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18 22:46:42

강제하

파일:독립장 약장.png
건국훈장 독립장 수훈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D4D4D, #696969 20%, #696969 80%, #4D4D4D); color: #fede58"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독립장 부장.png
강경선 강기덕 강기운 강명규 강무경
강상모 강순필 강영소 강원형 강윤희
강이봉 강익록 강인수 강제하 강진원
강진해 강창제 강철구 계봉우 계화
고광순 고두환 고운기 고이허 고인덕
고제량 고지형 고창일 고평 곽재기
곽종석 구연영 권기옥 권오설
권인규 권준 기산도 기삼연 기우만
길선주 김단야 김대지 김덕제 김도원
김도현 김동식 김법린 김병로
김복한 김상덕 김상옥 김석 김석진
김석황 김성숙 김수민 김순애 김승학
김약연 김원국 김원범 김인전 김정익
김중건 김진묵 김철 김철수 김학규
김한종 김혁 김홍일 김희선 나병삼
나시운 나월환 나정구 나중소 나창헌
나철 나태섭 남공선 남궁억 남석인
남정각 노기용 노병대 노복선 노원섭
노을룡 노응규 노임수 노종균 노태준
다이리 류인식 마수례 마진
명제세 문상익 문석봉
문양목 문일민 문일평 문창숙 문창학
민강 민양기 민영구 민용호 민필호
민효식 박건병 박건웅 박경순 박기성
박기제 박기한 박도경 박문용 박민항
박봉석 박사화 박상진 박시창 박인호
박장호 박재혁 박차정 박찬익 박희광
반하경 방순희 백기환 백남규 백일규
백정기 사도덕 서병희 서상교 서상렬
서상용 서상한 서영석 서원준 서의배
서일 서종채 석호필 선우혁 성익현
손기업 손기혁 손덕오 손승억 손양윤
손영각 손정도 송계백 송병선 송병조
송종익 송진우 송학선 송헌주 쉐웨
신숙 신언준 신팔균 신현구 심남일
안경근 안경신 안공근 안광조
안국형 안규홍 안명근 안무 안병무
안병찬 안상익 안세환 안승우 안원규
안재환 안정근 안지호 안춘생 안태국
안현경 안희제 양경학 양근환 양기하
양세봉 양우조 양진여 엄항섭 여준
연병호 염온동 오강표 오광심 오면직
오성술 오영선 오의선 우덕순 우재룡
원세훈 원심창 유관순 유근 유동하
유림 유석현 유일한 윤동주 윤병구
윤세복 윤세주 윤자영 이갑 이강
이강훈 이광민 이규갑 이남규 이만도
이명하 이상룡 이상정 이석용 이설
이성구 이수흥 이애라 이윤재 이원대
이의준 이인 이장녕 이재유 이재현
이종건 이종희 이준 이준식 이중언
이진룡 이진무 이춘숙 이탁 이현섭
이회영 이희승 임병찬 임치정 장관주
장기천 장기초 장덕준 장덕진 장도빈
장두량 장두환 장명도 장봉한 장석영
장소진 장윤덕 장인초 장쥐 장진홍
장췬 장태수 장형 전덕기 정용기
정이형 정인보 정인승 정태진 정현섭
조경한 조동호 조명하 조병옥 조병준
조시원 조지 쇼 주기철 차도선 차병수
차병제 차병혁 차이석 차천리 차천모
차희식 채광묵 채기중 채세윤
채영 채원개 채응언 채찬 천병림
최규동 최동오 최양옥 최용덕 최재형
최중호 최진동 최팔용 최현배 태양욱
표영준
한봉수 한상렬 한성수 한시대 한징
한훈 함석은 함태영 현익철 현정건
홍언 홍원식 홍진 홍학순
황병길 황병학 황상규 황현
건국훈장 독립장 수훈자 }}}}}}}}}}}}
<colbgcolor=#0047a0> 출생 1891년 6월 1일
평안북도 창성군 창성읍 평로동
사망 생몰년도 미상
사망지 미상
이명 강기수( 康記守), 필성공(必成功)
직업 독립운동가
상훈 건국훈장 애족장
1. 개요2. 생애

[clearfix]

1. 개요

한국의 독립운동가. 1995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받았다.

2. 생애

강제하는 1891년 6월 1일 평안북도 창성군 창성읍 평로동에서 태어났다. 그는 1919년 4월 1일 평북 창성군 읍내 서문 밖에서 기독교와 천도교 간부 신용철(申容澈)·강이달(姜利達)·선우명(鮮于明)·문창수(文昌洙)·한선학(韓善學) 등과 함께 3.1 운동에 참여했다. 이후 대한독립청년단(大韓獨立靑年團)에 가입하여 부단장으로 활동하며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독립운동자금 조달에 적극 참여했으며, <반도청년보(半島靑年報)>를 간행하여 임시정부의 입장을 널리 선전했다.

강제하는 여러 차례에 걸쳐 단원을 국내에 파견하여 군자금을 모집했고, 관공리의 사직을 권고하는 경고문을 배포했다. 또한 1920년 9월에 미국 의원단이 한국을 방문한다는 소식을 접하자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파견원으로 정운(鄭雲)과 함께 국내에 들어가 독립만세시위를 계획하였으나 경계가 엄중하여 성공하지 못했다. 이후 그는 대한통의부(大韓統義府)에 가담하여 권업부장으로 활동했고, 1924년 말부터 1925년 초까지 통의부에서 재무부장으로서 중앙위원장 현정경 등과 함께 했다. 그리고 1924년에 정의부(正義府)가 조직되자 여기에도 참여했다.

1926년 10월~11월, 강제하는 길림성 반석현에서 제3회 중앙의회에 참석하여 현익철, 김동삼, 김원식(金元植), 김철(金鐵), 이욱(李旭) 등과 함께 중앙위원에 선출되었다. 또한 화성의숙의 재무로서 활동했고 1928년 5월 만주지역 독립운동단체의 통합을 위한 전민족유일당조직회의(全民族唯一黨組織會議)가 개최되었을 때 정의부 대표로 지청천, 이관일(李貫一) 등 대표들과 함께 참여했다. 1929년 3월 1일에는 조선혁명당 창당을 위한 회의에서 현익철, 최동오(崔東旿)와 함께 중앙위원으로 선출되어 독립운동을 전개했다.

하지만 이후의 행적은 알려진 바 없으며, 사망년도, 사망지 역시 알려지지 않았다. 다만 그의 유해가 평양 애국렬사릉에 매장되었으며 '애국지사'라고 적힌 비문이 세워진 것이 확인되었다. #

대한민국 정부는 1995년 강제하에게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