素 본디/흴 소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糸, 4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0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ソ, ス
|
||||||
일본어 훈독
|
しろ-い, もと, もと-より
|
||||||
-
|
|||||||
표준 중국어
|
sù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본디, 바탕, 흴 소회의문자로 빨아 널은 드리운 명주실에서 '희다', 아직 물들여지지 않은 흰 명주를 '희다'라는 뜻과 함께 물건의 시초, 즉 바탕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아래 단어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실제 '희다'라는 뜻으로 쓰이는 경우는 거의 없고, 거의 바탕, 원소의 뜻으로 많이 쓰인다.[1] 예외가 있다면 소복(素服) 정도. 유니코드에는 7D20에 배당되어 있다.
여자 이름에 많이 쓰이는 한자이다. 애초에 '소' 음이 들어가는 이름의 대다수가 여자 이름[2]에 쓰이다 보니(...).
2. 용례
3. 단어
- 간소( 簡素)
- 검소( 儉素)
- 규소( 硅素/ 珪素)
- 독소( 毒素)
- 복소수( 複素 數)
- 불소( 弗素)
- 붕소( 硼素)
- 비소( 砒素)
- 산소( 酸素)
- 색소( 色素)
- 소묘(素 描)
- 소박(素 朴)
- 소수(素 數)
- 소자(素 子)
- 소재(素 材)
- 소지(素 地)
- 소질(素 質)
- 수소( 水素)
- 염소( 鹽素)
- 엽록소( 葉 綠素)
- 요소( 要素)
- 원소( 元素)
- 음소( 音素)
- 질소( 窒素)
- 탄소( 炭素)
- 평소( 平素)
- 형태소( 形 態素)
- 화소( 畵素)
- 활력소( 活 力素)
- 효소( 酵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