字 글자 자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子, 3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6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ジ
|
||||||
일본어 훈독
|
あざ, あざな
|
||||||
-
|
|||||||
표준 중국어
|
zì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字의 필순
[clearfix]
1. 개요
字는 '글자 자'라는 한자로, ' 글자(-字)', ' 문자(文字)' 등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글자 |
음 | 자 | |
중국어 | 표준어 | zì |
광동어 | zi6 | |
객가어 | sṳ | |
민동어 | cê | |
민남어 | lī[1], jī[2] | |
오어 | zr (T3) | |
일본어 | 음독 | ジ |
훈독 | あざ, あざな, な | |
베트남어 | tự |
유니코드에는 U+5B57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十弓木(JND)으로, 주음부호로는 ㄗ로 입력한다.
字는 집에서 자식를 키우는 것을 뜻한다. 子는 형부이면서 동시에 성부도 된다. 고대에 인구, 곧 노동력은 부족의 강약을 결정하는 요소로 아이를 유괴하거나 약탈하는 것을 막기 위해 갓태어난 아기의 몸에 기호를 새겼는데 이것을 字라고 하였고 후대에는 성년이 되었을 때 주는 이름으로 인신(引伸)되었다. 또 아이를 잘 양육하여 자손이 불어난다는 뜻을 가지기도 하는데 이로부터 상형자, 지사자와 같이 처음 만들어진 문자를 文이라 하고, 文과 文을 결합(뜻과 뜻을 합하면 회의자, 뜻과 소리를 합하면 형성자)하여 불어난 문자를 字라고 하였다.
3. 용례
3.1. 단어
- 각자( 刻字/ 各字)
- 간체자( 簡 體字)
- 갑인자( 甲 寅字)
- 고자( 古字)
- 구결자( 口 訣字)
- 국자( 國字)
- 대자보( 大字 報)
- 동자( 同字)
- 문자( 文字)
- 속자( 俗字)
- 숫자( 數字)
- 신자체( 新字 體)
- 십자( 十字)
- 약자( 略字)
- 오자( 誤字)
- 을해자( 乙 亥字)
- 이모지(← 絵 文字)
- 자간(字 間)
- 자구(字 句)
- 자막(字 幕)
- 자모(字 母)
- 자서(字 書)
- 자원(字 源)
- 자음(字 音)
- 자전(字 典)
- 적자( 赤字)
- 전자( 篆字)
- 점자( 點字)
- 정자( 正字)
- 천자문( 千字 文)
- 퇴자( 退字)
- 파자( 破字)
- 팔자( 八字)
- 한자( 漢字)
- 합자( 合字)
- 항렬자( 行 列字)
- 해자( 解字)
- 허자( 虛字)
- 활자( 活字)
- 훈몽자회( 訓 蒙字 會)
- 흑자( 黑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