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천 천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같은 훈음이자 갖은자에 대한 내용은
仟 문서, 千을 간체자로 하는 한자에 대한 내용은
韆
문서
참고하십시오.
십진수 Decimal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큰 수 | 작은 수 | ||||||
일(
一/
壹) (100) |
십(
十/
拾) (101) |
백(
百/
伯/
陌) (102) |
천(
千/
仟/
阡) (103) |
<colbgcolor=#d3d3d3,#000>
푼/분(
分) (10-1) |
<colbgcolor=#d3d3d3,#000>
리(
厘) (10-2) |
<colbgcolor=#d3d3d3,#000>
모(
毛)/
호(
毫) (10-3) |
<colbgcolor=#d3d3d3,#000>
사(
絲) (10-4) |
|
만(
萬) (104) |
십만(十萬) (105) |
백만(百萬) (106) |
천만(千萬) (107) |
홀(
忽) (10-5) |
미(
微) (10-6) |
섬(
纖) (10-7) |
사(
沙) (10-8) |
|
억(
億) (108) |
십억(十億) (109) |
백억(百億) (1010) |
천억(千億) (1011) |
진(
塵) (10-9) |
애(
埃) (10-10) |
묘(
渺) (10-11) |
막(
漠) (10-12) |
|
조(
兆) (1012) |
경(
京) (1016) |
해(
垓) (1020) |
자(
秭) (1024) |
모호 (10-13) |
준순 (10-14) |
수유 (10-15) |
순식 (10-16) |
|
양(
壤/
穰) (1028) |
구(
溝) (1032) |
간(
澗) (1036) |
정(
正) (1040) |
탄지 (10-17) |
찰나 (10-18) |
육덕 (10-19) |
허공 (10-20) |
|
재(
載) (1044) |
극(
極) (1048) |
항하사 (1052) |
아승기 (1056) |
청정 (10-21) |
아라야 (10-22) |
아마라 (10-23) |
열반적정 (10-24) |
|
나유타 (1060) |
불가사의 (1064) |
무량대수 (1068) |
... |
|||||
구골 (10100) |
구골플렉스 ([math(10^{10^{100}})]) |
구골플렉시안(10구골플렉스) |
숫자 한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零/ 〇( 영) | 一( 일) | 二( 이) | 三( 삼) | 四( 사) |
零 | 壹 | 貳 | 參 | 肆 | |
五( 오) | 六( 육) | 七( 칠) | 八( 팔) | 九( 구) | |
伍 | 陸 | 漆 | 捌 | 玖 | |
十( 십) | 廿( 이십) | 卅( 삼십) | 卌( 사십) | 百( 백) | |
拾 | 念 | - | - | 佰 | |
皕1( 이백) | 千( 천) | 萬( 만) | 億( 억) | 兆( 조) | |
- | 仟 | - | - | - | |
京( 경) | 垓( 해) | 秭( 자) | 穰( 양) | 溝( 구) | |
- | - | - | - | - | |
澗( 간) | 正( 정) | 載( 재) | 極( 극) | ||
- | - | - | - | ||
※회색 칸 안의 한자는
갖은자이다. 1 다만 이백 벽의 경우 후저우의 건축물인 '비쑹루(皕宋樓, 벽송루)'를 제외하고는 용례가 일절 없다. |
千 일천 천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十, 1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3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セン
|
||||||
일본어 훈독
|
ち
|
||||||
-
|
|||||||
표준 중국어
|
qiān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읽기 7급, 쓰기 6급에 해당하는 한자로, 부수는 열 십(十)이다. 기본적으로는 일천( 1000, 103)이라는 뜻이 있다. 그 외에도 밭두둑, 밭두렁, 그네(=韆)라는 뜻이 있다. 형성자로, 韆(천)의 간체자이다. 뜻을 나타내는 한 일( 一)과 음을 나타내는 人(인)[1]의 뜻을 합하여 천을 뜻하게 되었다.2. 상세
유니코드에는 5343에 있다. 창힐수입법은 HJ(竹十).위조 방지를 위해 사용하는 갖은자에서는 仟이라고 쓴다.
가타카나 chi(チ) 의 유래이다.
3. 용례
3.1. 단어
- 당천(當千)
- 도천수대비가(禱千手大悲歌)
- 만천(萬千)
- 백천(百千)
- 삼천(三千)
- 수천(數千)
- 일만이천봉(一萬二千峯)
- 천객(千客)
- 천고(千古)
- 천관(千官)
- 천군(千軍)
- 천근(千斤)
- 천금(千金)
- 천년(千年)
- 천년왕국(千年王國)
- 천려(千慮)
- 천리(千里)
- 천리마(千里馬), 천리수(千里水), 천리포(千里脯)
- 천만(千萬)
- 천병(千兵)
- 천보총(千步銃)
- 천부당(千不當)
- 천분율(千分率)
- 천불(千佛)
- 천세(千歲)
- 천수경(千壽慶/千手經)
- 천수관음(千手觀音)
- 천승(千乘)
- 천억(千億)
- 천엽(千葉)
- 천인(千仞)
- 천자(千字)
- 천자문(千字文)
- 천재(千載)
- 천추(千秋)
- 천호제(千戶制)
3.2. 인명
한국의 성씨 한자 상위 100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9em" |
100위까지 성씨는 내국인 인구의 99.16%입니다 (2015년 통계청 자료) 인구 비율이나 100위 아래의 성씨 등은
한국의 성씨별 인구 분포 문서 참고 |
||||||||||||||||||||||||||||||||||||||||||||||||||||||||||||||||||||||||||||||||||||||||||||||||||
## 🔶🔶 0는 정렬의 위한 배경색의 안보이는 0
|
}}}}}}}}} |
천(성씨) 참조.
- 니주나나멘 센주무카데( 二 十 七 面 千 手 百 足)
- 마츠노 치후유( 松 野 千 冬)
- 모리타카 치사토( 森 高 千 里)
- 모리나가 치토세( 森 永 千 才)
- 미사와 사치카( 三 澤 紗千 香)
- 사이토 치와( 斎 藤 千 和)
- 산즈 하루치요( 三 途 春千 夜)
- 센본기 사야카(千 本 木 彩 花)
- 슈타라 센쥬마루( 修 多 羅 千 手 丸)
- 스가누마 치사( 菅 沼 千 紗)
- 시라사기 치사토( 白 鷺 千 聖)
- 요네쿠라 치히로( 米 倉 千 尋)
- 잇키 치히로( 一 木 千 洋)
- 이양천새( 易 烊千 玺)
- 조현천( 趙 顯千)
- 치스가 하루카(千 菅 春 香)
- 텐큐 치마타( 天 弓 千 亦)
- 피천득( 皮千 得)
- 후지사키 치히로( 不 二 咲 千 尋)
-
히메키 치후유(
姫
木 千
冬)
3.3. 지명
3.4. 고사성어/ 숙어
- 일기당천(一騎當千)
- 일사천리(一瀉千里)
- 천객만래(千客萬來)
- 천길만길(千길萬길)
- 천군만마(千軍萬馬)
- 천려일실(千慮一失)
- 천만다행(千萬多幸)
- 천산만수(千山萬水)
- 천신만고(千辛萬苦)
- 천차만별(千差萬別)
- 천촌만락(千村萬落)
- 천편일률(千篇一律)
3.5. 지명
3.6. 지하철역
3.7. 창작물
- 도천수관음가( 禱千 手 觀 音 歌)
-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
- 졸고천백( 拙 藁千 百)
- 천일문(千 一 文)
- 千客万来☆無問題!
- 千年の独奏歌
- 千年ノ理
- 千年戦争アイギス
- 천리마(千里馬): 기타 천리마 운동 등 제목에 '천리마'가 포함된 항목은 모두 이 항목 참조.
- 천리장성(千里長城)
- 천본앵(千本桜)
- 천본앵(VOCALOID 오리지널 곡)
- 천불천탑(千佛千塔)
3.8. 기타
4.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원래 人은 亻 모양이었다. 현재도 부수로써 쓰일 땐 이 모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