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1 22:04:44

국립수목원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세종특별자치시 소재 국립수목원에 대한 내용은 국립세종수목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국립 명칭을 공유하는 수목원 목록에 대한 내용은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정부상징.svg 파일:책임운영기관.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소속책임운영기관
<colbgcolor=#003764> 파일:정부상징.svg 고용노동부 고용노동부고객상담센터
파일:정부상징.svg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중앙과학관 · 국립과천과학관
파일:정부상징.svg 교육부 국립국제교육원
파일:대한민국 국방부 심벌.svg 국방부 국방전산정보원 · 국방홍보원
파일:정부상징.svg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 · 항공교통본부
파일:정부상징.svg 농림축산식품부 국립종자원 · 한국농수산대학교
파일:정부상징.svg 문화체육관광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국립중앙극장 · 국립현대미술관 · 한국정책방송원
파일:정부상징.svg 보건복지부 국립공주병원 · 국립나주병원 · 국립부곡병원 · 국립춘천병원 · 국립재활원 · 국립정신건강센터
파일:정부상징.svg 통일부 국립통일교육원
파일:정부상징.svg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 · 국립해양측위정보원 · 해양수산인재개발원
파일:정부상징.svg 행정안전부 국립과학수사연구원 · 국립재난안전연구원 ·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파일:정부상징.svg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 화학물질안전원
파일:대한민국 경찰청 휘장.svg 경찰청 국립경찰병원
파일:정부상징.svg 관세청 관세인재개발원
파일:정부상징.svg 국세청 국세상담센터
파일:정부상징.svg 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 · 항공기상청
파일:정부상징.svg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국립축산과학원
파일:정부상징.svg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 · 국립해양유산연구소 · 궁능유적본부
파일:정부상징.svg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 국립수목원 ·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
파일:소방청 마크.svg 소방청 국립소방연구원
파일:정부상징.svg 질병관리청 국립마산병원 · 국립목포병원
파일:정부상징.svg 통계청 통계개발원
파일:해양경찰청 OI.svg 해양경찰청 해양경찰정비창
중앙책임운영기관
파일:정부상징.svg 특허청
군 책임운영기관
파일:대한민국 국방부 심벌.svg 국방부 국방출판지원단 · 국방통합데이터센터 · 국군복지단 }}}}}}
국립수목원
Korea National Arboretum
파일:국립수목원 로고.svg
파일:국립수목원 영문 로고.svg
<colbgcolor=#000><colcolor=#fff> 분류 식물원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광릉숲
2.1. 광릉수목원
3. 하는 일4. 관람 안내
4.1. 산림박물관4.2. 기타 전시
5. 교통
5.1. 버스5.2. 지하철
6. 기타7. 관련 영상

[clearfix]

1. 개요

수목원·정원의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
제3조(사업) ① 수목원은 다음 각 호의 사업을 수행한다. 다만, 제10호부터 제13호까지의 사업은 제5조에 따른 국립수목원에서 수행한다.
10. 수목유전자원의 분류·명명 및 등록
11. 수목유전자원 목록의 작성
12. 국내 다른 수목원에 대한 기술 지도·지원 및 업무협조
13. 그 밖에 국가를 대표하는 수목원으로서의 기능 수행에 필요한 사업

제5조(국립수목원 등) ① 국가를 대표하는 수목원으로서 산림청장 소속으로 국립수목원을 둔다.
② 국립수목원의 조직 및 운영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직동리와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부평리 일대에 위치한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 지역이자 수목원으로서 대한민국 산림청 산하의 정부 기관이다. 총 1124ha규모로 본디 광릉수목원이란 이름으로 설립되었고, 이후 1999년 5월 24일에 국립으로 승격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국립수목원 관람에 관한 규정(국립수목원예규)

2. 광릉숲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설악산

제주도1

신안 다도해

광릉숲

고창군1

순천시1

강원 생태평화

연천 임진강

완도군1

창녕군1
1 행정구역 전체가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 ||


신비의 광릉숲…“딱 이틀만 일반인에 개방합니다”
수목원이 있는 숲이 광릉숲이다. 세조(조선)가 생전에 즐겨 찾던 사냥터였는데, 세조가 죽자 1468년 조선 7대 왕 세조의 능인 광릉이 위치하면서 그 역사가 시작되었다. 조선왕실에서는 광릉을 중심으로 사방 15리의 숲을 능 부속림으로 지정하여 조선 말기까지 철저하게 보호했다. 또한 이 곳은 극상림[1] 단계로 희귀 동식물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산림과 임업을 연구하는 시험림과 학술보호림으로 지정, 보호되었다. 이후 2010년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 지역으로 지정되었다. 광릉숲 안엔 '국립수목원'(일명 광릉수목원)이 있으며 광릉 능역에서는 도보로 10분 거리에 있다. 이 국립수목원은 예약을 해야만 들어갈 수 있으며, 하루에 5,000명 제한이 있다. 광릉숲 전역은 1년에 딱 이틀만 개방한다.

해방 이후 혼란한 시기와 6.25전쟁을 거치면서도 시험림으로 잘 보존 관리되었으며 2010년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다. 오늘날 한국에서 으뜸가는 산림생태계의 보고이다.

540여 년간 훼손되지 않고 잘 보전되어 전세계적으로 온대북부지역에서 찾아보기 힘든 온대활엽수극상림을 이루고 있는 생태적으로 매우 중요한 숲이다.

2.1. 광릉수목원

{{{#!wiki style="margin: -10px" <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51 울릉 도동 섬개야광나무와 섬댕강나무군락
  1. 울릉 나리동 울릉국화와 섬백리향군락
  2. 진도의 진도개
  3. 해남학도래지
  4. 해남학번식지
  5. 웅기앞바다난도의바다쇠오리,고양이갈매기,흰눈짜위바다오리,흰수염바다오리등서식지
  6. 진천보의담비(잘)서식지
  7. 어의궁의은행나무
  8. 서울 문묘 은행나무
  9. 고양 송포 백송
  10. 진천의측백수림
  11. 단양 영천리 측백나무 숲
  12. 통영 비진도 팔손이나무 자생지
  13. 울주 구량리 은행나무
  14. 울주 목도 상록수림
  15. 옹진 대청도 동백나무 자생북한지
  16. 용평면의가침박달군락
  17. 선남리의음나무
  18. 상주 운평리 구상화강암
  19. 금란굴
  20. 백천의학및백로번식지
  21. 안동도산면의오관번식지
  22. 정선 정암사 열목어 서식지
  23. 봉화 대현리 열목어 서식지
  24. 춘천의장수하늘소발생지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101 진도 고니류 도래지
  1. 고저앞바다란도바다오리,고양이갈매기,흰눈짜위바다오리,흰수염바다오리번식지
  2. 보은 속리 정이품송
  3. 보은의백송
  4. 부여의동매
  5. 예산 용궁리 백송
  6. 진도 쌍계사 상록수림
  7. 함평 향교리 느티나무·팽나무·개서어나무 숲
  8. 서귀포의곰솔
  9. 함평 기각리 붉가시나무 자생북한지
  10. 진도 상만리 비자나무
  11. 영광 불갑사 참식나무 자생북한지
  12. 소수서원의졸참나무
  13. 영양 감천리 측백나무 숲
  14. 경주 독락당 조각자나무
  15. 월성외 동면의왕버들
  16. 청송의향나무
  17. 차일봉북수백천연보호구역
  18. 부전고원의부채붓꽃군락
  19. 음성의학번식지
  20. 예산삽교의학도래지
  21. 부안 도청리 호랑가시나무군락
  22. 부안 격포리 후박나무군락
  23. 부안 중계리 꽝꽝나무군락
  24. 구례원달리의산수유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151 강진 백련사 동백나무 숲
  1. 남해 화방사 산닥나무 자생지
  2. 장성 백양사 비자나무 숲
  3. 함양 상림
  4. 울진 성류굴
  5. 제주 신례리 왕벚나무 자생지
  6. 울진 불영사 굴참나무
  7. 울진 후정리 향나무
  8. 제주 봉개동 왕벚나무 자생지
  9. 제주 산천단 곰솔 군
  10. 제주 성읍리 느티나무 및 팽나무 군
  11. 제주 도순리 녹나무 자생지
  12. 제주 천지연 담팔수 자생지
  13. 창원 신방리 음나무 군
  14. 괴산 읍내리 은행나무
  15. 강릉 장덕리 은행나무
  16. 원주 반계리 은행나무
  17. 부산 양정동 배롱나무
  18. 서천 마량리 동백나무 숲
  19. 홍도 천연보호구역
  20. 설악산 천연보호구역
  21. 강진 까막섬 상록수림
  22. 해남 대둔산 왕벚나무 자생지
  23. 안동 송사동 소태나무
  24. 안동 용계리 은행나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226 삼척 초당굴
  1. 거제 연안 아비 도래지
  2. 흑두루미
  3. 양양 포매리 백로와 왜가리 번식지
  4. 청원 노호리의 백로 번식지
  5. 통영 도선리 백로와 왜가리 번식지
  6. 남양주 양지리 향나무
  7. 거제 학동리 동백나무 숲 및 팔색조번식지
  8. 양산 신전리 이팝나무
  9. 광양 유당공원 이팝나무
  10. 제주한림용암동굴지대(소천굴, 황금굴,협재굴)
  11. 울릉 사동 흑비둘기 서식지
  12. 금강의 어름치
  13. 고흥 금탑사 비자나무 숲
  14. 서울 선농단 향나무
  15. 해남 녹우단 비자나무 숲
  16. 까막딱따구리
  17. 독수리( 독수리, 검독수리, 참수리, 흰꼬리수리)
  18. 소백산 주목군락
  19. 철원 철새 도래지
  20. 대암산·대우산 천연보호구역
  21. 향로봉·건봉산 천연보호구역
  22. 횡성 압곡리 백로와 왜가리 번식지
  23. 무주 오산리 구상화강편마암
  24. 한강 하류 재두루미 도래지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301 청도 대전리 은행나무
  1. 의령 세간리 은행나무
  2. 화순 야사리 은행나무
  3. 강화 볼음도 은행나무
  4. 청원 공북리 음나무
  5. 무주 설천면의 음나무
  6. 김해 천곡리 이팝나무
  7. 고성 하이면의 팽나무
  8. 부산 구포동 당숲
  9. 무안 현경면 팽나무
  10. 부산 좌수영성지 푸조나무
  11. 울진 화성리 향나무
  12. 청송 장전리 향나무
  13. 안동 주하리 뚝향나무
  14. 인천 신현동 회화나무
  15. 부산 괴정동 회화나무
  16. 당진 삼월리 회화나무
  17. 월성 육통리 회화나무
  18. 함안 영동리 회화나무
  19. 부여 주암리 은행나무
  20. 연기 봉산동 향나무
  21. 무주 일원 반딧불이와 그 먹이 서식지
  22. 매류( 참매, 붉은배새매, 개구리매, 새매, 알락개구리매, 잿빛개구리매, , 황조롱이)
  23. 올빼미류, 부엉이류( 올빼미, 수리부엉이, 솔부엉이, 쇠부엉이, 칡부엉이, 소쩍새, 큰소쩍새)
  24. 기러기류( 개리, 흑기러기)
1.#326 검은머리물떼새
  1. 원앙
  2. 하늘다람쥐
  3. 반달가슴곰
  4. 수달
  5. 점박이물범
  6. 신안 칠발도 바닷새류(바다제비, 슴새, 칼새) 번식지
  7. 제주 사수도 바닷새류(흑비둘기, 슴새) 번식지
  8. 태안 난도 괭이갈매기 번식지
  9. 통영 홍도 괭이갈매기 번식지
  10. 독도 천연보호구역
  11. 제원 송계리 망개나무
  12. 완도 예작도 감탕나무
  13. 완도 미라리 상록수림
  14. 완도 맹선리 상록수림
  15. 신안 구굴도 바닷새류(뿔쇠오리, 바다제비, 슴새) 번식지
  16. 제주 어음리 빌레못동굴
  17. 통영 욕지도 모밀잣밤나무 숲
  18. 통영 우도 생달나무와 후박나무
  19. 통영 추도 후박나무
  20. 함안 대송리 늪지식물
  21. 제주의 제주마
  22. 정선 반론산 철쭉나무 및 분취류 자생지
  23. 영월 청령포 관음송
  24. 명주 삼산리 소나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376 제주 산방산 암벽식물지대
  1. 제주 안덕계곡 상록수림
  2. 제주 천제연 난대림
  3. 제주 천지연 난대림
  4. 진안 마이산 줄사철나무군락
  5. 이천 도립리 반룡송
  6. 괴산 오가리 느티나무
  7. 괴산 적석리 소나무
  8. 제주 당처물동굴
  9. 강진 성동리 은행나무
  10. 진안 은수사 청실배나무
  11. 임실 덕천리 가침박달군락
  12. 임실 덕천리 산개나리군락
  13. 영광 칠산도 괭이갈매기·노랑부리백로·저어새 번식지
  14. 진주 유수리 백악기화석 산지
  15. 옹진 백령도 사곶 사빈(천연비행장)
  16. 옹진 백령도 남포리 콩돌해안
  17. 옹진 백령도 진촌리 감람암포획 현무암분포지
  18. 해남 우항리 공룡·익룡·새발자국 화석산지
  19. 진주 가진리의 새발자국 및 공룡발자국 화석산지
  20. 장수 봉덕리 느티나무
  21. 장수 장수리 의암송
  22. 천안 광덕사 호두나무
  23. 영양 답곡리 만지송
  24. 예천 금남리 황목근(팽나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401 청송 홍원리 개오동나무
  1. 청도 적천사 은행나무
  2. 성주 경산리 성밖숲
  3. 영천 자천리 오리장림
  4. 의성 사촌리 가로숲
  5. 함양 운곡리 은행나무
  6. 함양 학사루 느티나무
  7. 울진 쌍전리 산돌배나무
  8. 울진 행곡리 처진소나무
  9. 거창 당산리 당송
  10. 고성 덕명리 공룡발자국과 새발자국 화석산지
  11. 연천 은대리 물거미 서식지
  12. 영월 문곡리 건열구조 및 스트로마톨라이트
  13. 화성 고정리 공룡알화석 산지
  14. 포항 달전리 주상절리
  15. 태백 장성 전기고생대 화석 산지
  16. 태백 구문소 오르도비스기 지층과 제4기 하식지형
  17. 보성 비봉리 공룡알 화석산지
  18. 강화 갯벌 및 저어새 번식지
  19. 성산일출봉 천연보호구역
  20. 문섬· 범섬 천연보호구역
  21. 차귀도 천연보호구역
  22. 마라도 천연보호구역
  23. 지리산 천년송
  24. 문경 존도리의 소나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5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01~5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501 군산 말도 습곡구조
  1. 강화 참성단 소사나무
  2. 고창 교촌리 멀구슬나무
  3. 화성 융릉 개비자나무
  4. 진도 동거차도 유문암질 단괴
  5. 서울 영휘원 산사나무
  6. 옹진 백령도 남포리 습곡구조
  7. 옹진 소청도 선캄브리아 스트로마톨라이트와 분바위
  8. 정선 산호동굴
  9. 평창 섭동굴
  10. 태안 내파수도 해안지형
  11. 경산 대구 가톨릭대학교 스트로마톨라이트
  12. 제주 수월봉 화산쇄설층
  13. 영덕 도천리 도천숲
  14. 나주 송죽리 금사정 동백나무
  15. 나주 상방리 호랑가시나무
  16. 제주 물장오리 오름
  17. 보은 용곡리 고욤나무
  18. 영양 무창리 산돌배
  19. 강릉 방동리 무궁화
  20. 옹진 백령도 연화리 무궁화
  21. 청주 연제리 모과나무
  22. 제주 도련동 귤나무류
  23. 창녕 우포늪 천연보호구역
  24. 신안 작은대섬 응회암과 화산성구조
1.#526 제주 사계리 용머리해안
  1. 의성 빙계리 얼음골
  2. 이밀양 만어산 암괴류
  3. 양양 오색리 오색약수
  4. 홍천 광원리 삼봉약수
  5. 인제 미산리 개인약수
  6. 화천 황쏘가리 서식지
  7. 부여·청양 지천 미호종개 서식지
  8. 진주 호탄동 익룡·새·공룡 발자국 화석산지
  9. 신안 압해도 수각류 공룡알 둥지 화석
  10. 경주 양남 주상절리군
  11. 포천 한탄강 현무암 협곡과 비둘기낭 폭포
  12. 독도 사철나무
  13. 광주 충효동 왕버들 군
  14. 경주개 동경이
  15. 합천 해인사 학사대 전나무
  16. 평포천 아우라지 베개용암
  17. 영월 무릉리 요선암 돌개구멍
  18. 제주 강정동 담팔수
  19. 대전 괴곡동 느티나무
  20. 제주 흑우
  21. 포항 뇌성산 뇌록산지
  22. 군산 산북동 공룡발자국과 익룡발자국 화석산지
  23. 정선 용소동굴
  24. 제주 흑돼지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51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

현 국립수목원의 전신으로 1988 서울 올림픽을 앞두고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식물원으로 세계인들에게 알리는 한편 국민들에게는 광릉숲의 중요성을 전파하고 전시원을 통해 나무와 풀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관람의 즐거움을 주고자 1987년 4월 개원했다. 1992년 생물다양성협약이 채택된 후 국제적으로 생물자원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정부는 우리나라 산림생물종의 다양성의 유지 증진과 이들 자원의 체계적인 수립 관리, 자원화 등에 관한 연구를 강화하고자 1999년 5월 24일 광릉수목원을 국립수목원으로 승격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광릉수목원의 경우 세조의 능림으로 설정된 뒤 500여 년간 정부 차원에서 보호되어온 아름다운 숲으로, 천연기념물 11호 광릉 크낙새 서식지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으며 위에서도 말했듯이 유네스코에도 지정한 생물권 보전 지역이다. 총 2,218㏊에 이르는 큰 면적에 광릉물푸레라는 고유 자생 식물을 비롯해 총 287종의 수목과 여기 고유 자생종인 광릉갈퀴·광릉골무꽃,광릉요강꽃 등 494종의 초류, 천연기념물 제197호로 지정된 고유종이자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 크낙새, 장수하늘소 등 2,880종의 동물과 3,344종의 식물이 서식하고 있는 국내 최대 규모의 수목원이다.[2] 가을에 가면 단풍이 정말 아름다우며, 계수나무가 많아서 특유의 달고나 향이 진동한다. 수목원 안에 태풍 곤파스로 쓰러진 나무를 치우지 않고 보존해 놓았다.

이름은 바뀌었지만 광릉수목원이라는 글씨가 새겨진 옛 표지석은 남아있다. 이 표지석은 서예가인 평보 서희환(平步 徐喜煥)선생이 쓴 글을 새겨 넣어 1986년 12월 1일에 제작되었다. 본래 수목원 정문 매표소 옆에 세워져 있던 표지석은 2022년 11월 14일 국립수목원 내 산림박물관 앞으로 옮겨졌다

3. 하는 일

당연하게도 수목원 관리는 물론 광릉숲 보전과 국내외 산림생물자원을 조사, 수집, 분류, 보전, 복원 및 관리를 하고 이를 자원화하는 연구사업을 하고 있다.

4. 관람 안내

국립수목원은 인터넷사전예약제로 운영되고 있다. 개장일은 화~일요일이며 월요일, 1월 1일 · 설 · 추석연휴에는 열지 않는다. 1일 방문객수는 한정돼 있으며 평일은 5,000명, 토요일과 휴일은 3,000명이다. 관람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동절기(11월~3월)는 5시) 까지며 입장마감시간은 폐장 1시간전이다.

관람료는 어른 1,000원, 청소년(13~19세, 대학생) 700원, 어린이(7~12세) 500원이다. 주차료는 버스 5,000원/일, 승용차 3,000원/일, 경차 1,500원/일 이다.

4.1. 산림박물관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국립박물관'''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or:#555"
파일:국회휘장.svg 국회
국회박물관
파일:국가정보원 로고.svg 국가정보원
안보전시관
파일:정부상징.svg 기획재정부
한국조폐공사 화폐박물관
관세청 관세박물관
국세청 국립조세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과학관 대전(중앙) · 과천 · 서울(어린이) · 광주 · 대구 · 부산 · 원주(강원)2025년 예정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박물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우주과학관
우정사업본부 / 서울중앙우체국 우표박물관
우정사업본부 / 우정공무원교육원 우정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외교부
외교사료관
파일:정부상징.svg 통일부
국립6.25전쟁납북자기념관
파일:정부상징.svg 법무부
검찰청 검찰역사관 · 국가형사사법기록관
파일:대한민국 국방부 심벌.svg 국방부
전쟁기념사업회 전쟁기념관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해군사관학교 해군사관학교박물관
공군사관학교 공군박물관
육군부사관학교 국립전사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행정안전부
경찰청 경찰박물관
소방청 국립소방박물관2025년 예정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 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
파일:정부상징.svg 국가보훈부
독립기념관 ·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 · 호남호국기념관
파일:정부상징.svg 문화체육관광부
대한민국역사박물관 · 국립한글박물관 · 국립한국문학관 · 국립세계문자박물관
국립박물관 서울(중앙) · 춘천 · 청주 · 공주 · 부여 · 전주 · 익산 · 광주 · 나주 · 대구 · 경주 · 진주 · 김해 · 제주 · 충주2026년 예정
국립현대미술관 과천(본관) · 서울 · 덕수궁 · 청주 · 대전2026년 예정
국립민속박물관 서울(본관) · 파주
국가유산청 국립고궁박물관 · 국립무형유산원 ·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 · 석조전 대한제국역사관 · 충무공이순신기념관 · 세종대왕역사문화관
국립문화유산연구원 천연기념물센터
국립해양유산연구소 해양유물전시관(목포(본관) · 태안)
국립국악원 국악박물관
국립중앙극장 공연예술박물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아시아문화박물관
국민체육진흥공단 국립스포츠박물관2026년 예정
대한체육회 한국체육박물관
태권도진흥재단 국립태권도박물관
한국영상자료원 한국영화박물관
한국저작권위원회 국립저작권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농림축산식품부
국립농업박물관
한국마사회 말박물관
산림청 국립산악박물관
산림청 / 국립수목원 산림박물관
국립농업과학원 잠사곤충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보건복지부
국립소록도병원 한센병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여성가족부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국립여성사전시관
파일:정부상징.svg 국토교통부
국립항공박물관 · 국토발전전시관
국토지리정보원 국립지도박물관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박물관
한국철도공사 철도박물관
새만금개발청 국립새만금간척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해양수산부
국립해양박물관 · 국립인천해양박물관 · 국립해양과학관 · 국립해양수산박물관2026년 예정
국립해양생물자원관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씨큐리움
한국항로표지기술원 국립등대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환경부
기상청 국립기상박물관 · 국립밀양기상과학관 · 국립충주기상과학관 · 국립대구기상과학관 · 국립전북기상과학관
파일:한국은행 심볼.svg 한국은행
화폐박물관
파일:국립박물관단지 흰색 심볼.svg 국립박물관단지
국가기록박물관 · 국립어린이박물관 · 국립도시건축박물관 · 국립디지털문화유산센터 · 국립디자인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정부대전청사 상설 및 특별전시관
발명인의 전당 · 조달전시관 · 정부조달상품문화전시장 · 통계전시관 · 숲사랑체험관 · 국가기록전시관 · 병무역사기록관 · 관세기록관 }}}}}}}}}


공식 홈페이지
  • 제1 전시실: 종류별 목재 표본 등
  • 제2 전시실: 목재 활용의 역사, 과정, 쓰임
  • 제3 전시실: 미디어 체험
  • 제4 전시실: 나무와 생태계
  • 제5 전시실: 기타 체험, 시청각실
  • 특별 전시실

4.2. 기타 전시

  • 열대식물자원연구센터 - 제한개방으로 1시간 간격으로 해설사와 동행으로 입장할 수 있다.
  • 난대식물온실

5. 교통

5.1. 버스

국립수목원
(41-045[3]/41-047[4])
일반버스

5.2. 지하철

6. 기타

차량으로 5분 거리에 세조 정희왕후의 능인 광릉 봉선사가 있다. 온 김에 같이 관람하면 좋다. 그렇다고 세트할인같은 건 없다.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의 포천~화도 구간이 이 광릉숲을 관통하고 지나가게 계획되어 논란이 일었다. #

국립수목원 방문 시 가장 빠른 경로는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내촌IC를 이용하는게 제일 빠르다. 의정부나 양주,동두천 등 진접읍 이북에서 오는 경우 광릉수목원로를 이용하는게 좋다.

과거에는 서울에서 국립수목원을 자동차로 방문하려면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퇴계원IC를 거친 뒤 47번 국도를 타고 가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진관-진건 구간이 진접, 진관 아파트단지의 생명줄이나 마찬가지이기에 이 구간에서 적지 않은 정체를 겪어야 했다. 그렇지만 세종포천고속도로 한강 이북구간의 개통으로 소흘IC를 거쳐 돌아가는 길이 열렸다. 서울 북부 또는 의정부시 거주자가 아니라면 이 길을 이용해 접근하는 것도 나쁘지 않은 선택이다.

과거에는 시베리아호랑이 등 한반도 서식 동물들을 사육하는 산림동물원이 있었으나 시설의 노쇠화를 이유로 2017년에 폐쇄, 철거되었다.

98번 지방도가 광릉과 국립수목원 사이를 관통하여서 차량의 통행에 따른 혼잡 및 대기 오염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2019년 6월 25일, 남양주시에서 광릉에 쓰레기 소각장과 산업단지를 건설하겠다고 밝혀 논란이 되고 있다. 네이버 뉴스 : "생태 보물 광릉숲에 산업단지 웬 말?"

7. 관련 영상


[1] 나무 종류의 변천이 거의 없고 안정된 상태 [2] 다른 국립수목원들의 5배 크기이다. 애초에 국립산림박물관 본관이 이 안에 있다. [3] 진접, 경복대학교 방면 [4] 포천, 의정부역 방면 [5] 배차간격은 약 2, 30분 가량이다. [6] 도보로 약 2km정도 거리로, '광릉숲길'이라는 산책로가 조성돼 있다. [7] 1번 출구로 나와서 주곡초교 방향 횡단보도를 건너면 정류장이 있다. [8] 해당 버스정류장에 경복대학 방면, 의정부역 방면 둘 다 정차하므로 잘 보고 탑승해야한다. (의정부역 방면 탑승) 가끔 행선판이 없는 버스도 존재하기에 그런 경우에는 기사님께 물어보고 탑승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3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