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2 10:36:14

에서 넘어옴
1. 순우리말
1.1. 감탄사1.2. 명사형 전성 어미/명사 파생 접미사 '-(으)ㅁ'
2. 한자3. 음씨(陰), 한국의 성씨4. 고유명사5. 믕

1. 순우리말

1.1. 감탄사

음성적 잉여표현이다. 쓰는 경우는 대개 3가지다.
  1. 수긍한다는 의미.
  2. 불만스럽거나 걱정스러울 때 내는 소리.
  3. 의문스러울 때 내는 소리.
북한에선 무언가를 비꼴 때 쓰기도 한다.

영어권에서는 Hmm, Umm, Mmm과 같이 표기한다.

1.2. 명사형 전성 어미/명사 파생 접미사 '-(으)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동사, 형용사의 어간에 붙어서 명사형을 만들거나, 어간을 어근 삼아 결합하여 명사로 파생시킨다. 이렇게 쓰이는 '-음'은 '-ㅁ' 앞에 매개모음 '-으-'가 붙은 형태이다.

'ㄹ' 받침 뒤에는 '-음'은 아니라 '-ㅁ'이 붙어 '' 받침이 되어야 하나, 일부 명사 파생 접미사는 '-음' 형태나 'ㄹ' 탈락 형태로 굳어진 것이 있다. ' 가뭄', ' 얼음', ' 졸음'이 그 예이다.

2. 한자

파일:漢.svg 파일:漢_White.svg 한국 한자음 빈도
[1~10위]
32 27 25 20 19
[11~106위]
18 17 16 15 14 13 12 11 10 9 8 7 6
[107~308위]
5 4 3 2
[309~407위]
1
[1~10위] [11~106위] [107~308위] [309~407위]
* 위 숫자는 해당 음절에 배당된 교육용 한자 수이다.

교육용 한자에서 '음'을 읽는 글자는 다음 5자이다. 한국어 IME에서 까만 글자로 뜨는 기본 글자들도 陰과 유사한 의미로 쓰이는 蔭[1]만 빼면 동일하다.
  • (읊을 음): 생각보다 용례는 많지 않다. '음미(吟味)하다', ' 음유시인(吟遊詩人)', ' 신음(呻吟)'이 이 글자를 쓴다.
  • (그늘 음)
  • (소리 음)
  • (마실 음)
  • (음란할 음)

3. 음씨(陰), 한국의 성씨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음(성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한국의 성씨로 본관은 죽산, 괴산 등이 있다.

4. 고유명사

5.

믕은 음을 장난삼아 뒤집은(?)것으로, 인터넷에 쓰인다. 사실상 믕이라고 하는 이유는 그냥 음과 같다. (그러니 문서가 다 없어지지)


[1] 주로 역사적 용어에서 사용하며, 제일 유명한 단어는 관직 채용 방식 중 하나인 음서(蔭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