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7:09:22

소흘읍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0080c8>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소흘읍
가산면 군내면 관인면 내촌면
신북면 영북면 영중면 이동면
{{{#!wiki style="margin: -16px -11px" 일동면 창수면 화현면 }}}
법정동
<colbgcolor=#eee,#000> {{{#!wiki style="margin: -16px -11px" 동교동 선단동 설운동 자작동 }}}
{{{#!wiki style="margin: -16px -11px"
시청
신읍동
어룡동 }}}
}}}}}}}}} ||
포천시
소흘읍
蘇屹邑 | Soheul-eup
<colbgcolor=#0080c8><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경기도
기초자치단체 포천시
행정표준코드 5600010
관할 법정리 9리
하위 행정구역 37행정리 117반
면적 46.28㎢
인구 42,675명[1]
인구밀도 922.10명/㎢
정치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국회의원 | 포천시·가평군

김용태 (초선)
경기도의원 | 제2선거구

김성남 (재선)
포천시의원 | 나 선거구

김현규 (초선)

손세화 (재선)

안애경 (초선) }}}}}}}}}
행정복지센터 호국로 567 (송우리 495)
소흘읍 행정복지센터
1. 개요2. 역사3. 행정구역4. 관공서5. 생활6. 교통
6.1. 도로6.2. 철도6.3. 버스
7. 주요 시설
7.1. 기관7.2. 주거7.3. 문화7.4. 의료
8. 출신 인물9. 기타10.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경기도 포천시에 위치한 . 읍사무소 소재지는 송우리이다. 동쪽으로는 내촌면, 서쪽으로는 양주시, 남쪽으로는 의정부시 남양주시, 북쪽으로는 선단동과 가산면에 접한다.

포천시에서 내촌면과 함께 남쪽에 있는 행정구역이다.

소흘읍이 일반적으로 포천시의 번화가이지만, 예외적으로 외곽 지역 쪽은 포천의 다른 지역과 비슷하다. 대부분의 주거지와 주요 시설은 송우리에 집중되어 있다. 그래서 소흘읍 일대를 모두 통틀어서 송우리로 부르는 경우가 꽤 많은 편이다.[2] 송우리가 곧 소흘읍이고 소흘읍이 곧 송우리가 되는 셈.

2. 역사

  • 1895년 이전 남면이라 칭함. 조선조 고종 32년(1895년) 외소면(송우, 이동교, 무림, 직동, 이곡리일부)과 내소면(이가팔, 초가팔, 무봉, 고모, 이곡리 일부)을 통합하여 소흘면으로 변경
  • 1996년 2월 소흘면이 소흘읍으로 승격하였다.

3. 행정구역

법정리 행정리
고모리 고모1리, 고모2리, 고모3리
무림리 무림1리, 무림2리
무봉리 무봉1리, 무봉2리, 무봉3리
송우리 송우1리, 송우2리, 송우3리
송우4리, 송우5리, 송우6리
송우7리, 송우8리, 송우9리
송우10리, 송우11리
이가팔리 이가팔1리, 이가팔2리
이곡리 이곡1리, 이곡2리
이동교리 이동교1리, 이동교2리, 이동교3리
직동리 직동1리, 직동2리, 직동3리
초가팔리 초가팔1리, 초가팔2리

4. 관공서

5. 생활

읍이지만 포천의 실질적인 중심지라고 볼 수 있는 지역이다. 이미 시 승격 이전부터 포천 시내와 인구가 비슷했으며, 포천 내에서 의정부, 더 나아가 서울과 가장 가까운 지역이라는 점 덕택에 택지지구가 꾸준히 개발되어 시 승격을 전후해서는 시청 소재지인 포천동과 나머지 동 지역인 선단동에 비해 인구와 도시기반 모두 압도적으로 앞서게 되었다. 실제로 시청 소재지인 신읍동에는 존재하지 않는 홈플러스 등이 모두 송우리에는 입점한 상태이다. 여러모로 읍 지역이 동 지역보다 번화한 희귀 케이스.[3][4]

송우리 주위에 공장지대가 많기에 외국인 노동자들이 쉬는 주말 국제도시급의 위엄을 보여준다. 오히려 주말엔 지역사람보다 외국인 노동자들이 더 많다.

송우리 K마트에 가면 외국인이 손님의 절반이기도 하며 명성아파트 앞에 있던 중국집 "아방궁"이 옮겨가고 인도음식점이 최근에 생기기도 했다.

바로 옆동네가 양주시 양주신도시(옥정지구)와 고읍지구라서 무봉리나 송우리 남쪽은 양주 생활권으로 묶이기도 한다.

6. 교통

6.1. 도로

6.2. 철도

서울 지하철 7호선 705정거장 (2030년 예정)

6.3. 버스

33, 72, 72-3, 138번 등의 주요 노선과 서울로 나가는 3100, 3200, 3500, 3006, 1403번 광역버스가 모두 송우리를 지나가기 때문에 관내에서는 가장 편리하다고 볼 수 있다.[5]

7. 주요 시설

7.1. 기관

7.2. 주거

  • 대방노블랜드1차 2002.11.28 입주
  • 포천상운 1997.04.26 입주
  • 연봉마을영화아이닉스 2005.04.08 입주
  • 일신 1993.05.01 입주
  • 원일산호5차 1996.10.18 입주
  • 원일산호3차 1997.08.30 입주
  • 원일산호 1993.07.30 입주
  • 원일산호2차 1995.08.08 입주
  • 송우시그니엘타워 2019.09.06 입주
  • 어반팰리스 2017.08.17 입주
  • 전원우정 1997.03.11 입주
  • 금용로얄 1988.07.01 입주
  • 명성 1986.04.22 입주
  • 송우한국개나리 1994.12.31 입주
  • 태봉마을주공3단지 2005.03.15 입주
  • 송천마을뜨란채 2005.04.04 입주
  • 석향마을대방노블랜드 2005.12.13 입주
  • 포천송우1서희스타힐스 2021.01.11 입주
  • 태봉공원 푸르지오 파크몬트 2024.12 입주 예정

7.3. 문화

7.4. 의료

8. 출신 인물

9. 기타

파일:external/www3.ipcs21.com/%BC%D2%C8%A6.jpg
  • 한편 소흘과 소이 작은 글씨일 경우 잘 구별되지 않는 탓에 평소 자주 쓰는 단어인 '소홀(疏忽, '소홀하다'의 어근)'과 혼동하여 '소읍(Sohol-eup)'으로 읽어버리는 경우가 꽤 많다. 실제로 포털 사이트에서 '소홀읍'을 검색해 보면, 소흘읍과 관련된 수많은 결과를 볼 수 있다.[6] 심지어 네이버에 '소홀읍'으로 검색해봐도 아무런 검색어제안 문구가 뜨지 않으며, 이미지, VIEW 검색 등으로 해봐도 '소흘읍으로 검색한 결과입니다'가 아닌 '소흘읍으로 검색하시겠습니까?'라고 뜰 정도. 심지어 이웃한 양주시에서는 위의 사진과 같이 소흘읍으로 향하는 도로 표지판에 '소홀읍'이라 쓰고, 로마자로 'Sohol-eup'이라 표기하는 짓을 저지른 적도 있다. # 황당하게도 소흘읍 관내에 소재한 모 식당 지점도 소홀읍점이라고 대놓고 적고 있고, 각종 상점의 후기 글만 봐도 소홀읍, 유력일간지도 소홀읍이라고 적은 사례가 한두 개가 아닐 정도로 소홀읍은 소흘읍의 분신으로 활발하게 활약하고 있다. 이미 일종의 병기명이 되어버린 이상 포천시 측이 전국적인 표기운동을 벌이지 않는다면 소홀읍은 여전히 우리 사이에서 살아 숨쉴 것이다.

10. 관련 문서


[1] 2024년 6월 주민등록인구 [2] 특히 송우리에 인접한, 상설 가구, 의류단지가 가장 밀집해있는 이동교리 일대는 거의 대부분의 주민들이 송우리로 뭉뚱그려서 지칭하는 편이다. [3] 안성시도 안성시내보다 공도읍 지역 인구가 많지만 포천과 달리 그리 크게 차이나지는 않는다. 2022년 7월 인구를 보면 포천의 경우 소흘읍 45,099명 > 동 지역 33,884명, 안성의 경우(2022년 6월 기준) 공도읍 60,028명 < 동 지역 60,679명. 안성의 경우 동 지역이 역전된 이유는 공도는 스타필드가 입점하긴 했으나 원래부터 인구가 많았고 그 외에 개발이 부진한 탓도 있으나 안성은 아양지구를 필두로 중심 상권이 서인사거리에서 안성 CGV 주변으로 이동하기 시작했고, 옥산동, 당왕동, 석정동, 아양동 일대의 개발로 인구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4] 포천과 같은 시기에 시로 승격한 경기도 양주시도 시청소재지인 양주읍보다 회천읍의 규모가 더 커서 이런 케이스에 해당될 뻔했지만, 회천읍은 시 승격과 동시에 시청 소재지인 양주읍과 함께 분동되었다 [5] 단, 예외는 직동리랑 이곡리, 무림리로, 여기는 21번 버스만이 제대로 다니고, 정작 포천 버스는 큰 비중이 없다. [6] 비슷한 예로 손흥민을 손홍민으로 잘못 쓰는 것을 들 수 있다. 지금은 워낙 유명해져서 그런 경우는 많이 줄어들었지만 데뷔 초기만 해도 손홍민이라 하는 경우가 많았다. 홋카이도의 경우는 홋카이도가 아니라 훗카이도로 잘못 쓰는 경우가 많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4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