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5 18:32:46

팝콘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팝콘(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bb133e>고기류 치킨, 프라이드치킨, 버팔로 윙, 비어 캔 치킨, 치킨너겟, 바비큐, 칠면조 구이, 스테이크 - 포터하우스, 스팸, 터덕킨
빵류 햄버거, 당근 케이크, 치즈케이크, 브라우니 - 대마초 브라우니, 도넛, 레드 벨벳 케이크, 컵케이크, 머핀, 사과 파이, 몬테크리스토 샌드위치, 베이글, 시카고식 피자, 시폰케이크, 팬케이크, 옥수수빵, 핫도그, 콘도그, 피넛 버터 앤드 젤리
밥류 잠발라야, 캘리포니아 롤, 무스비
면류 치킨누들수프, 크림소스 스파게티, 마카로니 앤 치즈
해산물류 랍스터 롤, 시푸드 보일, 크랩 케이크, 포케
과자류 비스킷, 초코칩 쿠키, 팝콘, 나초, 시리얼, 오레오, 감자칩
액체류 콘수프, 호박죽, 콜라, 카페 아메리카노, 카페라테, 밀크셰이크
기타 바나나 스플릿, 베이크드 빈즈, 검보, 클램차우더, 그래놀라, 나폴리탄 아이스크림, 땅콩버터, 루트비어, 마시멜로, 스모어, 스크램블드에그, 아메리칸 브렉퍼스트, 에그 베네딕트, 치즈볼, 치즈스틱, 해시 브라운, 웨지 포테이토, 감자 샐러드, 미국식 중화 요리, 하와이 요리
}}}}}}}}}


팝콘
Popcorn
<nopad>파일:팝콘 파티.jpg
<colbgcolor=#ffffff,#1c1d1f><colcolor=#ff8c00,#ff8c00> 유형 과자
국가·지역
[[미국|]][[틀:국기|]][[틀:국기|]] 미국
발상 미국
재료 튀김 옥수수(폭렬종, 폭립종, 쥐이빨옥수수)

1. 개요2. 만드는 원리3. 분류
3.1. 형태별 분류3.2. 종류
4. 브랜드
4.1. 미국 브랜드
4.1.1. 전자레인지용4.1.2. 매장
4.2. 한국 브랜드
5. 역사6. 특징
6.1. 영화관과 팝콘
6.1.1. 가격 논란
7. 성분8. 매체9. 비슷한 음식10. 여담11. 언어별 명칭

[clearfix]

1. 개요

🍿 / Popcorn

옥수수를 튀긴 음식. 바삭바삭해서 과자같은 식감이 느껴진다. 전자레인지로 튀기든 후라이팬으로 튀기든 간에 짧은 시간 안에 간단하게 만드는 간식 중 하나다.

가장 오래된 옥수수 가공식품인 동시에, 가장 대중적인 현대 간식이기도 하다. 사실, 컵에다가 담아먹는 등의 오늘날 팝콘은 현대에 들어서 만들어진 것이라 역사가 얼마 되지 않았다.

2. 만드는 원리

튀김옥수수(폭렬종 또는 폭립종: pop corn) - 쥐이빨옥수수라고도 불리며, 옥수수의 품종 중 가장 작고 가장 볼품없는 외관을 하고 있지만, 오로지 이 품종으로만 팝콘을 만들 수 있다. 다른 품종으로 팝콘을 만들려고 시도하면 절대로 팝콘이 만들어지지 않고, 굳이 다른 품종을 팝콘과 비슷하게 만들려면 뻥튀기 기계에 넣고 뻥튀기를 만드는 수밖에 없다.

팝콘을 처음 접하면 노란색의 납작한 모양의 옥수수 낱알이 어째서 튀기면 하얗고 동그래지는지 신기해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팝콘이 튀겨지는 원리는 옥수수 낟알 속에 존재하는 수분, 유분과 관련이 있다. 수분과 유분은 가열하면 증기로 변해 빠져나오는데, 폭열종 옥수수는 껍데기가 단단해 수분과 유분이 증기 상태로 갇혀 밖으로 빠져나오지 못한다. 내부 압력이 올라가게 되고 온도가 약 180도 정도가 되면 내부 압력이 930kPa(약 9.2기압) 정도까지 올라가 압력과 온도를 버티지 못하고 뻥! 하고 터지면서 내부에서 끓었던 단백질 전분이 거품으로 올라온다. 그래서 거품이 순식간에 굳으면서 팝콘이 된다.
팝콘이 튀겨지는 순간을 고속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모든 종류의 옥수수가 팝콘 만들기에 적합한 것은 아니고, 보통 팝콘의 재료는 '폭열종'이나 '폭립종'을, 토종 옥수수 중에서는 '쥐이빨 옥수수'를 쓰거나 일반 옥수수를 말려서 쓴다. 다른 품종들에 비해 비교적 단단하고 수분이 낟알의 중심부에 저장되어 가열하면 수분이 팽창하며 터지기 때문이다.

이런 폭열종 옥수수를 칭하는 단어 자체도 팝콘일 정도. 이름의 유래부터가 펑!(Pop)+ 옥수수(Corn Maize)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Pochoclo1.jpg
폭열종 옥수수 낟알과 팝콘으로 튀겨진 후의 비교

3. 분류

엄밀히 따지면 강냉이, 뻥튀기 같은 것도 팝콘과 계보가 같다. 곡물에 높은 열과 압력을 가해 뻥튀긴다는 원리는 거의 비슷하다. 폭열종 특유의 껍질 때문에 딱히 강한 압력용기 없이도 만들 수 있고 옥수수 품종이 다르다보니 튀겨놓은 식감이 다르고 겉에 묻히는 양념이 다를 뿐이다.

3.1. 형태별 분류

파일:버터플라이형 팝콘 머쉬룸형 팝콘.jpg
버터플라이형(좌)과 머쉬룸형(우) 팝콘
팝콘을 튀긴 후의 모양에 따라 버터플라이형과 머쉬룸형으로 나뉜다. 버터플라이형은 알갱이 모양이 서너 갈래로 나뉘어 튀겨진 모양이고 머쉬룸형은 뻥튀기(강냉이)처럼 두껍고 동그랗게 튀겨지는 모양이다. 버터플라이형은 머쉬룸형보다 식감이 바삭하며 아예 튀기기 전에 집어넣거나 다 튀긴후에 위에 대충 뿌려도 되는 짠맛 시즈닝을 입히는 용도로 사용한다. 머쉬룸형은 캐러멜이나 초콜릿등의 단맛을 입히는 용도로 주로 사용한다. 시럽을 입히거나 과립형태의 가루를 끼얹어 버무려야 하기 때문에 이런 걸 만드는 데에는 머쉬룸형이 부서지지 않고 적합하다.

영화관에서 팝콘을 사보면 맛에 따라 팝콘 형태가 두 종류라는것을 눈치챘을 것이다. 이 두 형태는 튀기는 옥수수 종류가 약간 다르니 사기 전에 잘 알아보고 사야 한다. 식감도 좀 달라서 버터플라이형이 좀 더 바삭하고 머쉬룸형은 약간 푸석한 편이다. 또한 온도 등 조리 조건에 따라 머쉬룸용 옥수수도 머쉬룸형으로 깔끔하게 나오지 못하고 버터플라이형처럼 튀겨지는 경우도 제법 많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보통 캐러맬 팝콘이 이래저래 만들기가 번거로워 가정에서 잘 만들지 않기 때문에 시중에 나오는 소포장으로 소분된 팝콘용 옥수수는 대부분 버터플라이형이고 머쉬룸형은 드물다. 머쉬룸형은 보통 업소용 10kg짜리같은 대용량으로 알아봐야 구할 수 있다. 같은 양을 튀길 경우 머쉬룸형이 20%정도 부피가 더 크게 나오고 범용성이 좀 낮은 캐러멜 팝콘용이기 때문에 머쉬룸용 옥수수가 조금 더 비싼 편에 속한다.

3.2. 종류

팝콘도 꽤 종류가 다양하다. 한국 일본을 비롯한 동아시아권에서 먹는 팝콘 옥수수는 대부분 미국산이다. 각각 국산 옥수수를 쓸 수 있겠지만 미국산 옥수수가 가격이 싸고 단가와 원가가 저렴하기 때문이다. 유럽도 미국산 옥수수를 쓸 때가 있지만 스페인, 이탈리아, 독일 등지에서는 자국 위주의 팝콘용 옥수수가 개발되어 있기 때문에 미국산 옥수수를 잘 수입하지 않는다.
  • 솔티드 팝콘 - 말 그대로 버터대신 식용유와 소금을 친 팝콘. 가장 단순한 종류로서 가정에서 팝콘용 옥수수를 사다가 해먹거나 업소에서 직접 제조할 경우 이 형태가 된다. 가장 단순하지만 고소한 맛과 짭짤한 맛이 어울린다. 솔티드 팝콘이 정식 명칭이긴 하지만 식품업체에서 제품으로 판매할때는 '오리지널'이라는 이름으로 출시하는 경우가 많다. 솔티드 팝콘이라는 이름때문에 담백하고 버터 팝콘보다 칼로리가 낮을 것이라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버터시즈닝의 향미를 대신하기 위해서 소금과 식용유를 다량 투입하기 때문에 일부 유기농 팝콘류를 제외하면 대부분은 의외로 버터팝콘보다 칼로리가 높다.
  • 버터맛 팝콘 - 영화관 등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가장 일반적인 팝콘. 영화관 같은 데서 사먹다 보면 버터 색깔에 물든 노란 팝콘도 간혹 보인다. 물론 전자랜지용 즉석팝콘이나 영화관 등지에서 만들어 파는 진한색감과 향의 버터맛 팝콘은 버터향과 색감을 흉내낸 팝콘전용 쇼트닝과 시즈닝 솔트를 이용해서 튀긴다. 가정에서 만들 때는 버터를 팬에 녹이고 옥수수를 넣거나 옥수수 위에 버터 덩어리를 군데군데 올려주면 된다. 다만 버터가 일반적인 식용유들보다는 타는점이 낮기 때문에 불조절을 잘 해야된다. 상술한 영화관 팝콘처럼 진한노란색으로 잘 물들지도 않고 상황에 따라선 깔끔한 버터향이라기보단 소기름(우지)에 가까운 풍미 내지는 비린내가 나기도 해서 생각외로 버터가 있다고 흔히 생각하는 버터맛 팝콘을 만들기는 힘들다. 버터맛을 집에서 더 강하게 내고 싶으면 다 튀겨진 후 버터를 좀 더 추가로 넣어서 섞어주면 좋다.
  • 캐러멜 팝콘 - 팝콘에 캐러멜 소스 혹은 캐러맬 시즈닝을 뿌려 코팅한 팝콘. 짭짤한 팝콘과 달콤한 캐러멜 소스가 어우러진 맛이 좋고 카라멜 덕에 그냥 팝콘보다 바삭바삭해 인기가 많아 버터 팝콘과 양대산맥을 이루고 있다. 하지만 너무 달아서 싫어하는 사람도 있는 듯. 다른 팝콘들에 비해 대조적으로 짠 맛을 낼 필요가 없으므로 나트륨의 함량은 적다. 영화관 뿐만 아니라 매점, 편의점, 놀이공원에서도 볼 수 있다. 편의점의 경우 대표적으로 씨유에서 천원에 판매중이다. 또한 놀이공원에서 캐러맬 팝콘으로 유명한 곳은 에버랜드. 솔티드, 버터팝콘 취향인 사람들도 에버랜드 캐러맬 팝콘은 맛있어한다.
  • 치즈 팝콘 - 팝콘에 치즈맛 가루를 뿌린 과자. 짭짤한 팝콘에 고소한 치즈맛까지 더해져 매우 일품이지만 많이 먹으면 느끼한 데다 속도 부대껴져서 캐러멜만큼 인기는 높지 않다. 콜라랑 같이 먹는 것을 추천.
  • 시카고 스타일 믹스 - 시카고 가레트팝콘에서 처음 개발한 치즈 팝콘과 캐러맬 팝콘을 1대 1로 섞은 조합의 팝콘. 캐러맬의 단 맛을 치즈가 잡고 치즈 팝콘의 짭짤함과 느끼함을 캐러맬이 잡는 구조다. 미국에서 인기가 높다. 대한민국에도 시카고 스타일 믹스를 맛볼 수 있다 가레트 팝콘은 롯데월드몰 지하 1층에 있다. S사이즈에 4,200원 정도. 코스트코에서는 G.H.Cretors의 시카고 클래식 팝콘을 판매한다.
  • 아몬드, 피컨, 마카다미아, 캐슈넛 등등의 견과류 믹스 팝콘 - 캐러맬 팝콘의 파생형. 캐러맬을 입힌 팝콘과 함께 캐러맬을 입힌 견과류를 섞었다. 역시 가레트 팝콘 샵의 특매품들이다.(PDF파일, 한국어) 캐러맬 팝콘의 단맛을 역시 고소하고 짭짜름한 견과류가 잡는 구조이다. 가격이 비싸다. 마카다미아의 경우 1갤런에 47달러.[1]
  • 초콜릿 팝콘 - 팝콘에 초콜릿 소스를 부은 과자. 초콜릿 마니아들한텐 인기가 좋은 팝콘이며 아직까진 시중에 판매되는 수준인데 영화관 중에서는 CGV에서 밀크 초콜릿 화이트초콜릿을 입힌 더블 초콜릿 팝콘을 일부 지점에서 팔고 있다.
  • 어니언 팝콘 - 팝콘에 양파맛 가루를 첨가한 과자. 처음엔 전자렌지용 팝콘으로만 판매되었지만 요샌 영화관에서도 판매하고 있다. 팝콘 덕후들이 가장 많이 찾는 팝콘으로 영화관에 오면 이것만 먹는 사람들도 있을 정도로 어느 정도 마니아층이 있다.
  • 컬러 팝콘 - 다양한 색깔로 이루어진 팝콘. 대강 초코맛, 딸기맛, 바나나맛, 멜론맛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옛날엔 영화관에서도 팔았지만 지금은 시중에서 간간히 볼 수 있는 수준. 대표적으로는 커널스팝콘 등등이 있으며, 롯데마트에서 이걸 팔아서 짭짤한 효과를 봤다.
  • 치토스 팝콘 - 롯데시네마에서만 판매하는 팝콘 치토스 과자에 팝콘을 넣었다. 치토스가 롯데에서만 판매하니까 당연하다.
  • 콘소메맛 팝콘 - 팝콘에 콘소메맛 가루를 뿌린 과자. 편의점에서 판매한다. 대표적으로 씨유에서 60g 정도를 천원에 판매중. 짭짤하면서도 은은한 옥수수향[3]이 계속 손이 가게 만든다. 게다가 양이 생각보다 많아서 가성비 최강의 편의점 과자중 하나.
  • 허니버터맛 팝콘 - 2014년 말 한국에서 폭발적으로 유행하기 시작한 허니버터칩의 인기에 편승하자는 의도로 일부 업체에서 만들어 판매하는 팝콘. 버터와 함께 들큰한 단내가 화악 퍼지는데, 강력한 단맛을 다시 짠맛으로 덮고 버터향으로 버무린 듯한 맛이다.
  • 간장 치킨맛 팝콘 - 팝콘에 간장치킨 특유의 맛이 나는 가루를 넣은 과자. 씨유에서 1000원에 판매중이다. 달콤 짭조름한 맛이며 중독성이 매우 강하다. 간장 치킨맛 과자들이 조금씩 인기를 끌면서 나타난 팝콘류 과자이다.
  • 김치맛 팝콘 - 팝콘에 김치맛 시즈닝을 뿌린 과자. CGV에서 서울시스터즈와 협업하여 팔고 있다. 맛은 매우면서도 달다.
  • 트러플 팝콘 - 팝콘에 트러플 오일 베이스 시즈닝을 뿌린 과자. 트러플 사용 요리가 그렇듯 호불호가 갈린다.
  • 허리케인 팝콘 - 하와이 특산물 팝콘으로, 아라레와 팝콘을 섞고 거기에 후리카게를 뿌려서 만드는 팝콘이다. 요즘은 맛이 다양해져서 김치맛 허리케인 팝콘 같은것도 있다.

4. 브랜드

유명한 브랜드로는 1981년 미국에서 출시된 'ACT Ⅱ'가 있다.[4] 한국에서는 1990년대부터 백화점의 수입식품 코너에서 찾아볼 수 있었으나, 트랜스 지방에 대한 위험성이 알려지면서 쥐도새도 모르게 사라졌다. 이후 2010년대 들어 버터향만 들어와 판매 중이다.

멕시코의 'ACT Ⅱ'[5] 한국보다 맛이 엄청나게 다양하다. 예를들면 기본 버터맛부터 내츄럴, 할라페뇨맛, 칠리 & 라임맛, 저칼로리 버터맛, 버터 엑스트라맛, 캐러멜맛 등 상당히 많다.

4.1. 미국 브랜드

4.1.1. 전자레인지용

전자레인지용 팝콘의 고장답게 여러 전자레인지용 브랜드가 존재한다. 하지만 정식으로 팝콘기계에 넣는 것만큼 버터도 좋은 버터를 사용하지 않고 양념과 옥수수 질도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그만큼 가격이 싸기도 하다[6]. 또한 저 밑의 셋을 포함한 일부 브랜드에서 '전자렌지의 팝콘 버튼을 쓰지 마세요'라는 문구를 볼 수 있는데, 이는 웬만한 전자레인지의 팝콘 모드는 브랜드별로 설정 차이가 있어 팝콘이 제대로 조리되지 않거나 타버릴 수 있기 때문이다.[7]
  • ACT II에서 다양한 팝콘들을 볼 수 있다.
    • 가장 저렴한 제품으로 한국의 슈퍼마켓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는 팝콘이다.
  • Pop Secret
    • LA의 디즈니 랜드와 디즈니 월드에 공급되는 브랜드이기도 하다.
    • ACT II 보다 나은 맛을 자랑한다.
  • Orville Redenbacher's[8]
    • 미국에서 팝콘계의 대명사이기도 하다.
    • ACT II 보다 월등히 우월한 맛을 자랑한다.

4.1.2. 매장

미국 시카고에서 탄생한 가렛팝콘은 공산품이 아닌 수제 팝콘으로 매장에서 판매한다. 한국에도 롯데월드몰에 매장이 있다. 영화관처럼 얇게 코팅된 것이 아닌 두껍게 코팅된 카라멜 팝콘과 치즈팝콘의 조화가 단짠단짠이라는 아름다운 맛을 이끌어내 매우 일품이라는 평. 흠이라면 크고 아름다운 가격(...)

뿐만 아니라, 시카고에서는 Nuts on Clark라는 매장 또한 존재한다. 이 매장 역시 도시에 존재할뿐더러, 오헤어 공항에도 있다. 입국한 후에 출출하면 짐을 다 찾고 나온 후 왼쪽에 매장이 있다. 다만 공항인 관계로 맛에 대한 보장은...

4.2. 한국 브랜드

대한민국에서 유명한 팝콘 브랜드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전자레인지에 직접 돌려서 튀기는 방식의 팝콘으로, 사조참치 만드는 사조산업의 '로하이 팝콘'[9]과 이미 튀겨져 판매하는 방식의 팝콘으로 제이앤이(J&E)의 '커널스 팝콘'이 있다. 이 팝콘 회사는 사실상 국내 팝콘 시장의 95%를 점유하고 있어 편의점, 대형마트 등 주변에서 볼 수 있는 국산 팝콘은 상표나 제품 이름이 달라도 사실상 이 회사가 전부 생산하고 있다.

크라운제과에서도 듀팝스 팝콘을 만들었으나 인지도가 떨어졌으며, 그 때문인지 어느 순간부터 단종된 상태이다. 과거에는 두라푸드라는 회사로 부터 납품받는 방식이었으나 나중에는 제조원이 크라운제과로 바뀐 듯. 사실 이 두라푸드라는 회사는 크라운해태그룹의 실질적 지주회사이다. 윤석빈 사장이 최대주주로 해태/크라운제과 제품인 연양갱과 웨하스를 위탁 생산하면서 오너 일가의 지배 구조를 강화하고 있다.

5. 역사

가공식품이다보니 근현대에 나온 음식 같아 보이지만, 사실은 멕시코 원주민들에게서 유래되어 이로쿼이 등 미국 원주민들까지 즐긴 매우 유서깊은 전통 요리이다. 멕시코 원주민들은 이를 모모치틀리(momochitli)라 부르며 음식겸 장식물로 사용했다.

낱알의 껍질이 얇은 품종이 개발되기 전까지 옥수수의 껍질은 지금보다 두껍고 딱딱하고 질겼으며, 이 때문에 그냥 알곡으로 먹거나 가루를 내기에 불편했다. 하지만 이런 낱알을 가열하기만 하면 속살의 수분과 유분이 팽창해서 터지면서 딱딱한 껍질을 스스로 잘게 부숴주므로 먹기 편해지는 것이다. 적은 수고로 알곡을 먹기 좋게 가공할 수 있는 단순한 요리법인 팝콘이 역사상 처음으로 등장한 옥수수 조리법 중 하나인 것은 이상한 일이 아니다. 카라멜 코팅은 안 했다.

그후 유럽인들이 미국으로 이주하면서 옥수수 농사에 성공하며, 1885년 찰스 크리에이터즈가 팝콘 대량생산 기계를 발명하면서 '팝콘=한봉지에 5~10센트정도면 살 수 있는 대중적이며 값싸고 맛좋은 간식'이라는 인식이 굳어지게 된다. 1912년부터 극장에서 팝콘을 팔기 시작했으며 1927년 유성영화 시대가 열려 기존의 영화 소비층이던 식자층이 아닌 관객들이 나타나면서 성행하게 되었다. 대공황 시기에는 소비력 저하와 금주령으로 인해 다른 농사는 지어도 이득을 보지 못했지만 팝콘은 위낙 가격이 싸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팝콘으로 끼니를 때우는 일도 허다해서 옥수수 농사는 이득을 봤다는 얘기도 있으며 심지어는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미군 전투식량에도 팝콘이 들어가 있었을 정도고, 다른 곡물 농사는 수확해도 판매를 못할 위험이 있지만 옥수수는 팝콘 덕에 수요가 많으니까 옥수수 농사를 하면 그럭저럭 돈을 벌 수 있었다.

역사가 짧아서 전통요리라고 부를만한게 별로 없는 미국에서 땅콩버터와 함께 '전통 요리'라고 부를 수 있는 몇 안되는 것 중 하나. 원주민은 물론 식민지 시절 백인들도 먹었기 때문이다. 물론 미국에서도 원주민들이 수천여 년전부터 만들어 먹던 것이라, 현대 미국에서 만들었다고 크게 자랑할 건 아니라는 자조적인 비아냥도 있긴 하다.

미국뿐만 아니라 다른 북미 국가인 캐나다에서도 먹기도 하는데, 그 유래가 지금의 미국과 캐나다와 멕시코, 즉 북아메리카 지역에서 살던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들이 폭립종 옥수수를 가열해 요리해먹던 것에서 비롯된 음식이다 보니 팝콘의 실제 원조가 어느 나라인가를 두고 북미 네티즌들끼리 키배가 벌어지는 일도 있다.

팝콘의 역사

6. 특징

전자렌지 팝콘을 튀기다 보면 꼭 안튀겨지는 알갱이들이 수두룩히 발견되는데, 이것 역시 폭열종이기 때문에 프라이팬에 기름 두르고 튀기면 팝콘이 된다. 알갱이들이 아깝다면 시도해볼것. 대신 뚜껑이 없다면 튀겨지는 팝콘이 이리저리 날아다니기 때문에 위생은 보장 못한다.

전자렌지 팝콘의 종이 포장지에는 발열판(서셉터)이 포함되어 있다. 포장지를 잘 들여다보면 포장지 사이에 들어있는 얇은 재질의 검정 물체가 바로 그것. 전자렌지 팝콘의 포장지를 보면 전자렌지에 넣을 때의 윗면과 밑면이 표시되어 있는데 발열판이 있는 쪽이 밑면으로 표시되어 있다. 전자렌지 팝콘을 튀겼을 때 안튀겨지는 알갱이를 줄이기 위해서는 이 발열판에 알갱이들을 잘 안착시키는 작업을 하면 도움이 된다. 발열판이 없는 쪽의 측면 날개에 알갱이와 버터가 있는 경우 이를 손을 이용해 발열판 쪽으로 밀어내고, 발열판 쪽에 있는 알갱이들과 버터들도 뭉쳐있지 않도록 고루 펴준 다음에 전자렌지에 넣으면 수율이 올라가는 것을 볼 수 있다.

편의점이나 영화관에서 판매하는 팝콘을 먹다보면 가끔씩 안튀겨진 알갱이가 씹힐때가 있는데, 안튀겨진 알갱이는 너무 딱딱해서 잘못하면 치아가 깨지거나 금이 갈 위험이 있다. 그러니 되도록이면 천천히 씹으며 먹어야 하며 치아에 뭔가 딱딱한게 닿으면 그것은 안튀겨진 알갱이니 절대 씹지 말고 입안에서 꺼내서 버리도록 하자.[10]

팝콘은 영화관이건 마트나 편의점이건, 반드시 특정 맛을 표방하고 필수적으로 그 맛을 낼 향료나 감미료인 시즈닝 등을 뿌려 판매하기 때문에, 맨손으로 먹는 팝콘 특성상 손에 묻기 마련이고 손톱이 아예 없으면 모를까 손톱이 조금이라도 자라나있다면 손에 묻은 팝콘의 향이 좀처럼 빠지지 않는다. 심하면 손톱이 없어도 잘 안빠질 수도 있다. 공장에서 만드는 마트나 편의점 판매용 팝콘이라면 더더욱 심하다. 그러한 이유로 극장에서 팝콘을 굳이 사먹지 않는 사람도 있다.

먹고 난 후 종종 옥수수 껍데기가 치아와 잇몸 사이에 박혀 빠지지 않는다면 염증을 일으키기 전에 치과에서 치료를 받는 게 위생적이고 안전하다. 치아관리 측면에서 어찌보면 사탕, 초콜릿이나 탄산음료보다 훨씬 나쁘다고 볼 수 있는 이유 중 하나가 바로 이에 잘 들러붙고 이와 잇몸 사이에 뾰족하게 박히면서 잘 빠지지 않는 이 팝콘 찌꺼기이다. 양치질을 해도 잘 빠지지 않을 수 있다. 팝콘을 하나 둘 씩 집어먹는 것보다 팝콘이 담긴 봉지나 컵을 입에 털어넣는 방식으로 섭취한다면 더욱 그렇게 될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감자칩만큼은 아니지만 막 퍼먹다가는 딱딱해진 옥수수 껍질들로 인해 입천장에 상처가 나거나 까지기 쉽다.

6.1. 영화관과 팝콘


영화관의 영혼의 단짝이라고 부를만큼 영화관에서 팝콘을 많이 먹는다. 선술했듯이 1912년부터 극장에서 팔기 시작했고 1927년 유성영화 시대가 열려 기존의 영화 소비층이던 식자층이 아닌 관객들이 나타나면서 성행하게 되었다. 영화관에서 팝콘을 주로 파는 가장 결정적인 이유는 다른 과자들보다 먹는 과정에서 소리가 나지 않기 때문이다. 다른 과자는 입에 넣고 씹으면 바삭거리는 소리가 나기 때문에 다른 관객들의 영화 관람을 방해할 수 있다. 그러나 팝콘은 다른 과자들보다 소리가 아주 작게 나기 때문에 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팝콘 자체는 입에 넣으면 바삭거리는게 입도 심심하지 않고, 단시간에 빠르게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는 점도 한 몫하는 것으로 보인다. 부스러기도 적어 청소하기 수월한 것도 장점. 튀겨진 팝콘은 수분이 거의 없어서 많이 먹으면 목이 메이기 때문에 십중팔구는 음료를 찾게 되는데, 덕분에 극장측에서 음료도 같이 끼워 팔 수 있다는 것 역시 숨겨진 노림수 중 하나다. 그래서 항상 팝콘 세트 메뉴에는 음료가 함께 나온다.

주의할 점은 제조과정 중 실수로 인해 터지다만 옥수수 알이 팝콘에 붙어있는 경우가 간혹 있다는 것이다. 날옥수수알과 다를게 없어서 어두운 극장에서 스크린에 집중하느라 대충 집어넣어서 생각없이 씹다가 이가 부러지는 불상사도 나온다. 특히 충치 등의 이유로(치료하느라 금이나 레진을 채웠다던가) 이가 약해진 사람들이면 더더욱 주의해야한다.

다만 1920년대 미국 극장에서는 영화관 카펫을 더럽힌다는 이유로[11] 팝콘 반입을 금지했는데, 앞에서 설명했듯 경제 대공황 시기에 값이 싼 팝콘이 큰 인기를 얻자 영화관에도 팝콘 반입이 가능해졌다. 팝콘 반입을 못 하게 하는 극장은 사람들이 가질 않아서 문을 닫을 정도였다. 이후 태평양 전쟁 과정에서 일본 제국이 미국의 주요 설탕 공급지였던 필리핀을 점령하고, 또 다른 설탕 공급지인 하와이도 각종 물자가 군대에 징발되면서 미국 내의 설탕 공급이 줄어들자 설탕을 쓰지 않는 팝콘이 영화관에서 먹을 수 있는 음식의 대부분이 되었고, 전쟁이 끝난 이후에도 이 문화가 남아 사람들에게 영화관 간식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팝콘이 되었다. 출처 이후에 이러한 문화가 오래동안 지속되었으며, 미국식 시네마의 전 세계적 보급으로 세계의 영화관에서도 팝콘을 제공하기 시작하였고 현재까지도 이러한 문화가 정착해서 남아있다. 한때 2020년에는 코로나로 인해 감염방지 차원에서 1920년대처럼 영화관에 팝콘 반입을 금지하는 극장이 다시 생기기 시작했으며 국내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풀리고 엔데믹이 되어가는 단계가 되어서야 재개되었다.

한국에서는 1980년대부터 미국 영화관 팝콘 문화가 알음알음 알려져 몇몇 극장에서 팝콘을 팔기 시작하였지만 극히 일부에 불과하였다. 그러다 1990년대에 들어 멀티플렉스 영화관이 널리 보급되자 너나할것 없이 팝콘과 음료를 팔기 시작하여 순식간에 인기가 증가하게 되면서 현재에 이르고 있다.

6.1.1. 가격 논란

과거 미국 영화관의 수익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영화상영으로 얻는 이득보다 팝콘판매 수익이 오히려 더 크다는 것을 발견하고, 마케팅 성공사례로 전공서적에도 수록되는 영광도 얻었다. 팝콘과 영화 산업의 관련은 매우 밀접해서, 영화 산업과 옥수수 가격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기사까지 나왔다.

영화관 매점에서 팔지만 갈수록 그 가격이 올라서 팝콘과 음료수 가격이 오히려 영화관 표값보다도 비싼 상황이 되었다. 아무래도 팝콘은 따뜻한 상태에서 먹는 것이 맛이나 식감이 좋은지라, 집에서 가져오는 것으로 대체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어려워서 소비자들은 어느 정도 비싼 가격에도 구입할 동기가 충분하다는 점, 팝콘에 첨가하는 소금 등의 조미료 때문에 목도 자연히 마르기 마련이라 팝콘을 사는 사람은 음료수도 같이 집어서 사기 마련이라는 점에서 영화관과 팝콘+음료수 매출은 떼어놓고 보기 어렵게 된 듯하다. 그리고 이것이 아예 영화관의 수입구조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어, 뉴스에서 쿨타임만 되면 팝콘관련 원가논란(원가는 수백원 정도인데 수천원에 팔므로 이것은 폭리다!)이 보도될 때마다, 영화관에서는 팝콘 매출이 영화표 적정가 산정에도 영향을 주므로 팝콘가격 조정은 불가하다(팝콘장사 못하게 하면 영화표값 올릴 수밖에 없다!)고 대응하게 된 원인이 되었다.

일반적으로 영화관 내부에는 팝콘만 가지고 들어갈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2008년 이후로 영화관 내부에 다른 음식물을 반입해도 되도록 규정이 완화되었기(정확히는 공정거래위원회가 음식물 반입 금지 약관이 불공정하다고 결정을 내렸기) 때문에 일반 소비자들은 영화표 값이 올라가는 것을 보느니 팝콘 대신 영화관 밖에서 싼 과자를 사서 대체하는 선택지를 택하는 편이 나아서 영화관 팝콘 가격에 대하여 아직까지는 용인하는 편이고 영화관의 폭리 논란이 본격적으로는 여론몰이를 하지는 못하는 편이다. 물론 모두가 팝콘 가격이 비싸다고 해서 영화관 팝콘을 다 사지 않게 되면 이런 영화관의 논리도 설득력을 잃지 않을까 우려하는 시선이 있기는 하지만, '영화 보러 가는 것'을 일종의 문화 활동이자 오락으로 보는 사회 분위기 속에서 후각을 강하게 유혹하는 팝콘 냄새가 영화관에 퍼지면 팝콘을 사고 싶은 충동도 강해지기 마련이고 특히 이에 낚인 아이가 굳이 팝콘을 원하면... 질소과자 문서에도 잘 나오지만 이를 대놓고 거부할 수 있는 사람은 없는 편이다. 그래서 여태까지 그래왔고 앞으로도 계속 약관이 개정된 지 시간이 꽤 지났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를 알고 있음에도 영화관에서의 팝콘 매출은 줄어들 기미가 없다.

하지만 팝콘이 편의점에 들어서고 가격대비 많은 양[12]과 다양한 맛이 들어오면서 선택지가 늘게 되었다. 영화관이 있을 정도로 번화한 거리에 편의점이 없을 리가 없으므로 딱히 집근처에서 미리 준비할 필요도 없으며, 음료수나 기타 간식거리도 함께 구매할 수 있는 만큼 영화관 매점의 강력한 경쟁자가 된 셈.[13]

그리고 2015년부터 이마트 노브랜드 상품이 출시되면서 노브랜드 팝콘 콜라 사이다가 강력한 경쟁자가 되었다. 특히나 CGV 이마트의 경우 같은 건물에 입점 한 경우가 많은데 지하의 이마트에서 팝콘과 음료수를 사서 윗층의 극장에서 영화를 보게되면 엄청난 절약을 할 수 있다.

7. 성분

영화관 팝콘 칼로리를 묻는 사람들도 많은데, 2014년 CGV 모 지점에 표기된 팝콘과 콜라 열량은 다음과 같다.[14]
음식(kcal)
고소한 맛 198 395
캐러맬 맛 373 906
치즈 맛 214 428
어니언 맛 215 431
콜라 290 420

팝콘은 대체적으로 건강식으로 인정받지만 칼로리 면에서는 다소 높다. 기름에 튀기는 것이 기본이고, 버터를 넣은 종류가 많으므로 칼로리며 영양이며 훌륭한 정크푸드의 표본이다. 일례로 국내 한 편의점에서 2023년 7월 새로 런칭한 대용량(400g) 팝콘의 영양정보를 보면 30g당 160kcal[15]이며 지방은 무려 8g이다. 즉 100g당 지방만 약 26~27g이라는 것이다. 팝콘은 포만감이 떨어지고 생각없이 막 집어먹기 쉬운 핑거푸드이므로 순식간에 엄청난 칼로리를 섭취하기 쉽다.

8. 매체

  • 스펀지
    • 97회 방송에서 후술할 웰컴 투 동막골 관련으로 팝콘을 만드는 실험을 했다.
    • 349회 방송에서 의 품종 중 흑미로도 팝콘을 만들 수 있다고 나왔다. 흑미는 단단한 껍질이 있고 전분이 있기 때문에 후라이팬에 볶거나 전자레인지에 돌리기만 해도 팝콘이 되는 것이다. 다만 크기 때문에 팝콘보다는 튀밥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현미로도 가능. 맛은 팝콘보단 조금 쌉쌀한데, 덕분에 맥주 안주로 좋다.
  • 웰컴 투 동막골: 수류탄이 마을 식량창고에 들어간 순간 뒤늦게 격발, 대폭발을 일으켜 식량창고를 통째로 날려버리고 창고 안에서 터진 옥수수가 팝콘이 되어 마치 눈송이처럼 흩날리는 장면이 있다. 다만 보통 한국에서 키우는 옥수수 품종 자체는 팝콘이 안되는 종이기 때문에 현실에서 실현될 수는 없다. 실제로 KBS 스펀지 97회 방송에서 옥수수를 금고에 넣고 터뜨리는 실험을 했더니 팝콘은 커녕 그냥 타 버렸으며 나중에 외국 옥수수 알갱이로 했더니 팝콘은 되긴 했지만 이 장면하고는 당연히 거리가 멀었다. 영화에서 이 장면은 창고 폭파 장면을 따로 찍고 지붕에서 팝콘을 뿌린 다음 특수효과로 만든 것이다.
  • 퍼니또: 아즈로크 아즈론들이 제일 좋아하는 음식이다. 이곳에는 팝콘이 아닌 '펀콘'이라고 불린다.

9. 비슷한 음식

  • 강냉이
  • 뻥튀기
  • 마카나(Makhana): 인도 중 북인도와 서인도에서 가시연꽃 씨를 팝콘과 유사하게 튀겨먹는다. 생김새는 버섯형 팝콘이나 강냉이와 유사하지만 식감이 위 두개보다는 약간 세다.

10. 여담

  • 공장제 팝콘에서 버터향을 내기 위해 사용하는 디아세틸 성분이 공장 노동자들에서 폐질환 뿐 아니라 알츠하이머 등 뇌에 심각한 질환을 야기한다는 점이 발견되었다. 2007년 미국 덴버에서는 10년 동안 매일 두봉지 이상 전자레인지 팝콘을 섭취한 소비자가 디아세틸에 의한 폐질환으로 진단되어 미 연방법원은 팝콘 회사가 730만달러를 지급하라고 선고한 일이 있었다.

  • 미국에서는 팝콘의 POP을 말하면 음성에 반응해 자동으로 말한 사람의 입을 향해 팝콘을 쏘아 팝콘을 손을 대지 않고도 먹게 하는 Popinator라는 것을 개발했다. 여러개 먹을려면 팝팝팝팝파파파파파팝 꽤 많이 놓쳤을텐데 대체 몇번이나 찍어서 만든걸까 실로 인간의 귀차니즘으로 인한 발명은 끝이 없는 듯 하다.

  • 미국의 야구 감독 돈 매팅리는 현역시절 1루쪽 파울 타구를 쫓아가다가 관중석에 떨어지자 바로 앞에서 구경하고 있던 아이의 팝콘을 슬쩍 집어먹은 적이 있다.
  • NBA 농구선수 스테판 커리는 엄청난 팝콘 매니아로 경기 시작 전후,휴식시간 등에도 수시로 먹는다. NBA 29개 각 경기장에서 파는 팝콘들의 맛 점수표까지 스스로 만들 정도 이다. #

  • "그러니까 그 바둑이, 컴퓨터에게 지게 될 때, 그 때가 인류가 끝나는 날입니다. 로봇에게 인간이 지배당하는 날입니다. 그런 때가 옵니다. 그러니까 로봇을 위해 우리가 일하는 겁니다. 그러니까 지금 뿐입니다. 맛있는거 먹고, 즐겁게 놀고, 오늘도 즐겁게 즐기고, 팝콘은 안 먹는게 좋습니다"

    조치훈 九단.

    바둑 인공지능에 대한 질문에 대해 답할 때 마무리 드립으로 친 대사이다. 이 질문 전에 니코니코 초회의 주최측에서 제공한 팝콘을 한참동안 갈궜었는데,[16] 위 대사는 그것의 연장선.
  • 영화 및 드라마 평론 사이트인 로튼 토마토에서는 관객들의 평가를 정할 때 팝콘이 채워져있는지 쏟아져있는지로 표시된다. 팝콘이 채워져있으면 관객 입장에선 볼만한 작품, 쏟아져 있으면 보기에 영 아니라는 작품으로 판단할 수 있다. 간혹 이러한 평가가 토마토의 신선도로 표시되는 평론가들의 평가와 엇갈리는 경우가 발생하곤 한다. 대표적인 경우가 바로...
  • 폭염으로 인해 옥수수 자체가 팝콘에 가까운 상태로 변한 적이 있다. #
  • 16~17세기경 유럽에서 아메리카 대륙으로 온 뉴잉글랜드 개척자들이 농사도 짓지 못하고[17] 비실거리자 그들을 지켜보던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힘을 내라고 하면서 농사기술과 함께 가르쳐준 것이 바로 팝콘이었었다.....라는 이야기가 있지만, 이는 20세기의 창작이다. 당시 개척자들이 아메리카 원주민에게 받은 옥수수 품종은 팝콘용이 아니었기 때문. 물론 유럽인 도래 전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즐기던 음식인 건 사실이다.
  • 스시라멘리쿠는 구독자 500만명 기념 영상으로 팝콘 500만 알을 튀기는 영상을 만들었다. # 전부 튀기는데만 2주 가량 걸렸다. 그리고 그렇게 만든걸 스카이피스를 상대로 몰카하는데 써먹었다.(...)
  • 웹 색상에서 팝콘(Popcon)은
    #f8de8d
    을 가리킨다.
  • 빈투롱, 호랑이, 표범의 오줌에선 버터 팝콘 냄새가 난다고 한다(...). 이는 2-아세틸-1-피롤린이란 화학 물질이 이들의 소변에 함유되어 있기 때문이다.

11. 언어별 명칭

언어별 명칭
<colbgcolor=#ffffff,#1c1d1f> 한국어 팝콘
나와틀어[18] Momochitl, Izquitl
러시아어 попко́рн(popkórn)
스페인어 palomitas
아랍어 فِشَار(fišār), فُشَار(fušār), بوب كورن(bub kurn)[19]
영어, 이탈리아어 popcorn
중국어 玉米花(yùmǐhuā), 爆米花(bàomǐhuā)[20]( 표준 중국어)
爆穀/爆谷( 광동어)
일본어 ポップコーン(poppukōn)
프랑스어 Le pop-corn, maïs soufflé, maïs éclaté( 캐나다 프랑스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8c00,#ff8c00 {{{#!folding 기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ffffff,#1c1d1f> 구자라트어 મકાઈની ધાણી(makāīnī dhāṇī), ફૂલી(phūlī)
그리스어 ποπ κορν(pop korn)
σπανούκα(spanoúka)(폰토스 방언)
독일어 Popcorn
라오어 ຕອກແຕກ(tǭk tǣk)
마인어 bertih jagung(말레이), berondong(인도네시아)
미얀마어 ပြောင်းဖူးပေါက်ပေါက်(praung:hpu:paukpauk)
베트남어 bắp rang, bỏng ngô
벵골어 পপকর্ন(popokorno), ভুট্টার খই(bhuṭṭar khoi)
세르보크로아트어 kokice( 크로아티아어)
싱할라어 පොරි
아르메니아어 ադի-բուդի(adi-budi)
암하라어 ፋንዲሻ
조지아어 პოპკორნი(ṗoṗḳorni), ბატი-ბუტი(baṭi-buṭi)
체로키어 ᏎᎷ ᎠᎾᏔᏍᎩᏍᎩ(selu anatasgisgi)
크메르어 ពោត​លីង(poot liing)
타밀어 சோளப்பொரி(cōḷappori)
태국어 ป๊อปคอร์น(bpɔ́p-kɔɔn), ข้าวโพดคั่ว(kâao-pôot-kûua)
텔루구어 పాప్ కార్న్
펀자브어 ਫੁੱਲਾ(phullā), ਖਿੱਲ(khilla)
페르시아어 پف فیل(pofefil), چس فیل(čos-e fil), پاپکرن(pâpkorn)
попкорн(popkorn)( 타지크어)
포르투갈어 pipoca
히브리어 פּוֹפְּקוֹרְן(pópqor(e)n)
힌디어 पॉपकॉर्न (pŏpkŏrn), मकई का लावा }}}}}}}}}}}}


[1] 역시 대한민국에도 맛볼 수 있다. 같은 사이즈로는 42,000원이다. [2] 이쪽은 버터갈릭맛 팝콘 [3] 그런데 정작 콘소메는 옥수수맛이 아니다! 자세한건 항목 참조. [4] 과거에는 ACT I과 ACT Ⅱ가 따로 존재했다. ACT I은 먼저 출시된 제품으로 진짜 버터를 사용해서 냉장보관이 필요했다. 그리고 옥수수가 담긴 봉지의 재질 상 사용할 수 있는 전자레인지도 한정적이었다. 이후 1984년, 전자레인지용 식품 제조사 골든 밸리가 개발한 모든 종류의 전자레인지에서 조리가 가능한 봉지를 채택하고, 진짜 버터가 아닌 버터향 컴파운드를 첨가하여 실온 보관또한 가능한 ACT II가 출시되었다. 그리고 냉장보관이 필요한 비효율적인 ACT I은 많은 소비자들에게 외면을 당하게 되어 시장에서 모습을 감춘다. [5] 긴 연극의 단원을 나타내는 단어로 한국어로 번역하자면 ‘2막 2장’ 정도된다. [6] 무엇보다 조리설명서를 잘보고 조리시간 설정을 정확히 하는 것이 필요하다. 포장지에 ‘이쪽을 위로 향하게 하세요{This Side Up}’나 ‘남은 알을 튀기기 위해 재가열을 하지 마세요’라는 문구는 철저하게 지켜야 한다. 안그러면 정말 타버려 먹지도 못하고 죄다 버려야 하기 때문이다. 조리시간은 대개 1분 30초에서 2분 30초로 설정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7] 다만 영상에서도 볼 수 있듯 수분 센서나 마이크가 내장된 고가의 전자레인지들은 팝콘 봉지가 수증기를 내뿜는 때를 감지해서 작동을 멈추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 이런 게 없는 저가형 전자레인지들은 팝콘 봉지가 어떻게 되든 그냥 단순무식하게 팝콘의 양을 계산해서 돌아가기 때문에 너무 일찍 꺼져서 익지도 않은 알갱이들이 수북하거나 너무 늦게 꺼져서 팝콘이 시꺼멓게 타버리는 불상사가 일어날 수 있는 것. [8] 당연히 창업주의 이름이다. 인디애나 주의 브라질이란 곳에서 출생하였고, 퍼듀 대학교에서 농경학를 전공했다. 자란 곳이 옥수수 재배지였던 관계로 팝콘을 만들어 팔았고 이후 팝콘에 어울리는 종자 개량을 통해 사업을 크게 키웠다. [9] 전자레인지용 외에도 튀겨져 파는 것도 있으나 레어품 [10] 버리기 아깝다고 무리하게 씹어먹으려 하다가는 설령 깨부숴먹는데 성공하더라도 치아도 같이 함께 깨부수게 될 수도 있으니 절대 씹지 말고 버려야 한다. [11] 당시 미국인들 중에는 팝콘 부스러기들을 흘리거나 심지어 일부러 바닥에 쏟는 만행(?)을 저지르는 작자도 있었다. [12] 같은 양이지만 영화관에서 파는 가격의 절반 수준이다. 참고로 편의점에 팝콘이 들어온 건 제법 오래전 일이다. 2000년 초반부터도 이미 들어왔었다. [13] 실제로 영화관 근처의 편의점은 아예 들어오자마자 가장 잘 보이는 자리에 팝콘을 가득 진열해놓은 경우가 많다. [14] 출처 [15] 이게 얼마나 무시무시한지 감이 잘 안 온다면, 누텔라의 1 Serving Size = 15g당 81kcal이다. 사실상 누텔라가 잼 통째로 팝콘이 되어 나온 격이다. [16] 시나몬슈가 맛인데, 가토 히후미에게 제공된 소금맛과 바뀌었다면 달라졌을지 모른다는 농담도 있었다. [17] 유럽과 미국의 기후나 토질은 상당하게 판이해서 유럽에서의 노하우를 적용시켜 농사를 짓기에는 애로사항이 있었다. [18] 원산지의 언어 중 하나이다. [19] 아랍에미리트 영어가 상용화된 나라에서는 그냥 팝콘(بوب كورن, bub kurn)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20] 곡류가 팡 터져서 꽃이 폈다는 뜻.