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대중음악 시상식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
|
|
|
|
|
|
|
|
}}}}}}}}} |
스포츠서울의 시상식 | |
서울가요대상 |
- |
<colbgcolor=#B00810><colcolor=#ffffff> 서울가요대상 Seoul Music Awards |
|
|
|
국가 |
[[대한민국| ]] |
주최 |
|
첫 시상년도 | 1990년 |
추가 채널 |
|
링크 |
|
[clearfix]
1. 개요
서울가요대상은 1990년에 신설된 가요대상이다. 스포츠서울 주최이며 하이원 리조트, (재)한국방문위원회가 후원하며, 서울가요대상조직위원회에서 주관한다. 하이원 및 한국방문의해위원회와 손잡고 ‘한국방문의 해 기념 하이원 서울가요대상’이 되었다2. 역사
1990년에 한국방송공사에서 처음으로 중계했으며 1991년부터 2004년까지는 SBS에서 중계했다. 그 뒤 2004년을 마지막으로 지상파에서 케이블 중계로 바뀌었다. 그 이후 2006년에는 MTV 코리아, 2007년부터 2010년까지는 Y-STAR[1]와 코미디TV에서 동시중계했다. 2011년부터는 KBS N 계열 채널들에서 동시중계하고 있다.매년 1월부터 12월까지 발표된 음반을 대상으로 디지털 음원 및 음반 판매량, 모바일 및 ARS를 통한 일반 팬의 인기 투표 결과를 바탕으로 대상 및 본상 수상자를 선정한다. 수상자 전원에게는 음악의 여신을 형상화한 뮤즈 트로피가 수여된다.
2016년 무보수 구인 공고 논란으로 인해 서울특별시가 후원 중단 결정을 내리면서 서울시 로고도 사용하지 못하게 되었지만, 시상식 명칭은 유지한다고 밝혔다.
3. 심사 기준
시상 안내당해 연도 1월부터 12월까지 발표된 모든 음반 및 음원 대상으로 후보자를 선정, 심사하게 되며 판매량은 한터차트 기준으로 한다.
- 본상 / 신인상 / 각 부문 상
전문 심사위원 및 서울가요대상 조직위원회 (40%) + 음반/음원 판매량 (30%) + 전세계 모바일 투표 (30%)
- 인기상
대한민국 모바일 투표 (100%)
- 한류 특별상
해외 모바일 투표 (100%)
- 밴드상 / 공연 문화상 / 올해의 발견상 / 심사위원 특별상
전문 심사위원 및 서울가요대상 조직위원회 (100%)
4. 대상 연혁
<rowcolor=#ffffff> 회차 | 연도 | 수상자 | |
1회 | 1990년 | 변진섭 《어떤 이별》 | |
2회 | 1991년 | 태진아 《거울도 안 보는 여자》 | |
3회 | 1992년 | 서태지와 아이들 《 난 알아요》 | |
4회 | 1993년 | 서태지와 아이들 《 하여가》 | |
5회 | 1994년 | 김건모 《 핑계》 | |
6회 | 1995년 | 룰라 《 날개 잃은 천사》 | |
7회 | 1996년 | 클론 《 꿍따리 샤바라》 | |
8회 | 1997년 | H.O.T. 《 We are the Future》 | |
9회 | 1998년 | H.O.T. 《 빛》, 젝스키스 《 커플》 | |
10회 | 1999년 | 조성모 《 슬픈영혼식》, 핑클 《 영원한 사랑》 | |
11회 | 2000년 | 조성모 《 아시나요》 | |
12회 | 2001년 | 김건모 《 미안해요》 | |
13회 | 2002년 | 보아 《 No.1》 | |
14회 | 2003년 | 이효리 《 10 minutes》 | |
15회 | 2004년 | 신화 《 Brand New》 | |
16회 | 2006년 | 동방신기 《 "O"-正.反.合.》 | |
17회 | 2008년[2] | 빅뱅 《 마지막 인사》 | |
18회 | 2009년 | 원더걸스 《 Nobody》 | |
19회 | 2010년 | 소녀시대 《 Gee》 | |
20회 | 2011년 | 소녀시대 《 Oh!》 | |
21회 | 2012년 | 슈퍼주니어 《 Mr. Simple》 | |
22회 | 2013년 | 싸이 《 강남스타일》 | |
23회 | 2014년 | EXO 《 으르렁 (Growl)》 | |
24회 | 2015년 | EXO 《 중독 (Overdose)》 | |
25회 | 2016년 | EXO 《 CALL ME BABY》 | |
26회 | 2017년 | EXO 《 EX'ACT》 | |
27회 | 2018년 | 방탄소년단 《 LOVE YOURSELF 承 'Her'》 | |
28회 | 2019년 | 방탄소년단 《 LOVE YOURSELF 轉 'Tear'》 | |
29회[3] | 2020년 | 음반 | 방탄소년단 《 MAP OF THE SOUL : PERSONA》 |
음원 | 태연 《 사계 (Four Seasons)》 | ||
30회[4] | 2021년 | 방탄소년단 《 MAP OF THE SOUL : 7》 | |
31회 | 2022년 | NCT 127 《 Sticker》 | |
32회 | 2023년 | NCT DREAM 《 Beatbox》 |
- 서울가요대상 공식 홈페이지에서 집계 시작 기간 연도를 기준으로 역대 시상식 연도를 표시하고 있다.
- 역대 최다 대상 수상 : 방탄소년단, EXO (4개)
- 가장 많은 해에 대상 수상 : 방탄소년단, EXO (4년)
5. 역대 시상식
6. 논란 및 사건 사고
7. 여담
- 2009년부터 빌보드에서까지 우수한 성적을 내는 싸이와 방탄소년단을 제외하고는 다 SM 소속 가수들이 대상을 타고 있다. 일명 슴가대라고도 부른다. [5]
-
대상 기준에 대해 논란이 많다.
nct 127과 nct dream은 성적이 다른 아티스트에 비해 월등히 낮음에도 대상을 수상하여 논란이 되고 있다. 음원 연간차트 미진입, 앨범도 연간 1위가 아니다. 2022년 앨범 연간차트도 5위다. 둘다 합쳐서 순위를 매겼다고 해도 더 좋은 가수가 많다. 음악 방송 1위가 잘못 되어도 매번 논란인데 더 큰 시상식에서 대상 순위 논란이 되는 것은 당연하다. #
[1]
2007년과 2008년에는
YTN 미디어 산하여서 YTN STAR였다.
[2]
17회부터 시상식이 개최되는 시기가 연말이 아닌 연초로 바뀌었다. 즉, 실제로 17회 시상식이 치러진 시기는 2008년 초인 것이다. 이후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치러지고 있지만, 서울가요대상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집계 시작 기간을 기준으로
역대 시상식 연도를 표시하고 있다.
[3]
단일 대상 후보였던
방탄소년단이 불참하면서 최초로 대상을 2개로 나누어 시상하여 논란이 있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단 참고.
[4]
최초로 불참자에게 단일 대상을 시상했다.
[5]
단순히 SM 소속 가수들이 대상을 타서 그런게 아니라 논란 항목을 보면 이해가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