 그룹인 경우가 많고 아이돌로 분류되는 3인 이상의 걸그룹들과는 성격이 크게 다르므로 여기에 따로 서술한다.[63] 이들 대다수는 탄탄한 보컬 실력을 바탕으로 높은 대중성을 확보하고 있다. 1999년 데뷔한 애즈원, 2008년 데뷔한 다비치, 2012년 데뷔한 15&[64], 2016년 데뷔한 볼빨간사춘기 등의 팀들이 인기를 끌었다. 이 중 다비치는 5곡[65], 볼빨간사춘기는 2곡[66]을 연간 10위권 안에 진입했다.
<rowcolor=#fff> 가수 노래 발표 음반 연간 순위
다비치 8282 2009.2.27. Davichi in Wonderland 12위
2009년 3월 초 활동을 시작하여 3월말까지 전혀 기세가 죽지않던 Gee를 누르고 뮤직뱅크 K-차트 1위를 탈환하며 가창력과 대중성 모두를 잡는 데 성공했다. 10년이 훌쩍 넘은 곡임에도 노래방 인기차트에 올라있는 곡이다.
이 사랑 2016.3.3. 태양의 후예 OST Part.3 4위
다비치의 곡들 중 가장 높은 연간 순위를 기록한, 1억 스트리밍과 250만 다운로드를 모두 달성한 대히트곡.
15& Somebody 2013.4.7. Somebody 미진입
케이팝스타 시즌 2무대를 통해 처음 공개 되었으며 멜론차트 실시간 1위도 달성했다.
티가 나나봐 2014.4.13. 티가 나나봐 90위
15&의 최고 명곡이지만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과 활동 기간이 겹치며 비교적 히트치지 못했다.
볼빨간사춘기[67] 우주를 줄게 2016.8.29. Full Album RED PLANET 13위
볼빨간사춘기가 인디 팬을 넘어 일반인들의 주목을 받기 시작하게 만들어 준 곡. 멜론 월간 1위, 한국대중음악상 올해의 노래상 및 가온차트 공인 2억 스트리밍을 달성한 초대박곡.
좋다고 말해 2016.12.21. Full Album RED PLANET 'Hidden Track' 2016년 연말
2017년 6위
볼빨간사춘기의 곡들 중 가장 높은 연간 순위를 기록한 곡. 24시간 이용자 수를 무려 995,516명을 찍으며 어마어마한 화력을 보여줬다.

4.8. 음반 관련 기록

4.8.1. 역대 걸그룹 음반 초동 기록


4.8.2. 역대 걸그룹 음반 총판 기록


4.9. 지상파 음악 방송 1위 당시 일차


여기에서 말하는 지상파 음악 방송은 뮤직뱅크, 쇼! 음악중심, SBS 인기가요 한정이다. 더 쇼는 한때 지상파로 재방송이 나갔지만 2017년 4월을 끝으로 SBS MTV SBS funE 두 채널에만 나가고 있다.

1위했을때 당시의 일차는 dday 함수 기준 +1한 날짜를 서술한다.
달성일 수가 같을 경우 먼저 달성한 순으로 나열한다.
<rowcolor=#fff> 그룹명 곡명 일수 활동 중 비고
ITZY 달라달라 12일 O
Kep1er WA DA DA 12일 O
LE SSERAFIM FEARLESS 12일 O
BLACKPINK 휘파람 14일 O
IVE ELEVEN 17일 O
ILLIT Magnetic 20일 O
미쓰에이 Bad Girl Good Girl 23일
NewJeans Attention 28일 O
2NE1 Fire 29일
씨야 여인의 향기 40일
aespa Black Mamba 62일 O
샤크라 65일
다비치 슬픈다짐 71일 O
S.E.S. I'm Your Girl 86일 걸그룹 최초 1위[68]
포미닛 Muzik 102일
아이오아이 Whatta Man 108일 [69]
소녀시대 소녀시대 113일 O
핑클 내 남자친구에게 118일
첫사랑 러브티콘 128일 O
티아라 Bo Peep Bo Peep 157일 O
IZ*ONE 비올레타 166일
씨스타 니까짓게 198일
TWICE CHEER UP 200일 O
Red Velvet Ice Cream Cake 239일 O
원더걸스 Tell Me 261일
디바 왜 불러 304일
애프터스쿨 너 때문에 340일
여자친구 시간을 달려서 386일
크레용팝 빠빠빠 409일
모모랜드 뿜뿜 471일
STAYC RUN2U 478일 O
시크릿 샤이보이 480일
AOA 짧은 치마 560일 [70]
f(x) 피노키오 602일
마마무 넌 is 뭔들 627일 O
NMIXX DASH 705일 O
카라 Honey 711일 O
(여자)아이들 Oh My God 717일 O
브라운아이드걸스 L.O.V.E 723일 O
베이비복스 Get Up 762일
천상지희 더 그레이스 한번 더, OK? 778일
Apink NoNoNo 823일 O
라붐 Hwi Hwi 975일 [사재기의혹]
EXID 위아래 1059일 O
걸스데이 여자 대통령 1095일
쥬얼리 Super Star 1493일
오마이걸 BUNGEE 1581일 O
프로미스나인 Stay This Way 1627일 O
브레이브걸스 롤린 1854일 [72]

1세대 이후를 모두 망라하여, 2인 이상으로 결성된 전·현역 그룹들이 지상파 1위를 경험한 사례는 위에 서술된 총 47팀이 있다.

걸스데이는 <기대해>가 1위 후보에 오르면서 인지도를 높인 끝에 마침내 SBS 인기가요에서 <여자 대통령>으로 1위를 했다!! 다만 결방으로 인해 실시간으로 수상하지는 못했다. 2014년에는 <Something>으로 음악중심, 인기가요 1위를 차지했다. Apink는 2013년 7월 19일 뮤직뱅크에서 첫 1위를 했으며, 이후 2014년에는 <Mr. Chu>로 주간 음악 방송 1위를 모두 휩쓸었을 뿐만 아니라 <Luv>로 12월 음방 전체 1위라는 대기록을 달성했다. 2012년에 데뷔했던 크레용팝은 2013년 8월 30일 뮤직뱅크에서 첫 1위를 하였고 같은 해에 데뷔한 AOA는 2014년 2월 9일 인기가요에서 처음으로 지상파 1위를 차지했다. EXID는 그 유명한 역주행으로 다시 <위아래>로 활동, 2015년 1월 9일에 뮤직뱅크에서 데뷔 첫 지상파 1위를 차지했다.

3세대로 분류되는 걸그룹들의 경우를 살펴보면, Red Velvet의 경우는 <Ice Cream Cake>이 음악 방송 1위 순례를 하면서 자리를 잡았고, 파워청순의 대명사 여자친구는 <시간을 달려서>로 2016년 2월 5일 뮤직뱅크에서 첫 지상파 1위를 차지하였다. 마마무는 <넌 is 뭔들>로 음원차트를 올킬하고 2016년 3월 6일 인기가요에서 첫 지상파 1위를 달성했다. TWICE는 OOH-AHH하게 당시에는 1위는 못했지만 역주행으로 2016년 1월에 인기가요에서 1위후보에 올랐고, 이후 <CHEER UP>이 대박나면서 5월 6일 뮤직뱅크에서 첫 지상파 1위를 차지했다. 아이오아이는 2016년 8월 19일자, BLACKPINK는 2016년 8월 21일자로 데뷔 14일만에 첫 지상파 1위를 차지했다. 라붐은 2017년 4월 28일자로 데뷔 첫 1위와 동시에 지상파 1위를 처음으로 차지했으나, 이 사건으로 인해 빛이 바랬다. 그리고 오마이걸이 2019년 8월 18일 데뷔 1581일 만에 SBS 인기가요에서 지상파 첫 1위를 달성하며, 후술할 '3년의 법칙'을 최초로 깼다.

흔히 걸그룹은 3년의 법칙이라고 하여 3년(1095일)안에 지상파 1위를 못하면 영원히 지상파 1위를 못한다는 징크스[73]가 있었다. 이 법칙은 2~3세대 걸그룹 시절부터 해당되는 이야기로, 1세대(혹은 1.5세대)에 해당하는 쥬얼리를 제외하면 최장기간 기록을 갖고 있었던 걸스데이가 데뷔 3년의 하루를 앞둔 날짜에 지상파 무관을 끊어냈기에 보이그룹에 비하면 이 법칙이 더 공고한 편이다. 현재까지 이 법칙을 깬 사례는 2022년 기준 오마이걸 브레이브걸스 프로미스나인[74] 단 세 팀 뿐이다. 브레이브걸스의 경우는 1위 경력이 전무했으나 2017년에 발매한 롤린(Rollin')이 2021년 다시 역주행하면서 다시 음원차트 상위권을 차지했고, 역주행에 힘입어 음악 방송에도 다시 출연해 지상파 1위를 차지했다. 1기 기준 3629일, 2기 기준으로도 1854일로 최장기. 이런 사례는 오랫동안 지상파에서 빛을 보지 못한 걸그룹들에게 희망을 주는 굉장히 뜻깊은 기록이라 볼 수 있다. 특히 오마이걸과 프로미스나인은 데뷔때부터 차근차근 인지도를 쌓아와 마침내 1위를 거머쥔 케이스고, 브레이브걸스는 한치의 희망도 보이지 않는 상황 속에서 기적이 일어난 케이스 이기에, 노력은 배신하지 않는다는 교훈과 그 어떤 상황속에서도 포기하지만 않는다면 기회는 찾아온다는 교훈을 모두 얻을 수 있다.

아직 지상파 1위를 하지 못한 걸그룹들이 지상파 1위를 하려면 우선 어느 정도의 높은 음원은 기본이고 SNS(유튜브 뮤직비디오 조회수 등), 방송 횟수(뮤뱅, 음중, 인가)는 물론 어느 정도의 팬덤을 갖춰서 음반 구매력도 확보해야 한다. 하나 문제는 동시기에 음원 성적이 중위권 이상 되는 보이그룹들과 만나면 1위하기가 어려워진다.

음반에서 가장 차이가 많이 나는 방송은 뮤직뱅크인데, 음반이 5% 반영된다고는 하지만 이것은 전체 집계점수 200,000점 중에 음반이 10,000점을 차지한다는 뜻일 뿐이다. 예를 들면, A그룹이 컴백하고 한 주 집계동안 80,000장을 팔고, B그룹은 컴백한 지 시간이 지나서 2,000장, 그리고 C그룹은 컴백하고 한 주 동안 18,000장을 팔았다고 하자. 그러면 이 세 그룹이 음반 점수를 판매한 비율대로 10,000점을 나눠서 가져간다. 즉, A그룹은 음반판매 접수 8,000점, B그룹은 200점, C그룹은 1,800점이다. 여기서만 6,000점이 넘는 점수 차이가 난다. 그런데 음원의 경우에는 최근에는 주간 1위를 해도 점수가 3,000점 정도밖에 안 되며, 음원 순위 차이에 비해서 팀별로 뮤직뱅크 점수 차이가 많이 나지 않는다. 따라서 겉으로 보이는 수치는 5%이긴 하지만 음반 점수가 점수상으로는 어마어마한 위력을 가지게 되었다.

이로 인해 음원이 낮은 남자아이돌 그룹들이 압도적인 음반점수로 1위를 먹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위의 경우와 같이 저정도로 차이가 나면 아무리 음원 깡패라도 절대 그 주에는 1위를 못 한다.[75] 웬만한 정상급 걸그룹들도 이들과 정면으로 붙게 되면 1위가 어렵다. 즉, 걸그룹이 뮤직뱅크에서 1위를 하려면 높은 음반판매량을 기본으로 가져가면서 준수한 음원+적절한 방점까지 기록해야 하므로, 컴백 시기를 잘 잡는 것이 의외로 가장 중요할 수도 있다.

그나마 음원이 강한 걸그룹의 경우 지상파에서는 인기가요에서 1위를 차지하는 것이 비교적으로 쉬운데, 음원과 어느 정도의 연관관계를 갖는 SNS 수치를 더해 무려 65%에 해당하는 점수가 최고 득점자 수치에 따라 비례배분되어 결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기가요가 가능성이 높은데, 걸그룹들은 음원+SNS점수가 높은 편이라 음반 점수를 쉽게 극복할 수 있는 반면[76] 어지간한 보이그룹들은 SNS가 낮은 편이라 걸그룹이 이기는 경우가 많다.

4.10. 지상파 음악 방송 1위 횟수 순위

KBS 2TV 뮤직뱅크, MBC 쇼! 음악중심, SBS SBS 인기가요 1위 횟수 순위를 정리한 문단.

합계가 같을시 KBS ▶ MBC ▶ SBS 순으로 1위 횟수가 많은 순으로 나열한다.
역대 지상파 음악 방송 1위 기록[기준]
순위 가수 KBS[K] MBC[M] SBS[S] 합계
1 TWICE 29 12 36 77
2 소녀시대 42 5 27 74
3 Red Velvet 15 12 19 46
4 BLACKPINK 4 9 27 40
5 IVE 11 10 16 37
6 (여자)아이들 5 12 17 34
7 S.E.S. 9 9 14 32
8 핑클 9 5 16 30
9 원더걸스 17 0 12 29
10 여자친구 13 4 12 29
11 씨스타 14 3 11 28
12 2NE1 9 2 17 28
13 ITZY 11 5 11 27
14 Apink 9 10 8 27
15 NewJeans 3 6 14 23
16 f(x) 8 1 8 17
17 LE SSERAFIM 6 7 4 17
18 마마무 6 2 9 17
19 다비치 6 2 7 15
20 티아라 6 0 9 15
21 카라 9 0 5 14
22 aespa 2 3 8 13
23 쥬얼리 7 1 4 12
24 소녀시대-태티서 4 1 4 9
25 브라운아이드걸스 3 0 6 9
26 미쓰에이 3 0 4 7
27 EXID 2 0 5 7
38 ILLIT 1 3 3 7
29 4minute 0 1 6 7
30 STAYC 4 1 1 6
31 IZ*ONE 3 1 2 6
32 브레이브걸스 1 1 4 6
33 걸스데이 0 2 4 6
34 시크릿 3 0 2 5
35 베이비복스 1 0 4 5
36 오마이걸 1 1 2 4
37 씨스타19 3 0 0 3
38 아이오아이 1 0 2 3
39 모모랜드 1 0 2 3
40 씨야 0 0 3 3
41 애프터스쿨 0 0 3 3
42 Kep1er 2 0 0 2
43 프로미스나인 1 1 0 2
44 NMIXX 1 0 1 2
45 AOA 0 1 1 2
46 샤크라 0 0 2 2
47 레드벨벳-아이린&슬기 1 0 0 1
48 크레용팝 1 0 0 1
49 첫사랑 1 0 0 1
50 디바 0 0 1 1
51 천상지희 더 그레이스 0 0 1 1
52 라붐 1 0 0 1

5. 포지션


5.1. 일본 아이돌


6. 각종 기록

7. 콘셉트


셀 수 없이 많은 걸그룹들이 있는 만큼 콘셉트도 굉장히 다양하다. 대표적으로는 귀여움, 청순, 섹시, 걸 크러시 등이 있으며 여러 가지 콘셉트를 하는 걸그룹들[91]도 많고 경계선에 걸치고 있어 명확하지 않은 걸그룹들[92]도 많다.

유행에 민감한 10대~ 20대에게 어필하는 아이돌의 특성상 세련된 이미지를 매우 중요시한다. 하지만 멤버들이 나이가 들어 20대 후반 이상이 되면 체력, 건강 유지 문제도 발생하고, 세련된 콘셉트는 어울리지 않으므로 노래와 의상 등을 점점 복고적으로 바꿔 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93]

아예 다른 걸그룹들과 달리 올드함을 정체성으로 삼아 데뷔 때부터 올드한 콘셉트를 한 걸그룹도 있는데, 대표적으로 브라운아이드걸스 티아라가 있다. 브라운아이드걸스는 특유의 허스키 보이스와 구수한 창법으로 '구수한 시골 아줌마' 이미지를 내세우고[94], 티아라는 트로트 느낌이 섞인 후크송으로 젊은 층부터 고령층까지 다양한 연령대를 사로잡아 2010년 전후에 큰 인기를 끌었다.

특정 그룹이 유지해 오던 콘셉트의 유행이 지나면 콘셉트를 바꾸어서 유행을 따라가는 방법과 유행에 따르지 않고 콘셉트를 유지하는 방법이 있는데 둘 다 장단점이 있으므로 소속사 측에서 결정을 내리기가 어렵다. 콘셉트를 갑자기 바꾸면 그룹의 정체성이 훼손되고, 바꾸지 않으면 유행에 뒤처지거나 촌스럽다는 반응이 나올 수도 있다. 어느 방향으로나 매력적인 콘셉트를 유지하지 못하게 된다면 인기가 떨어져 7년차 징크스 등을 겪고 해체하기도 한다.

참고로 일본 걸그룹은 콘셉트가 한국만큼 다양하지는 않다. 몽환적인 파스텔 톤 콘셉트 또는 연약한 여성미를 강조한 섹시 콘셉트 중 하나가 대부분이다. 또한 한국 걸그룹은 밝고 상큼한 이미지를 강조하는 편이며, 일본 걸그룹은 한국과 정반대로 여성스러운 이미지를 강조하는 편이다. 그래서 일본 걸그룹은 한국 걸그룹과 달리 방송 등에서 신난 모습을 잘 보이지 않는다.

8. 해외

8.1. 영미권


영미권 팝 시장이야말로 걸그룹의 원조로서, 이미 60년대부터 슈프림즈, 스파이스 걸스, 데스티니스 차일드, TLC 등의 그룹이 걸그룹의 계보를 이어왔다. 1960년대 브리티시 인베이전 직전 버블검 걸그룹 붐이 있었을 정도. [95] 하지만 영미권의 걸그룹은 한국과 달리 아이돌적인 성향이 거의 없으며, 한국의 걸그룹과 보컬 구조상 차이가 크다. 영미권의 경우 메인보컬이 곡을 리드하면 나머지 멤버들은 코러스만 담당하는 경우가 많았고, 아예 그룹 이름마저 리드보컬 이름을 딴 '○○과 □□□□' 식으로 짓는 경우도 흔했다. 시쳇말로 '원탑몰빵' 구조. 영화 드림걸즈의 모티브가 된 슈프림즈나 ' 푸시캣 돌스', 데스티니스 차일드가 대표적 사례다. 아예 메인보컬 외 다른 멤버의 공식적 포지션을 백업 보컬로 명시하는 경우도 많으며, 멤버별 파트가 적당히 균등하게 분배되는 스파이스 걸스가 특이 케이스다.[96]

때문에 영미권 걸그룹은 얼마 못 가서 원톱 멤버와 나머지 멤버들 사이의 불화가 심해지고, 결국 원톱 멤버가 탈퇴하고 자 그룹이 와해되는 경우가 많다. 그 후에는 피프스 하모니의 멤버였던 카밀라 카베요처럼 혼자 살아남는 경우도 있고, 푸시캣 돌스처럼 다 같이 침몰하는 사례도 있고... 이런 식이다보니 영미권 걸그룹은 아무리 히트곡이 있다고 해도 오래 가지를 못한다. 결국 국내에서도 걸그룹이 보이그룹보다 활동 기간이 짧은데 영미권에서는 그보다 더 짧은 셈. 평균 활동 기간이 3~5년이 채 되질 않고, 그나마 길게 활동한 걸그룹이 10년 이상 활동했던 슈프림즈나 10년 가까이 길게 활동한 걸스 얼라우드, 리틀 믹스가 전부이다.

영미권 걸그룹 시장은 데스티니스 차일드가 해체할 즈음 데뷔한 푸시캣 돌스가 2000년대 후반을 맞으며 왕좌를 굳건히 하는 듯 했으나 멤버간 불화로 순식간에 와해되었고, 2010년대 중반 등장한 피프스 하모니 리틀 믹스가 새로 시장을 개척하는 듯 했으나 이들 역시 거대한 시장 규모에 비하면 미약한 활동을 펼치다 각자 솔로 활동으로 전향하며 활동을 멈췄고 케이팝 걸그룹들에게 완전히 자리를 내주었다. 2022년 영국에서 신인 걸그룹인 FLO가 데뷔하며 같은 영국을 기반으로 활동했던 리틀 믹스의 계보를 이을 수 있을지 주목을 받고 있다.

8.2. 일본

자세한 사항은 일본 아이돌과 그룹의 개별 항목 참조. 괄호 안은 첫 싱글 발매일.

8.3. 중화권

8.3.1. 중국

8.3.2. 대만

8.3.3. 홍콩

8.4. 동남아

8.4.1. 태국

8.4.2. 베트남

8.4.3. 필리핀

8.4.4. 인도네시아


[1] 실제로 1990년대 일본 걸그룹 모닝구무스메, SPEED가 영국의 스파이스 걸스의 벤치마킹을 한것이고 한국도 일본의 걸그룹의 벤치마킹해서 만든것이다. [2] 예를 들면 이걸즈 Perfume. [3] 물론 공식적인 해체선언 없이 잠정적으로 활동을 중단한 팀도 있다. 그러나 그 점을 감안하더라도 굉장히 많다. [4] 음원 발표와 전국구 방송출연 등 메인스트림에서 활동하는 목적이 아닌, 단지 행사만을 돌기 위해 기획되었던가, 지방도시의 특정 지역만을 활동무대로 삼아 지역 언론 등에서 언급되는 걸그룹까지 포함한다면 그 숫자는 더욱 늘어난다. 게다가 걸그룹 중에서는 밤무대에서만 활동하는 걸그룹도 있다. 이런 걸그룹은 나이트클럽 찌라시에서 많이 볼 수 있다. 그런 걸그룹은 기획사=자기네 나이트클럽인 경우가 확률이 높다. 대한민국에서 콘텐츠진흥원에 등록되어 있는 연예기획사만 2,000여개 가까이 된다. 거기다 그 안에 등재되어 있지 않은 미등록 기획사도 있다. [5] 공식 해체 선언은 하지 않았지만 사실상 활동 중단인 경우 포함. [6] 활동하는 그룹 중 최장수 걸그룹. 이름만 유지하고 멤버 교체가 있는 경우가 아닌 멤버 변동, 해체, 활동 중단 없이 활동을 계속 이어가고 있다. [7] 2011년 1월 30일 공식 해체 [8] 2016년 허영지를 제외한 모든 멤버들이 DSP와 계약이 만료되어 사실상 활동 중단 상태였지만, 2022년 11월, 15주년 기념 앨범 《 MOVE AGAIN》을 발매하고 방송 활동을 하는 등 그룹 활동을 재개했다. [9] 소녀시대 티파니, 수영, 서현이 소속사를 이적했기 때문에 추후 완전체 활동이 불투명했으나 2022년 8월에 정규 7집으로 컴백했다. [10] 2017년 8월 페이브엔터테인먼트와 결별한 뒤로 뚜렷한 활동이 없었고 주비와 미성이 차례로 탈퇴하면서 앞날이 불투명했으나 새 멤버가 합류하면서 BOD엔터테인먼트와 전속계약을 맺었다. [11] 데뷔할 때는 혼성그룹이었으나, 중간에 유일한 남자 멤버였던 김장현이 탈퇴했다. [12] 2017년 2월 10일 공식 해체 [13] 2017년 5월 소연, 보람이 계약 만료로 팀을 탈퇴하였고, 2018년 1월 3일 남은 네 명의 멤버들 모두 기존 소속사인 MBK에서 계약 만료로 나온 뒤 이후 그룹 활동이 없었기에 핑클의 상황처럼 공식해체는 아니지만 해체나 마찬가지라고 보는 시각이 많았다. 그러나 2020년 문명특급에서 완전체 무대를 선보였고, 2021년에는 7월에 그룹으로서 예능 아는형님에 출연하고, 11월 Re:T-ARA로 약 4년만에 컴백하면서 그룹 활동을 이어나가고 있다. [14] 2013년 첫사랑 이후 공식 활동도 없고 멤버 이가은 프로듀스 48에 출연하여 사실상 활동 중지임을 언급. [15] 2016년 11월 25일 공식 해체 [16] 2016년 6월 16일 공식 해체 [17] 공식적으로 해체를 발표한 적은 없으나 2016년 SM STATION 이후로 활동이 없는 상태이다. 음반 발매는 2015년 4walls가 끝. 6년이 넘는 공백기가 이어지고 있고 2021년 빅토리아를 마지막으로 모든 멤버들이 SM과 결별하면서 사실상 활동 중단 상태이다. [18] 2014년 8월 이후 공백기가 지속되는 가운데 2017년 한선화가 탈퇴하고 2018년 들어서 송지은 전효성이 소속사와 법적 공방을 벌이면서 사실상 해체나 다름없는 상태가 되었다. [19] 2016년 11월 12일 공식 해체 [20] 2017년 6월 4일 공식 해체 [21] 2017년 12월 27일 공식 해체 [22] 2019년 멤버 전원 재계약 결렬 [23] 공식적인 해체 발표는 없었지만, 우희를 제외한 나머지 원년 멤버들이 재계약 없이 다른 소속사로 이적. [24] 멤버 전원이 소속사를 떠났기 때문에 추후 완전체 활동이 불투명했으나 2022년 9월에 10주년 기념 싱글로 컴백했다. [25] 2017년 5월이후 사실상 해체. [26] 사실상 잠정 활동 중단. [27] 2020년 2월 17일 소속사와의 계약 만료. [28] 2021년 11월 1일 베이비소울 제외 전원 재계약 결렬, 16일 계약만료 [29] 2021년 5월 18일 멤버 전원 재계약 결렬, 22일 공식 계약 만료 [30] 2기 기준, 1기는 2011년에 데뷔했으나 원년멤버는 모두 탈퇴 [31] 2023년 2월 16일 브레이브엔터테인먼트와 멤버 전원 재계약 결렬 이후, 워너 뮤직 코리아와 계약 체결 및 상표권 문제로 브브걸로 팀명 변경 후 활동 중. [32] 2017년 1월 31일 프로젝트 활동 종료. [33] 2023년 1월 27일 전원 재계약 결렬 [34] 2021년 3월 14일 공식 활동 종료. 2021년 4월 29일 프로젝트 활동 종료. [35] 2011년 데뷔 [36] 2024년 1월 16일 컴백했다. [37] 2020년 데뷔 [38] 2010년 데뷔 [39] 2012년 데뷔 [40] 가온/써클차트 순위는 각주로 해당 순위가 가온(2021년까지)/써클차트(2022년부터) 인용임을 표기한다. [41] 타이틀곡은 Wanna였으나 컴백 무대 당시 서브곡이었던 미스터의 반응이 훨씬 좋아 빠르게 후속곡으로 변경했고 일본 데뷔도 미스터로 했다. [42] 총합 11주 1위를 기록했다. [43] 걸그룹 중 2NE1 이후로 두 번째 실물 음반 대상이다. 음원 판매량이 아닌 실물 음반 판매량으로 주는 음반 대상을 받은 걸그룹은 2023년까지 2NE1 소녀시대 총 두 팀이다. [44] 2010년 11월 28일 마마 어워즈에서 2NE1이 받은 올해의 앨범상 심사 기준은 '음반 판매 50% + 전문 심사 30% + 선정위원회 20%', 2010년 12월 9일 골든디스크어워즈에서 소녀시대가 받은 음반대상 심사 기준은 '음반 판매 60% + 전문 심사 20% + 투표 20%'이다. [가온] [가온] [47] 이후에도 씨스타는 Touch My Body, Shake It, I Swear 등의 서머송을 히트시키며 서머퀸 칭호를 얻는다. [가온] [가온] [50] 그룹은 2011년 데뷔이지만 2기는 2016년에 데뷔하였다. [51] 1,015,669명 [52] 93회 [53] K팝 그룹 최초 10억뷰 돌파와 더불어 K팝 그룹 전체 최고 조회수 [54] [55] 공개 시점 기준 24시간 조회수 최다 기록 및 최단 기간 1억뷰 돌파 기록을 달성했다. [56] 빌보드 HOT100 차트 33위, UK 싱글 차트 20위, 중국에서 역대 가장 많이 다운로드 한 해외노래 2020년 브라질 스트리밍 횟수 해외가수 1위 2020년 브라질 스트리밍 횟수 역대 2위 [57] 어디까지나 달라달라와 워너비 사이에 있어서 부진이란거지 ICY 자체도 성적이 나쁜 곡은 아니다. 음악 방송 12관왕, 국내 연간 98위의 호성적을 기록한 곡 [58] 이전 두 곡은 Next Level Savage [A] 멜론 [A] [61] 2010년부터 집계 시작 [62] 2000년대 1위 [63] 다만, 씨야처럼 3인조 이상이지만 보컬그룹인 경우도 있고, 다비치처럼 데뷔 초에는 아이돌로 활동하다 보컬그룹으로 전향한 경우도 있으므로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64] 2015년 2월 이후로 듀엣 음악 활동이 멈추었으며 이미 서로 추구하는 음악적 색깔이 다르다고 공식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2019년도가 계약 7년차이기 때문에 공식적인 해체발표는 없지만 사실상 해체 상태 이다. [65] 사랑과 전쟁-2008년 멜론 7위 / 안녕이라고 말하지마-2011년 멜론 10위 / 거북이-2013년 가온 8위 / 녹는 중-2013년 가온 10위 / 이 사랑-2016년 가온 4위 [66] 좋다고 말해-2017년 멜론 4위, 가온 6위 / 여행-2018년 멜론 10위, 가온 10위 [67] 멤버 우지윤이 탈퇴하면서 안지영 1인 그룹으로 변경. [68] 지상파 음악 방송에서 차트 순위제를 시행한 건 1981년(KBS 1981년 2월 10일 가요톱텐, MBC 1983년 11월 4일 내가 뽑은 인기가요, SBS 1991년 12일 인기가요)이 최초. 18년 역사에서 걸그룹이 1위를 차지한 건 S.E.S.가 최초였다. 가요톱텐 이전에 JTBC의 전신인 TBC(동양방송)에서도 차트 순위제 음악 방송이 있었지만, 해당 프로그램들의 자료가 거의 남아 있지 않다. [69] 완전체가 아닌 유닛 활동이 첫 1위이나, 다른 그룹들의 유닛과는 달리 엄연히 I.O.I의 이름으로 한 첫 1위이다. 완전체로는 180일. [70] 사실상 활동중단 [사재기의혹] 뮤직뱅크에서 1위를 달성한 후 음반 사재기 의혹이 터졌다. 라붐 측은 해명하여 고의성이 없었음을 해명하였으나 사실상 변칙적인 사재기라는 의견이 있다. 뮤직뱅크 측에서는 이 사건에 대해 공식 의견을 발표하지 않았다. 자세한 내용은 이 사건 참조. [72] 1기까지 포함하면 무려 3629일. 소속사인 브레이브엔터테인먼트에서는 1기 시절도 포함한다. [73] 한때 보이그룹도 이 법칙이 적용되었으나, 비투비가 최초로 3년의 법칙을 깼으며 이후로 10팀도( 몬스타엑스, 엔플라잉, 뉴이스트, SF9, ASTRO, Stray Kids, 펜타곤, ATEEZ, 원어스, VERIVERY) 그 법칙을 깨버렸기에 이제 보이그룹에게는 해당되지 않는 말이다. 대부분의 보이그룹이 Mnet 오디션 프로그램에 출연했기 때문에 그랬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이 법칙은 더 이상 보이그룹에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74] 1627일만의 1위로 브레이브걸스에 이은 2위의 기록이다. [75] 어느 정도냐면, 음원으로는 월간 1위를 한 아이유가 무려 차트아웃한 NCT 127, 몬스타엑스에게 뮤직뱅크 1위를 내준 적이 있다. [76] 뮤직뱅크는 반대로 점유율 비례 배분이라 음반이 당연히 보이그룹에 밀리는 걸그룹들은 음반 점수를 극복 못해서 걸그룹이 1위 하기가 쉽지 않다. [기준] 2024년 5월 5일 [K] < 2001년 8월 10일 ~ 2007년 9월 6일 > 기간엔 차트 순위제를 폐지했다는 점을 감안한다. [M] < 2006년 1월 7일 ~ 2013년 4월 19일 > 그리고 < 2015년 11월 15일 ~ 2017년 4월 21일 > 기간엔 차트 순위제를 폐지했다는 점을 감안한다. [S] < 2012년 7월 ~ 2013년 3월 17일 > 기간엔 차트 순위제를 폐지했다는 점을 감안한다. [81] 모종의 이유로 인하여 데뷔한 지 5일 만에 해체하였다. [82] 걸그룹이 아닌 솔로 활동 멤버는 제외하였다. [83] 2021년 3월 14일 SBS 인기가요. [84] 2022년 4월 20일 쇼챔피언. 前 밍스 출신 멤버들은 2,771일 [85] Honey, 루팡 (Lupin), WHEN I MOVE [86] 6개 음악 방송 17회, 지상파 12회 [87] 시간을 달려서 (Rough)15회, 너 그리고 나 (NAVILLERA) 14회 - 총 29회 [88] 2022년 11월 29일 MOVE AGAIN(15주년 기념 앨범) 발매 [89] TWICE는 지상파 16회, Red Velvet지상파 15회, 케이블 1회. [90] 다시는 나오기 어려운 역대급 원 히트 원더 곡의 사례, 크레용팝은 복수의 곡이 성과를 이루었기에 제외 [91] Red Velvet이 대표적이다. 상큼발랄한 '레드'와 성숙하고 몽환적인 '벨벳' 콘셉트를 갖고 있다. [92] 씨스타가 대표적이다. 섹시와 걸 크러시라는 반대되는 이미지를 둘 다 갖고 있다. [93] 브레이브걸스 등이 대표적이다. [94] 다만 킬 빌에서는 목소리를 가늘게 내고 세련된 콘셉트를 했다. [95] 필 스펙터도 걸 그룹 팝 프로듀싱으로 유명해진 케이스다. [96] 스파이스 걸스는 멤버마다 '□□ Spice'라는 별명을 붙이는 등 개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케이팝 아이돌의 마케팅 방식에 큰 영향을 준 바 있다. [97] 2016년 해체. [98] 프로듀스101의 홍콩 참가자 응 씨 카이가 소속되었던 그룹이다. [99] 2021년 홍콩의 오디션 방송 스타즈 아카데미(聲夢傳奇)의 최종 우승자 지지 임(炎明熹)[101]과 샨텔 이우(姚焯菲)[102], 유미 청(鍾柔美)[103], 윈디 쟌(詹天文)[104]로 구성된 프로젝트성 그룹이다. [100] 이 중 지지 임은 10대 후반이라는 나이답지 않게 가창력과 곡 해석력이 뛰어나 홍콩 가요계 관계자들에게 주목받았으며, 데뷔 1년도 채 되지 않아 쟁쟁한 대선배들과 함께 중국-홍콩 합작 경연 방송인 聲生不息 港樂季에 최연소자로 참가[105]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