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1 10:55:24

핀란드 대공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선사 ~ 근세 근대 현대
핀족 스웨덴의 속령 핀란드 대공국 핀란드 왕국
핀란드 사회주의 노동자 공화국
핀란드 공화국
스웨덴 제국 러시아 제국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003580> 상징 <colcolor=#000,#fff> 국가 · 국기
역사 역사 전반 · 핀란드 대공국 · 핀란드 왕국 · 핀란드 내전 · 겨울전쟁 · 계속전쟁 · 라플란드 전쟁
정치 정치 전반 · 핀란드 대통령 · 핀란드 총리 · 핀란드 의회 · 정부 · 핀란드/행정구역
외교 외교 전반 · 핀란드 여권 · 유럽연합 · 북유럽 협의회 · 북극이사회 · 파시키비-케코넨 독트린 · 핀란드화
경제 경제 전반 · 핀란드 마르카(폐지) · 유로 · 노키아 · 슈퍼셀
교통 철도 환경( 노선) · 헬싱키 노면전차 · 헬싱키 지하철 · 탐페레 노면전차 · 고속도로 · 국도
국방 핀란드군 · 북대서양 조약 기구 · 징병제/핀란드
치안·사법 핀란드 경찰
교육 교육 전반 · 윌리오필라스툿킨토 · 헬싱키 대학교 · 알토 대학교
언어 핀란드어 · 스웨덴어 · 사미어 · 카렐리야어 · 발트핀어군
문화 요리 · 핀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 핀란드 신화 · 칼레발라 · 핀란디아( 장 시벨리우스) · 자일리톨 · 헤스버거 · 사우나 · 무민 · 산타클로스 · 킬유 · 살미아키 · Ievan Polkka · 요우힉코 · 헤비사우르스 · 나이트위시 · 스트라토바리우스 · 루터교회( 핀란드 복음주의 루터교회)
민족 핀인 · 핀란드/인구 · 스웨덴계 핀란드인 · 러시아계 핀란드인 · 핀란드계 미국인 · 핀란드계 캐나다인 · 카렐인( 핀란드계 러시아인) · 핀란드계 스웨덴인 · 핀란드계 호주인
}}}}}}}}} ||
핀란드 대공국
Suomen suuriruhtinaskunta
Storfurstendömet Finland
Великое княжество Финляндское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러시아 제국 괴뢰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핀란드 대공국 국장.svg
국기[1] 국장
파일:핀란드 대공국(1914).svg
1914년 당시 핀란드 대공국의 영토
1809년 ~ 1917년
성립 이전 멸망 이후
스웨덴 핀란드 왕국
핀란드 사회주의 노동자 공화국
위치 핀란드, 러시아 일부
수도 아보1809~1812
겔신크포르스1812~1917
인구 1870년 180만 명
정치 체제 군주제
국가 원수 대공[2]
언어 스웨덴어, 핀란드어[3], 러시아어
민족 핀인[4], 스웨덴인, 카렐인, 러시아인
통화 스웨덴 릭스달레르(1809-40)
러시아 루블(1840-65)
핀란드 마르카(1865-1918)
주요 사건 1809년 성립
1917년 핀란드 왕국으로 독립, 멸망

1. 개요2. 역사3. 대공

[clearfix]

1. 개요

현대 핀란드의 전신이 되는 대공국. 명목상으로는 독립된 대공국이었지만 러시아 황제가 핀란드 대공을 겸하는 동군연합이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러시아 제국에 포함된 괴뢰국이었다.

2. 역사

핀란드는 중세부터 오랫동안 스웨덴의 일부[5]였으나 1721년 대북방전쟁을 끝낸 뉘스타드 조약, 하타르당의 전쟁을 끝낸 1743년 오보 조약으로 카리알라 일대를 러시아 제국에 빼앗겼다. 나폴레옹 전쟁 도중 스웨덴과의 핀란드 전쟁에서 승리한 러시아는 1809년 프레드릭스함 조약으로 스웨덴으로부터 핀란드를 완전히 빼앗았다. 그러나 러시아 지배를 반대하는 스웨덴계 핀란드인 지도층의 봉기를 우려하여 러시아는 핀란드에 광범위한 자치권을 부여하였다. 스웨덴은 1772년 스웨덴 국왕 구스타브 3세가 만들었던 헌법으로 입헌군주국이 되었는데[6], 이 헌법이 핀란드에도 동일하게 적용되었기 때문에 러시아도 스웨덴의 헌법을 존중해 주었다.

러시아는 스웨덴에게서 획득한 핀란드에 대공국을 수립했고 러시아 제국의 황제가 핀란드의 대공을 겸하는 동군연합 형식을 취했으며, 핀란드 대공국을 입헌 군주제 국가로 삼았고, 핀란드에 총독을 파견하기는 했으나 독자적인 의회와 정부를 갖는 것을 인정하였다. 이는 러시아 제국의 다른 지역에서는 상상도 할 수 없는 훨씬 높은 수준의 자치권이었고 상대적으로 유화적인 통치였다.

그러나 러시아 제국이 본질적으로는 전제군주제였기 때문에 핀란드의 자치권이 항상 완전하게 보장되었던 것은 아니었다. 의회는 차르의 필요에 의해 소집되다 해산되기를 반복했으며, 1820년대에 아르세니 자크렙스키(Арсений Закревский) 총독은 핀란드 자치에 호의적이었던 알렉산드르 1세가 죽은 틈을 타 러시아화 정책을 적극 추진했다. 많은 유럽 국가가 입헌군주제를 채택하고 타협을 시도하는 와중에도 러시아는 전제군주제를 고집했고 이에 대한 핀란드인의 불만은 상당했다. 특히 1848년 혁명은 이러한 불만을 확산시켰다. 이런 상황에서 핀란드 민족주의가 대두하여 핀란드의 민족 서사시 《 칼레발라》가 편찬되었고, 불안하게 여기던 러시아 제국 정부와 핀란드에 남아있는 스웨덴계 귀족들[7]이 핀란드 민족주의를 탄압했다.

이후 북유럽에서 등장한 범스칸디나비아주의의 쇠퇴, 알렉산드르 2세의 관용 정책과 근대화 정책을 계기로 핀란드 민족주의는 잠시 소강 상태에 접어들었다. 그러나 알렉산드르 2세는 사회주의자들에게 암살당했고, 아버지의 암살을 본 알렉산드르 3세는 반동 정책과 강력한 소수민족 러시아화 정책, 소수민족의 민족주의 탄압 정책, 또한 핀란드에서 본국과도 견줄 수 있을 만큼의 경제 발전을 이루자 경제를 흔드는 정책을 펼치는 등 많은 핀란드인의 반감을 샀다. 이러한 정책은 알렉산드르 3세에 뒤이어 즉위한 니콜라이 2세 치세에도 강력하게 추진되었다. 결국 핀란드 총독을 역임하고 있던 니콜라이 보브리코프(Николай Бобриков)[8]가 에우겐 샤우만(Eugen Schauman)에 의해 암살당했다.

1905년 러시아 제국이 러일전쟁에서 패하면서 핀란드 민족주의가 다시 대두되었다. 러일전쟁의 패배와 피의 일요일 사건으로 러시아는 국가적 동요를 겪었으며, 핀란드에서도 대규모 봉기가 일어났다. 이 봉기는 진압되었지만 니콜라이 2세는 제한적인 개혁을 받아들였으며, 1906년 핀란드에 새로운 의회가 설치되었다. 이 의회는 24세 이상 모든 남녀의 선거권/ 피선거권을 인정[9]하는 등 당대 서유럽에 비해서도 상당히 파격적인 의회 민주정을 도입했다. 그러나 니콜라이 2세의 성향은 바뀌지 않아서 여전히 의회는 소집되다 해산되기를 반복했다. 그래도 이때 반왕정 사회주의 정당인 핀란드 사회민주당이 30%를 넘는 지지를 받고 의회에 진출하는 등 변화가 생겨나기 시작했다.

1917년 러시아 혁명을 계기로 러시아 제국이 몰락하면서 러시아 제국 각지의 민족주의 세력이 독립을 선포하였다. 핀란드 의회도 1917년 12월에 핀란드의 독립과 니콜라이 2세의 폐위를 선언했다.

그러나 사회주의 세력이 장악한 의회를 불안하게 여긴 보수주의 세력이 폭력으로 사회주의 세력을 위협하고 러시아 공화국의 힘을 빌려 자신들의 영향력이 적었던 의회를 해산하자, 사회주의 세력은 크게 분노했고 대립이 격화되었다. 의회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는 힘을 쓸 수 없다고 생각한 사회주의 세력은 핀란드 사회주의 노동자 공화국을 선포했고, 보수주의 세력은 핀란드 왕국을 선포하며 적핀란드와 백핀란드 간의 내전이 발발, 피비린내나는 전쟁 끝에 빌헬름 2세 독일 제국군이 핀란드에 상륙하고 백핀란드군과 함께 핀란드 적위대를 잔혹히 학살하며 끝을 맺었다.

3. 대공

파일:핀란드 대공국 국장.svg
핀란드 대공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fff 20%, #fff 80%, #fff); color:#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로마노프 왕조
<rowcolor=#fff>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알렉산테리 1세 니콜라이 1세 알렉산테리 2세 알렉산테리 3세
<rowcolor=#fff> 제5대
니콜라이 2세 }}}
}}}}}}

대수 이름[10] 생몰 재위
1 알렉산드르 1세
알렉산테리 1세
알렉산데르 1세
Александр I
Aleksanteri I
Alexander I
1777.12.23
~
1825.12.1
1809.3.29
~
1825.12.1
2 니콜라이 1세
니콜라이 1세
니콜라이 1세
Николай I
Nikolai I
Nikolaj I
1796.7.6
~
1855.3.2
1825.12.1
~
1855.3.2
3 알렉산드르 2세
알렉산테리 2세
알렉산데르 2세
Александр II
Aleksanteri II
Alexander II
1818.4.29
~
1881.3.13
1855.3.2
~
1881.3.13
4 알렉산드르 3세
알렉산테리 3세
알렉산데르 3세
Александр III
Aleksanteri III
Alexander III
1845.3.10
~
1894.11.1
1881.3.13
~
1894.11.1
5 니콜라이 2세
니콜라이 2세
니콜라이 2세
Николай II
Nikolai II
Nikolaj II
1868.5.18
~
1918.7.17
1894.11.1
~
1917.3.15

[1] 국기는 따로 없이 제정 러시아 국기를 그대로 썼다. [2] 러시아 제국 황제 겸임 [3] 1863년부터 공용어. [4] 스웨덴계 핀란드인 포함. [5] 핀란드에는 스웨덴이 설치한 단위 행정구역이 존재했으며, 양국은 덴마크-노르웨이 왕국처럼 별개의 국가가 아니었다. 스웨덴 시절 만들어진 행정구역 단위는 일부 개편되어 현재까지 핀란드의 행정구역으로 이어지고 있다. [6] 다만 스웨덴의 1772년 헌법(regeringsform)은 말만 입헌군주국이었지 실제로는 왕권을 강화하는 법이었다. 스웨덴이 진정한 입헌군주국으로 정착한 것은 후대의 오스카르 1세~ 칼 15세 대에 들어서였다. [7] 스웨덴계 귀족들은 핀란드 민족주의의 영향을 받은 페노마니아(fennomania)와 스웨덴의 전통과 문화를 고수해야한다는 스베코마니아(svecomania)로 나뉘었는데 초창기에는 스베코마니아가 더 우세했으나 강압적인 러시아화를 추구한 알렉산드르 3세 이후로는 페노마니아 세력이 스베코마니아 세력을 압도했다. [8] 핀란드의 군가 몰로토프는 안돼의 가사에 등장하는 보브리코프가 맞다. [9] 국가에 준하는 정치 체제로서 여성의 피선거권을 인정한 건 이 때가 세계 최초다. [10] 러시아어/핀란드어/스웨덴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