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0 20:27:43

안평대군

조선의 왕자
[[틀:조선의 왕자/목조 ~ 연산군|{{{#!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ffd400;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51232, #94153e 20%, #94153e 80%, #751232); color: #ffd4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이안사|{{{#!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이행리|{{{#!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이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이자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b0e64;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1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1400; font-size: .7em"
[[덕종(조선)|{{{#!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1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b0e64; font-size: .7em"
}}}}}}}}}

안평대군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4대 명필
사자관체 예서체 인수체 초서체
석봉 한호 비해당 이용 자암 김구 봉래 양사언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의 역대 집권세력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조선의 역대 권력자
태조 정종 태종 세종 문종
정도전 이방원 정사공신
( 하륜, 조영무 등)
관학파, 종친
( 황희, 맹사성 등)
단종 세조 예종 성종
안평대군, 고명대신 정난공신
( 수양대군)
훈구파
( 한명회, 신숙주 등)
성종 연산군 중종
대신 vs. 대간 대신 궁중파
( 임사홍, 신수근)
반정공신
( 3훈)
사림파
( 조광조)
反김안로계
( 남곤, 심정, 이행, 이항 등)
김안로
인종 명종 선조
대윤
( 윤임)
소윤
( 윤원형)
윤원형 vs. 이량 사림파 동인 vs. 서인 서인
( 이이, 성혼, 정철)
동인
( 류성룡, 이산해)
선조 광해군 인조
연립 ( 서인, 남인)
( 윤두수, 류성룡 등)
북인
( 이산해 등)
탁소북
( 류영경)
청소북, 대북
( 3창)
대북
( 이이첨)
반정공신
( 이귀, 김류)
공서
( 김류, 최명길 등)
낙당, 원당
( 김자점, 원두표)
효종 현종 숙종
산당
( 송시열, 송준길)
서인 vs. 남인 남인
( 허적, 윤휴)
일부 서인
( 김석주)
산당
( 송시열)
남인
( 민암, 장희재 등)
숙종 경종 영조
소론
( 남구만 등)
노론
( 노론 4대신)
소론
( 소론 5대신)
노론
( 정호, 민진원 등)
온건 소론
( 이광좌)
노론
( 김재로 등)
영조 정조 순조
완론 탕평
( 탕평당, 청명당)
청명당 vs.
홍인한 정후겸
홍인한 정후겸 외척
( 홍국영)
소론
( 서명선 등)
준론 탕평
( 벽파, 시파)
벽파
( 심환지 등)
시파
( 김조순 등)
순조 헌종 철종
안동 김씨 세도가문
( 안동 김씨, 풍양 조씨, 반남 박씨 등)
고종
흥선대원군
(+ 풍양 조씨, 안동 김씨, 남인, 소론, 북인)
여흥 민씨
(+ 개화파)
흥선대원군 여흥 민씨
(+ 온건 개화파)
고종 순종
급진 개화파 여흥 민씨 김홍집
(+ 친일파, 친미파, 친러파)
근왕파 친일반민족행위자
고명대신: 김종서, 황보인 }}}}}}}}}
<colbgcolor=#94153e><colcolor=#ffd400>
조선 세종의 왕자
안평대군 | 安平大君
파일:소원화개첩.jpg
소원화개첩
출생 1418년 10월 27일
조선 한성부 경복궁
(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61)
사망 1453년 11월 27일 (향년 35세)
조선 경기도 교동군
(現 인천광역시 강화군 교동면)
묘소 미상
재위기간 조선 안평대군
1428년 7월 28일 ~ 1453년 11월 27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94153e><colcolor=#ffd400> 본관 전주 이씨
용(瑢)
부모 부왕 세종
모친 소헌왕후
형제자매 부왕 기준 18남 4녀 중 3남
모후 기준 8남 2녀 중 3남
배우자 부부인 연일 정씨
(府夫人 迎日 鄭氏)
자녀
2남 [ 펼치기 · 접기 ]
장남 - 의춘군 이우직(宜春君 李友直)
차남 - 덕양군 이우량(德陽君 李友諒)
종교 유교 ( 성리학)
청지(淸之)
비해당(匪懈堂)[1]
낭간거사(琅玕居士)
매죽헌(梅竹軒)[2]
군호 안평대군(安平大君)[3]
시호 장소공(章昭公)
}}}}}}}}} ||

1. 개요2. 생애3. 가족 관계4. 기타5. 대중매체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조선 전기의 왕족이자 예술가. 세종 소헌왕후 심씨의 셋째아들이며 문종 세조의 친동생.[4]

2. 생애

서예, 시문, 그림에 뛰어나 '삼절'이라고 불렸다. 특히 중국의 고서화를 수집했는데 조맹부와 소식( 소동파) 등 중국의 유명한 문인들의 서예들을 수집해서 보고 많이 연마했는지 중국에서도 사라진 조맹부체를 가장 잘 구사하는 명필로 명나라 황제까지도 감탄했을 정도였다. 명나라 사신들이 오면 안평대군에게 달려가서 글을 써달라고 간청했을 정도. 글씨에 뛰어나 당대의 명필로 꼽히는 등 예술가적 기질이 풍부했던 것으로 보인다. 호탕하고 인간적인 면모도 있어서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고 따랐다고 한다. 왕의 아들이라 권력의 핵심에 가까웠던 점도 한몫했겠지만, 안평대군이 예술에 뛰어난 기질이 있었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내가 불사에 지극히 정성을 드리고 지극히 부지런하였으나, 세종대왕 소헌왕후 문종(文宗) 대행왕이 서로 잇달아 붕어(崩御)하시고, 아들 우량도 또 따라서 죽고, 이제 또 아내도 죽으니 비로소 불사가 사람들에게 무익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아내 정씨와 사이가 나빴는데 단종 즉위년(1452) 음력 12월 19일에 아들 이우량(友諒)이 병사하였고, 단종 1년(1453) 음력 4월 23일에 아내가 죽자 안평대군은 아내의 장례식에 불참하였다. 아내의 장례식에 불참한 것이라 을 꽤나 먹었다. 이후 불교 사찰을 찾아다니며 공덕을 드리기를 멈추었다.

단종이 즉위한 후 종친과 문사를 바탕으로 힘 있는 종친으로서 수양대군, 황보인, 김종서 등 고명대신들과 3각 구도를 이뤄서 한가락을 하였다. 김종서가 수양대군을 견제하기 위해서 안평대군을 끌어들이면서 다수파의 한 축으로서 사실상 형보다 앞서 나갔다.

하지만 계유정난에서 이복동생 계양군 이증의 무고로 인하여 형 수양대군이 김종서 등을 죽일 때 강화도 귀양을 갔으며 그 후 교동도로 이배되고 36세에 사약을 받았다.

계유정난의 명분이 김종서 등이 안평대군을 왕위에 올리기 위해 모반을 꾀한 걸 미리 때려잡았다는 것이지만 안평대군이 그랬을 가능성은 별로 없다는 게 대체적인 견해이다. 왜냐하면 다수파였던 김종서, 황보인 세력과 합작한 것이 결국 숙이고 들어간 모양새였기 때문이다. 결국 무난하게 잘 나가는 종친의 위치가 바뀌기 어렵다. 왕이 되면 오히려 신하들이 옹립한 휘둘리는 왕이 되니 더 괴로워질 것이다. 김종서, 황보인 등 신하들도 안평대군을 옹립할 이유가 없는 게 자신들의 권력은 일단 문종이 어린 단종을 지켜달라며 고명대신으로 임명했기에 나오는 권력이다. 즉 단종이 왕위에 있고 자신들이 단종을 옆에서 지켜줘야 권력과 권위가 유지되는 공생관계인데 굳이 단종을 폐위시키는 명분도 없는 역모를 저지를 이유가 없다. 그리고 어린 단종과 다르게 안평대군은 성인이라 친정을 할 수 있으므로 신하들에게 좋을 게 없다. 안평대군이 세종의 동복 막냇동생이자 숙부인 성녕대군에게 출계가 되었다면 왕위 계승권을 주장할 근거가 동생인 임영대군보다 없다. 결국 형의 앞길에 방해가 되어서 제거된 것이었다.

한편 성녕대군의 부인 양어머니 삼한국대부인 성씨는 훗날 계유정난이 일어나 안평대군이 유배 및 사사되자 이에 연루되어 폐출되고 경주로 귀양가게 되었다. 몇 년 뒤 귀양에서는 풀려났으나 본댁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있다가 죽었다. 그 후 순조 때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남편과 같이 제사를 지내게 되었다.

영조 23년(1747) 때야 복호되어 '장소(章昭)'라는 시호를 받았다.

3. 가족 관계

  • 양부/숙부 : 성녕대군(誠寧大君, 1405 ~ 1418)
  • 양모/숙모 : 삼한국대부인 성씨(三韓國大夫人 成氏) - 성억(成抑)의 딸
  • 정부인 : 부부인 연일 정씨(府夫人 迎日 鄭氏, ? ~ 1453) - 좌의정 정연(鄭淵)의 딸
    • 장남 : 의춘군 이우직(宜春君 李友直, 1439 ~ 1454)
    • 며느리 : 군부인 의령 남씨(郡夫人 宜寧 南氏) - 이름은 오대(五臺)이다. 좌의정 남지(南智)의 딸, 동생 임영대군의 부인과 자매, 영의정 남재(南在)의 증손녀이다. 사육신 사건 때 처형당한 이들의 여자 가족들은 공신들에게 노리개로 나눠줬는데, 남오대는 권람이 차지했다. 세조는 친조카며느리이자 세종대왕의 손자며느리를를 공신의 노리개로 준 것이다.
      • 손녀 : 김계성(金季誠)의 처
      • 봉사손 : 이억수(李億秀) - 금성대군의 10대손
    • 차남 : 덕양군 이우량(德陽君 李友諒, ? ~ 1452)
    • 며느리 : 청송 심씨(靑松 沈氏)

4. 기타

  • 똑같이 친형 정변에 반기를 든 금성대군은 그 후손이 현재에도 남아 금성대군파를 형성했다.[5] 그러나 안평대군은 손녀 한명을 제외하고는 아들들도 주멸되는 탓에 후사가 완전히 끊어져 직계 후손이 절손(絕孫)되어 공식적으로는 없다.[6] 이후 선원속보 안평대군 파보에 의하면 영조의 명으로 금성대군의 10대손인 이억수(李億秀)가 안평대군의 장남 의춘군의 봉사손으로 지명되었다. 안평대군이 죽고 약 200여 년이나 지난 후였다. 선원속보 이후로 편찬된 1988년판 금성대군파 족보와[A][8] 2009년판 족보를 비교해보면,[A][10] 전자는 안평대군의 봉사손을 따로 떼어서 후손을 기록해놓은데 비해, 후자는 이억수의 본가인 금성대군파로 합쳐서 기록해놓았다.
  • 양아버지 성녕대군과 마찬가지로 아버지가 왕일때 궐에서 태어났다. 그 이하 동생들도 궐에서 태어났다.
  • 국립중앙도서관에 비치된 안평대군 파보[11]를 보면 안평대군의 맏아들인 의춘군(宜春君) 이우직(李友直)에게 이운생(李雲生)[12]이라는 아들이 있다고 나오는데 계유정난 때문에 평안도 태천[13]으로 은거(隱居)했다. 숙종 이후에 사후 복권이 이루어졌지만 1930년대까지 약 230년 간 안평대군의 자손임을 숨기고 살았다고 전한다. 그러나 전주이씨대동종약원 홈페이지에 안평대군에 대한 정보는 없다.[14]
  • 생전에 시서화에 능통했다는 기록으로 보면 여러 작품을 남겼을 듯하지만 역사의 패배자인 탓인지 안평대군이 수집한 고서화나 그의 서예 작품은 남아있는게 거의 없다.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비문이나 글씨 교본, 몽유도원도의 발문과 소원화개첩뿐이다. 그와 친밀한 사이였다가 돌아서버린[15] 신숙주가 자신의 문집에 안평대군이 수집했던 고서화의 목록을 남긴 덕에 어떤 작품들을 모았는지는 알 수 있기는 하다. 안평대군의 작품으로 몽유도원도 발문 등이 유명한데 몽유도원도는 안평대군이 꾼 안견에게 이야기하여 그리게 한 것이다. 안견은 유일하게 안평대군이 총애한 조선 화가여서 안평대군은 자신이 소장한 중국 전통화단 대가들의 그림을 안견에게 보여주며 익힐 수 있도록 도와줬다. 안견은 보신을 위해 안평대군을 떠났다는 이야기가 전하는데 안평대군이 아끼던 용매묵이라는 비싼 먹을 훔치려다 들켜서 눈 밖에 나고 "대군을 볼 낯이 없다"며 더이상 찾아가지 않았다. 이후에 계유정난이 일어나 안평대군과 친했던 사람들은 봉변을 당했는데 안견은 무사할 수 있었다는 이야기. 사실 안평대군과 몽유도원도는 그 시대라서 나올 수 있었던 것으로 왕자가 공무를 맡아보고 젊은 학사들과 시회를 열던 세종 후반기 정치적 경향을 보여준다. 안평대군은 왕자 신분과 자신의 역량으로 집현전부터 당상관까지 어우를 수 있는 당대의 문화적 아이콘이었고 바꿔 말하면 언제든 정치적 구심점이 될 수 있는 위치이기도 했다. 몽유도원도는 문화사나 미술사적으로도 중요하지만 거기 실린 이름들의 면면을 보면 엄청난 정치적 인맥을 발견할 수 있다.[16] 이런 안평대군을 수양대군 질투하고 두려워해 제거한 것도 이상한 일은 아니었다. 몽유도원도의 발문은 일본 덴리대학에 전시 중이다.
  • 안평대군의 글씨 중 현재까지 국내에 남아있는 유일본으로 국보 제238호로 지정된 소원화개첩이 있었으나 2001년 소장자가 도난당하였다. 이후 경찰이 수사했지만 범인은 물론 소원화개첩의 행방도 묘연했다. 결국 2010년 소원화개첩을 인터폴에 국제 수배하는 선에서 장기 미제 사건으로 마무리했으니 안평대군이 주목을 받을 날은 요원한 듯.

5. 대중매체

  • 고전소설 운영전에서도 비중 있게 등장하는데, 배경이 되는 수성궁의 주인이다. 운영을 비롯하여 자신이 데리고 있는 궁녀들에게 시문이나 각종 재주들을 가르치는 긍정적 면모[17]를 보여주면서도 한편으로는 운영과 김진사의 연애를 금지하여 결과적으로 둘 모두를 죽게 만드는 부정적 모습[18]도 보여주는 멋들어지고 세련되게 묘사되나 덕은 부족한 주군이라는 입체적인 인물로 등장한다. 그나마 예술가적 기질이 있던 안평대군을 어느 정도 묘사했다는 점에서 다른 사극들의 취급보다 나을 수는 있겠다. 소설에서 그려지는 화려하고 아름답고 세상 모든 귀하고 좋은 것을 다 누리며 온갖 명사들과 자유롭게 벗하는 왕자의 이미지는 정말 안평대군이 아니라면 소화가 어려운 이미지이기는 하다.
  • 1998년 KBS 드라마 왕과 비에서는 배우 정성모가 연기했다. 수양대군 미화와 별개로 수양대군과 적대한 김종서, 혜빈 양씨, 금성대군은 마냥 악당으로 비하하지 않고 중립적으로 나오나, 유독 안평대군만 야심찬 악역으로 그려진다. 사약을 원샷하고 나서 “맛이 좋구나! 한 그릇 더 가져와 봐라.” 라며 패기를 부리다가 약효가 돌아 두 그릇째를 마시지는 못하고 사망한다.
  • 2008년 KBS 드라마 대왕 세종에도 나오기는 하나, 세종의 죽음조차 그려지지 않은 채로 끝나버렸으므로 비중 적은 조연 자리를 벗어나지 못했다.
  • 2009년 영화 인사동 스캔들에서는 박영석이 맡아 연기했다. 사실 이 작품은 안견의 가상의 그림인 벽안도를 둘러싼 현대 인물들의 이야기라서 안평대군의 비중은 많지 않다. 몽유도원도를 받고 "내 꿈을 이렇게 잘 그려줬으니, 이젠 자네 꿈도 보고 싶구나."라고 말하는 게 전부이며, 얼굴조차도 등장하지 않는다.
  • 2011년 KBS 드라마 공주의 남자가 취급이 그나마 좋게 나온 것이기는 한데, 배우 이주석의 분위기와 비중이 하나같이 상당히 약하며, 오히려 둘째동생 금성대군의 포스가 더 크다.
  • 2013년 개봉한 영화 관상에서는 배우 신기원이 연기했다. 문종이 꼽아놓은 역모를 일으킬만한 요주의 인물 블랙리스트 안에 있었으나, 왕가에서 태어났음에도 불구하고 권력에 별로 관심이 없으며, 섬세한 감수성과 심미안을 지녀 감히 살생은 못할 인물이라 평가받았다. 콜록콜록 기침을 하다가도 안평대군의 관상을 평한 김내경의 말을 듣고 "벌레를 봐도 죽이지 않고 그걸 그리고 있는 녀석"이라고 동생 생각에 잠기는 큰형 문종의 흐뭇한 표정도 인상적.
  • 어린이 과학동아에 연재된 만화 조선 과학 삼총사에서는 5살 꼬마로 등장한다. 어린 나이지만 서화에 관심이 많아 부왕을 졸라서 명나라행을 허락받았다.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2cb61, #f2cb61 20%, #f2cb61 80%, #f2cb61); color: #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사의척 四義戚
판돈녕부사 송현수 · 예조판서 권자신 · 영양위 정종 · 돈녕부판관 권완
삼중신 三重臣
이조판서 민신 · 병조판서 조극관 · 이조판서 김문기
양운검 兩雲劍
도총부 도총관 성승 · 증 병조판서 박정
기타
형조판서 박중림 · 지평 하박 · 좌참찬 허후 · 수찬 허조 · 증 이조참판 박계우 · 순흥부사 이보흠 · 도진무 정효전 · 영월호장 엄흥도
}}}}}}}}}


진승총(震乘總)
{{{#!folding [ 본기(本紀) ] 권1기
, 제1대 「태조기(太祖紀)」, , 제2대 「정종기(定宗紀)」, , 제3대 「태종기(太宗紀)」, , 제4대 「세종기(世宗紀)」,
이단 이경 이방원 이도
권2기
, 제5대 「문종기(定宗紀)」, , 제6대 「단종기(端宗紀)」, , 제7대 「세조기(世祖紀)」, , 제8대 「예종기(睿宗紀)」,
이향 이홍위 이유 이황
권3기
, 제10대 「연산기(燕山紀)」, , 제11대 「중종기(中宗紀)」,
이융 이역
권4기
, 제12대 「인종기(仁宗紀)」, , 제13대 「명종기(成宗紀)」,
이호 이환
권5기 권6기 권7기
, 제14대 「선조기(宣祖紀)」, ,제14대 수정기, , 제15대(중초본, 정초본) 「광해기(光海紀)」,
이연 이혼
권8~9기
, 제16대 「인조기(仁祖紀)」,
이종
권10기
, 제17대 「효종기(孝宗紀)」, , 제18대( 개수록) 「현종기(顯祖紀)」,
이호 이현
권11~12기 권13기
, 제19대( 보궐정오) 「숙종기(肅宗紀)」, , 제20대( 수정록) 「경종기(景宗紀)」,
이순 이윤
부록
금상(今上) }}}{{{#!folding [ 평전(評傳) ] 평전
이용 · 김종서 · 황보인
,「부록 사육신(死六臣)」, ,「부록 생육신(生六臣)」,
성삼문 · 박팽년 · 하위지 · 이개 · 유성원 · 유응부 김시습 · 원호 · 이맹전 · 조려 · 성담수 · 남효온 }}}{{{#!folding [ 부록(評傳) ] 저자 · 부록
이민보,저자, · 당파원론 · 국조연대 · 선원록 · 호송 금부도사의 작가 · 김지남 }}}



[1] 원래 안평대군의 봉호가 안평(安平)이라 게을러질 것을 염려한 세종대왕이 게으름을 경계하라는 의미로 비해당이라고 호를 내려주었다고 한다. [2] 사육신중 하나인 성삼문의 호와도 같다 [3] 봉호는 충청남도 홍성군의 옛 지명인 안평(安平)에서 유래했다. 홍주 이씨 일부에서 안평 이씨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도 마찬가지로 홍성군에서 유래한 것이다. [4] 임영대군, 광평대군, 금성대군, 평원대군, 영응대군의 친형이고 단종, 덕종, 예종의 숙부이다. [5] 세조 금성대군의 아들들은 죽이지 않고 관노로 삼아서 어찌어찌 대를 잇는데는 성공했기 때문이다. [6] < 조선왕조실록> 중종 13년(1518) 6월 7일 2번째 기사. [A]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지 않음. [8] 배재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음. [A]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지 않음. [10] 인제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음. [1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건국대학교 상허기념도서관에도 소장 중이다. [12] < 조선왕조실록>은 물론이고 구글링으로도 나타나지 않는다. [13] 평안북도 태천군 [14] 다만, 안평대군의 이복동생으로 역시 계유정난으로 희생된 영풍군에 대한 정보는 있다. [15] 신숙주는 물론이고 사육신들까지 포함해서 집현전 소장 학자들은 김종서, 황보인 등 노대신들이 고명대신으로서 정사를 좌우하는 것에 크게 불만을 품었다. 그 때문에 적의 적은 아군이라고 계유정난은 집현전으로 대표되는 소장 학자들과 수양대군으로 대표되는 포섭되지 않은 종친 세력이 서로 손을 잡고 김종서 세력을 쳐버린 것이라는 평이 많다. [16] 형인 수양대군은 이런 인맥을 쌓기보다는 권람, 한명회 같은 인물들이나 무뢰배들과 어울리는 모습을 보인다. 세종 수양대군이나 안평대군이나 비슷하게 일을 시켰고 형이어서인지 수양대군 쪽을 더 시키기까지 했는데도 인맥을 쌓지 못한 것. [17] 하늘이 어찌 남자에게만 재주를 내렸겠냐며, 평등적인 생각을 가진 인물로 나온다. [18] 다만 사실 궁녀들과 외간 남자와의 연애는 원래부터 금지된 사항이었다는 걸 생각해 보면 그냥 궁궐 내규를 깐깐히 적용하는 주인 정도라고 볼 수도 있다. [19] 현재는 동신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 공교롭게도 이광기는 같은 작가의 예전 작품 1998년 KBS 드라마 왕과 비에서는 안평대군의 조카 의경세자 역을 맡았다. 또한 안평대군의 동생 금성대군을 연기한 배우가 2000년 KBS 드라마 태조 왕건에서 후백제의 왕좌를 두고 대립하던 이복동생 견금강을 연기한 전현이라 후백제의 왕자 견신검과 금강이 조선의 왕자 안평대군과 금성대군으로 환생했다는 배우 개그가 성립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