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30 23:44:33

이광좌


<colcolor=#fff>
조선 영의정
영조 ~ 정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60420, #b82642 20%, #b82642 80%, #960420); min-height: calc(1.5em + 9.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158대

이광좌
제159대

정호
제160·161대

이광좌
제162대

홍치중
제163대

심수현
제164대

이의현
제165대

김흥경
제166대

이광좌
제167대

김재로
제168대

조현명
제169대

김재로
제170대

이종성
제171대

김재로
제172·173대

이천보
제174대

유척기
제175대

이천보
제176대

김상로
제177대

홍봉한
제178대

신만
제179대

홍봉한
제180대

윤동도
제181대

서지수
제182대

김치인
제183대

홍봉한
제184대

김치인
제185대

김상복
제186대

신회
제187대

김상복
제188대

한익모
제189대

김상복
제190대

신회
제191대

한익모
제192대

김상복
제193대

한익모
제194대

김상복
제195대

한익모
제196대

신회
제197대

한익모
제198대

김상철
제199대

김양택
제200대

김상철
제201대

서명선
제202대

김상철
제203대

서명선
제204대

정존겸
제205대

서명선
제206대

정존겸
제207대

김치인
제208대

김익
제209대

이재협
제210대

김익
제211대

채제공
제212대

홍낙성
제213대

이병모
}}}}}}}}}
이광좌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조선 정승
인조 ~ 경종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좌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141대

정창연
제142대

윤방
제143대

신흠
제144대

오윤겸
제145대

김류
제146대

이정구
제147대

김류
제148대

오윤겸
제149대

홍서봉
제150대

이성구
제151대

최명길
제152·153대

신경진
제154대

심열
제155대

심기원
제156대

김자점
제157대

홍서봉
제158대

심열
제159대

홍서봉
제160대

김자점
제161대

김상헌
제162대

이경석
제163대

남이웅
제164대

이경석
제165대

정태화
제166·167대

조익
제168대

이시백
제169대

김육
제170대

이시백
제171·172대

구인후
제173대

심지원
제174대

원두표
제175·176대

심지원
제175·176대

심지원
제177대

원두표
제178대

홍명하
제179·180대

허적
제181대

정치화
제182대

허적
제183대

정치화
제184대

송시열
제185대

김수항
제186대

이경억
제187대

송시열
제188대

정지화
제189대

김수항
제190대

정치화
제191대

김수항
제192대

권대운
제193대

민희
제194대

정지화
제195대

민정중
제196대

정지화
제197대

남구만
제198대

이단하
제199대

조사석
제200대

목내선
제201대

박세채
제202대

류상운
제203대

윤지선
제204대

최석정
제205대

서문중
제206대

이세백
제207대

이여
제208대

서종태
제209대

김창집
제210대

이유
제211대

이이명
제212·213대

서종태
제214·215대

김창집
제216대

서종태
제217대

이이명
제218·219대

김창집
제220대

이이명
제221대

권상하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222대

이건명
제223대

최규서
제224대

최석항
}}}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우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161대

윤방
제162대

신흠
제163대

오윤겸
제164대

김류
제165대

이정구
제166대

김상용
제167대

김류
제168대

김상용
제169대

홍서봉
제170대

이홍주
제171대

이성구
제172대

최명길
제173대

장유
제174대

신경진
제175대

심열
제176대

강석기
제177대

심기원
제178대

김자점
제179대

이경여
제180대

심열
제181대

서경우
제182대

심열
제183대

이경석
제184대

남이웅
제185대

이행원
제186대

남이웅
제187대

정태화
제188대

조익
제189대

김육
제190대

조익
제191대

이시백
제192대

한흥일
제193대

이시백
제194대

구인후
제195대

심지원
제196대

원두표
제197대

이후원
제198대

원두표
제199대

정유성
제200대

원두표
제201대

정유성
제202대

홍명하
제203대

허적
제204대

정치화
제205·206대

송시열
제207대

홍중보
제208대

송시열
제209대

김수항
제210대

이경억
제211대

김수흥
제212대

이완
제213대

정지화
제214대

김수항
제215대

권대운
제216대

허목
제217대

민희
제218대

오시수
제219대

민정중
제220대

이상진
제221대

김석주
제222대

남구만
제223대

정재숭
제224대

이단하
제225대

조사석
제226대

이숙
제227·228대

여성제
제229대

김덕원
제230대

민암
제231대

윤지완
제232대

류상운
제233대

신익상
제234대

윤지선
제235대

서문중
제236대

최석정
제237대

이세백
제238대

민진장
제239대

신완
제240대

김구
제241대

이유
제242대

서종태
제243대

김창집
제244대

이이명
제245대

서종태
제246대

윤증
제247대

김창집
제248대

조상우
제249대

김창집
제250대

김우항
제251대

이이명
제252대

권상하
제253대

조태채
제254대

이건명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255대

조태구
제256대

최석항
제257대

이광좌
}}}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조선 정승
영조 ~ 정조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좌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225대

이광좌
제226대

류봉휘
제227대

조태억
제228대

정호
제229대

민진원
제230대

이관명
제231·232대

홍치중
제233대

조태억
제234대

홍치중
제235대

이태좌
제236대

이집
제237대

조문명
제238·239대

서명균
제240·241대

김재로
제242대

송인명
제243대

정석오
제244대

조현명
제245대

김약로
제246대

조현명
제247대

이종성
제248·249대

이천보
제250대

김상로
제251대

신만
제252대

김상로
제253대

신만
제254대

이후
제255대

홍봉한
제256대

정휘량
제257대

홍봉한
제258·259대

윤동도
제260대

김상복
제261대

김치인
제262대

윤동도
제263대

김치인
제264대

한익모
제265대

김양택
제266대

한익모
제267대

김양택
제268대

김상복
제269대

한익모
제270대

신회
제271대

이은
제272대

김상철
제273대

이은
제274대

김상철
제275대

이은
제276대

김상철
제277대

이은
제278대

이사관
제279대

홍인한
제280대

이사관
제281대

이은
제282대

신회
제283대

김상철
제284대

정존겸
제285대

서명선
제286대

홍낙순
제287대

이은
제288대

서명선
제289대

홍낙성
제290대

이복원
제291대

홍낙성
제292대

이복원
제293대

홍낙성
제294대

이복원
제295대

이재협
제296대

이성원
제297대

이재협
제298대

채제공
제299대

김종수
제300·301대

김이소
제302대

유언호
제303대

채제공
제304대

이병모
제305대

심환지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우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258대

류봉휘
제259대

조태억
제260대

정호
제261대

민진원
제262대

이관명
제263대

홍치중
제264대

조도빈
제265대

이의현
제266대

홍치중
제267대

심수현
제268대

오명항
제269대

이태좌
제270대

이집
제271대

조문명
제272대

서명균
제273대

김흥경
제274대

송인명
제275대

유척기
제276대

송인명
제277·278대

조현명
제279대

정석오
제280대

민응수
제281대

김약로
제282대

정우량
제283대

이천보
제284대

김상로
제285대

조재호
제286대

신만
제287대

이후
제288대

신만
제289대

이후
제290대

민백상
제291대

홍봉한
제292대

정휘량
제293대

윤동도
제294대

김상복
제295대

김치인
제296대

서지수
제297대

김치인
제298대

김양택
제299대

김상철
제300대

이창의
제301대

김상철
제302대

이은
제303대

신회
제304대

이사관
제305대

원인손
제306대

이사관
제307대

원인손
제308대

이사관
제309대

원인손
제310대

이사관
제311대

홍인한
제312대

이사관
제313대

이은
제314대

정존겸
제315대

서명선
제316대

정홍순
제317대

홍낙순
제318·319대

이휘지
제320대

이복원
제321대

김익
제322대

이복원
제323·324대

김익
제325대

조경
제326대

유언호
제327대

이성원
제328대

채제공
제329·330대

김종수
제331대

박종악
제332대

김이소
제333대

김희
제334대

이병모
제335대

채제공
제336대

윤시동
제337대

이병모
제338대

심환지
제339대

이시수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소론
少論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서인
숙종
(1674 ~ 1720)
윤증 박세당 남구만 박세채 류상운
나양좌 오도일 최석정 정제두 최규서
박태보 서문중
경종
(1720 ~ 1724)
급소 준소 완소
김일경 최석항 류봉휘 이광좌 조문명
목호룡 조태구 조태억 조현명
영조
(1724 ~ 1776)
준론 (강경파) 완론 (온건파)
김일경 박필몽 오명항 이광좌 조문명
정사효 목호룡 송인명 조현명 박문수
이인좌 정희량 이종성 조재호 이광사
정조 - 순조
(1776 ~ 1834)
벽파 (청명당) 시파 ( 탕평당)
서명응 서명선 김상철 이병모 이시수
세도 정치
조선의 붕당
( 관학파 · 훈구파 · 사림파 · 동인 · 서인 · 남인 · 북인 · 소론 · 노론 · 개화당 · 수구파 · 정동파 · 위정척사파 · 급진개화파 · 온건개화파)
}}}}}}}}} ||
<colbgcolor=#b82642><colcolor=#fff>
조선 영의정
문충공(文忠公)
이광좌
李光佐
<nopad> 파일:이광좌(조선).jpg
출생 1674년( 현종 15)
사망 1740년 6월 19일
(음력 영조 16년 5월 26일)
한성부
묘소 경기도 평택시 진위면
재임기간 제158대 영의정
1724년 11월 18일 ~ 1725년 3월 21일 이후
(음력 영조 즉위년 10월 3일 ~ 영조 1년 2월 8일 이후)
제160대 영의정
1727년 8월 17일 ~ 10월 7일
(음력 영조 3년 7월 1일 ~ 8월 23일)
제161대 영의정
1727년 11월 19일 ~ 1729년 6월 14일
(음력 영조 3년 10월 7일 ~ 영조 5년 5월 18일)
제166대 영의정
1737년 9월 5일 ~ 1740년 6월 19일
(음력 영조 13년 10월 7일 ~ 영조 16년 5월 26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b82642><colcolor=#fff> 시호 문충(文忠)
본관 경주 이씨
상보(尙輔)
운곡(雲谷)
붕당 소론 ( 완론)[1]
신원 1755년( 영조 31) 추탈
1908년( 융희 2) 4월 30일 복권
부모 부친 - 이세구(李世龜, 1646 ~ 1700)
모친 - 고령 박씨 박장원(朴長遠, 1612 ~ 1671)의 딸
부인 풍산 홍씨 홍만회(洪萬恢, 1643 ~ 1709)[2]의 딸
임시(林蓍)의 딸
자녀 (양자) - 이종익(李宗翼) }}}}}}}}}

1. 개요2. 생애3. 여담

[clearfix]

1. 개요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소론 완론[3]에 속했던 인물이다.[4] 오성부원군 이항복 현손이다.

2. 생애

1694년 문과에 장원[5]하여 관료생활을 시작한다.

정언, 지평, 교리, 이조좌랑등 삼사를 역임하고 도승지를 거쳐 이조참판에 이르나 숙종이 소론을 내친 병신처분으로 망했어요 노론의 편을 드는 것을 반대하자 파직된다.

경종이 즉위한 후 다시 이조참판에 제수되고 이후 여러 관직을 지냈다. 경종 초기에는 노론의 세력이 강력해 경종은 노론의 뜻대로 하는 듯 연기하다가 환국을 일으켜 노론 4대신( 이이명, 조태채,[6] 이건명, 김창집)을 사사하고 노론의 세력을 꺾었다. 그는 경종이 노론의 세력을 약하게 하는데 조태구, 조태억, 류봉휘, 최석항 등과 세제대리청정을 반대하였다. 노론이 쫒겨나는 신축환국이후 예조판서에 오르고 이어 병조와 이조판서 등 6조의 판서를 두루 역임하고 우의정에 올랐다.

영조 즉위 직후 영의정에 올랐지만 이듬해 신임옥사의 책임을 묻는 노론의 공격으로 파직당한다.[7][8] 영조가 탕평책의 일환으로 정미환국을 단행하자 영의정이 되고 노론은 힘이 약해진다. 얼마 후 소론 준론과 남인을 일으키자 침착하게 난의 중심 인물을 체포하고 진압하였다. 1728년(영조 5) 이인좌의 난 진압 직후 분무원종공신 1등(奮武原從功臣一等)[9]에 책록되었으며, 동시에 두 달 동안[10] 영조를 보좌하여 대리집정을 맡았다.

탕평책의 신봉자였으나 당시 노론 영수인 민진원과 정호가 노론 역사상 송시열 이후로 최고의 강경파인지라 노론들에게 광좌놈이라고 불리는 수모를 겪어야 했고 영조가 직접 노론 신하들을 불러서 대신에게 무엄하게 무슨 짓이냐라고 야단을 쳐도 노론 신하들은 우리 집안에서는 어린애들도 광좌나 광좌놈이라고 부른다라고 지지않고 맞섰다.

다른 소론 대신들이 영조에게 납작 업드린 상황에서도 삼수의 옥은 역적이 맞다고 강변하였고 덕분에 노론의 공적 1호가 되어 무수한 탄핵을 받았다. 4차례 영의정을 지냈으나 사직하여 시골로 내려간 기간이 더 길었다.

1740년 탄핵을 당하자 울분을 참지 못하고 단식 중에 죽었다. 공교롭게도 바로 전날에 영조 숙종의 사당을 찾아 비를 맞으면서 "신하 놈들이 탕평을 하래도 안하고 깽판치니 내가 못난 탓이다! 왕 안해!"라고 선포하자 신하들이 또 우리들이 당파 싸움이나 하면 우릴 벌하소서!라고 울고불며 말린 다음날로 상대적 강경파였던 이광좌의 죽음으로 조정은 그나마 좀 조용해진다. 하지만 영조 31년의 나주 괘서 사건으로 벼슬이 추탈된다. 정후겸의 요청으로 복권되었지만 정조 즉위후 또 추탈되었고 순종 때 다시 복권되었다.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3. 여담

  • 영조의 명령으로 인해 강제로 노론 대신들과 악수를 한 적이 있다. 그것도 한 번이 아닌 두 번이나.
    • 강제로 노론의 수장 민진원[11]과 악수 인사를 했다.[12]
    • 민진원 사후 새로운 노론의 수장 김재로가 등장하자 영조는 또다시 악수 인사를 하라고 하지만 김재로가 거부했다.

  • 박문수와 인척 관계로 그의 후원자이자 스승이기도 했다. 박문수는 어려서 부모를 여의고 외가에 의지하여 자랐는데, 그의 스승이자 외숙이 좌의정을 지낸 이태좌이며, 이광좌의 재종형이다. 이광좌는 박문수 관련 설화에도 드문드문 출연한다.
  • 글씨를 잘 썼고 서예와 그림에도 일가견이 있었다. 또 자화상을 즐겨 그렸다고 한다.

[1] 소론 완론 중에서는 가장 강경파로 이인좌의 난 직후 소론 준론이 소멸하자 상대적으로 강경파가 되어 노론에게 많은 탄핵을 받았다. [2] 선조의 10녀 정명공주의 7남. [3] 이광좌는 준소라는 견해도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완소 경종 신축환국 이후 비주류를 말하며 왕세제 보호론을 주창한 조현명 조문명 형제, 박문수, 송인명 등을 의미하며 김일경 등을 급소/ 조태구 이광좌 등을 준소로 보는 경향도 있다. 즉 쉽게 얘기하자면 김일경은 타협 자체를 불허하는 초강경파였고, 이광좌는 그래도 일단 한번 정도는 들어보자하는 강경파 정도. [4] 하지만 소론 완론 중에서 가장 강경파였다. 소론 준론 소멸 이후 강경파가 되어서 노론에게 많은 공격을 받았다. [5] 20세 약관에 그것도 장원급제한 것이다 [6] 소론 대신 조태구의 친척이다. [7] 조태구, 유봉휘, 최석항은 이미 사망했다. 그래서 남은 조태억과 그에게 공격이 집중되는 것은 당연하다. [8] 영조(당시 연잉군)는 노론이 지지하고 있었고 경종(당시 세자)는 소론이 지지하고 있었음 [9] 원종공신이므로 정공신 명단에는 없다. [10] 1728년 4월부터 1728년 6월까지. [11] 사실 민진원은 비타협적인 이미지 때문에 과소평가되는 점이 많다. 하지만 장희재, 장희빈을 변호하다 귀양을 간 원로 대신 남구만(소론 대신)을 변호해 준 적 있고 붕당 정치를 심하게 하지 않기 위해 노력한 인물이다. [12] 당사자들은 싫어했겠지만 악수를 시킨 영조 본인은 이것에 감동을 받아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