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을 확인하세요.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전체 월드컵 활약상에 대한 내용은 벤투호/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rgba(150,150,150,.2) 0%, transparent 30%, transparent 70%, rgba(150,150,150,.2))" {{{#!wiki style="min-height: 28px;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우루과이| 1930 우루과이 |
[[이탈리아 왕국| 1934 이탈리아 |
[[프랑스 제3공화국| 1938 프랑스 |
[[브라질 제4공화국| 1950 브라질 |
[[스위스| 1954 스위스 |
|
6회 | 7회 | 8회 | 9회 | 10회 | |
[[스웨덴| 1958 스웨덴 |
[[칠레| 1962 칠레 |
[[잉글랜드| 1966 잉글랜드 |
[[멕시코| 1970 멕시코 |
[[서독| 1974 서독 |
|
11회 | 12회 | 13회 | 14회 | 15회 | |
[[스페인| 1982 스페인 |
[[멕시코| 1986 멕시코 |
[[이탈리아| 1990 이탈리아 |
[[미국| 1994 미국 |
||
16회 | 17회 | 18회 | 19회 | 20회 | |
[[프랑스| 1998 프랑스 |
[[독일| 2006 독일 |
[[브라질| 2014 브라질 |
|||
21회 | 22회 | 23회 | 24회 | 25회 | |
[[러시아| 2018 러시아 |
[[카타르| 2022 카타르 |
||||
*
1942,
1946년 월드컵은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취소 [1]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파라과이에서도 일부 경기 개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color: #fff;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990e31><colcolor=#fff> 대회 이전
|
유치 과정 · 지역예선 · 조 추첨 · 평가전 · 참가팀 정보 | |||||||
대한민국 경기 (H조)
우루과이전 (1차전) ·
가나전 (2차전) ·
포르투갈전 (3차전)
|
|||||||||
주요 경기
아르헨티나 vs 사우디아라비아 (C조) ·
독일 vs 일본 (E조) ·
일본 vs 스페인 (E조)
|
|||||||||
16강 | 8강 | ||||||||
3PO | |||||||||
대한민국 경기
브라질전 (16강)
|
|||||||||
주요 경기
크로아티아 vs 브라질 (8강) ·
네덜란드 vs 아르헨티나 (8강) ·
모로코 vs 포르투갈 (8강)
|
|||||||||
대회 이후
|
결산 ( 대한민국 · 모로코 · 리오넬 메시 · 킬리안 음바페 · 손흥민) · 기록실 | ||||||||
기타 | 알 리흘라 · 논란 · 중계( 국내 일정) · 여담 | }}}}}}}}} |
<colcolor=#ffffff>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
|||||
كأس العالم FIFA قطر ٢٠٢٢™
FIFA World Cup Qatar 2022™ |
|||||
|
|||||
대회 기간
|
2022년
11월 20일[1] ~
2022년
12월 18일 (현지시각 기준)[2] |
||||
개최국
|
카타르 | ||||
슬로건
|
Now Is All[3] | ||||
유치 확정일
|
2010년 12월 2일[4] | ||||
마스코트
|
라이브 (La'eeb) | ||||
주제가
|
Hayya Hayya (Better Together) | ||||
공인구
|
알 리흘라 (Al Rihla) | ||||
본선 진출팀
|
32개팀[5] | ||||
대회 결과
|
|||||
우승
|
아르헨티나 (세 번째 우승)
|
||||
준우승
|
프랑스 | ||||
3위
|
크로아티아 | ||||
4위
|
모로코[6] | ||||
수상
|
|||||
골든볼
|
리오넬 메시 | ||||
골든부트
|
킬리안 음바페 | ||||
골든글러브
|
에밀리아노 마르티네스 | ||||
신인상
|
엔소 페르난데스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이전·이후 대회
|
||||
2018년 러시아 |
2022년
카타르 |
2026년 캐나다·멕시코·미국 |
}}} |
[clearfix]
1. 개요
2022년에 개최된 22번째 FIFA 월드컵[7]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에 이어 아시아에서 역대 두 번째로 개최된 월드컵이자 월드컵 역사상 최초로 중동 아랍 지역에서 개최가 된 대회이며[8] 마지막 32개국 본선 진출 대회다.[9] 또한 사상 최초로 연말에 개막한 월드컵이다.[10][11][12]
2. 상징 및 경기장
2.1. TV 영상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TV 오프닝(15초)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공식 TV 오프닝
|
<colbgcolor=white,#1f2023>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공식 TV 쇼트 인트로
|
|
Football Unites The World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공식 캠페인
|
'Football Unites The World(축구가 세계를 통합하다)\'는 FIFA가 운영하는 공식 대회 캠페인이다. 기사(FIFA) '축구가 전 세계를 하나로 만든다'는 의미이며, 차별 반대와 지속성, 교육 등을 강조하기 위한 취지로 만들어진 광고이다. 당연하게도 이러한 공익에 반대할 사람은 드물기 때문에 몇몇 개최국 / 지역 / 성별 안배를 제외하고는 슈퍼스타인 축구선수들이 광고에 등장한다.
이 광고에 등장하는 축구선수는 순서대로 아래와 같다.
-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 포르투갈): "Football Unites The World"
- 하산 알 하이도스 ( 카타르 / 개최국 대표팀 선수): "In Passion"
- 카림 벤제마 ( 프랑스): "In Love (음성은 프랑스어)"
- 에두아르 멘디 ( 세네갈 / 아프리카 스타 선수): "In Peace"
- 칼리 로이드 ( 미국 / 여자 축구 스타 선수): "Football Unites Us In Hope"
-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 ( 폴란드): "And In Joy"
- 네이마르 주니오르 ( 브라질): "Football Unites Us All (음성은 포르투갈어)"
- 리오넬 메시 ( 아르헨티나): "Football Unites The World (음성은 스페인어)"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의 영상이 포함되어 있다보니, 카잔의 기적 때 경기 중 넘어진 손흥민이 상대팀 사미 케디라의 도움으로 일어서는 장면도 등장한다.
2.2. 엠블럼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엠블럼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엠블럼 (영상)
|
<colbgcolor=#ffffff,#1f2023> |
2.3. 마스코트
|
라이브(La'eeb / لعيب) |
월드컵 마스코트 임에도 발이 없는 것이 나름 밈이 되었다.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마스코트 - 라이브 (영상)
|
<colbgcolor=#ffffff,#1f2023> |
2.4. 공인구
|
알 리흘라(Al Rihla / الرحلة) |
|
알 힐름 (Al Hilm / الحلم) |
2.5. 숙소
본선 진출국 숙소 위치 | |||||
|
여담으로 원 밖에 숙소를 차린 팀 중에서는 포르투갈과 잉글랜드만 토너먼트에 진출하고 나머지는 전부 32강[18]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특히 원에서 멀찌감치 떨어진 곳에 숙소가 위치한 독일, 벨기에, 멕시코, 사우디아라비아는 전원 탈락했다.[19] 나름 징크스라면 징크스인 셈.
2.6. 경기장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a50031, #330010)"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루사일 | 알호르 | 도하 | |
루사일 스타디움 (88,966명) |
알바이트 스타디움 (68,895명) |
알투마마 스타디움 (44,400명) |
스타디움 974 (44,089명) |
|
알라이얀 | 알와크라 | |||
칼리파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45,857명) |
아흐마드 빈 알리 스타디움 (45,032명) |
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 (44,667명) |
알자누브 스타디움 (44,325명) |
|
◀ 2018 | 2026 ▶ |
카타르가 워낙 면적이 작다 보니 전체 8개 경기장 중 3개가 도하에 지어졌다. 또한 루사일, 아라얀, 알와크라는 도하의 위성도시[20]다. 알호르조차 도하로부터 약 43㎞ 정도 거리에 있으므로 월드컵 관광객 입장에서는 이만큼 구경하기 편한 월드컵도 없을 것이다. 행여나 도하에서 안 하는 경기라도 버스나 지하철[21]을 타고 갈 수 있다.[22][23] 선수 입장에서도 이동 거리가 줄어들기 때문에 더 최상의 컨디션으로 경기에 임할 수 있게 되었다.[24]
개막전은 현지 시간으로 11월 20일 오후 7시(한국 시각 11월 21일 오전 1시), 알호르의 알바이트 스타디움에서 개최하며, 결승전은 현지 시간으로 12월 18일 오후 6시(한국시간 12월 19일 오전 0시), 루사일의 루사일 스타디움에서 개최할 예정이다. 재밌는 건 이 루사일이라는 도시는 월드컵 개최지 선정 당시에 존재하지 않는 도시였다. 빈 땅에 아예 신도시 하나를 통째로 만든 것이다. 물론 월드컵만을 위해 신도시를 만드는 건 아니고 국제무역지구, 쇼핑센터 등이 함께 조성되며, 2021년에 완공되었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카타르는 기존의 12개의 경기장 설립 계획을 축소하여 경기장 8~9개만 개축 또는 신축하길 희망했다. FIFA는 카타르의 뜻을 받아들여 4개를 제외하였고 최종적으로 5개 도시, 8개 경기장에서 대회를 개최하게 되었다.
이 대회가 열리기 1년 전, 완공되지 않은 루사일과 원래부터 있던 칼리파 경기장을 제외한 나머지 6개 경기장에서 2021 FIFA 아랍컵 카타르로 예행연습을 했고, 루사일 스타디움은 2022년 8월 11일 공식 개장했다.
한국과 브라질의 16강 경기가 열린 카타르 도하의 974 스타디움이 철거 작업에 들어갔다고 한다. 한국-브라질전이 마지막 경기였다고. 참고로 974 스타디움은 2022 카타르 월드컵만을 위해 만들어진 경기장이다. 자국 국제전화 국가번호인 974에 착안해 재활용이 가능한 건설자재와 974개의 선적 컨테이너를 활용해 만들었다. 애초에 철거할 목적이 있었기에 저런 재료들로 만들었다고 한다. 그리고 2023년에 튀르키예 대지진이 발생하자, 카타르는 이재민들을 위해 이 컨테이너들을 튀르키예에 배송했다. #
2.7. 주제가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 공식 음악 트리니다드 카르도나, 다비도, 아이샤 - Hayya Hayya (Better Together) (MV) |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 공식 음악 오수나 - Arhbo (feat. GIMS, RedOne, FIFA sound) |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 공식 음악 [[정국|{{{#fff 정국}}}]] - Dreamers (feat. Fahad Al Kubaisi, FIFA sound) |
2.8. 월드컵 스토리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World Cup story
|
<colbgcolor=#ffffff,#1f2023> |
3. 유치 과정
자세한 내용은 2018 2022 FIFA 월드컵 유치전 문서 참고하십시오.2010년 5월 14일까지 마감된 2022 월드컵 유치 신청서를 제출한 국가는 7개 국가로, 대한민국, 일본, 카타르, 호주, 미국, 인도네시아, 멕시코였다. 2010년 7월 22일부터 7월 25일까지 FIFA 실사단이 개최 후보 도시를 직접 실사하였으며 2010년 12월 2일 개최국을 발표하였다. 7개국 중 인도네시아는 후보에서 제외되었고, 멕시코는 유치를 포기하였다.
2022년 FIFA 월드컵 유치 투표 과정 | ||||||
국가 | 1차 투표 | 2차 투표 | 3차 투표 | 4차 투표 | 결과 | |
카타르 | 11 | 10 | 11 | 14 | 유치 선정 | |
미국 | 3 | 5 | 6 | 8 | 유치 탈락 | |
대한민국 | 4 | 5 | 5 | – | 유치 탈락 | |
일본 | 3 | 2 | – | – | 유치 탈락 | |
호주 | 1 | – | – | – | 유치 탈락 |
투표는 과반수 국가가 나올 때까지 진행하며, 과반수가 나오지 않았을 경우 최소 득표를 한 국가가 탈락하고 다음 투표를 진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2개국이 남은 마지막 최종 4차 투표에서 14표로 과반수를 획득한 카타르가 최종 선정되었다. 미국은 유치에 실패했지만 2026년 북중미 월드컵을 캐나다, 멕시코와 3국 공동 유치하는데 성공했다.
4. 지역 예선 및 본선 진출 국가
4.1. 지역예선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a50031, #330010)"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아시아 (AFC) |
<colbgcolor=#e4e4e4,#1a1a1a> 지역예선 |
<colbgcolor=#ffffff,#191919>
1차예선 2차예선 ( A조 · B조 · C조 · D조 · E조 · F조 · G조 · H조 · 10차전) 최종예선 ( A조 · B조 · PO · 평가) 대륙간PO |
아프리카 (CAF) |
지역예선 |
1차예선 2차예선 ( A조 · B조 · C조 · D조 · E조 · F조 · G조 · H조 · I조 · J조) 최종예선 |
|
북중미카리브 (CONCACAF) |
지역예선 |
1차예선 (
A조 ·
B조 ·
C조 ·
D조 ·
E조 ·
F조) 2차예선 최종예선 대륙간PO |
|
남미 (CONMEBOL) |
지역예선 | 대륙간PO | |
오세아니아 (OFC) |
지역예선 |
1차예선 (
A조 ·
B조) 최종예선 대륙간PO |
|
유럽 (UEFA) |
지역예선 |
A조 ·
B조 ·
C조 ·
D조 ·
E조 ·
F조 ·
G조 ·
H조 ·
I조 ·
J조 플레이오프 |
}}}}}}}}}}}} |
조 추첨 · 포트 가능성( 대한민국 · 이란 · 일본) · 운명의 8일 |
자세한 내용은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지역예선 문서 참고하십시오.
4.2. 본선 진출팀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본선 진출 국가
|
|||||
CONCACAF | CONMEBOL | UEFA | CAF | AFC |
|
|
<rowcolor=#ffffff> 팀 | 진출 자격 | 진출 확정일 | 진출 횟수 | 최근 진출 | 최고 성적 | FIFA 랭킹[R] | |
카타르 | 개최국 자동진출 | 2010년 12월 2일 | 1회 | 첫 진출 | - | 51위 | |
이란 | 최종예선 A조 1위 | 2022년 1월 27일 | 6회 | 2018 | 조별리그[IRN][27] | 21위 | |
대한민국 | 최종예선 A조 2위 | 2022년 2월 1일 | 11회 | 2018 | 4위[KOR] | 29위 | |
사우디아라비아 | 최종예선 B조 1위 | 2022년 3월 24일 | 6회 | 2018 | 16강[KSA][30] | 49위 | |
일본 | 최종예선 B조 2위 | 2022년 3월 24일 | 7회 | 2018 | 16강[JPN][32] | 23위 | |
호주 | 대륙간 플레이오프 승자 | 2022년 6월 13일 | 6회 | 2018 | 16강[AUS][34] | 42위 |
<rowcolor=#ffffff> 팀 | 진출 자격 | 진출 확정일 | 진출 횟수 | 최근 진출 | 최고 성적 | FIFA 랭킹[R] | |
세네갈 | 최종예선 1경기 승자 | 2022년 3월 29일 | 3회 | 2018 | 8강[SEN][37] | 20위 | |
카메룬 | 최종예선 2경기 승자 | 2022년 3월 29일 | 8회 | 2014 | 8강[CMR][39] | 37위 | |
가나 | 최종예선 3경기 승자 | 2022년 3월 29일 | 4회 | 2014 | 8강[GHA][41] | 60위 | |
모로코 | 최종예선 4경기 승자 | 2022년 3월 29일 | 6회 | 2018 | 16강[MAR][43] | 24위 | |
튀니지 | 최종예선 5경기 승자 | 2022년 3월 29일 | 6회 | 2018 | 조별리그[TUN][45] | 35위 |
<rowcolor=#ffffff> 팀 | 진출 자격 | 진출 확정일 | 진출 횟수 | 최근 진출 | 최고 성적 | FIFA 랭킹[R] | |
캐나다 | 최종예선 1위 | 2022년 3월 27일 | 2회 | 1986 | 조별리그[CAN][48] | 38위 | |
멕시코 | 최종예선 2위 | 2022년 3월 30일 | 17회 | 2018 | 8강[MEX][50] | 9위 | |
미국 | 최종예선 3위 | 2022년 3월 30일 | 11회 | 2014 | 3위[USA] | 15위 | |
코스타리카 | 대륙간 플레이오프 승자 | 2022년 6월 14일 | 6회 | 2018 | 8강[CRC][53] | 31위 |
<rowcolor=#ffffff> 팀 | 진출 자격 | 진출 확정일 | 진출 횟수 | 최근 진출 | 최고 성적 | FIFA 랭킹[R] | |
브라질 | 예선 1위 | 2021년 11월 11일 | 22회 | 2018 | 우승[BRA] | 1위 | |
아르헨티나 | 예선 2위 | 2021년 11월 16일 | 18회 | 2018 | 우승[ARG] | 4위 | |
우루과이 | 예선 3위 | 2022년 3월 24일 | 14회 | 2018 | 우승[URY] | 13위 | |
에콰도르 | 예선 4위 | 2022년 3월 24일 | 4회 | 2014 | 16강[ECU][59] | 46위 |
<rowcolor=#ffffff> 팀 | 진출 자격 | 진출 확정일 | 진출 횟수 | 최근 진출 | 최고 성적 | FIFA 랭킹[R] | |
독일 | 예선 J조 1위 | 2021년 10월 11일 | 20회 | 2018 | 우승[GER] | 12위 | |
덴마크 | 예선 F조 1위 | 2021년 10월 12일 | 6회 | 2018 | 8강[DEN][63] | 11위 | |
프랑스 | 예선 D조 1위 | 2021년 11월 13일 | 16회 | 2018 | 우승[FRA] | 3위 | |
벨기에 | 예선 E조 1위 | 2021년 11월 13일 | 14회 | 2018 | 3위[BEL] | 2위 | |
세르비아 | 예선 A조 1위 | 2021년 11월 14일 | 13회 | 2018 | 4위[SRB] | 25위 | |
스페인 | 예선 B조 1위 | 2021년 11월 14일 | 16회 | 2018 | 우승[ESP] | 7위 | |
크로아티아 | 예선 H조 1위 | 2021년 11월 14일 | 6회 | 2018 | 준우승[CRO] | 16위 | |
잉글랜드 | 예선 I조 1위 | 2021년 11월 15일 | 16회 | 2018 | 우승[ENG] | 5위 | |
스위스 | 예선 C조 1위 | 2021년 11월 15일 | 12회 | 2018 | 8강[SUI][71] | 14위 | |
네덜란드 | 예선 G조 1위 | 2021년 11월 16일 | 11회 | 2014 | 준우승[NED] | 10위 | |
폴란드 | UEFA Path-B | 2022년 3월 29일 | 9회 | 2018 | 3위[POL] | 26위 | |
포르투갈 | UEFA Path-C | 2022년 3월 29일 | 8회 | 2018 | 3위[PRT] | 8위 | |
웨일스 | UEFA Path-A | 2022년 6월 5일 | 2회 | 1958 | 8강[WAL][76] | 18위 |
지난 2018년 러시아 월드컵 본선 진출국의 연속 진출 여부는 다음과 같으며, 진출이 확정된 팀은 볼드체로 표기했으며, 진출에 실패하거나 지역예선부터 참가가 금지된 팀은 취소선으로 표기했다.
2018 러시아 월드컵 [77]
-
A조:
러시아, 사우디아라비아,이집트, 우루과이 - B조: 포르투갈, 스페인, 모로코, 이란
-
C조: 프랑스, 호주,
페루, 덴마크 -
D조: 아르헨티나,
아이슬란드, 크로아티아,나이지리아 - E조: 브라질, 스위스, 코스타리카, 세르비아
-
F조: 독일, 멕시코,
스웨덴, 대한민국 -
G조: 벨기에,
파나마, 튀니지, 잉글랜드 -
H조: 폴란드, 세네갈,
콜롬비아, 일본
지난 월드컵의 B조와 E조에서는 모든 팀이 연속으로 진출했으며 A조와 D조의 경우 두 팀이 탈락하였다. 나머지 C조, F조, G조, H조는 세 팀이 연속으로 진출하고 한 팀이 탈락했다. 32팀 중 24개국이 연속으로 본선 진출에 성공했다.
공교롭게도 두 대회 연속으로 세 팀씩 같은 조로 묶인 경우가 두 조나 된다.
팀 | 2018년 | 2022년 |
프랑스, 덴마크, 호주 | C조 | D조 |
브라질, 스위스, 세르비아 | E조 | G조 |
2018 월드컵에 참가하지 못한 국가 중 2022 월드컵에 진출한 국가는 카타르와 네덜란드, 에콰도르, 캐나다, 가나, 카메룬, 미국, 웨일스 이렇게 8개국이다. 이 중 카타르는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출전 처리되었으며 캐나다와 웨일스를 제외한 나머지 5개 국가들(네덜란드, 에콰도르, 가나, 카메룬, 미국)은 2014 월드컵에 참가했다.
- 카타르는 이번 대회 개최국으로 사상 최초 월드컵 본선 무대를 밟는다.[78]
- 네덜란드는 유럽 예선에서 튀르키예, 노르웨이를 제치고 조 1위로 본선에 올랐다. 2014년 이후 8년 만의 본선 진출이다.
- 에콰도르는 남미 예선에서 최소 4위를 확보하며 본선에 진출했다. 2014년 이후 8년 만의 본선 진출이다.
- 캐나다는 북중미 예선에서 1경기를 남기고 조기 본선행을 확정했다. 1986년 이후 무려 36년 만의 본선 진출이다.[79][80]
- 가나는 아프리카 최종예선에서 나이지리아를 제치고 본선에 합류했다. 2014년 이후 8년 만의 본선 진출이다.
- 카메룬은 아프리카 최종예선에서 알제리를 제치고 본선에 합류했다. 2014년 이후 8년 만의 본선 진출이다.
- 미국은 북중미 예선에서 3위로 본선에 진출했다. 2014년 이후 8년 만의 본선 진출이다.
- 웨일스는 유럽 예선 플레이오프 패스 A에서 우크라이나를 제치고 본선에 진출했다. 1958년 이후 무려 64년 만의 본선 진출이다.
반면에 2018년 월드컵 본선 진출국 중 8개국이 탈락의 고배를 마시거나 참가 금지를 당했다.
- 러시아는 당초 유럽 예선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개시에 대한 제재로 월드컵을 비롯한 모든 FIFA 주관 국제대회의 개최 및 참가가 전면 금지되었다.
- 아이슬란드는 유럽 예선에서 독일, 북마케도니아, 루마니아, 심지어는 아르메니아에게까지 밀려 탈락했다.
- 파나마는 북중미 최종예선에서 5위에 머물며 탈락했다.
- 나이지리아는 가나와 맞붙은 아프리카 최종예선에서 원정 다득점에 밀려 떨어졌다.
- 이집트는 세네갈과의 아프리카 최종예선에서 1승 1패를 주고받은 뒤 승부차기에서 지면서 탈락했다.
- 스웨덴은 폴란드와의 유럽 예선 플레이오프 결승에서 패배해 탈락했다. 유럽 예선 플레이오프에서는 체코와 연장 혈투까지 가서 겨우 이겼다.
- 콜롬비아는 베네수엘라와의 마지막 경기를 이기고도 페루에 밀려 탈락했다.
- 페루는 호주[81]와의 대륙 간 플레이오프에서 120분 동안 득점 없이 비긴 끝에 승부차기까지 갔지만 패배하여 탈락했다.
월드컵 역사상 최초로 AFC 팀이 6개국으로 역대 최다로 출전한다.[82]
본선에 처음 출전하는 팀은 개최국 카타르[83]뿐이었다.
또한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 12년만에 구 소련 국가들이 모두 전멸한 대회가 되었다.
- 러시아: 상술한 이유로 참가금지
- 우크라이나: 유럽 예선 플레이오프 준결승 웨일스전 0:1 패
- 에스토니아, 벨라루스: 유럽 예선 E조 4위/5위[84]
- 리투아니아: 유럽예선 C조 5위[85]
- 라트비아: 유럽예선 G조 5위[86]
- 카자흐스탄: 유럽예선 D조 5위[87]
- 아르메니아: 유럽예선 J조 4위[88]
- 조지아: 유럽예선 B조 4위[89]
- 아제르바이잔: 유럽예선 A조 5위[90]
- 몰도바: 유럽예선 F조 6위[91]
- 우즈베키스탄: 아시아 2차예선 D조 2위→조 2위 경합 7위[92]
- 타지키스탄, 키르기스스탄: 아시아 2차예선 F조 2위→조 2위 경합 6위/조 3위[93]
- 투르크메니스탄: 아시아 2차예선 H조 3위[94]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중동 전멸,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은 북유럽 전멸,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는 각 대륙별 강팀이 하나씩 탈락, 2022년 카타르 월드컵은 구 소련 국가 전멸이다.
5. 대회 전
5.1. 조 추첨식 및 편성
자세한 내용은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조 추첨 문서 참고하십시오.5.2. 참가팀 정보
자세한 내용은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참가팀 정보 문서 참고하십시오.5.3. 심판진
<rowcolor=#ffffff> 대륙 | 국적 | 주심 | 부심 | VAR |
AFC 아시아 |
카타르 |
압둘라흐만 알자심 AL JASSIM Abdulrahman |
탈레브 알마리 AL MARRI Taleb 사우드 아흐메드 알마칼레흐 ALMAQALEH Saoud Ahmed |
압둘라 알마리 AL MARRI Abdulla |
호주 |
크리스 비스 BEATH Chris[95] |
애슐리 비첨 BEECHAM Ashley 앤턴 슈체트닌 SHCHETININ Anton |
숀 에번스 EVANS Shaun |
|
이란 | 알리레자 파가니[96] |
무함마드레자 아볼파즐리 ABOLFAZLI Mohammadreza 무함마드레자 만수리 MANSOURI Mohammadreza |
||
아랍에미리트 |
무함마드 압둘라 하산 무하마드 Mohammed Abdulla Hassan Mohamed[97] |
무함마드 알함마디 ALHAMMADI Mohamed 하산 알마흐리 ALMAHRI Hasan |
||
중국 | 마닝 MA Ning[98] |
차오이 CAO Yi 스샹 SHI Xiang |
||
일본 |
야마시타 요시미 YAMASHITA Yoshimi[99] |
|||
싱가포르 |
무하맛 타킷 Muhammad Taqid[100] |
|||
CAF 아프리카 |
알제리 |
무스타파 고르발 GHORBAL Mustapha[101] |
압델하크 에치알리 ETCHIALI Abdelhak 모크란 구라리 GOURARI Mokrane |
|
세네갈 |
마게트 은디아이 NDIAYE Maguette[102] |
지브릴 카마라 CAMARA Djibril 엘하지 삼바 SAMBA El Hadji |
||
남아프리카공화국 |
빅터 고메스 GOMES Victor |
자켈레 시웰라 SIWELA Zakhele |
||
감비아 |
바카리 가사마 GASSAMA Bakary |
|||
잠비아 |
재니 시카즈웨 SIKAZWE Janny |
|||
르완다 |
살리마 무칸상가 MUKANSANGA Salima[103] |
|||
이집트 |
마흐무드 아부엘레갈 ABOUELREGAL Mahmoud |
|||
모잠비크 |
아르세니우 마렝굴레 MARENGULE Arsenio |
|||
카메룬 |
엘비스 누푸에 NOUPUE Elvis[104] |
|||
레소토 |
소우루 파초안 PHATSOANE Souru[105] |
|||
앙골라 |
제르송 두스산투스 DOS SANTOS Jerson |
|||
모로코 |
레두안 지예드 JIYED Redouane 아딜 주라크 ZOURAK Adil |
|||
CONCACAF 북중미 카리브 |
미국 |
이스마일 엘패스 ELFATH Ismail[106] |
카일 앳킨스 ATKINS Kyle 캐스린 네즈빗 NESBITT Kathryn 코리 파커 PARKER Corey |
아르만도 비야레알 VILLARREAL Armando |
멕시코 |
세사르 라모스 RAMOS Cesar |
알베르토 모린 MORIN Alberto 카렌 디아스 메디나 DIAZ MEDINA Karen 미겔 에르난데스 HERNANDEZ Miguel |
페르난도 게레로 GUERRERO Fernando |
|
엘살바도르 |
이반 바르톤 BARTON Ivan[107] |
토마스 클란크니크 KLANCNIK Tomaz |
||
온두라스 |
사이드 마르티네스 MARTINEZ Said |
왈테르 로페스 LOPEZ Walter |
||
과테말라 |
마리오 에스코바르 ESCOBAR Mario |
|||
코스타리카 |
후안 카를로스 모라 MORA Juan Carlos |
|||
도미니카공화국 |
라이문도 엘피스 펠리스 FELIZ Raymundo Helpys |
|||
트리니다드토바고 |
케일럽 웨일스 WALES Caleb |
|||
수리남 |
자샤리 제헬라르 ZEEGELAAR Zachari |
|||
캐나다 |
드루 피셔 FISCHER Drew |
|||
CONMEBOL 남미 |
브라질 |
하파에우 클라우스 CLAUS Raphael 위우통 삼파이우 |
BACK Neuza BOSCHILIA Bruno PIRES Bruno SIMON Danilo FIGUEIREDO Rodrigo |
|
아르헨티나 |
페르난도 라팔리니 RAPALLINI Fernando[108] 파쿤도 테요[109] |
후안 파블로 벨라티 BELATTI Juan Pablo 디에고 보네아 BONFA Diego 에세키엘 브라일로브스키 BRAILOVSKY Ezequiel 가브리엘 차데 CHADE Gabriel |
마우로 빌리아노 VIGLIANO Mauro |
|
우루과이 |
안드레스 마티아스 마톤테 카브레라 MATONTE CABRERA Andres Matias |
마르틴 소피 SOPPI Martin 니콜라스 타란 TARAN Nicolas |
레오단 곤살레스[110] | |
베네수엘라 |
헤수스 발렌수엘라 VALENZUELA Jesus[111] |
툴리오 모레노 MORENO Tulio 호르헤 우레고 URREGO Jorge |
후안 소토 SOTO Juan |
|
페루 |
케빈 오르테가 ORTEGA Kevin |
마이클 오루에 ORUE Michael 헤수스 산체스 SANCHEZ Jesus |
||
콜롬비아 |
니콜라스 가요 GALLO Nicolas |
|||
칠레 |
훌리오 바스쿠난 BASCUNAN Julio |
|||
OFC 오세아니아 |
뉴질랜드 |
매슈 콩거 CONGER Matthew[112] |
마크 룰 RULE Mark |
|
통가 |
테비타 마카시니 MAKASINI Tevita |
|||
UEFA 유럽[113] |
독일 | 다니엘 지베르트[114] |
얀 자이델 SEIDEL Jan 라파엘 폴틴 FOLTYN Rafael |
바스티안 당케르트 DANKERT Bastian 마르코 프리츠 FRITZ Marco |
프랑스 |
스테파니 프라파르[115] 클레망 튀르팽[116] |
니콜라 다노스 DANOS Nicolas 시릴 그랭고르 GRINGORE Cyril |
제롬 브리사르 BRISARD Jerome 브누아 미요 MILLOT Benoit |
|
잉글랜드 |
마이클 올리버 앤서니 테일러[117] |
사이먼 베넷 BENNETT Simon 게리 베즈윅 BESWICK Gary 애덤 넌 NUNN Adam 스튜어트 버트 BURT Stuart |
||
루마니아 | 이슈트반 코바치[118] |
미하이 아르테네 ARTENE Mihai 바실레 마리네스쿠 MARINESCU Vasile |
||
네덜란드 | 대니 마켈리[119] |
얀 더프리스 DE VRIES Jan 헤설 스테익스트라 STEEGSTRA Hessel |
파울뤼스 판부컬 VAN BOEKEL Paulus |
|
폴란드 | 시몬 마르치니악[120] |
토마시 리스트키에비치 LISTKIEWICZ Tomasz 파베우 소콜니키 SOKOLNICKI Pawel |
토마시 크비아트코프스키 KWIATKOWSKI Tomasz |
|
스페인 | 안토니오 마테우 라호스[121] |
파우 세브리안 CEBRIAN Pau 로베르토 디아스 DIAZ Roberto |
리카르도 데부르고스 DE BURGOS Ricardo 알레한드로 에르난데스 후안 마르티네스 MARTINEZ Juan |
|
이탈리아 | 다니엘레 오르사토[122] |
치로 카르보네 CARBONE Ciro 알레산드로 잘라티니 GIALLATINI Alessandro |
마시밀리아노 이라티 IRRATI Massimiliano 파올로 발레리 VALERI Paolo |
|
슬로베니아 | 슬라브코 빈치치 |
안드라시 코바치치 KOVACIC Andraz 다비드 모란 MORAN David |
6. 대회 진행
{{{#!wiki style="margin: 0 -10px -5px;color: #fff;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990e31><colcolor=#fff> 대회 이전
|
유치 과정 · 지역예선 · 조 추첨 · 평가전 · 참가팀 정보 | |||||||
대한민국 경기 (H조)
우루과이전 (1차전) ·
가나전 (2차전) ·
포르투갈전 (3차전)
|
|||||||||
주요 경기
아르헨티나 vs 사우디아라비아 (C조) ·
독일 vs 일본 (E조) ·
일본 vs 스페인 (E조)
|
|||||||||
16강 | 8강 | ||||||||
3PO | |||||||||
대한민국 경기
브라질전 (16강)
|
|||||||||
주요 경기
크로아티아 vs 브라질 (8강) ·
네덜란드 vs 아르헨티나 (8강) ·
모로코 vs 포르투갈 (8강)
|
|||||||||
대회 이후
|
결산 ( 대한민국 · 모로코 · 리오넬 메시 · 킬리안 음바페 · 손흥민) · 기록실 | ||||||||
기타 | 알 리흘라 · 논란 · 중계( 국내 일정) · 여담 | }}}}}}}}} |
6.1. 개막식
|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개회식의 알사니 카타르 국왕 |
|
|
|
|
|
전반적으로 개막식 행사에 대해서는 호평이 많은 편이었다. 올림픽과는 달리 짧은 월드컵 개막식 특성 상 화려하게 열진 못 하는데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으로 그것들을 잘 극복하고 세계의 화합, 문화적 다양성 등 월드컵에 걸맞은 전지구적 메시지가 잘 담기고, 자국 문화 특유의 멋을 잘 보여준 무대였다는 평.[123]
6.2. 폐막식
폐막식은 12월 18일 22:30 (한국 시각) 루사일 스타디움에서 시작되어 '기억해야 할 밤'을 주제로 약 15분 정도의 공식 사운드 트랙의 매시업 공연으로 펼쳐졌다. 이전 FIFA의 공식 트윗에 따라 폐막식 라이브 공연에는 이번 월드컵의 공식 주제가들을 불렀던 다비도, 아이샤, Ozuna, 김스, 노라 파테히, 라마 메제르, 마날 등이 참여하였다. ( #)6.3. 조별리그[32강]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a50031, #330010)"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 일시(한국시각) | 라운드 | 1팀 | 결과 | 2팀 | 경기장 | 매치 리포트 | 비고 |
11.21 월 01:00 | A조 1경기 | 카타르 |
0 : 2
|
에콰도르 | 알바이트 스타디움 | 개막전 | ||
11.21 월 22:00 | B조 1경기 | 잉글랜드 |
6 : 2
|
이란 | 칼리파 스타디움 | |||
11.22 화 01:00 | A조 2경기 | 세네갈 |
0 : 2
|
네덜란드 | 알투마마 스타디움 | |||
11.22 화 04:00 | B조 2경기 | 미국 | 1 : 1 | 웨일스 | 아흐마드 빈 알리 | |||
11.22 화 19:00 | C조 1경기 | 아르헨티나 | 사우디아라비아 | 루사일 스타디움 | ||||
11.22 화 22:00 | D조 1경기 | 덴마크 | 0 : 0 | 튀니지 | 에듀케이션 시티 | |||
11.23 수 01:00 | C조 2경기 | 멕시코 | 0 : 0 | 폴란드 | 스타디움 974 | |||
11.23 수 04:00 | D조 2경기 | 프랑스 |
4 : 1
|
호주 | 알자누브 스타디움 | |||
11.23 수 19:00 | F조 1경기 | 모로코 | 0 : 0 | 크로아티아 | 알바이트 스타디움 | |||
11.23 수 22:00 | E조 1경기 | 독일 | 일본 | 칼리파 스타디움 | ||||
11.24 목 01:00 | E조 2경기 | 스페인 |
7 : 0
|
코스타리카 | 알투마마 스타디움 | |||
11.24 목 04:00 | F조 2경기 | 벨기에 |
1 : 0
|
캐나다 | 아흐마드 빈 알리 | |||
11.24 목 19:00 | G조 1경기 | 스위스 |
1 : 0
|
카메룬 | 알자누브 스타디움 | |||
11.24 목 22:00 | H조 1경기 | 우루과이 | 0 : 0 | 대한민국 | 에듀케이션 시티 | |||
11.25 금 01:00 | H조 2경기 | 포르투갈 |
3 : 2
|
가나 | 스타디움 974 | |||
11.25 금 04:00 | G조 2경기 | 브라질 |
2 : 0
|
세르비아 | 루사일 스타디움 | |||
11.25 금 19:00 | B조 3경기 | 웨일스 |
0 : 2
|
이란 | 아흐마드 빈 알리 | |||
11.25 금 22:00 | A조 3경기 | 카타르 |
1 : 3
|
세네갈 | 알투마마 스타디움 | |||
11.26 토 01:00 | A조 4경기 | 네덜란드 | 1 : 1 | 에콰도르 | 칼리파 스타디움 | 탈락 | ||
11.26 토 04:00 | B조 4경기 | 잉글랜드 | 0 : 0 | 미국 | 알바이트 스타디움 | |||
11.26 토 19:00 | D조 3경기 | 튀니지 |
0 : 1
|
호주 | 알자누브 스타디움 | |||
11.26 토 22:00 | C조 3경기 | 폴란드 |
2 : 0
|
사우디아라비아 | 에듀케이션 시티 | |||
11.27 일 01:00 | D조 4경기 | 프랑스 |
2 : 1
|
덴마크 | 스타디움 974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8ee88;" | ||
11.27 일 04:00 | C조 4경기 | 아르헨티나 |
2 : 0
|
멕시코 | 루사일 스타디움 | |||
11.27 일 19:00 | E조 3경기 | 일본 |
0 : 1
|
코스타리카 | 아흐마드 빈 알리 | |||
11.27 일 22:00 | F조 3경기 | 벨기에 |
0 : 2
|
모로코 | 알투마마 스타디움 | |||
11.28 월 01:00 | F조 4경기 | 크로아티아 |
4 : 1
|
캐나다 | 칼리파 스타디움 | 탈락 | ||
11.28 월 04:00 | E조 4경기 | 스페인 | 1 : 1 | 독일 | 알바이트 스타디움 | |||
11.28 월 19:00 | G조 3경기 | 카메룬 | 3 : 3 | 세르비아 | 알자누브 스타디움 | |||
11.28 월 22:00 | H조 3경기 | 대한민국 | 가나 | 에듀케이션 시티 | ||||
11.29 화 01:00 | G조 4경기 | 브라질 |
1 : 0
|
스위스 | 스타디움 974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8ee88;" | ||
11.29 화 04:00 | H조 4경기 | 포르투갈 |
2 : 0
|
우루과이 | 루사일 스타디움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8ee88;" | ||
11.30 수 00:00 | A조 5-1경기 | 네덜란드 |
2 : 0
|
카타르 | 알바이트 스타디움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8ee88;" | ||
11.30 수 00:00 | A조 5-2경기 | 에콰도르 |
1 : 2
|
세네갈 | 칼리파 스타디움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8ee88;" | ||
11.30 수 04:00 | B조 5-1경기 | 웨일스 |
0 : 3
|
잉글랜드 | 아흐마드 빈 알리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8ee88;" | ||
11.30 수 04:00 | B조 5-2경기 | 이란 |
0 : 1
|
미국 | 알투마마 스타디움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8ee88;" | ||
12.1 목 00:00 | D조 5-1경기 | 호주 |
1 : 0
|
덴마크 | 알자누브 스타디움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8ee88;" | ||
12.1 목 00:00 | D조 5-2경기 | 튀니지 |
1 : 0
|
프랑스 | 에듀케이션 시티 | 탈락 | ||
12.1 목 04:00 | C조 5-1경기 | 폴란드 |
0 : 2
|
아르헨티나 | 스타디움 974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8ee88;" |
||
12.1 목 04:00 | C조 5-2경기 | 사우디아라비아 |
1 : 2
|
멕시코 | 루사일 스타디움 | 탈락 | ||
12.2 금 00:00 | F조 5-1경기 | 크로아티아 | 0 : 0 | 벨기에 | 아흐마드 빈 알리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8ee88;" | ||
12.2 금 00:00 | F조 5-2경기 | 캐나다 |
1 : 2
|
모로코 | 알투마마 스타디움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8ee88;" | ||
12.2 금 04:00 | E조 5-1경기 | 일본 | 스페인 | 칼리파 스타디움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8ee88;" |
|||
12.2 금 04:00 | E조 5-2경기 | 코스타리카 |
2 : 4
|
독일 | 알바이트 스타디움 | 탈락 | ||
12.3 토 00:00 | H조 5-1경기 | 가나 |
0 : 2
|
우루과이 | 알자누브 스타디움 | 탈락 | ||
12.3 토 00:00 | H조 5-2경기 | 대한민국 | 포르투갈 | 에듀케이션 시티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8ee88;" | |||
12.3 토 04:00 | G조 5-1경기 | 세르비아 |
2 : 3
|
스위스 | 스타디움 974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8ee88;" | ||
12.3 토 04:00 | G조 5-2경기 | 카메룬 |
1 : 0
|
브라질 | 루사일 스타디움 | 탈락 | ||
결선 토너먼트 전체 경기 일정 및 결과 보기 |
조별리그
|
||||
<rowcolor=#fff> 조 |
1위 (토너먼트 진출) |
2위 (토너먼트 진출) |
3위 (탈락) |
4위 (탈락) |
<colbgcolor=#990e31> A |
<colbgcolor=#fbe7b7,#483404><colcolor=#000000,#dddddd>
네덜란드 (2승 1무 / 7점) |
<colbgcolor=#fbe7b7,#483404><colcolor=#000000,#dddddd>
세네갈 (2승 1패 / 6점) |
에콰도르 (1승 1무 1패 / 4점) |
카타르 (3패 / 0점)[125][126][127] |
B |
잉글랜드 (2승 1무 / 7점) |
미국 (1승 2무 / 5점) |
이란 (1승 2패 / 3점) |
웨일스 (1무 2패 / 1점) |
C |
아르헨티나 (2승 1패 / 6점) |
폴란드 (1승 1무 1패 / 4점) |
멕시코 (1승 1무 1패 / 4점) |
사우디아라비아 ( 1승 2패 / 3점) |
D |
프랑스 (2승 1패 / 6점) |
호주 (2승 1패 / 6점) |
튀니지 (1승 1무 1패 / 4점) |
덴마크 (1무 2패 / 1점) |
E |
일본 (2승 1패 / 6점) |
스페인 (1승 1무 1패 / 4점) |
독일 (1승 1무 1패 / 4점) |
코스타리카 (1승 2패 / 3점) |
F |
모로코 (2승 1무 / 7점) |
크로아티아 (1승 2무 / 5점) |
벨기에 (1승 1무 1패 / 4점) |
캐나다 (3패 / 0점) |
G |
브라질 (2승 1패 / 6점) |
스위스 (2승 1패 / 6점) |
카메룬 (1승 1무 1패 / 4점) |
세르비아 (1무 2패 / 1점) |
H |
포르투갈 (2승 1패 / 6점) |
대한민국 (1승 1무 1패 / 4점) |
우루과이 (1승 1무 1패 / 4점) |
가나 (1승 2패 / 3점) |
순위 작성 순서는 승점, 골 득실, 다득점, 승자승, 페어플레이 점수 순이다.
특이하게도 1994 FIFA 월드컵 미국 대회 이후 28년 만에 3전 전승을 거둔 팀이 나오지 않았으며,[128] 2무 1패를 거둔 팀 역시 직전 월드컵에 이어 이번 월드컵에도 나오지 않았다. 1승 1무 1패는 무려 10팀이나 나왔지만, 그중 토너먼트 진출에 성공한 팀은 단 3팀[129]이다. 공교롭게도 1승 1무 1패로 탈락한 팀도 B조를 제외한 모든 조[130]에서 나왔다. 조 3위를 기록한 팀들은 최소한 1승은 거두고 탈락했다. 2승 1패도 무려 8팀에 그 중 조 1위를 한 팀이 5팀, 1승 2패인데도 조 4위로 마무리한 팀이 3팀이나 나오는 등 서로가 서로를 물어뜯는 죽음의 조가 많이 나온 대회였다. 이것 때문에 가위바위보 구조도 상당히 많이 나왔다. 1승도 하지 못한 팀은 겨우 5팀으로 이는 32개국 체제 이후 가장 적은 수치다. 또한 약체였던 팀들의 상향 평준화, 강팀들이 하향 평준화가 되어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조별 리그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A조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B조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C조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D조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E조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F조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G조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H조
6.4. 결선 토너먼트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a50031, #330010)"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 일시(한국시각) | 라운드 | 1팀 | 결과 | 2팀 | 경기장 | 매치 리포트 | 비고 |
16강전 | ||||||||
12.4 일 00:00 | 16강전-1 | 네덜란드 |
3 : 1
|
미국 | 칼리파 스타디움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8ee88;" | ||
12.4 일 04:00 | 16강전-2 | 아르헨티나 |
2 : 1
|
호주 | 아흐마드 빈 알리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8ee88;" | ||
12.5 월 00:00 | 16강전-3 | 프랑스 |
3 : 1
|
폴란드 | 알투마마 스타디움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8ee88;" | ||
12.5 월 04:00 | 16강전-4 | 잉글랜드 |
3 : 0
|
세네갈 | 알바이트 스타디움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8ee88;" | ||
12.6 화 00:00 | 16강전-5 |
일본
●●●● |
1 : 1 |
크로아티아 ●●●● |
알자누브 스타디움 |
[ET][PSO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8ee88;" |
||
12.6 화 04:00 | 16강전-6 | 브라질 |
4 : 1
|
대한민국 | 스타디움 974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8ee88;" | ||
12.7 수 00:00 | 16강전-7 |
모로코
●●●● |
0 : 0 |
스페인 ●●● |
에듀케이션 시티 |
[ET][PSO2]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8ee88;" |
||
12.7 수 04:00 | 16강전-8 | 포르투갈 |
6 : 1
|
스위스 | 루사일 스타디움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8ee88;" | ||
8강전 | ||||||||
12.10 토 00:00 | 8강전-1 |
크로아티아
●●●● |
1 : 1 |
브라질 ●●●● |
에듀케이션 시티 |
[ET][PSO3]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8ee88;" |
||
12.10 토 04:00 | 8강전-2 |
네덜란드
●●●●● |
2 : 2 |
아르헨티나 ●●●●● |
루사일 스타디움 |
[ET][PSO4]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8ee88;" |
||
12.11 일 00:00 | 8강전-3 | 모로코 |
1 : 0
|
포르투갈 | 알투마마 스타디움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8ee88;" | ||
12.11 일 04:00 | 8강전-4 | 잉글랜드 |
1 : 2
|
프랑스 | 알바이트 스타디움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8ee88;" | ||
준결승전 | ||||||||
12.14 수 04:00 | 준결승전-1 | 아르헨티나 |
3 : 0
|
크로아티아 | 루사일 스타디움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8ee88;" | ||
12.15 목 04:00 | 준결승전-2 | 프랑스 |
2 : 0
|
모로코 | 알바이트 스타디움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8ee88;" | ||
3·4위전 | ||||||||
12.18 일 00:00 | 3·4위전 | 크로아티아 |
2 : 1
|
모로코 | 칼리파 스타디움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8ee88;" | ||
결승전 | ||||||||
12.19 월 00:00 | 결승전 |
아르헨티나
●●●● |
3 : 3 |
프랑스 ●●●● |
루사일 스타디움 |
[ET][PSO5]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8ee88;" |
||
|
}}}}}}}}}}}} |
결선 토너먼트 |
|||||||||||
<colbgcolor=#990e31><rowcolor=#fff> 16강 | <colbgcolor=#990e31> 8강 | <colbgcolor=#990e31> 4강 | <colbgcolor=#990e31> 결승 | ||||||||
49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16강#s-4| 16강 1경기 | 12/04 00:00 ]]
|
57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8강#s-5| 8강 2경기 | 12/10 04:00 ]]
|
61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준결승#s-4| 4강 1경기 | 12/14 04:00 ]]
|
64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결승| 결승 | 12/19 00:00 ]]
|
||||
3 | 2 3 | 3 |
3 4 |
||||||||
1 | |||||||||||
50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16강#s-5| 16강 2경기 | 12/04 04:00 ]]
|
2 4 | |||||||||
2 | |||||||||||
1 | |||||||||||
53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16강#s-8| 16강 5경기 | 12/06 00:00 ]]
|
58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8강#s-4| 8강 1경기 | 12/10 00:00 ]]
|
0 | |||||||
1 1 | 1 4 | ||||||||||
1 3 | |||||||||||
54 |
[[벤투호/2022 FIFA 월드컵 카타르/브라질전| 16강 6경기 | 12/06 04:00 ]]
|
1 2 | |||||||||
4 | |||||||||||
1 |
3 2 |
||||||||||
51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16강#s-7| 16강 4경기 | 12/05 04:00 ]]
|
59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8강#s-7| 8강 4경기 | 12/11 04:00 ]]
|
62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준결승#s-5| 4강 2경기 | 12/15 04:00 ]]
|
||||||
3 | 1 | 2 | |||||||||
0 | |||||||||||
52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16강#s-6| 16강 3경기 | 12/05 00:00 ]]
|
2 | |||||||||
3 | |||||||||||
1 | |||||||||||
55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16강#s-10| 16강 7경기 | 12/07 00:00 ]]
|
60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8강#s-6| 8강 3경기 | 12/11 00:00 ]]
|
0 | |||||||
0 3 | 1 | ||||||||||
0 0 | |||||||||||
56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16강#s-11| 16강 8경기 | 12/07 04:00 ]]
|
0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3·4위전| 3·4위전 | 12/18 00:00 ]]
|
||||||||
6 | 2 | ||||||||||
1 | 1 | ||||||||||
유럽 8팀, 아시아 3팀, 남미 2팀, 아프리카 2팀, 북중미 1팀 등 모든 대륙에서 골고루 결선 토너먼트 진출팀을 배출했다. 또한 1시드 6팀, 2시드 4팀, 3시드 5팀, 4시드 1팀 등 모든 시드에서 진출팀이 나왔다.
흥미롭게도 2시드보다 3시드에서 더 많은 진출팀[131]이 배출됐으며, 개최국 특권으로 1시드를 받은 카타르를 제외하면 1시드 팀 중 벨기에만 조별리그 통과에 실패하였고, 4시드에서는 유일하게 호주가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16강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8강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준결승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3·4위전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결승
6.5. 우승
|
2022 FIFA 월드컵 우승
|
세 번째 우승
★★★ |
7. 최종 순위
최종 순위 |
||||||||||
<rowcolor=#ffffff> 순위 |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비고 |
아르헨티나 | <colcolor=#000,#fff> 7 | <colcolor=#000,#fff> 4 | <colcolor=#000,#fff> 2 | <colcolor=#000,#fff> 1 | <colcolor=#000,#fff> 15 | <colcolor=#000,#fff> 8 | <colcolor=#000,#fff> +7 | <colcolor=#000,#fff> 14 | <colcolor=#000,#fff> 우승 | |
<colcolor=#000,#fff> | 프랑스 | 7 | 5 | 1 | 1 | 16 | 8 | +8 | 16 | 준우승 |
크로아티아 | 7 | 2 | 4 | 1 | 8 | 7 | +1 | 10 | 3위 | |
4 | 모로코 | 7 | 3 | 2 | 2 | 6 | 5 | +1 | 11 | 4위 |
5 | 네덜란드 | 5 | 3 | 2 | 0 | 10 | 4 | +6 | 11 | 8강 |
6 | 잉글랜드 | 5 | 3 | 1 | 1 | 13 | 4 | +9 | 10 | |
7 | 브라질 | 5 | 3 | 1 | 1 | 8 | 3 | +5 | 10 | |
8 | 포르투갈 | 5 | 3 | 0 | 2 | 12 | 6 | +6 | 9 | |
9 | 일본 | 4 | 2 | 1 | 1 | 5 | 4 | +1 | 7 | 16강 |
10 | 세네갈 | 4 | 2 | 0 | 2 | 5 | 7 | -2 | 6 | |
11 | 호주 | 4 | 2 | 0 | 2 | 4 | 6 | -2 | 6 | |
12 | 스위스 | 4 | 2 | 0 | 2 | 5 | 9 | -4 | 6 | |
13 | 스페인 | 4 | 1 | 2 | 1 | 9 | 3 | +6 | 5 | |
14 | 미국 | 4 | 1 | 2 | 1 | 3 | 4 | -1 | 5 | |
15 | 폴란드 | 4 | 1 | 1 | 2 | 3 | 5 | -2 | 4 | |
16 | 대한민국 | 4 | 1 | 1 | 2 | 5 | 8 | -3 | 4 | |
17 | 독일 | 3 | 1 | 1 | 1 | 6 | 5 | +1 | 4 | 조별 리그 |
18 | 에콰도르 | 3 | 1 | 1 | 1 | 4 | 3 | +1 | 4 | |
19 | 카메룬 | 3 | 1 | 1 | 1 | 4 | 4 | 0 | 4 | |
20 | 우루과이 | 3 | 1 | 1 | 1 | 2 | 2 | 0 | 4 | |
21 | 튀니지 | 3 | 1 | 1 | 1 | 1 | 1 | 0 | 4 | |
22 | 멕시코 | 3 | 1 | 1 | 1 | 2 | 3 | -1 | 4 | |
23 | 벨기에 | 3 | 1 | 1 | 1 | 1 | 2 | -1 | 4 | |
24 | 가나 | 3 | 1 | 0 | 2 | 5 | 7 | -2 | 3 | |
25 | 사우디아라비아 | 3 | 1 | 0 | 2 | 3 | 5 | -2 | 3 | |
26 | 이란 | 3 | 1 | 0 | 2 | 4 | 7 | -3 | 3 | |
27 | 코스타리카 | 3 | 1 | 0 | 2 | 3 | 11 | -8 | 3 | |
28 | 덴마크 | 3 | 0 | 1 | 2 | 1 | 3 | -2 | 1 | |
29 | 세르비아 | 3 | 0 | 1 | 2 | 5 | 8 | -3 | 1 | |
30 | 웨일스 | 3 | 0 | 1 | 2 | 1 | 6 | -5 | 1 | |
31 | 캐나다 | 3 | 0 | 0 | 3 | 2 | 7 | -5 | 0 | |
32 | 카타르 | 3 | 0 | 0 | 3 | 1 | 7 | -6 | 0 |
8. 수상
- 골든글러브 - 에밀리아노 마르티네스 ( 아르헨티나)
- 페어플레이상 - 잉글랜드
8.1. 베스트 골 TOP 10
1위 | 히샬리송 | 조별리그 브라질 vs 세르비아 |
2위 | 루이스 차베스 | 조별리그 사우디아라비아 vs 멕시코 |
3위 | 엔소 페르난데스 | 조별리그 아르헨티나 vs 멕시코 |
4위 | 뱅상 아부바카르 | 조별리그 카메룬 vs 세르비아 |
5위 | 네이마르 | 8강 크로아티아 vs 브라질 |
6위 | 살렘 알다우사리 | 조별리그 아르헨티나 vs 사우디아라비아 |
7위 | 백승호 | 16강 브라질 vs 대한민국 |
8위 | 히샬리송 | 16강 브라질 vs 대한민국 |
9위 | 킬리안 음바페 | 16강 프랑스 vs 폴란드 |
10위 | 코디 각포 | 조별리그 네덜란드 vs 에콰도르 |
9. 기록실
자세한 내용은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기록실 문서 참고하십시오.9.1. 득점 순위
득점 순위 |
|||||
<rowcolor=#ffffff> 순위 | 선수명 | 팀 | 경기수 | 득점 | PK득점 |
킬리안 음바페 | 프랑스 | 7 | 8 | 2 |
리오넬 메시 | 아르헨티나 | 7 | 7 | 4 |
올리비에 지루 | 프랑스 | 6 | 4 |
훌리안 알바레스 | 아르헨티나 | 7 | 4 |
5 | 에네르 발렌시아 | 에콰도르 | 3 | 3 | 1 |
5 | 코디 각포 | 네덜란드 | 5 | 3 |
5 | 마커스 래시포드 | 잉글랜드 | 5 | 3 |
5 | 알바로 모라타 | 스페인 | 4 | 3 |
5 | 부카요 사카 | 잉글랜드 | 4 | 3 |
5 | 히샬리송 | 브라질 | 4 | 3 |
5 | 곤살루 하무스 | 포르투갈 | 4 | 3 |
12 | 메흐디 타레미 | 이란 | 3 | 2 | 1 |
12 | 페란 토레스 | 스페인 | 4 | 2 | 1 |
12 | 브루노 페르난데스 | 포르투갈 | 4 | 2 | 1 |
12 | 안드레이 크라마리치 | 크로아티아 | 7 | 2 |
12 | 조규성 | 대한민국 | 4 | 2 |
12 | 모하메드 쿠두스 | 가나 | 3 | 2 |
12 | 살렘 알다우사리 | 사우디아라비아 | 3 | 2 |
12 | 도안 리츠 | 일본 | 4 | 2 |
12 | 카이 하베르츠 | 독일 | 2 | 2 |
12 | 니클라스 퓔크루크 | 독일 | 3 | 2 |
12 | 히오르히안 데 아라스카에타 | 우루과이 | 2 | 2 |
12 | 브릴 엠볼로 | 스위스 | 4 | 2 |
12 | 알렉산다르 미트로비치 | 세르비아 | 3 | 2 |
12 | 뱅상 아부바카 | 카메룬 | 2 | 2 |
12 |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 | 폴란드 | 4 | 2 | 1 |
12 | 하파엘 레앙 | 포르투갈 | 5 | 2 |
12 | 네이마르 주니오르 | 브라질 | 3 | 2 | 1 |
12 | 바웃 베호르스트 | 네덜란드 | 4 | 2 |
12 | 해리 케인 | 잉글랜드 | 5 | 2 | 1 |
12 | 유세프 엔네시리 | 모로코 | 7 | 2 |
32 | 라힘 스털링 | 잉글랜드 | 3 | 1 |
32 | 잭 그릴리쉬 | 잉글랜드 | 5 | 1 |
32 | 주드 벨링엄 | 잉글랜드 | 5 | 1 |
32 | 데이비 클라선 | 네덜란드 | 4 | 1 |
32 | 티모시 웨아 | 미국 | 4 | 1 |
32 | 살레 알셰흐리 | 사우디아라비아 | 3 | 1 |
32 | 크레이그 굿윈 | 호주 | 4 | 1 |
32 | 아드리앙 라비오 | 프랑스 | 6 | 1 |
32 | 아사노 타쿠마 | 일본 | 4 | 1 |
32 | 다니 올모 | 스페인 | 4 | 1 |
32 | 마르코 아센시오 | 스페인 | 4 | 1 |
32 | 가비 | 스페인 | 4 | 1 |
32 | 카를로스 솔레르 | 스페인 | 2 | 1 |
32 | 미시 바추아이 | 벨기에 | 2 | 1 |
32 | 주앙 펠릭스 | 포르투갈 | 4 | 1 |
32 | 안드레 아이유 | 가나 | 3 | 1 |
32 | 오스만 부카리 | 가나 | 2 | 1 |
32 | 블라이 디아 | 세네갈 | 4 | 1 |
32 | 파마라 디에디우 | 세네갈 | 2 | 1 |
32 | 모하메드 문타리 | 카타르 | 3 | 1 |
32 | 밤바 디엥 | 세네갈 | 4 | 1 |
32 | 루즈베 체슈미 | 이란 | 2 | 1 |
32 | 라민 레자에이안 | 이란 | 2 | 1 |
32 | 가레스 베일 | 웨일즈 | 3 | 1 | 1 |
32 | 일카이 귄도안 | 독일 | 3 | 1 | 1 |
32 |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 포르투갈 | 5 | 1 | 1 |
32 | 미첼 듀크 | 호주 | 4 | 1 |
32 | 피오트르 지엘린스키 | 폴란드 | 4 | 1 |
32 | 안드레아스 크리스텐센 | 덴마크 | 3 | 1 |
32 | 엔소 페르난데스 | 아르헨티나 | 7 | 1 |
32 | 케이셰르 풀레르 | 코스타리카 | 3 | 1 |
32 | 압델하미드 사비리 | 모로코 | 5 | 1 |
32 | 자카리아 아부클랄 | 모로코 | 4 | 1 |
32 | 알폰소 데이비스 | 캐나다 | 3 | 1 |
32 | 마르코 리바야 | 크로아티아 | 6 | 1 |
32 | 로브로 마예르 | 크로아티아 | 7 | 1 |
32 | 장샤를 카스텔레토 | 카메룬 | 2 | 1 |
32 | 스트라히냐 파블로비치 | 세르비아 | 3 | 1 |
32 | 세르게이 밀린코비치사비치 | 세르비아 | 3 | 1 |
32 | 에릭 막심 추포모팅 | 카메룬 | 3 | 1 |
32 | 무함마드 살리수 | 가나 | 3 | 1 |
32 | 카세미루 | 브라질 | 4 | 1 |
32 | 이스마일라 사르 | 세네갈 | 4 | 1 | 1 |
32 | 프렝키 더용 | 네덜란드 | 5 | 1 |
32 | 모이세스 카이세도 | 에콰도르 | 3 | 1 |
32 | 칼리두 쿨리발리 | 세네갈 | 4 | 1 |
32 | 크리스천 풀리식 | 미국 | 4 | 1 |
32 | 필 포든 | 잉글랜드 | 4 | 1 |
32 | 매튜 레키 | 호주 | 4 | 1 |
32 | 와흐비 카즈리 | 튀니지 | 2 | 1 |
32 | 알렉시스 맥 앨리스터 | 아르헨티나 | 6 | 1 |
32 | 엔리 마르틴 | 멕시코 | 2 | 1 |
32 | 루이스 차베스 | 멕시코 | 3 | 1 |
32 | 하킴 지예시 | 모로코 | 7 | 1 |
32 | 세르주 그나브리 | 독일 | 3 | 1 |
32 | 다나카 아오 | 일본 | 3 | 1 |
32 | 옐친 테헤다 | 코스타리카 | 3 | 1 |
32 | 후안 파블로 바르가스[133] | 코스타리카 | 1 | 1 |
32 | 히카르두 오르타 | 포르투갈 | 3 | 1 |
32 | 김영권 | 대한민국 | 3 | 1 |
32 | 황희찬 | 대한민국 | 2 | 1 |
32 | 제르단 샤키리 | 스위스 | 3 | 1 |
32 | 두샨 블라호비치 | 세르비아 | 2 | 1 |
32 | 레모 프로일러 | 스위스 | 4 | 1 |
32 | 멤피스 데파이 | 네덜란드 | 5 | 1 |
32 | 데일리 블린트 | 네덜란드 | 4 | 1 |
32 | 하지 라이트 | 미국 | 4 | 1 |
32 | 덴절 뒴프리스 | 네덜란드 | 5 | 1 |
32 | 조던 헨더슨 | 잉글랜드 | 4 | 1 |
32 | 마에다 다이젠 | 일본 | 3 | 1 |
32 | 이반 페리시치 | 크로아티아 | 7 | 1 |
32 | 비니시우스 주니오르 | 브라질 | 4 | 1 |
32 | 루카스 파케타 | 브라질 | 4 | 1 |
32 | 백승호 | 대한민국 | 1 | 1 |
32 | 페페 | 포르투갈 | 4 | 1 |
32 | 라파엘 게헤이루 | 포르투갈 | 4 | 1 |
32 | 마누엘 아칸지 | 스위스 | 4 | 1 |
32 | 브루노 페트코비치 | 크로아티아 | 6 | 1 |
32 | 나우엘 몰리나 | 아르헨티나 | 7 | 1 |
32 | 오렐리앵 추아메니 | 프랑스 | 7 | 1 |
32 | 테오 에르난데스 | 프랑스 | 6 | 1 |
32 | 랑달 콜로 무아니 | 프랑스 | 3 | 1 |
32 | 요슈코 그바르디올 | 크로아티아 | 7 | 1 |
32 | 아슈라프 다리 | 모로코 | 3 | 1 |
32 | 미슬라브 오르시치 | 크로아티아 | 6 | 1 |
32 | 앙헬 디 마리아 | 아르헨티나 | 5 | 1 |
- 자책골
- VAR 판독 득점 인정
- 2022년 11월 28일 세르비아-카메룬전 후반에 카메룬의 뱅상 아부바카가 넣은 골이 오프사이드 선언되었다가 VAR 판정 이후 골로 인정되었다.
- 2022년 11월 28일 대한민국-가나전 전반에 가나의 조던 아이유가 올린 크로스가 골문 앞에 떨어지자 한국과 경합 과정에서 안드레 아이유의 팔에 맞고 떨어진 것을 무함마드 살리수가 왼발로 차서 들어갔는데 VAR 판정 이후 골로 확정되었다.
- 2022년 12월 2일 일본-스페인전 후반 초반 1:1 스코어 상황에서 일본의 다나카 아오가 넣은 골이 취소[135]되었다가 VAR 판정 이후 골로 인정되었다.
9.2. 페널티킥 실축
페널티킥 실축 |
||||||||||
<rowcolor=#ffffff> 순번 | 선수명 | 팀 | 상대팀 | 골키퍼 | 비고 | |||||
1 |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136] | 폴란드 | vs 멕시코 | 기예르모 오초아 | [골키퍼_선방] | |||||
2 | 알폰소 데이비스[138] | 캐나다 | vs 벨기에 | 티보 쿠르투아 | [골키퍼_선방] | |||||
3 | 살렘 알다우사리 | 사우디아라비아 | vs 폴란드 | 보이치에흐 슈체스니 | [골키퍼_선방] | |||||
4 | 리오넬 메시[141] | 아르헨티나 | vs 폴란드 | 보이치에흐 슈체스니 | [골키퍼_선방] | |||||
5 | 안드레 아이유[143] | 가나 | vs 우루과이 | 세르히오 로셰트 | [골키퍼_선방] | |||||
6 | 해리 케인[145] | 잉글랜드 | vs 프랑스 | 위고 요리스 | [키커_실축] |
10. 제도의 변화
10.1. 반자동 오프사이드 판독 기술(SAOT) 도입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 반자동 오프사이드 판독 기술(Semi-Automated Offside Technology)
|
<colbgcolor=#ffffff,#1f2023> |
- 그리고 실제로 이 기술은 굉장히 빠르게 팬들에게 선보여졌는데, 카타르와 에콰도르의 개막전에서 전반 3분 만에 에네르 발렌시아가 그물을 흔들었지만 이 반자동 기술로 오프사이드를 잡아내어 팬들에게 이 기술의 존재가 처음으로 알려졌다. 국내의 여러 해설위원들도 갸우뚱했던 장면을 잡아내는데 성공하며 첫 데뷔는 대성공이었다.
- 이틀 후인 아르헨티나-사우디아라비아 경기에서도 빛을 발휘하며 골 라인 기술과 더불어 도입하자마자 성공한 축구의 과학기술이라고 축구팬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147] 그동안 강팀들이 고무줄 잣대로 이득을 본게 아니냐는 비아냥도 나오는 중이다.
- 대회 초반에는 시청자가 이 리플레이를 볼 때까지 15분 가까이 시간이 걸렸지만 이후 점점 시간이 줄어들고 크로아티아 vs 캐나다 경기에서는 2분도 안돼서 등장했다. 이 기술은 향후 모든 축구 대회에서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148]
- 이는 소니의 호크아이 이노베이션스 기술을 이용한 것이다.
10.2. 추가시간 증가
이번 대회부터는 그동안 실제 플레이가 아닌 나머지 행위(골세리머니, 선수 부상, 선수 교체 등)으로 낭비되던 시간을 보다 정확히 계산하여 반영하겠다는 FIFA의 발표와 함께, 전반/후반 종료 후 주어지는 추가시간이 대폭 늘어났다.이는 ‘외계인 심판’이라는 별명으로 유명한 FIFA 심판 위원장 피에를루이지 콜리나가 직접 지시한 사항으로, 고의적인 경기 지연 행위를 막고자 경기 중단 시간을 철저하게 계산하여 추가시간으로 보상하도록 조치했다고 한다. # FIFA에서는 지나친 침대축구를 통한 시간 지연 행위를 줄이고 좀 더 박진감 넘치는 승부를 만들기 위해서 이러한 조치를 취한 것으로 보인다. 조별리그 B조 첫 경기인 잉글랜드와 이란과의 경기에서 부상 및 치료로 소요된 시간으로 전후반 추가시간으로만 각각 10분이 넘게 주어지고, 이후로도 전반이라면 모를까 후반 추가시간으로 4분 안쪽으로 주어지는 모습을 보기 어려울 정도로 추가시간이 넉넉하게 주어지고 있다. 이러한 적극적인 시간 지연 행위 방지 대책으로 침대축구의 설 자리가 크게 줄어들었다는 평과 그에 따른 흥미진진한 게임양상이 진행돼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 첫 6경기의 평균 경기 시간만 계산해도 106분 12초로[149], 2018년 대회의 97분 12초보다 약 10분 가량 늘어난 모습을 보여주었다.
- 이번 대회 전까지는 역대 월드컵에서 길어도 추가 시간이 10분을 넘긴 적이 없었지만, 이번 대회에서는 첫 라운드부터 10분 이상의 추가 시간 기록이 쏟아져 나왔다.
10.3. 선수 교체횟수 증가
또한 선수 교체횟수도 처음으로 3명이 아닌 5명, 정확히는 5+1명으로 늘어난 월드컵이 되었다. 코로나 시대에 접어들면서 엔트리가 26명으로 확대됨에 따라 기존의 3명에서 5명으로 늘었는데 이게 반응이 좋아서 이번 월드컵에서도 전격 도입하였다. 이로 인해 늘어난 교체카드를 믿고 전보다 더 적극적인 전방압박을 가하는 빈도가 늘어났다.추가로 뇌진탕 증세를 보이는 선수는 이 5명과 관계없이 1명을 추가로 교체할 수 있게 되었다. 뇌진탕 교체를 시행한 팀의 상대팀에게 따로 추가 교체 카드가 부여되지는 않는다. #[150]
- B조의 잉글랜드 vs 이란에서 뇌진탕 증세를 보인 알리레자 베이란반드 선수의 추가 선수 교체가 가능했다.
- C조의 아르헨티나 vs 사우디아라비아 경기에서 뇌진탕 증세를 보인 야세르 알샤흐라니 선수의 추가 선수 교체가 가능했다.
- 아르헨티나와 프랑스의 결승전에서 뇌진탕 증세를 보인 아드리앵 라비오를 추가 선수 교체로 교체했다.[151]
10.4. 비선수 대상 옐로/레드 카드 도입
2019년 6월 FIFA가 선수가 아닌 감독 및 코칭스태프에게도 옐로카드/ 레드카드를 줄 수 있도록 발표하면서, 월드컵 기준으로는 이번 대회에 처음 적용되게 되었다. 다만 페어플레이 점수 계산에는 선수가 받은 카드만 적용한다. #- 이 규정에 의해 월드컵 역사상 처음으로 비선수 옐로카드, 레드카드를 모두 받은 사람은 대한민국의 파울루 벤투 전 감독으로[152] 옐로카드는 H조 1경기 대한민국 vs 우루과이에서, 레드카드는 H조 2경기 대한민국 vs 가나에서 앤서니 테일러의 편파판정으로 인해 받게 되었다.[153] 이로 인해 파울루 벤투 전 감독은 H조 최종전인 대한민국 vs 포르투갈 경기에서는 벤치에 앉지 못하고 관중석에서 경기를 지켜보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국 에는...
- 8강전 네덜란드 vs 아르헨티나 경기에서 아르헨티나의 리오넬 스칼로니 감독과 왈테르 사무엘 코치가 각각 옐로카드를 받게 되었다.
- 4강전 아르헨티나 vs 크로아티아 경기에서 크로아티아의 마리오 만주키치 코치가 레드카드를 받아 3위·4위전에서 벤치에 앉지 못했다.
11. 공식 스폰서십
11.1. FIFA 파트너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ff {{{#!folding 파트너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 아디다스: 독일의 스포츠용품 제조사. 대회 공인구 및 심판복 지원.
- 코카콜라: 미국의 음료 제조사
- 완다 그룹: 중국의 부동산 개발 및 영화관 체인회사
- 현대자동차 & 기아: 대한민국의 자동차 제조사 (현대자동차: 리플레이 가상광고, 선수단 전용 버스 담당) (기아: 각종 캠페인, 선수단 전용 버스 담당)[154]
- 카타르 항공: 카타르의 항공사( 원월드)
- 비자카드: 미국의 신용카드사
- 카타르에너지: 카타르의 석유 회사
11.2. FIFA 월드컵 스폰서
- 버드와이저: 미국의 맥주 제조사
- BYJU'S: 인도의 교육 기술 회사
- 크립토닷컴: 싱가포르의 암호화폐 거래소
- 하이센스: 중국의 가전제품 제조사, 하단 스코어보드 가상광고 담당
- 맥도날드: 미국의 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
- 멍뉴: 중국 내몽골 자치구 소재 우유 및 유제품 가공 회사
- vivo: 중국의 스마트폰 제조사
11.3. 지역 스폰서
12. 중계
자세한 내용은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중계 문서 참고하십시오.13. 논란
자세한 내용은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논란 문서 참고하십시오.14. 팀별 결산
자세한 내용은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팀별 결산 문서 참고하십시오.15. 여담
자세한 내용은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여담 문서 참고하십시오.
[1]
개최국 카타르 현지의 황금 시간대를 고려하여 카타르-에콰도르 경기 대신 2022년 11월 21일 같은 조의 네덜란드-세네갈 경기가 개막전으로 결정되면서 20년 만에 개최국이 아닌 나라가 개막전을 치를 예정이었지만, 협의 끝에 하루를 앞당긴 2022년 11월 20일 다시 카타르가 개최국으로서 개막전을 치르게 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2]
한국 시각 GMT+9으로는 하루 늦은
2022년
11월 21일부터
2022년
12월 19일까지이다. 참고로 카타르는 한국보다 6시간 느린
시간대를 사용한다.
[3]
유치전 때에는 유치위원회 쪽이 Expect Amazing이란 슬로건을 내세웠다.
[4]
2018 월드컵 개최국 투표와 동시에 진행되었다.
[5]
32개팀 본선 체제로 개최되는 마지막
월드컵이며,
2026 FIFA 월드컵부터 48개팀 본선 체제로 변경된다.
#
[6]
아프리카 국가 역사상 최초의 4강(준결승) 진출이자 역대 최고의 성적이다.
[7]
연도와 회차가 일치한다.
2036 올림픽도 마찬가지가 될 것이다.
[8]
카타르 영토 크기가 11,581 km²로 역사상 작은 영토에서 개최된 대회이기도 하다.
[9]
1998 프랑스 월드컵부터 32개국 본선으로 확대된 이후 2026 북중미 월드컵부터 48개국 본선으로 확대된다.
[10]
카타르의 여름철 낮 평균 기온은 무려 40~50°C에 육박하며, 바다와 가까워 습도가 높아 체감 온도는 그 이상이므로, 여름에는 운동 경기는 물론이고 외출조차 쉽지 않다.
[11]
대회 기간은 2022년 11월 20일 ~ 2022년 12월 18일 겨울철로서 카타르의 겨울 날씨는 26~30°C 수준으로 대한민국의
6월이나
9월 기온과 유사하다.
[12]
사상 최초로 겨울에 개최하는 월드컵이라는 말이 있지만 11월에 개최하는 최초의 월드컵은 맞으나 엄밀히 따지면 북반구 최초의 겨울 월드컵이다. 남반구 계절로 치면 2번의
브라질 월드컵,
우루과이 월드컵,
아르헨티나 월드컵,
칠레 월드컵,
남아공 월드컵까지 모두 계절상으로 겨울이었다.
[13]
마스코트 버스라는 우주이며 역대 월드컵 마스코트들이 사는 세계이다.
[14]
그래서 아랍식 억양을 가졌다.
[15]
아랍어로 여정(The Journey)이라는 뜻이다.
[16]
참고로 살라는 메인 모델로 선정되었음에도 이집트가 본선 진출에 실패하면서 평가전이 잡히지 않는 이상 월드컵에서 저 공을 만질 일은 없어졌다.
[17]
아랍어로 꿈이라는 뜻이다.
[18]
마지막 32강 조별리그였으며, 다음 2026북미월드컵부터는 48강 조별리그로 바뀌고 32강 토너먼트로 바뀐다.
[19]
독일 17등, 멕시코 22등, 벨기에 23등, 사우디아라비아 25등
[20]
이것도 잘 쳐줘서 위성도시지 사실상 생활권이 같아 같은 도시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이다.
[21]
도하 지하철이
수도권 전철처럼 루사일 등의 주변 도시도 다닌다.
[22]
좀 더 한국의 실정에 맞게 비유해보자면, 한국에서 단독으로 월드컵을 여는데 경기장이
서울월드컵경기장,
서울올림픽주경기장,
인천축구전용경기장,
인천문학경기장,
고양종합운동장,
안산와~스타디움,
탄천종합운동장,
수원월드컵경기장,
부천종합운동장,
용인미르스타디움인 상황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 경기장들은 각각
월드컵경기장역,
종합운동장역,
도원역,
문학경기장역,
대화역,
고잔역,
야탑역,
광교중앙역,
부천종합운동장역,
삼가역을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빗대어 생각할 수 있다.
[23]
마음만 먹으면 동시에 열리는 조별리그 3차전 절반을 제외한 전경기 직관이 가능할 정도로 매우 가까운 거리이다.
[24]
지난 월드컵 당시 아프리카 지역 예선 1위로 진출한
이집트가 막상 본선에선 무기력한 모습으로 전패한 원인 중 하나를 장거리 이동으로 인한 피로 누적으로 보는데 조별예선 3경기를 치르면서 이동한 거리만 무려 10,000㎞에 달했다. 이런 살인적인 이동거리에 이집트 선수들은 피로와 스트레스를 달고 경기에 임했으니 당연히 제 실력이 나올 수가 없었고 일부 선수는 혈압약까지 처방받을 정도였다고 한다.
[R]
조 추첨식이 열리는 달의 직전 기간 랭킹을 기입.
[IRN]
1978,
1998,
2006,
2014,
2018
[27]
이란 최고순위 78월드컵 14위(16강 조별리그)
[KOR]
2002
[KSA]
1994
[30]
94월드컵 16강 14위
[JPN]
2002,
2010,
2018
[32]
2002년 16강 9위, 2010년 16강 9위, 2018년 16강 15위
[AUS]
2006
[34]
74월드컵 14위(16강 조별리그), 2006월드컵 16강 16위
[R]
[SEN]
2002
[37]
2002월드컵 8강 7위
[CMR]
1990
[39]
90월드컵 8강 7위
[GHA]
2010
[41]
2010월드컵 8강 7위
[MAR]
1986
[43]
70월드컵 14위(16강 조별리그), 86월드컵 16강 11위
[TUN]
1978,
1998,
2002,
2006,
2018
[45]
튀니지 최고순위 78월드컵 9위(16강 조별리그)
[R]
[CAN]
1986
[48]
86월드컵 24위(24강 조별리그)
[MEX]
1970,
1986
[50]
70월드컵 8강 6위, 86월드컵 8강 6위
[USA]
1930
[CRC]
2014
[53]
2014월드컵 8강 8위
[R]
[BRA]
1958,
1962,
1970,
1994,
2002
[ARG]
1978,
1986
[URY]
1930,
1950
[ECU]
2006
[59]
2006월드컵 16강 12위
[R]
[GER]
1954,
1974,
1990 (이상 서독),
2014
[DEN]
1998
[63]
98월드컵 8강 8위
[FRA]
1998,
2018
[BEL]
2018
[SRB]
1930,
1962 (이상 유고슬라비아)
[ESP]
2010
[CRO]
2018
[ENG]
1966
[SUI]
1934,
1938,
1954
[71]
34월드컵 8강 7위, 38월드컵 8강 6위, 50월드컵 6위[155]
[NED]
1974,
1978,
2010
[POL]
1974,
1982
[PRT]
1966
[WAL]
1958
[76]
58월드컵 8강 8위
[77]
당시 32강 조별리그 기준
[78]
1934년의 이탈리아 이후 88년 만에 나온 월드컵에 처음 출전한 개최국이다. 2010년 개최국 남아공은 1998, 2002년에 월드컵에 진출한 적이 있다.
[79]
본선 진출을 위하여 호주와 더불어 예선 경기를 20경기나 치러야 했다.
[80]
여러모로
대한민국이 1986년 멕시코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을 당시와 비슷하다. 공교롭게 캐나다의 첫 월드컵 진출도 1986년 멕시코 대회다.
[81]
호주는 페루 경기 포함 본선 진출을 위하여 캐나다와 더불어 예선 경기를 20경기나 치러야 했다. 이전 대회였으면 대륙 간 PO 경기가 H&A로 치러져 캐나다를 제치고 최고 많은 예선 경기를 치른 국가가 되었을 것이다.
[82]
2026 FIFA 월드컵부터는 48개국 체제에 따라 AFC 팀의 출전권이 8.5장으로 확대되면서 이 대회가 최초로 6개국 이상 출전한 대회로 기록되었다.
[83]
러시아 WC 최종 예선 A조 6위, 브라질 WC 최종 예선 A조 4위, 남아공 WC 최종 예선 A조 4위로 2006 독일 월드컵에는 최종 예선 진출도 이뤄내지 못했다. 한일 WC은 최종 예선 B조 4위.
[84]
벨기에, 웨일스, 체코와 같은 조
[85]
스위스, 이탈리아, 북아일랜드, 불가리아와 같은 조
[86]
네덜란드, 터키(플레이오프 진행중 튀르키예로 개칭), 노르웨이, 몬테네그로, 영국령 지브롤터와 같은 조
[87]
프랑스, 우크라이나, 핀란드,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와 같은 조
[88]
독일, 북마케도니아, 루마니아, 아이슬란드, 리히텐슈타인과 같은 조
[89]
스페인, 스웨덴, 그리스, 코소보와 같은 조
[90]
세르비아, 포르투갈, 아일랜드, 륵셈부르크와 같은 조
[91]
덴마크, 스코틀랜드, 이스라엘, 오스트리아, 덴마크령 페로 제도와 같은 조
[92]
사우디아라비아, 팔레스타인, 싱가포르, 예멘과 같은 조
[93]
일본, 몽골, 미얀마와 같은 조
[94]
대한민국, 레바논, 스리랑카, 북한(예선중 기권)과 같은 조
[95]
2021 FIFA 클럽 월드컵 결승전 주심
[96]
2018 러시아 월드컵 주심
[97]
2021 AFC 챔피언스 리그 결승전 주심
[98]
이번 대회에 한경기도 경기 배정을 받지 못하였다.
[99]
2022 AFC 챔피언스 리그 주심
[100]
2020 도쿄 올림픽 남자축구 VAR
[101]
2021 FIFA 클럽 월드컵 결승전 대기심
[102]
2019 FIFA U-20 월드컵 주심
[103]
2020 도쿄 올림픽 남자축구 주심, 2021 CAF 네이션스컵 주심
[104]
2017 FIFA U-20 월드컵 부심
[105]
2020 도쿄 올림픽 부심
[106]
모로코 출신이며 2019 FIFA U-20 월드컵 결승전 주심, 2020 도쿄 올림픽 주심을 관장했다.
[107]
2020 도쿄 올림픽 주심
[108]
유로 2020 주심
[109]
3차전 대한민국 vs 포르투갈 주심
[110]
2019 FIFA U-20 월드컵 주심, 특히
비엘스코비아와의 기적 당시 칼 같은 판정으로 오심없이 경기를 진행해 유명세를 탔다.
[111]
2019 FIFA U-20 월드컵 VAR
[112]
2018 러시아 월드컵, 2020 도쿄 올림픽 주심
[113]
유럽 심판들은 대부분 2021-22 시즌 UEFA 챔피언스 리그 토너먼트 경기를 주심으로 주관했다.
[114]
2021-22 UEFA 챔피언스 리그 주심
[115]
2021-22 시즌 UEFA 챔피언스 리그 주심
[116]
1차전 대한민국 vs 우루과이 주심, 16강전 대한민국 vs 브라질 주심, 2021-22 UEFA 챔피언스 리그 결승전 주심
[117]
2차전 대한민국 vs 가나 주심
[118]
2021-22 UEFA 챔피언스 리그 주심
[119]
2021-22 UEFA 챔피언스 리그 주심
[120]
2021-22 UEFA 챔피언스 리그 주심
[121]
2021-22 UEFA 챔피언스 리그 주심
[122]
카타르 vs 에콰도르 개막전 주심, 2021-22 UEFA 챔피언스 리그 주심
[123]
특히, 일년전에 개막했던
2020 도쿄올림픽 개막식과 비교하여 더 그랬다.
[32강]
조별리그
[125]
2010년의
남아공에 이은 2번째 월드컵 2라운드 진출 실패 개최국.
[126]
개최국 3패는 카타르가 최초이며, 32개 진출국 중에서도 최하위(32위)를 기록하고 말았다.
[127]
앞서 월드컵 역사상 최초로 2라운드에 진출 실패한 개최국 타이틀을 가진 남아공은 1승 1무 1패(승점 4점)로 조 3위 및 월드컵 20위를 기록했다.
[128]
더욱이 이 기록은 24개국에서 32개국 체제로 확대된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 대회 이후 유일무이한 기록이기도 하다.
[129]
폴란드, 스페인, 대한민국.
[130]
A조-에콰도르, C조-멕시코, D조-튀니지, E조-독일, F조-벨기에, G조-카메룬, H조-우루과이.
[131]
2시드 : 네덜란드, 미국, 크로아티아, 스위스 / 3시드 : 세네갈, 일본, 모로코, 폴란드, 대한민국
[132]
훌리안 알바레스와 동률이었으나 지루의 출전시간이 더 적었다.
[133]
1995년 6월 6일 출생.
미요나리오스 FC
[134]
상대 슈팅을 방어하려다 오른발 맞고 굴절
[135]
라인 바깥에서 크로스를 올린 것을 받아 넣었다는 것.
#캡처
[136]
본인의 월드컵 첫번째 득점 기회였다.
[골키퍼_선방]
[138]
본인의 월드컵 첫번째 득점 기회는 물론 캐나다의 월드컵 첫번째 득점 기회였다. 앞서 캐나다는 1986 멕시코 월드컵 3전 3패 무득점이었다.
[골키퍼_선방]
[골키퍼_선방]
[141]
전반전 0:0 상황. 이번 월드컵에서 PK를 실축하고도 승리한 유일한 사례.
[골키퍼_선방]
[143]
전반전 0:0 상황.
[골키퍼_선방]
[145]
후반전 약 38분 1:2 상황. 이날 해리 케인의 두 번째 PK였으며, 첫 번째는 성공했지만, 두 번째는 골문 위로 나가면서 실패했다.
[키커_실축]
[147]
VAR, 즉 비디오 판독은 이미 다양한 종목에서 사용되고 있으므로 축구만의 기술이라고 보기 어렵다.
[148]
대륙별 대회 최초로
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에서도 도입되었다. 아무래도 개최국이 같다 보니 노하우나 설비가 갖춰져서 그런 듯. 세리에A도 역시 도입을 검토 중이다.
[149]
이것도 말이 106분 12초지 실제로는 마지막 공격기회 때 시간을 더 주기 때문에 더 길다.
[150]
모든 대회에 적용되는 규칙은 아니고,
프리미어 리그 등 대회에 따라서는 뇌진탕으로 인한 추가 교체가 시행되면 상대팀에게도 교체 카드를 추가로 부여하기도 한다.
기사
번역본
[151]
당시 프랑스는 정규시간에 교체 카드 4장을 사용하고 연장전에 돌입했기에 교체 카드 2장이 남아있었지만, 뇌진탕으로 인한 추가 교체 카드를 통해 라비오를 교체한단 점을 명시함으로서 이후 남아있는 두 장의 교체카드를 전술적으로 사용할 수 있었다.
[152]
옐로카드는 비선수 최초가 아니다.
[153]
경고 누적이 아닌, 다이렉트 레드카드였다.
[154]
실제 버스는
현대자동차가 제조한 버스를 사용한다.
[155]
50월드컵 당시는 8강전 없이 1라운드 13강 조별리그 다음에 조1위 4강 결승리그(조별리그 방식)로 진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