時 때 시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日, 6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0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ジ
|
||||||
일본어 훈독
|
とき
|
||||||
时
|
|||||||
표준 중국어
|
shí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時는 '때 시'라는 한자로, ' 때', ' 시간(時間)' 등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때 |
음 | 시 | |
중국어 | 표준어 | shí |
광동어 | si4 | |
감어 | si4 | |
객가어 | sṳ̀ | |
진어 | si1 | |
민북어 | sî | |
민동어 | sì | |
민남어 | sî | |
오어 | zr (T3) | |
상어 | shr2 | |
일본어 | 음독 | ジ |
훈독 | とき | |
베트남어 | thì |
유니코드는 6642에 배당되었다.
부수이자 뜻을 나타내는 日(날 일)과 음을 나타내는 寺(절 사)가 합쳐진 형성자로, '해가 일정하게 뜨고 진다'에서 '때'라는 뜻이 생겼다.
3. 용례
3.1. 단어
- 교시( 校時)
- 당시( 當時)
- 동시( 同時)
- 사시( 四時)
- 삽시( 霎時)
- 상시( 常時)
- 세시( 歲時)
- 수시( 隨時)
- 순시( 瞬時)
- 시가(時 價)
- 시각(時 刻)
- 시간(時 間)
- 시계(時 計)
- 시공간(時 空 間)
- 시국(時 局)
- 시급(時 急)
- 시기(時 期)
- 시기(時 機)
- 시대(時 代)
- 시사(時 事)
- 시세(時 勢)
- 시식(時 食)[1]
- 시일(時 日)
- 시재(時 在)
- 시절(時 節)
- 시점(時 點)
- 시조(時 調)
- 시진(時 辰)
- 시차(時 差)
- 시한(時 限)
- 시효(時 效)
- 유사시( 有 事時)
- 일시( 日時)
- 일시불( 一時 拂)
- 임시( 臨時)
- 임시국회( 臨時 國 會)
- 임시방패( 臨時 防 牌)
- 임시방편( 臨時 方 便)
- 임시배포( 臨時 排 布)
- 임시변통( 臨時 變 通)
- 임시응변( 臨時 應 變)
- 임시정부( 臨時 政 府)
- 임시처변( 臨時 處 變)
- 잠시( 暫時)
- 적시( 適時)
- 전시( 戰時)
- 정시( 定時)
- 즉시( 卽時)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 주시경( 周時 經)
- 강시검( 康時 儉)
- 김시민( 金時 敏)
- 김시습( 金時 習)
- 류시원( 柳時 元)
- 문시환( 文時 煥)
- 방시혁( 房時 爀)
- 손시헌( 孫時 憲)
- 송시열( 宋時 烈)
- 유시민( 柳時 敏)
- 이시강( 李時 剛)
- 이시원( 李時 媛): 한국의 배우
- 임시완( 任時 完)
- 정시채( 丁時 采)
- 최시중( 崔時 仲)
- 최시형( 崔時 亨)
- 허시영( 許時 榮)
- 현시학( 玄時 學)
- 황영시( 黃 永時)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 辰(때 신)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待/ 𥩳(기다릴 대)
- 侍(모실 시)
- 恃(믿을 시)
- 詩(시 시)
- 𩶬(준치 시)
- 鼭(쥐 이름 시)
- 㭙(망치 적)
- 𤽯(누구 주)
- 畴(이랑 주)[2]
- 持(가질 지)
- 洔(섬 지)
- 跱(그칠 치)
- 𪗺(되새김질해서 먹을 치)
- 歭(머뭇거릴 치)
- 䝰(모을 치)
- 秲(벼 이름 치)
- 峙(언덕 치)
- 畤(제사터 치)
- 特(특별할 특)
- 𥹩(치)
- 𠱾
- 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