錢 돈 전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金, 8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6획
|
||||
중학교
|
|||||||
銭
|
|||||||
일본어 음독
|
セン, ゼン
|
||||||
일본어 훈독
|
ぜに, すき
|
||||||
钱
|
|||||||
표준 중국어
|
qián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錢은 '돈 전'이라는 한자로, ' 돈'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돈 |
음 | 전 | |
중국어 | 표준어 | qián |
광동어 | cin4, cin4-2 | |
객가어 | chhièn | |
민북어 | cîng | |
민동어 | cièng | |
민남어 | chîⁿ[白] / chiân[文] | |
오어 | xxi (T3) | |
일본어 | 음독 | セン, ゼン |
훈독 | ぜに, すき | |
베트남어 | tiền |
유니코드에는 U+9322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CII(金戈戈)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金(쇠 금)과 소리를 나타내는 戔(나머지 잔)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일본 제국 시절부터 연합군 최고사령부 점령 통치 시기에 통용되던 일본 엔의 보조단위는 銭이었는데 음독을 따라 센이라고 한다. 그러나 전후 물가폭등에 따라 1940년대 말이 되자 유명무실해졌고, 1953년 폐지되었다. 한국 역시 일제에서 해방된 후 한국은행법 제47조의2의 제2항에서 100전=1원으로 규정되었지만 역시 6.25 전쟁 이후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이미 1970년대 중반부터 민간 거래가 거의 중지되다시피 했으며 공식적으로 1980년 12월 1일 발행이 중단되었다.
3. 용례
3.1. 단어
- 가전( 價錢)
- 가전( 加錢)
- 가좌전( 家 座錢)
- 각전( 角錢)
- 강전( 講錢)
- 개원대전( 開 元 大錢)
- 거전인( 擧錢 人)
- 결전( 結錢)
- 경전( 京錢)
- 계전( 契錢)
- 고전( 古錢)
- 고전( 雇錢)
- 고풍전( 古 風錢)
- 공선전( 貢 膳錢)
- 공전( 工錢)
- 공전( 公錢/ 貢錢)
- 공하전( 公 下錢)
- 과전( 科錢/ 過錢)
- 관전( 官錢)
- 구문전( 口 文錢)
- 구전( 口錢)
- 구전( 舊錢)
- 국전( 國錢)
- 군수전( 軍 需錢)
- 권여전( 權 輿錢)
- 궐전( 闕錢)
- 균청전( 均 廳錢)
- 금전( 金錢)
- 금전기( 金錢 記)
- 금전등록기( 金錢 登 錄 器)
- 금전병( 金錢 餠)
- 금전복( 金錢 卜)
- 금전식( 金錢 蝕)
- 금전욕( 金錢 慾)
- 금전적( 金錢 的)
- 금전증권( 金錢 證 券)
- 금전지( 金錢 紙)
- 금전집행( 金錢 執 行)
- 금전채권( 金錢 債 權)
- 금전채무( 金錢 債 務)
- 금전출납부( 金錢 出 納 簿)
- 금전출납장( 金錢 出 納 帳)
- 금전출자( 金錢 出 資)
- 금전화( 金錢 花)
- 급전( 急錢)
- 기부전( 記 簿錢)
- 낙복전( 落 幅錢)
- 난석전( 暖 席錢)
- 납전( 鑞錢)
- 노전( 路錢)
- 녹전( 綠錢)
- 다전( 多錢)
- 당백대전( 當 百 大錢)
- 당백전( 當 百錢)
- 당오전( 當 五錢)
- 당전( 唐錢)
- 당참전( 堂 參錢)
- 당평전( 當 坪錢)
- 대납전( 代 納錢)
- 대동전( 大 東錢/ 大 同錢)
- 대전( 代錢)
- 도전( 刀錢)
- 도전( 徒錢/ 賭錢)
- 돈쇠(錢 金)
- 동전( 銅錢)
- 두전( 頭錢)
- 띠돈( 帶錢)
- 마전( 馬錢)
- 매로전( 買 路錢)
- 맹전( 盲錢)
- 면역전( 免 役錢)
- 면전( 麪錢)
- 명전( 命錢)
- 명하전( 名 下錢)
- 모전( 耗錢)
- 무공전( 無 孔錢)
- 무자전( 武 字錢)
- 무전( 無錢)
- 문전( 紋錢)
- 물력전( 物 力錢)
- 민전( 緡錢)
- 반전( 半錢)
- 방화전( 房 火錢)
- 백전( 白錢)
- 번전( 番錢)
- 벌례전( 罰 禮錢)
- 벌전( 罰錢)
- 벽전( 壁錢)
- 변전( 邊錢)
- 별비전( 別 備錢)
- 별전( 別錢)
- 별향전( 別 餉錢)
- 보삼전( 補 蔘錢)
- 보전( 寶錢)
- 보전( 保錢)
- 보향전( 補 餉錢)
- 복전( 卜錢)
- 본전( 本錢)
- 봉전( 俸錢)
- 봉전( 捧錢)
- 부빙전( 浮 氷錢)
- 부의전( 賻 儀錢)
- 분전( 分錢)
- 분하전( 分 下錢)
- 불전( 佛錢)
- 비전( 飛錢/ 費錢)
- 사전( 使錢/ 私錢)
- 사징전( 査 徵錢)
- 삭전( 朔錢)
- 산대전( 散 貸錢)
- 산전( 散錢)
- 살전( 殺錢)
- 삼수전( 三 手錢)
- 삼전( 三錢)
- 상납전( 上 納錢)
- 상사동전객기( 相 思 洞錢 客 記)
- 상평전( 常 平錢)
- 섬학전( 贍 學錢)
- 세납전( 稅 納錢)
- 세배전( 歲 拜錢)
- 세전( 稅錢)
- 세전( 貰錢)
- 소매전( 燒 埋錢)
- 소전( 小錢)
- 소전( 素錢)
- 소전색( 燒錢 色)
- 속전( 贖錢)
- 송전( 宋錢)
- 수렴전( 收 斂錢)
- 수전( 收錢)
- 수전노( 守錢 奴)
- 순전( 純錢)
- 식전( 息錢)
- 식전( 殖錢)
- 신낭전( 腎 囊錢)
- 신전( 新錢)
- 십일조전( 十 一 條錢)
- 십전통보( 十錢 通 寶)
- 아전( 牙錢)
- 악전( 惡錢)
- 양자전( 糧 資錢)
- 양전( 洋錢)
- 여수전( 旅 需錢)
- 여전( 餘錢)
- 연전초( 連錢 草)
- 연전총( 連錢 驄)
- 염전( 斂錢/ 染錢/ 鹽錢)
- 엽전( 葉錢)
- 영락전( 永 樂錢)
- 영전( 零錢/ 營錢)
- 예전( 禮錢/ 例錢)
- 오수전( 五 銖錢)
- 옥전( 玉錢)
- 옹전( 翁錢)
- 왕전( 王錢)
- 용전( 用錢)
- 원납전( 願 納錢/ 怨 納錢)
- 원전( 原錢/ 元錢)
- 월납전( 月 納錢)
- 유공전( 有 孔錢)
- 유전( 有錢)
- 유전( 由錢)
- 유전( 楡錢)
- 유협전( 楡 莢錢)
- 육전( 肉錢)
- 은전( 銀錢)
- 의비전( 蟻 鼻錢)
- 의승전( 義 僧錢)
- 의승제번징전( 義 僧 除 番 徵錢)
- 의자전( 衣 資錢)
- 이전( 利錢/ 耳錢)
- 인련전( 驎 連錢)
- 인문득전( 因 文 得錢)
- 인전( 引錢)
- 일문전( 一 文錢)
- 일전( 一錢)
- 임전( 賃錢)
- 자모전( 子 母錢)
- 자비전( 自 備錢)
- 자장전( 資 裝錢)
- 자전( 子錢)
- 작전( 作錢)
- 잔전( 殘錢)
- 잡전( 雜錢)
- 장생전( 長 生錢)
- 장전( 贓錢)
- 재전( 在錢)
- 재전( 齋錢)
- 저전( 楮錢)
- 저치전( 儲 置錢)
- 전가(錢 價)
- 전간전( 傳 簡錢)
- 전갈(錢 渴)
- 전곡(錢 穀)
- 전관(錢 貫)
- 전교(錢 驕)
- 전규(錢 葵)
- 전낭(錢 囊)
- 전냥(錢 兩)
- 전당강(錢 塘 江)
- 전대(錢 臺/錢 帶)
- 전대흔(錢 大 昕)
- 전도(錢 刀)
- 전두(錢 杜)
- 전량(錢 糧)
- 전례(錢 禮)
- 전로(錢 路)
- 전만(錢 萬)
- 전목(錢 木)
- 전문(錢 文)
- 전방(錢 坊)
- 전백(錢 百)
- 전법(錢 法)
- 전벽(錢 癖)
- 전변(錢 邊)
- 전서법(錢 筮 法)
- 전쇄(錢 鎖)
- 전신(錢 神)
- 전씨백출산(錢 氏 白 朮 散)
- 전앙(錢 秧)
- 전어(錢 魚)
- 전유(錢 鏐)
- 전장(錢 莊/錢 匠)
- 전재(錢 財)
- 전전관( 典錢 官)
- 전정(錢 政)
- 전조(錢 銚)
- 전주(錢 主)
- 전죽석(錢 竹 石)
- 전천(錢 千)
- 전패(錢 牌)
- 전평(錢 評)
- 전폐(錢 弊/錢 幣)
- 전포(錢 浦)
- 전표(錢 票)
- 전화(錢 貨)
- 전환(錢 還)
- 전황(錢 荒)
- 절전( 折錢)
- 정리전( 整 理錢)
- 정전( 情錢)
- 정전( 丁錢)
- 제류전( 除 留錢)
- 제수전( 祭 需錢)
- 조전( 造錢)
- 조창전( 漕 倉錢)
- 조혼전( 助 婚錢)
- 주전( 鑄錢)
- 주전( 酒錢/ 紬錢)
- 줄돈( 茁錢)
- 중고전( 重 考錢)
- 즉전( 卽錢)
- 지전( 紙錢)
- 직전( 直錢)
- 집전( 執錢)
- 차전( 借錢)
- 착자전( 著 字錢)
- 찬전( 餐錢)
- 채전( 債錢)
- 척전( 擲錢)
- 철전( 鐵錢)
- 청묘전( 靑 苗錢)
- 청전( 請錢)
- 청전( 淸錢)
- 축전( 縮錢/ 蓄錢)
- 칙수전( 勅 需錢)
- 칠성전( 七 星錢)
- 타전( 打錢)
- 탕전( 帑錢)
- 태전( 駄錢)
- 통자전( 統 字錢)
- 투전( 投錢)
- 특하전( 特 下錢)
- 평자전( 平 字錢)
- 파전( 破錢)
- 패전( 牌錢)
- 포전( 布錢)
- 핍전( 乏錢)
- 핍푼전 기척병( 乏 分錢 嗜 尺 餠)
- 해역전( 海 役錢)
- 행전( 行錢)
- 향탄전( 香 炭錢)
- 호요전( 戶 徭錢)
- 호자전( 戶 字錢)
- 호전( 戶錢)
- 화속전( 火 粟錢)
- 화전( 咊錢)
- 환전( 換錢)
- 회외전( 會 外錢)
- 후전( 後錢)
3.2. 고사성어/ 숙어
- 거방전채( 擧 放錢 債)
- 건몰작전( 乾 沒 作錢)
- 납전면천( 納錢 免 賤)
- 다전선고( 多錢 善 賈)
- 무음유흥( 無錢 遊 興)
- 분전승량( 分錢 升 量)
- 사귀전( 使 鬼錢)
- 사전여수( 使錢 如 水)
- 용전여수( 用錢 如 水)
- 유전사귀신( 有錢 使 鬼 神)
- 음무투전( 飮 馬 投錢)
- 일식만전( 一 食 萬錢)
- 일지반전( 一 紙 半錢)
- 전가사귀(錢 可 使 鬼)
- 전가통귀(錢 可 通 鬼)
- 전가통신(錢 可 通 神)
- 전능통신(錢 能 通 神)
- 전본분토(錢 本 糞 土)
3.3. 인명
- 문경 전씨(聞慶 錢氏)인 사람들 모두.
- 제니가타 코이치(銭 形 幸 一)
- 제니바(錢 婆)
- 제니바코 코코(銭 函 ココ)
- 제니아라이 쿠마베에(銭 洗 熊 兵 衛)
- 주전( 周錢)
- 코제니가타 헤이지( 小銭 形 平 次)
3.4. 지명
-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한반도면 광전리( 鑛錢 里)
- 경기도 김포시 고촌읍 전호로(錢 湖 路)
- 경상남도 하동군 고전면 전도리(錢 島 里)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쌍전리( 雙錢 里)
- 울산광역시 울주군 두서면 전읍리(錢 邑 里)
- 인천광역시 중구 전동(錢 洞)
- 전라남도 화순군 한천면 전월로(錢 月 路)
- 전전치(錢 田 峙)
- 제니바코역(銭 函 駅)
- 젠자마치역(銭 座 町 停 留 場)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綫(줄 선)
- 䎒(낚아챌 잔)
- 殘(남을 잔)
- 䗃(노래기 잔)
- 㟞(매우높을 잔)
- 䏼(밥찌꺼기 잔)
- 䱠(뱅어 잔)
- 虥(범 잔)
- 䴼(보리 잔)
- 棧/ 𢯆[⿰扌戔](사다리 잔)
- 醆(술잔 잔)
- 𤖆[⿰爿戔](양우리 잔)
- 𦎗[⿰羊戔](양의우리 잔)
- 𦈻[⿰缶戔](옥술잔 잔)
- 琖/ 𧣴[⿰角戔](옥잔 잔)
- 輚(와거 잔)
- 𪘪[⿰齒戔](이고르지않을 잔)
- 䙁(포대기 잔)
- 㥇(해칠 잔)
- 諓(교묘히말할 전)
- 䧖(물가언덕 전)
- 碊(버틸 전)
- 餞(보낼 전)
- 馢(전향 전)
- 帴(좁을 전, 언치 천)
- 牋(종이 전)
- 㹽(개가물 찬)
- 踐/ 㣤(밟을 천)
- 淺(얕을 천)
- 𩋋[⿰革戔](언치 천)[3]
- 俴(엷을 천)
- 賤/ 𩤊[⿰馬戔](천할 천)
- 𪏊[⿰黃戔](백황색 첨)[4]
- 𠵖[⿰口戔]
- 𡍌[⿰土戔]
- 𪸶[⿰火戔]
- 𢧗[⿰占戔]
- 𥟥[⿰禾戔]
- 𧮺[⿰谷戔]
- 𬷟[⿰鳥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