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3d5bab> | }}} | |||||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공항 ]] [[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광역 ]] [[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간선 ]] [[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지선 ]] [[틀:서울특별시의 맞춤버스|맞춤 ]] [[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순환 ]] [[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심야 ]] [[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마을 ]] [[틀:서울시티투어버스|투어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0~3권역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
<colbgcolor=#3d5bab><colcolor=#fff> 0권역 | 040 | |||||
1권역 | 100 | 101 | 102 | 103 | 104 | ||
105 | 107 | 109 | 110 | 111 | |||
120 | 121 | 130 | 140 | 141 | |||
142 | 143 | 144 | 145 | 146 | |||
147 | 148 | 150 | 151 | 152 | |||
160 | 162 | 163 | 171 | 172 | |||
173 | |||||||
2권역 | 201 | 202 | 240 | 241 | 242 | ||
260 | 261 | 262 | 270 | 271 | |||
272 | 273 | ||||||
3권역 | 301 | 302 | 303 | 320 | 333 | ||
340 | 341 | 342 | 343 | 345 | |||
350 | 360 | 361 | 370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4~7권역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
<colbgcolor=#3d5bab><colcolor=#fff> 4권역 | 400 | 401 | 402 | 405 | 406 | |
420 | 421 | 422 | 440 | 441 | |||
452 | 461 | 463 | 470 | 472 | |||
5권역 | 500 | 501 | 502 | 503 | 504 | ||
505 | 506 | 507 | 540 | 541 | |||
571 | |||||||
6권역 | 600 | 601 | 602 | 603 | 604 | ||
605 | 606 | 640 | 641 | 643 | |||
650 | 651 | 652 | 653 | 654 | |||
660 | 661 | 662 | 672 | 673 | |||
674 | |||||||
7권역 | 700 | 701 | 702 | 703 | 704 | ||
705 | 706 | 707 | 708 | 709 | |||
710 | 720 | 721 | 740 | 741 | |||
742 | 750 | 752 | 753 | 760 | |||
761 | 771 | 774 | 상암A21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서울동행버스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
<colbgcolor=#3d5bab> | 서울02 | 서울04 | 서울05 | 서울07 |
서울08 | 서울09 | 서울10 | 새벽A160 |
1. 개요
대흥교통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49.8km다. 전체 정류장 목록2. 노선 정보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463번 | |||||
|
|||||
기점 | 서울특별시 서초구 염곡동(염곡공영차고지) | 종점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국회의사당역) | ||
종점 행 |
첫차 | 04:00 |
기점 행 |
첫차 | 05:10 |
막차 | 22:15 | 막차 | 23:25 | ||
평일배차 | 7~11분 | 주말배차 | 11~14분 | ||
운수사명 | 대흥교통 | 인가대수 | 30대(예비 1대)[1] | ||
노선 | 염곡공영차고지[2] - 구룡사입구 - 도곡한신아파트 - 역삼역.GS타워 - 언주역.차병원 - 학동역 - 압구정역 - 현대아파트 - 성수대교 - 뚝섬서울숲 - 무학여고 - 상왕십리역 - 신당역.중앙시장 - 퇴계로6가 - 충무로역 - 명동역 - 남대문시장. 회현역 - (← 서울역버스환승센터(5번 승강장) ←) - 서울역서부 - 만리동고개 - 공덕역. 공덕시장 - 마포역 - 마포대교 - 여의도순복음교회 → 한국산업은행본점 → 국회의사당역 → 여의도순복음교회 → 이후 역순 |
3. 역사
- 구 77번 도시형버스(마장동 - 여의도) 노선이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충정로역, 애오개역 대신 만리동고개 경유로 변경, 여의도 구간도 단순화되고 번호도 263번으로 바뀌었다.
- 서울역고가차도에 노선버스 진입이 금지되면서 2008년 12월 27일에 여의도 방향은 숭례문과 시청 경유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13년 3월 19일에 여의도 방향이 숭례문과 시청 대신 북창동 경유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차고지가 마장동에서 염곡동으로 이전됨에 따라 2014년 3월 11일에 염곡공영차고지로 연장됐고, 권역에 맞춰 번호가 463번으로 바뀌었다.
관련 공지사항
{{{#!folding [ 연장 이전 지도 노선도 보기 ]
- 서울역고가차도가 폐쇄되면서 2015년 12월 13일에 퇴계로 왕복 경유로 변경됐다. 관련 공지사항 이에 따라 남대문시장과 염천교 정류장을 경유하지 않는다.
4. 특징
- 염곡동으로 변경 될 때 왕십리역 - 마장동 구간과 마포역 - 여의도 구간을 단축하려고 했으나, 마장동과 여의도 쪽의 극심한 민원으로 인해 단축되지 못하였다. 하지만 결국 왕십리역 - 마장동 구간은 단축되어 2013번이 대체 운행 중이다.
- 147번과 겹치는 총지사부터 압구정역까지 기존 147번 승객들을 동사의 4211번과 분산되고 있다. 역삼역, 학동역, 언주역, 압구정역 쪽은 단거리 승객도 많아서 단독 구간이었던 147번의 역할을 분산하고 있다. 총지사 입구에서 147번은 한티역 쪽으로 좌회전하기 때문에 총지사 이남으로는 4211번과 함께 사실상 독점 중이다.
- 강남 논현로와 강북 도심권의 고산자로, 왕십리로, 퇴계로 등 상습 정체구간을 달리다 보니 교통 체증이 심하게 발생할 경우 배차가 심하게 벌어지는 현상이 전보다 자주 발생하게 되었고 심지어는 배차간격이 30분까지 벌어지는 현상도 종종 벌어진다. 노선 또한 길어져서 편도 운행만 2시간을 찍기 때문에 기사들이 263번 시절에 없던 폭주 근성을 보여주기도 한다. 이는 중앙버스전용차로 구간이 마포역~공덕역뿐으로 거의 없다는 것도 한몫한다.
- 새벽 4~5시에 압구정로데오에서 성동구로 넘어가는 유일한 노선이므로 첫차 시간대에 수요가 많은 편이다. 물론 압구정로데오가 아닌 성수대교 앞에서 정차하지만, 압구정로데오로부터 걸어갈 만 하기 때문에 수요가 생긴 것으로 추측된다.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중에서 성수대교와 마포대교를 이용하여 편도로 한강을 2번 건너는 유일한 노선[3]이다.[4] 노선 형태도 핵심 권역인 여의도 - 명동 - 강남을 모두 거치는 노선이 되었다.
- 폐지된 마장동 구간은 2013번이 대체한다지만 왕십리역 이후 신당역까지는 대체할 수 있기만 할뿐 신당역에서 다시 마장동으로 갈 때는 청계천을 경유하므로 완벽하게 대체하지는 못할 뿐더러, 새벽시간대 남대문시장으로 가는 상인들과 신당동으로 통학하는 학생들도 있었지만 첫차가 늦었다. 그나마 2013번 첫.막차가 20분씩 앞당겨져 새벽시간대 승객 편의는 전보다는 나아졌지만 아직도 불편한 구석이 있다. 또한 마장동 구간이 삭제되면서 왕십리역을 한쪽(염곡동방향)만 정차한다. 강남 구간은 기존 147번의 수요 분산, 강북 구간은 기존 263번 수요가 있기에 고정 수요가 많다.
- 김포 1002번과 함께 서여의도(국회 앞)와 마포/공덕을 여의도역/ 여의도환승센터 경유 없이 바로 이어주므로 마포대교가 심하게 막히지만 않는다면 여의도역에서의 5-9호선간 환승저항도 필요없이 가장 수월하고 빠르다.
- 염곡동으로 간 뒤에는 크게 우회하는 노선이 되었고, 간선노선임에도 중앙버스전용차로 구간이 거의 없어서 속도도 느리다 보니 구간수요 위주의 노선이 되었다. 그래도 전철과 병주하지 않는 염곡동~왕십리 구간과, 서여의도와 마포역에서 회현역, 명동역으로 갈 때는 이 노선이 좋기에 중거리 수요도 꽤 있다.
- 장시간 노선인지라, 기사 휴식 및 용변권 등을 위해 회차지점인 국회의사당역에서 5~10분 정도 대기한다. 여의도 구간에서 승하차 시 앞차로의 환승이 필요할 수 있으니 유의하자.
4.1. 일평균 승차인원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263번 | |||
<rowcolor=#ffffff>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비고 |
2013년 | 16,771명 | - | |
2014년 | 15,968명 | ▽ 803 | [5] |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463번 | |||
<rowcolor=#ffffff>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비고 |
2014년 | 15,768명 | - | [6] |
2015년 | 16,847명 | △ 79 | |
2016년 | 17,278명 | △ 431 | |
2017년 | 17,957명 | △ 679 | |
2018년 | 17,301명 | ▽ 656 | |
2019년 | 17,697명 | △ 396 | |
2020년 | 14,091명 | ▽ 3,606 | |
2021년 | 14,254명 | △ 163 | |
2022년 | 16,041명 | △ 1,787 | |
2023년 | 17,248명 | △ 1,207 | |
2024년 | 18,125명 | △ 877 | |
※ 하차 인원 미포함 |
5. 연계 철도역
- 수도권 전철 1호선: 서울역[염곡동]
- 서울 지하철 2호선: 역삼역, 왕십리역[A], 상왕십리역, 신당역,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B]
- 수도권 전철 3호선: 압구정역, 충무로역
- 수도권 전철 4호선: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B], 충무로역, 명동역, 회현역, 서울역[염곡동]
- 수도권 전철 5호선: 왕십리역[A],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B], 공덕역, 마포역
- 서울 지하철 6호선: 신당역, 공덕역
- 서울 지하철 7호선: 학동역
- 서울 지하철 9호선: 언주역, 국회의사당역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왕십리역[A], 서울역[서부], 공덕역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왕십리역[A]
-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역[서부], 공덕역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 서울역[염곡동]
- 일반 철도역: 서울역(KTX,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염곡동], 왕십리역(ITX-청춘)[A]
6. 둘러보기
서울역버스환승센터 경유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b0255b><colcolor=#fff> 왕복 경유 노선 | |
편도 경유 노선 | ||
회차 노선 |
[1]
토요일 / 공휴일 22대 운행
[2]
차고지 앞에서 승하차 가능.
[3]
단, 최초는 아니다. 과거
342번, 서울 버스 8361번도 한강을 두 번 넘었던 적이 있었고, 2004년 7월 1일 대개편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구 56번(현
서울 버스 3216), 구 137번,
구 588번 등도 있었다.
[4]
경기도 버스를 포함하면
남양주 112-1번이 올림픽대교와 팔당대교로 한강을 두 번 건넌다.
[5]
2014년 자료는 1월 1일부터 노선변경일 직전인 3월 10일까지 총 69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6]
2014년 자료는 노선변경일인 3월 1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총 296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염곡동]
염곡동 방면 운행 시 환승센터.여의도 방면은 서울역서부에서 하차 후 도보
[A]
여의도 방면은 코스모타워 하차 후 도보
[B]
광희동 하차 후 도보
[B]
[염곡동]
[A]
[B]
[A]
[서부]
서울역 서부 하차
[A]
[서부]
[염곡동]
[염곡동]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