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fff><colcolor=#002395> 레지옹 도뇌르 훈장 Ordre National de la Légion d’honneur National Order of the Legion of Honour |
|
코망되르(3급) 훈장 |
|
Honneur et patrie (명예와 조국) |
|
제정일 | 1805년 5월 19일 |
국가 |
[[프랑스| ]][[틀:국기| ]][[틀:국기| ]] |
종류 | 무공 및 공민훈장[1] |
수훈 대상 | 프랑스 군인, 민간인 및 외국인 |
수여 횟수[2] | 그랑크루아(1급): 67회 |
그랑도피시에(2급): 314회 | |
코망되르(3급): 3,009회 | |
오피시에(4급): 17,032회 | |
슈발리에(5급): 74,834회 | |
상위 등급 | 없음 |
하위 등급 |
|
[clearfix]
1. 개요
레지옹 도뇌르 훈장(Ordre National de la Légion d’honneur)은 프랑스의 훈장 가운데 최고위의 훈장으로, '명예 군단 훈장' 등으로 의역되기도 한다. 그랑크루아, 그랑도피시에, 코망되르, 오피시에, 슈발리에의 5개 등급으로 나뉜다.1802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에 의해 제정된 이래 뛰어난 무공을 세운 군인이나 프랑스의 정치, 경제, 사회, 학문 또는 문화예술의 각 분야에서 뚜렷한 공로가 인정되는 민간인에게 수여되며, 프랑스인뿐만 아니라 외국인에게도 수여된다. 훈장은 대개 대통령이 서훈하며, 이외에 다른 정부고관에 의해서도 서훈될 수 있다.
2. 역사
1799년 쿠데타로 프랑스 제1공화국의 통령(consul)에 올랐던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황제로 등극하기 전인 1802년에 프랑스 공화국군을 대상으로 사기를 증진하고 충성심을 고양시키려는 목적으로 제정했다. 당시 프랑스는 혁명의 정치적 혼란과 불안정한 정국이 나폴레옹의 이름 아래 정리되고 있었으며, 그는 통합된 공화국의 군대가 전근대적인 신분이나 혈통적 요소가 아니라 개인의 능력, 성취나 국가에 대한 헌신, 공동체에 대한 봉사에 따라 평가, 보상받을 것이라는 점을 시민들에게 강조하고 싶어했다. 레지옹 도뇌르는 그러한 명예를 위한 제도의 일환으로서 고안되었고, 곧 그의 의도대로 프랑스의 애국의 상징이 되었다.레지옹 도뇌르(Légion d’honneur)는 풀이하면 '명예 군단(Legion of Honor)'이라는 뜻으로, '레지옹'은 고대 로마의 군단을 가리키는 레기온(Legion)에서 유래한 말이다. 이는 본래 이 훈장이 공적을 세운 군인을 위해 만들어진 것이었기 때문에 붙은 이름으로, 후에 수훈 대상이 민간으로까지 확대된 것이다.
당시에는 무공 훈장이었으므로 초기에 이 훈장을 받은 사람 상당수는 남성 군인이었다. 퇴역하면 끝인 당시의 군인들 중 수훈자를 명목상의 부대에 편입함으로서 연금을 받게 하는 노후 대책으로서의 목적도 있었다고 한다. 훈장의 이름대로 '명예 군단' 소속 장병으로 등재하는데, 서류상으로만 존재하는 부대이니 복무하지는 않으나 군인이니 월급을 지급한다는 개념이다. 이것이 공화국군에 대한 보훈 제도의 시작이 되었다.
다만 그는 "남자들은 이런 거에 목맨다. 이제 이 장난감으로 사람들을 현혹시킬수 있다."며 반쯤 시니컬한 대답을 하기도 했는데, 프로파간다적 목적도 있었다. 미국의 명예 훈장(Medal of Honor) 역시 레지옹 도뇌르의 영향을 받아 남북 전쟁 직전 애국주의를 고취할 목적으로 제정되었다. 다만, 미국의 명예 훈장은 최고위 훈장이라는 점에서는 같으나 오늘날에도 무공 훈장으로만 남아 있고, 미군에게만 수여된다는 점이 다르다.
3. 등급
좌측부터 슈발리에, 오피시에, 코망되르, 그랑도피시에, 그랑크루아 |
-
1등 훈장 그랑크루아(Légion d'Honneur Grand-Croix)
가장 높은 등급의 훈장으로, '대십자장(Grand Cross)'으로 번역된다. 오른쪽 어깨에서 왼쪽 허리로 내려오는 대수(大綬, 크고 긴 훈장 끈)를 착용하고, 왼쪽 가슴에 부장(副章, 수 없이 정장과 함께 다는 플레이크)을 패용한다. 그랑크루아는 프랑스 대통령이 새로 취임하면 받는 훈장이기도 하다.
-
2등 훈장 그랑도피시에(Légion d'Honneur Grand Officier)
두 번째로 높은 등급의 훈장으로, '대장군장(Grand Officer)'으로 번역된다. 왼쪽 가슴에 소수(小綬, 가장 작은 크기의 훈장 끈)로 패용하고, 오른쪽 가슴 아래에 부장을 패용한다.
-
3등 훈장 코망되르(Légion d'Honneur Commandeur)
세 번째로 높은 등급의 훈장으로, '사령관장(Commander)'으로 번역된다. 목에 중수(中綬, 중간 크기의 훈장 끈)로 패용한다.
-
4등 훈장 오피시에(Légion d'Honneur Officier)
네 번째로 높은 등급의 훈장으로, '장교장(Officer)'으로 번역된다. 왼쪽 가슴에 소수로 패용하고 그 위에 장미 모양의 코케이드로 치장한다.
-
5등 훈장 슈발리에(Légion d'Honneur Chevalier)
마지막 등급의 훈장으로, '기사장(Cavalry)'으로 번역된다. 왼쪽 가슴에 소수로 패용한다.
4. 수훈자
- 국적과 무관하게 등급에 따라 가나다순으로 기재한다.
- 프랑스 대통령은 당연직으로, 대통령 취임시 그랑크루아 등급이 수여된다. 대한민국의 무궁화대훈장과 비슷하다. 차이점은 무궁화대훈장의 경우 대통령 취임을 하자마자 자동으로 수여되는 것이 아니라 본인이 관례상 임기 초나 말에 수여하는 것이다.
- 예술인들에게 수여하는 프랑스 문예공로훈장(Ordre des Arts et des Lettres) 또는 국가공로훈장(Ordre national du Mérite)은 레지옹 도뇌르 훈장과는 다른 훈장이다.
4.1. 그랑크루아
- 프랑스 대통령
- 가브리엘 포레 - 프랑스 작곡가
- 게오르기 주코프 - 소련 육군 원수
- 나폴레옹 3세 - 프랑스 황제[3]
-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대통령[4] -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 미국 대통령. 2차대전 당시 전공으로 받았다.
- 레오폴 2세 - 벨기에 국왕
- 루이 파스퇴르 - 프랑스 생물학자
- 마우리시오 마크리 - 아르헨티나의 대통령
- 미셸 네 - 프랑스군 원수. 나폴레옹이 임명한 26인 원수 중 한 명
- 미하우 롤라지미에르스키 - 폴란드 인민공화국 원수[5]
- 미하이 1세 - 루마니아 왕국 제4대 국왕
- 보리스 옐친 - 러시아 대통령
- 보이치에흐 야루젤스키 - 폴란드 인민공화국 및 폴란드 제3공화국의 초대 대통령
-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 우크라이나 대통령
- 블라디미르 푸틴 - 러시아 대통령
- 소피아 왕비 - 스페인 국왕 후안 카를로스 1세의 왕비
- 아키히토 - 일본 제125대 천황
- 알렉산다르 1세 - 유고슬라비아 왕국 제2대 국왕
- 알베르 2세 - 모나코 대공
- 알베르 2세 - 벨기에 국왕
- 앙리 뒤티외 - 프랑스 작곡가
- 앙리 베르그송 - 프랑스 철학자
- 앙투안 앙리 조미니 - 군인
- 요시프 브로즈 티토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대통령
- 윈스턴 처칠 - 영국 총리
- 유제프 피우수트스키 - 폴란드 제2공화국 총리
- 이토 히로부미 - 초대 일본 내각총리대신
- 장 막시밀리앙 라마르크 - 군인
- 장피에르 세르 - 프랑스 수학자
- 제롬 보나파르트 - 군인, 황족. 나폴레옹의 막내 동생
- 주세페 베르디 - 이탈리아의 작곡가
- 찰스 3세 - 영국 국왕
- 카미유 생상스 - 프랑스 작곡가, 오르가니스트
- 칼 16세 구스타프 - 스웨덴 국왕
- 코라손 아키노 - 필리핀 대통령
- 크리스티안 10세 - 덴마크 국왕
- 클라우디오 아바도 - 이탈리아 지휘자
- 페드루 2세 - 브라질 제국 제2대 황제
- 페르디난드 1세 - 루마니아 왕국 제2대 국왕
- 페르디낭 포슈 - 프랑스 육군 원수
- 페타르 1세 - 유고슬라비아 왕국 초대 국왕
- 페타르 2세 - 유고슬라비아 왕국 제3대 국왕
- 펠리페 6세 - 스페인 국왕
- 푸미폰 아둔야뎃 - 태국 국왕
- 피델 라모스 - 필리핀 대통령
- 후안 카를로스 1세 - 스페인 국왕
- 베르나르 아르노 - 프랑스의 기업인
- 해럴드 알렉산더 - 영국의 군인
- 헤이다르 알리예프 - 아제르바이잔 대통령
4.2. 그랑도피시에
- 나카소네 야스히로 - 일본 정치인, 총리
- 다니엘 바렌보임 - 아르헨티나/ 이스라엘 지휘자, 피아니스트
- 도고 헤이하치로 - 일본제국 해군 원수
- 레오니트 고보로프 - 소련 육군 원수
- 로디온 말리놉스키 - 소련 육군 원수
- 르 코르뷔지에 - 프랑스 건축가
- 바실리 소콜롭스키 - 소련 육군 원수
- 반기문 - 제8대 유엔 사무총장
-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 폴란드 태생의 미국 피아니스트
- 알렉산드르 바실렙스키 - 소련 육군 원수
- 이반 코네프 - 소련 육군 원수
- 조중훈 - 대한항공 및 한진 창업주[6]
- 조양호 - 전 대한항공 회장[7] 2004년 코망되르를 수여받고 2015년에 그랑도피시에로 승급되었다.
- 콘스탄틴 로코솝스키 - 소련 육군 원수
- 표도르 톨부힌 - 소련 육군 원수
- 피에르 졸리오 - 프랑스의 생물물리학자
-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 아르헨티나의 작가
4.3. 코망되르
- 구로사와 아키라 - 일본 영화감독. 1984년에 오피시에를 받고 1985년에 코망되르로 승급.
- 김양 : 2010년 수훈
- 김우중 - 전 대우그룹 회장
- 니콜라이 크릴로프 - 소련군 원수.
- 니키타 미할코프 - 러시아 영화감독. 1992년에 오피시에를 받고 1994년에 코망되르로 승급.
- 레너드 번스타인 - 미국 지휘자, 작곡가, 피아니스트
- 로린 마젤 - 프랑스 출신 미국 지휘자, 작곡가, 바이올리니스트
- 로맹 가리 - 프랑스 소설가
- 루이지 케루비니 - 이탈리아 작곡가
- 마스조에 요이치 - 일본 정치인, 전 도쿄도지사
- 모리타 아키오 - 소니 공동창립자
- 미키스 테오도라키스 - 그리스 작곡가, 지휘자, 정치인
- 박삼구 - 전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
- 박태준 - 전 포스코 회장 및 명예회장, 전 국무총리
- 베네딕토 16세 - 제265대 가톨릭 교황
- 빌헬름 푸르트벵글러 - 독일 지휘자, 작곡가
- 샤를 아즈나부르 - 프랑스 샹송 가수, 작곡가, 작사자, 배우
- 세르게이 시테멘코 - 소련의 군인.
- 세르게이 후댜코프 - 소련의 군인, 2차대전 전공으로 수훈.
- 아마르티야 센 - 인도의 경제학자
- 아웅 산 수 치 - 미얀마 민주화 운동가, 정치인
- 아키야마 요시후루 - 일본군 군인, 교육가
- 안도 타다오 - 일본 건축가
- 안제이 바이다 - 폴란드 영화감독
- 알렉산드르 볼코프(1948) - 소련·러시아의 우주비행사
- 알렉세이 안토노프 - 소련군 장성, 제2차 세계 대전 전공으로 수훈.
- 양자경 - 말레이시아 출신의 홍콩 배우이다. 2007년 슈발리에를 받고 2012년 오피시에로 승급되었다가 2017년에 다시 코망되르로 승급했다.
- 에르네스트 앙세르메 - 스위스 지휘자, 음악학자
- 엘리너 루스벨트 - 미국의 사회운동가
- 오에 겐자부로 - 일본의 작가
- 이건희 - 삼성전자 회장
- 장폴 벨몽도 - 프랑스 영화배우, 프로듀서, 극장장
- 조지 S. 패튼 - 미국의 군인
- 조르주 피카르 - 프랑스의 군인. 드레퓌스 사건을 수사한 장교로 1906년 복권된 뒤 1912년 코망되르를 받았다.
- 찰리 채플린 - 영국 영화배우, 영화감독, 각본가, 작곡가
- 칼 라거펠트 - 독일 패션 디자이너
- 콜린 파월 - 미국 군인, 정치인
- 퀸시 존스 - 미국 재즈 음악가, 프로듀서
- 클린트 이스트우드 - 미국 영화배우, 영화감독
- 토니 페르난데스(기업인) - 에어아시아 회장
- 티노 로시 - 프랑스 샹송 가수, 배우
- 폴 보퀴즈 - 프랑스 요리사
- 프레데리크 졸리오퀴리 - 프랑스의 과학자
- 플라시도 도밍고 - 스페인 테너/ 바리톤 가수, 지휘자
4.4. 오피시에
- 기타노 다케시 - 일본 영화감독
- 김영옥 - 한국계 (한인 교포 2세) 미 육군 대령
- 데이비드 린치 - 미국 영화감독, 프로듀서
- 디디에 데샹 - 1998년 프랑스 월드컵 우승으로 슈발리에를 받았고, 2018년 두 번째 우승을 이끈 감독으로서 오피시에로 승급되었다.[8]
- 라이자 미넬리 - 미국 가수
- 루치아노 파바로티 - 이탈리아 테너 가수
-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 독일의 작곡가 및 지휘자. 1907년에 슈발리에를 받았으며, 1914년에 오피시에로 승급.
- 무함마드 유누스 - 방글라데시의 은행가. 그라민 은행 설립자.
-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 미국 가수
- 밥 딜런 - 미국 뮤지션
- 서경배 - 아모레퍼시픽 회장
- 송영길 - 국회의원, 전 인천광역시장. 2009년 슈발리에를 받고 2022년 오피시에로 승급.
- 신동빈 - 롯데그룹 회장
- 알베르트 슈바이처 - 독일 의사, 신학자, 오르가니스트
- 알프레드 드레퓌스 - 드레퓌스 사건으로 유명한 장교이다. 1906년 복권되며 슈발리에를 받았고 1918년 제1차 세계 대전 전공으로 승급되었다.
- 앙드레 말로 - 프랑스 소설가, 정치인
- 엄규백 - 전 서울 양정고등학교 이사장 ( 출처)
- 엑토르 베를리오즈 - 작곡가, 지휘자
- 오하타 아키히로 - 일본의 정치인.
- 움베르토 에코 - 이탈리아 기호학자, 미학자, 언어학자, 철학자, 소설가, 역사학자
- 이렌 졸리오퀴리 - 프랑스의 과학자이며 노벨상 수상자이다. 역시 노벨상 수상자인 마리 퀴리와 피에르 퀴리 부부의 장녀이다.
- 이브 퀴리 - 프랑스의 사회운동가 겸 작가 겸 피아니스트 겸 저널리스트. 노벨상 수상자인 마리 퀴리와 피에르 퀴리 부부의 차녀. 2005년에 유니세프 창립 공로로 수여되었다.
- 이자벨 위페르 - 프랑스 배우. 1999년 슈발리에를 받았고 2009년에 오피시에로 승급되었다.
- 이창동 - 영화감독, 전 문화관광부 장관
- 자크 로게 - 전 IOC 위원장
- 장 앙리 파브르 - 프랑스 곤충학자, 문학가이다. 1865년 슈발리에를 받았고 1910년에 오피시에로 승급되었다.
- 제인 구달 - 영국 동물행동학자, 환경운동가
- 조엘 로부숑 - 프랑스 요리사
- 줄리어스 로버트 오펜하이머 - 미국 핵물리학자
- 지네딘 지단 - 1998년 프랑스 월드컵 우승으로 슈발리에를 받았고, 2009년에 오피시에로 승급되었다. 출처
- 캐리 람 - 홍콩 행정장관. 행정장관이 되기 이전인 2015년에 받았다.
- 폴 매카트니 - 영국 뮤지션
- 펠릭스 키르(Félix Kir) - 프랑스의 세속 성직자, 정치인, 저항운동가. 칵테일 키르가 그의 성에서 따왔다.
4.5. 슈발리에
- 1998년 월드컵 우승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단 전원
- 2018년 월드컵 우승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단 전원(감독 디디에 데샹은 오피시에로 승급[9])
- 김용 - 홍콩 작가, 언론인
- 다카다 겐조 - 일본 패션 디자이너, 브랜드 겐조의 설립자
- 루이 주르당 - 프랑스의 배우
- 리처드 애튼버러 - 영국 배우, 영화감독
- 마일스 데이비스 - 미국 재즈 트럼페터, 작곡가
- 모리스 르블랑 - 소설 아르센 뤼팽 시리즈의 원작자
- 미셸 우엘벡 - 대표작 소립자로 유명한 프랑스의 소설가
- 박동하 - 군인, 6.25전쟁 당시 국군으로 입대하였으나 영어가 구사 가능하여 프랑스 대대 배속
- 박문준 - 군인, 박동하 하사와 같이 수여[10]
- 박태진 - 전 삼성탈레스 대표이사 사장
- 블라디미르 호로비츠 - 러시아 출신의 미국 피아니스트
- 샤룩 칸 - 인도 배우
- 세바스티앙 로브 - WRC 드라이버
- 셀린 디옹 - 캐나다의 가수
- 소피아 로렌 - 이탈리아 배우
- 신창재 - 교보생명 대표이사 회장
- 아메데 메로 - 프랑스의 낭만파 작곡가
- 알랭 바슝 - 프랑스의 싱어송라이터, 배우
- 알렉상드르 뒤마 - 프랑스 소설가
- 알프레드 드레퓌스 - 프랑스군 장교. 드레퓌스 사건의 피해자. 무죄 판결로 복권되면서 받았다.
- 엘리자베스 테일러 - 미국 및 영국의 배우, 인권운동가. HIV/ 에이즈 인권운동에 대한 공로가 인정되었다.
- 엘튼 존 - 영국 가수
- 오노레 드 발자크 - 프랑스 소설가, 비평가
- 오정석 - 예) 대한민국 육군 중장, 제3군단장
- 위베르 드 지방시 - 프랑스 패션 디자이너, 지방시 설립자
- 이삭 알베니스 - 스페인 피아니스트, 작곡가
- 이케다 리요코 - 일본 만화가, 성악가. 베르사이유의 장미로 프랑스의 문화를 알린 공로가 인정되었다.
- 임권택 - 영화감독
- 정명훈 - 지휘자, 피아니스트. 레지옹 도뇌르 훈장 슈발리에는 1992년에 받았고, 프랑스 문예공로훈장(Ordre des Arts et des Lettres)에선 최고등급 코망되르 수훈자(2011년)이다.
- 조앤 롤링 - 영국 아동문학 작가, 해리 포터 시리즈 저자
- 조은희 - 대한민국 국회의원, 서울특별시 서초구청장
- 크리스티안 지메르만 - 폴란드 태생의 피아니스트
- 클로드 드뷔시 - 작곡가, 피아니스트
- 파스칼 그레고리 - 프랑스 배우
- 호세 카레라스 - 스페인 테너 가수
5. 기타
- 각 국의 최고위 훈장들과 마찬가지로 등급 별 정원이 정해져 있어서, 정원을 초과해서 받을 수는 없고 사후에도 추서되는 일이 거의 없다. 수상자가 사망한 후에야 정원이 비기 때문에 그 분야에서 괄목할 업적을 남긴 이들도 생전에 상급 훈장의 정원이 꽉 차서 4등급이나 5등급에 머무른 이들이 의외로 많다.
- 최고위 훈장이지만 정치적인 이유 혹은 여타 문제로 수훈을 거부한 이들도 있다. 화가 귀스타브 쿠르베, 물리학자 마리 퀴리와 피에르 퀴리, 작곡가 모리스 라벨과 문학가 알베르 카뮈, 철학자/문학가 장폴 사르트르, 배우 소피 마르소 등이 대표적인 인물들이다.
- 여느 국가 최고위 훈장들처럼 수훈에 부조리가 종종 있다는 비판도 받는다. 특히 최고 등급인 그랑크루아는 대체로 국내외 고위 정치인이나 왕족, 프랑스와 커넥션이 있는 대기업 CEO 등에게 립서비스 식으로 수여하는 경우가 많아 구설수에 오르곤 한다. 프랑스 대통령이 됐다고 공적 안 따지고 무작정 준다는 점은 대한민국의 무궁화대훈장과 마찬가지로 꾸준히 지적되고 있다. 사실 이는 타 국가 최고 등급 훈장 대부분이 갖고 있는 공통점이다.
6. 관련 문서
[1]
처음에는 무공훈장으로 제정됐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정치, 경제, 사회, 학문, 문화예술의 각 분야의 공로가 인정되는 민간인에게도 수여된다.
[2]
2010년 7월 기준이며, 훈장 자체의 역사도 긴 데다 수여 횟수도 방대해서 2024년 현재 기준으로 정확한 수여 횟수를 파악하기 어렵다.
[3]
본인이 황제 즉위시 수여한
셀프훈장이다.
[4]
수훈 박탈
[5]
1922년 슈발리에 수훈, 1925년 오피시에로 승격했다가 1967년 그랑크루아로 2차 승격.
[6]
그가
대한항공 회장이었던 시절
A300을 대량 발주하고 성공적으로 운영하며
에어버스를
파산 문턱에서 살려냈다. 즉 잘못하면 진즉에 망해버렸을 에어버스를 미국 보잉과 더불어 서방제 민항기 시장의 투톱으로 올려놓은 공로로 받은 것이다.
[7]
조중훈 회장의
장남이자 전 한진그룹 회장.
[8]
아마 이런 점으로 봤을 때 중복 수훈(예시로 5급 2개, 4급 1개 이런 식)은 안 되고 아마 승급 형식으로 이뤄지는 듯 하다.
[9]
데샹은 1998년에 우승 선수단으로서 이미 슈발리에를 받은 상태라서 4급인 오피시에로 승급되었다.
[10]
하지만 안타깝게도 국내 무공훈장 수여자만 현충원 안장이 가능하다는 이유로 위의 박동하 하사와 함께 현충원 안장을 거부당했다.
# 그나마 나중에 박동하 하사는 사후 충무무공훈장을 수여받아 현충원에 안장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